KR100907969B1 -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969B1
KR100907969B1 KR1020060009229A KR20060009229A KR100907969B1 KR 100907969 B1 KR100907969 B1 KR 100907969B1 KR 1020060009229 A KR1020060009229 A KR 1020060009229A KR 20060009229 A KR20060009229 A KR 20060009229A KR 100907969 B1 KR100907969 B1 KR 10090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isplay
recognition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181A (ko
Inventor
다께하루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04N1/0033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barcod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04N1/321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on the same paper sheet, e.g. a facsimile page h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function and another apparatus or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및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10)는, 대상이 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카메라(12), 바코드 판독 시에 온/오프 버튼(21) 조작에 의해 발광하는 소형의 라이트(13),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15),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1)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자연 영상이나 바코드 등 피사체에 따라서 촬영 수순을 전환한다. 제어부(31)는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된 경우, 바코드를 인식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 장치는 인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그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 전화, 액정 패널, 카메라, 바코드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PORTABLE TERMINAL DEVICE, PROGRAM FOR READING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코드 판독 장치를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조립한 경우의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카메라의 렌즈 초점 심도 전환 메카니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코드 판독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LCD 표시부의 모드 선택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1차원 코드 또는 2차원 코드로 화상 캡쳐 범위 및 표시 시의 배율이 다른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코드 판독 처리에 의한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코드 판독 처리에 의한 화면 표 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바코드 판독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휴대 단말 장치)
10a : 휴대 전화기 본체
11, 37 : 안테나
12, 33 : 카메라(촬상 수단)
13, 34 : 라이트(조명 수단)
14, 39 : 스피커(통지 수단의 일부)
15, 35 : LCD 표시부(표시 수단, 통지 수단의 일부)
16 : 전원 키
17 : 전화 기능키
18 : 모드 키
19 : 커서 키
20 : 셔터 키
21 : 라이트 온/오프 버튼(조명 전환 수단)
22 : 다이얼 키
23, 40 : 마이크
31 : 제어부(촬영 수순 전환 수단, 코드 인식 수단, 정보 처리 수단, 프레임 레이트 제어 수단, 타이머 설정 수단)
32 : 기억 메모리
36 : 키 입력부
50 : 카메라 모듈
51 : 렌즈
52 : 렌즈 유닛
53 : 카메라 레버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나, 키 입력 등에 의한 입력 장치를 갖고 있는 현재의 휴대 전화는, 소위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화기로서의 기능 외에, 메일을 교환하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능 등, 다기능화의 경향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소형이며 저소비 전력의 이미지 센서가 개발된 것에 수반하여,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형 장치에 카메라를 내장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에따라, 내장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전자 메일로 바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 었다. 이들 내장 카메라는, 소형인 것이 우선되며,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보다도 해상도가 낮다.
또한, 최근의 휴대 전화기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키로 입력할 필요가 있고, 휴대 전화기의 키로는, 이 긴 URL을 입력하는 데에는 다소 번거롭다. 그래서, URL을 고유 번호로 관리하여, 그 번호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인쇄한 것을 바코드 리더로 판독함으로써, URL 입력의 수고를 줄이게 된다. 이런 시도는 사용자의 사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별도의 바코드 리더를 휴대 전화기에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카메라를 내장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그 내장 카메라에 의해 입력한 바코드 화상으로부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으면, 별도의 바코드 리더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111909호 공보에는, 사진 모드와 QR 코드(2차원 코드) 판독 모드를 선택 설정할 수 있고, 설정 모드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는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259215호(1997년) 공보에는, 1차원 코드는 라인 CCD로 처리하고, 2차원 코드는 에리어 CCD로 처리하여 판독 정밀도를 높이는 코드 리더가 기재되어 있다. 단, 바코드 종류에 따른 카메라 화상 캡쳐 영역의 설정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개 2001-197186호 공보에는, 전화 번호를 2차원 바코드로 치환하고, 전화기에 부착한 CCD 스캐너로 이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의 내장 카메라의 해상도는, 바코드 리더에 이용되는 이미지 센서보다도 해상도가 낮아, 고정밀도로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바코드의 인식을 곤란하게 하는 원인으로서, 입력 화상중에 촬영되는 바의 폭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코드와 화상이 입력될 때의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이다. 클로즈업 타입의 스캐너에서는, 항상 바코드를 일정한 크기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의 폭을 미리 정해 놓을 수 있다. 그러나, 핸드-헬드식 카메라로 바코드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바 폭을 미리 정하여 놓을 수 없다.
바의 폭을 이미지 스캐너에 의해 입력된 바코드 화상으로부터 결정하여, 바코드를 인식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176509호 공보에서는, 카메라로 캡쳐한 화상에 포함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캡쳐한 화상을 해독 가능하면 스피커음을 발생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동시에, 이 장치는 바코드 데이터를 보존함과 함께 화상화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내장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1차원 코드나 2차원 코드가 판독 대상이 되는 코드의 물리적인 크기에서 다르기 때문에, 비교적 해상도가 낮은 휴대 전화에 이용되는 카메라에서는, 코드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물이나 풍경을 촬영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카메라에서는, 바코드와 같은 매크로-모드 촬영은 통상적으로 상정되어 있지 않아, 바코드 화상을 판독에 적합하게 하여 촬영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의 화각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판독 대상의 코드를 카메라의 촬영 범위 내에 두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클로즈업 촬영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장치 본체 등에 의한 그림자를 발생하여 캡쳐된 화상에 영향을 주기 쉬워, 안정된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에 카메라 개구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영 대상을 바코드로 전환하는 촬영 수순 전환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에 의해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한 경우, 상기 촬상된 화상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바코드 종별에 따라서 촬상 수단에서의 화상 캡쳐 영역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계조 특성, 콘트라스트, 밝기, 화이트 밸런스, 노출, 초점 심도, 윤곽 강조, 및 해상도의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자연 영상과 바코드 화상에서 전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바코드 촬영 모드로의 전환 시, 코드 인식 수단을 기동할 때까지는 촬상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화상을 고속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코드 인식 수단을 기동한 후에는 코드 인식 수단에 필요한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피사체에 조명을 행하는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조명 수단을 온/오프하는 조명 전환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코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지 수단은, 소리, 음성, 또는 상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인식 결과의 통지를 행하더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을 포함하고, 통지 수단은, 타이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바코드를 인식할 수 없었을 때, 인식 실패를 통지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와,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본체에 내장하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마 커를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커는, 카메라 개구의 바로뒤 본체 표면에 인쇄, 각인 또는 스티커에 의해 부여되더라도 된다.
또한, 카메라 개구의 바로 뒤 본체에, 표시부가 있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가 마커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마커 표시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마커 표시 수단은, 카메라의 셔터 동작에 연동하여, 혹은 촬상 결과의 통지와 동시에, 마커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의 표시를 지우거나, 또는 사용자 지시에 의해 마커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의 표시를 온/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수단은 에리어형 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동화상/정지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 정보 단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영 대상을 바코드로 전환하는 촬영 수순 전환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에 의해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한 경우, 촬상된 화상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촬영 대상을 바코드로 전환 하는 촬영 수순 전환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에 의해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한 경우, 촬상된 화상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은 2002년 7월 24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02-214733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모든 내용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인용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휴대 단말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든다.
(1) 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할 수 있는 소형의 라이트를 내장한다. 카메라가 2차원 바코드 등의 코드를 판독하는 경우, 예를들어 라이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온/오프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라이트를 온/오프함으로써, 렌즈 특성으로 인해 주변 광량이 감소해도, 또는 전화기 본체에 의해 판독된 코드에 그림자가 중첩되었다고 해도, 안정적으로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코드 판독 시에, 항상 라이트를 온시키는 양태에서는, 거울면 반사에 의해 악영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로 입력 중인 화상을 LCD 표시부로 확인하면서, 라이트 온/오프를 전환한다.
(2) 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는, 코드를 판독할 때에, 촬영 중인 코드의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LCD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촬영 중인 코드의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바코드가 올바르게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드가 화면에서 밀려 나오거나, 크게 왜곡된 화상으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판독 후는, 판독 결과를 화면에 즉시 표시시킴으로써, 판독 결과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판독을 완료했을 때에 "삥뽕" 또는 "찌리링" 등의 판독 종료음을 울림으로써, 사용자에게 판독 완료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3) 판독 동작은, 연속하여 캡쳐한 화상마다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판독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때, 판독 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화상의 캡쳐는 많아야 2FPS(frame per second) 정도가 되고, 표시도 2FPS 정도이다. 이것으로는, LCD 표시부를 보면서 코드를 적절한 위치에 맞추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서는, 사용자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코드의 판독 처리는 실행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동화상을 LCD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코드를 적절한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코드가 적절한 위치에 맞춰지면, 버튼을 조작하여 판독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때, 표시는 약 2FPS 정도로 떨어져 버리지만, 이미 코드는 적절한 위치에서 촬영되고 있기 때문에, 판독을 곧 종료할 수 있어 문제는 없다.
(4) 또한, 카메라 내장 통상의 휴대 전화에서는, 인물이나 풍경을 촬영할 목적으로, 색조 등은 어디까지나 자연스럽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로인해 코드 판독용에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는, 코드 판독 시 에는, 통상의 모드와는 달리 조정되어 준비된 코드 판독용의 모드를 갖는다. 코드 판독시에는 이 모드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코드의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강조되도록, 화이트 밸런스 또는 노출을 조정하거나, 윤곽(에지부)을 보다 강조하도록 보정 계수를 조정하거나, 해상도를 조정한 특별한 바코드 판독용 모드를 준비한다. 사용자가 코드 판독을 지정했을 때에는, 전화기는 자동적으로 상기 바코드 판독용 모드로 전환된다.
(5) 판독될 코드에는, 1차원 코드나 2차원 코드 등의 종류가 있다. 이들 코드 종별마다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크기나, 선의 굵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는, (1차원 코드나 2차원 코드 중) 어느쪽을 판독할지를 지정하여, 그 지정에 따라, 카메라의 화상 캡쳐 범위를 전환한다. 또한, 표시 시의 배율도 최적으로 한다.
도 1은, 상기 기본적인 개념에 기초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는, 코드 판독 장치를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의 휴대 통신 단말기에 적용한 예이다.
도 1은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10)(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한다. 휴대 전화기 본체(10a)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11), 본체(10a) 배면에 내장되어 대상이 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카메라(12)(촬상 수단), 본체(10a) 배면에 내장되어 어두운 장소나 바코드 판독 시에 사용자 조작 등에 따라 발광하는 소형의 라이트(13)(조명 수단), 음성을 수신하고 증폭하기 위한 스피커(14)(통지 수단의 일부), 조작을 위한 가이던스, 수신 정보, 화상, 또는 텍스트 정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15)(표시 수단 및 통지 수단의 일부),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전원 키(16), 착신, 발신, 전화 기능 전환, 동작결정 등을 행하는 전화 기능 키(17), 각종 기능을 전환하기 위한 모드 키(18), 상하 좌우의 방향으로 선택 대상을 이동시키는 커서 키(19), 카메라(12)의 입력을 결정하는 셔터 버튼인 셔터 키(20), 라이트(13)를 온/오프하는 라이트 온/오프 버튼(21)(조명 전환 수단), 전화 번호의 입력 등 다이얼을 위한 멤브레인 키(membrane key)로 이루어지는 다이얼 키(22), 및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2)는, 휴대 전화기(10)에 내장된 예를 들면 34만 화소의 CCD(Charge Coupled Device: 에리어형 고체 촬상 소자) 카메라이다. 카메라(12)는, 단초점 렌즈를 갖고 통상 촬영시와 바코드 판독 시에 초점 심도가 전환된다.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LCD 표시부(15)는, 도트 매트릭스 구성의 LCD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인 PDP, EL 및 각 드라이버 등으로 구성된다. LCD 표시부(15)에는, 촬영시에는,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가 표시된다. 코드 인식이 완료된 경우, 문자 혹은 아이콘 등의 메시지에 의해 인식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비 촬영시에는 다이얼 키(22)로부터 입력된 번호나, 비 전화 기능을 위한 각종 화면, 전화 기능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또한, 대기시에는 시각이 표시되며, 이외에도 개인 정보나 시스템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전원 키(16), 전화 기능 키(17), 모드 키(18), 커서 키(19), 셔터 키(20), 라이트 온/오프 버튼(21) 및 다이얼 키(22)는, 모두 수동으로 조작을 행하고, 조작된 내용을 제어부(31)(도 2)에 정보로서 전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키(20)나 라이트 온/오프 버튼(21)을 독립적인 키로 하고 있지만, 이들 키의 기능을 다른 키(예를 들면, 모드 키(18))에 할당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는 바코드 판독 장치를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내장한 경우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휴대 전화기(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나 PHS 또는 휴대 전화기이다. 휴대 전화기(10)는, 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1)(촬영 수순 전환 수단, 코드 인식 수단, 정보 처리 수단, 프레임 레이트 제어 수단, 타이머 설정 수단), 제어 프로그램이나 고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OM, CPU의 작업용 기억 영역인 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지고, 수신 또는 입력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음성 신호를 기억하는 기억 메모리(32), 대상이 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카메라(33)(촬상 수단), 바코드 판독 시 등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광하는 라이트(34)(조명 수단),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35)(표시 수단, 통지 수단의 일부), 사용자로부터의 키 조작 정보를 입력 생성하는 키 입력부(36),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37), 무선 통신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부(38),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9)(통지 수단의 일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어부(31)는, 휴대 전화기(10) 전체를 제어함과 동시에, 바코드 판독 기능 을 갖는다. 따라서, 제어부(31)는 키 조작에 기초하여, 카메라(33)에 의한 바코드 촬영, 화상 정보의 표시, 바코드 인식을 제어하여, 그 인식한 내용에 기초한 처리 실행을 행한다.
특히, 제어부(31)는, 자연 영상이나 바코드 등 피사체에 따라서 촬영 수순을 전환하는 촬영 수순 전환 수단과,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된 경우, 바코드 인식(코드 복호)을 행하는 코드 인식 수단과, 인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과,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 장치가 바코드 촬영 전환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코드 인식 수단을 기동할 때까지는 카메라(33)로부터 얻어진 화상을 고속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부(35)에 표시한다. 코드 인식 수단의 기동 후에는, 코드 인식 수단에 필요한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을 표시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부(31)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각 기능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도 4의 흐름에 따라 후술한다.
ROM은 제어부(31)가 동작할 때 필요한 프로그램, 통신 제어 데이터 등의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판독 전용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RAM은 바코드 인식이나 통신에 관한 데이터,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 및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소위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휴대 전화기(10)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은, 이 RAM에 전개되어 실행된다. 또한, RAM의 일부는, 전기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으로 이루어진 다. 구체적으로는, EEPROM에 기입하는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0)에서의 각종 사양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최근에는 시스템 개발을 위해 디버깅 할때마다 마스크 ROM을 변경하는 시간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ROM을 불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EPROM, EEPROM으로 하여, 프로그램 개발, 수정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EEPROM의 프로그램 내용을 재기입하도록 하면, 기능의 업그레이드나 기능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카메라(12)의 렌즈 초점 심도 전환 메카니즘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통상 촬영시간과 바코드 판독 시간에서의 초점 심도 전환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이 메카니즘은 CCD 등의 고체 촬상 소자와 그 신호 출력 회로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50)과, 내부에 렌즈(51)를 갖고, 카메라 모듈(50)상에 나사 결합되는 렌즈 유닛(52)과, 렌즈 유닛(52) 외주부에 부착되어 그 렌즈 유닛(52)을 회전 이동시키는 카메라 레버(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렌즈 유닛(52)은, 카메라 모듈(50)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카메라 레버(53)의 손잡이(53a)를 도 3의 A←→B 방향으로 움직이면, 렌즈 유닛(52)은 카메라 모듈(50)에 대하여 X←→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렌즈 유닛(52)에 장착된 렌즈(51)와 카메라 모듈(50)과의 촛점거리가 전환되고, 통상 촬영과 바코드 판독 시의 초점 심도가 전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코드 판독 시에, 제어부(31)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도시 생략) 에 의해 카메라 레버(53)가 슬라이드하여, 자동으로 초점 심도가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카메라 본체(11a)에 카메라 레버(53)의 손잡이(53a)에 연동하는 슬라이드 손잡이를 설치하여, 바코드 판독 시 등의 매크로 촬영 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휴대 전화기(10)의 바코드 판독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제어부(31)에 의해 실행된다. 도면에서, S는 흐름의 각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휴대 전화기(10)의 LCD 표시부(15)의 모드 선택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키(18)를 누르면, 도 5a에 도시하는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커서 키(19)에 의해 "바코드"를 선택하여 모드 키(18) 또는 전화 기능 키(17)를 눌러 모드를 결정한다. 바코드 판독 모드로 이행하여, 도 5b에 도시하는 코드 종별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바코드」 선택 조작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흐름이 개시된다. 먼저, 단계 S1에서 바코드 판독 모드 설정을 행한다. 이 바코드 판독 모드 설정에서는, 바코드 판독에 필요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서는, 바코드 판독 처리 이외의 처리, 예를 들면, 카메라 촬영, 스케쥴 관리 처리 등의 적절한 종료와 그에 대한 데이터가 보존된다. 바코드 판독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코드 판독 시의 초점 심도 전환 메카니즘의 전환을 행한다.
단계 S2에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코드 종별 선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받아 코드 종별을 판별한다. 코드 종별이 1차원 코드일 때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2차원 코드일 때는 단계 S4로 진행한다.
바코드 판독 모드가 설정되면, 코드의 종류(1차원 코드/2차원 코드)를 사용자가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독될 코드의 몇명 종류에는, 1차원 코드나 2차원 코드 등의 종류가 있다. 코드 종별마다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크기나, 선의 굵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1차원 코드와 2차원 코드 중 어느쪽을 판독할지를 사용자가 지정하여, 그 지정에 따라서 카메라의 화상 캡쳐 범위 및 표시 시의 배율을 최적으로 한다.
1차원 코드인 경우는, 단계 S3에서 카메라 및 표시의 설정을 미리 정하여 임의의 값(설정치1)으로 한다.
2차원 코드인 경우는, 단계 S4에서 상기 설정치 1과는 다른 값(설정치 2)으로 한다.
도 6은 1차원 코드/2차원 코드로 화상 캡쳐 범위 및 표시 시의 배율이 다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원 코드이면,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세로 640×가로480으로 하고, 화상 표시는 이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화상과 같도록 설정한다. 한편, 2차원 코드이면,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세로320×가로240로 하고, 표시는 이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화상을 종횡 2배가 되도록 설정한다. 즉, 1차원 코드인 경우는, 정보량이 많은 1차원 방향으로 긴 바코드가 카메라의 횡방향의 촬영 범 위에 들어가도록 한다. 2차원 코드인 경우는, 카메라의 촬영 범위(카메라 캡쳐 범위)를 종횡 1/2로 한 뒤에, 이 카메라 화상을 종횡 2배로 표시한다. 이 이외에, 1차원 코드와 2차원 코드에 공통된 카메라 설정으로서, 에지 성분의 강조, 콘트라스트의 강조 등의 설정이 있다.
도 4의 흐름도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3의 카메라/표시 설정 1, 혹은 단계 S4의 카메라/표시 설정 2가 행해지면, 단계 S5에서 이벤트 대기의 상태가 된다. 각 이벤트에 의해 처리를 전환한다.
라이트 온/오프 조작 이벤트는, 사용자가 라이트 온/오프 버튼(21)을 눌렀을 때에 발생한다. 단계 S5에서 이 이벤트가 인식되었을 때는,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설정에 따라 라이트(13)를 온/오프한다.
판독 개시 조작 이벤트는, 사용자가 판독 개시 버튼(예를 들면 전화 기능 키(17))를 눌렀을 때에 발생한다. 단계 S5에서 이 이벤트가 인식되었을 때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판독 개시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 또한, 도 10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2)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LCD 표시부(15)에 표시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판독 개시 후는,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프레임 캡쳐 이벤트는, 카메라(12)가 1 프레임분 화상을 판독하여, 그 판독이 끝났을 때에 발생한다. 단계 S5에서 이 이벤트가 인식되었을 때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설정에 따라 캡쳐한 화상을 LCD 표시부(15)에 표시한다. 이 때, 카메라(12)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71)(도 10 참조)를 LCD 표시부(15)에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
단계 S9에서는, 판독 처리를 개시할지를 판별한다. 판독 개시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단계 S9의 예), 단계 S10에서 코드의 판독 처리를 개시한다. 판독이 실패일 때는, 단계 S5의 이벤트 판독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11에서 코드 판독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별한다. 코드 판독이 성공했을 때는(단계 S11의 YES), 단계 S12에서 판독 결과를 LCD 표시부(15)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확인음을 스피커(14)로 재생함으로써 이 흐름도에 의한 코드 판독이 완료된다. 판독 완료를 알리는 확인음의 재생에 의해 사용자의 주의가 환기되어, 사용자는 바코드 판독이 완료되었음을 안다.
판독 개시 전에는, 도 4의 파선으로 둘러싼 루프를 반복한다. 이 때, 코드 판독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프레임 레이트로 원활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바코드 판독 처리에 의한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그 판독 전의 촬영 화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그 판독 중의 촬영 화면을 도시한다. 도 7c는 그 판독 후의 인식 결과의 화면을 도시한다.
인식 대상 패턴이 2차원 코드인 예를 설명하지만, 인식하는 대상 화상은 1차원/2차원 바코드와 같은 심볼 패턴 외에, 문자 패턴이라도 된다.
판독 개시 전에는, 높은 프레임 레이트로 원활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코드가 화면(캡쳐 영역)으로부터 밀려 나오고 있는 상태를 화면으로 보면서, 코드가 화면 내에 들어가도록 카메라(12)(휴대 전화기의 본체(10a))를 간단히 조작할 수 있다. 즉, 판독 전의 코드 촬영 화면에서는, 표시 시의 지연이 매우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면을 보면서 자연스러운 감각으로 코드를 화면 내에 들어가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코드가 화면에 들어간 바로 그때에, 판독 개시 조작을 하고, 그 후 판독 결과가 표시된다(도 7c 참조).
도 8은 바코드 판독 처리에 의한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그 판독 전의 촬영 화면을 도시한다. 도 8b는 그 판독 중인 촬영 화면을 도시한다. 도 8c는 그 판독 후의 인식 결과의 화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자 등에 의해 화상의 일부가 어둡게 되는 등의 경우에는, 코드 판독이 곤란하게 된다. 코드 판독은, 촬영을 위해 카메라(12)(휴대 전화기의 본체(10a))를 판독 코드에 클로즈업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는 화면을 확인하여 현재의 입력 화상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에 그림자가 걸려 있는 경우에는, 라이트 온/오프 버튼(21)을 조작하여 라이트(13)를 온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자에 의한 영향이 없어져 판독이 성공한다(도 8c 참조).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9a는 그 정면도이고, 도 9b는 그 배면도이다. 도 1과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9에서,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60)(휴대 단말 장치)는, 본체(10a) 배면 의 카메라(12)의 바로 뒤(카메라(12) 개구의 정반대의 장소)에,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61)를 스티커/인쇄 등에 의해 부가하고 있다.
사용자가 LCD 표시부(15)를 눈으로 확인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카메라 위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피사체까지 카메라(12)를 이동시키기 어렵다. 특히, 바코드 판독과 같이 접사인 경우에는, 이 문제는 더 현저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12) 개구의 바로 뒤에 마크(61)를 붙이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이 마크(61)가 피사체인 판독 대상의 코드에 카메라(12)를 맞출 때 보기가 쉬워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12)의 위치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크를 LCD 표시부(15)(마커 표시 수단)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10에서,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70)(휴대 단말 장치)는, 본체(10a) 배면의 카메라(12)의 바로 뒤(카메라(12) 개구의 정반대의 장소)의 LCD 표시부(15)상에,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71)를 표시한다.
LCD 표시부(15)상에 마크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셔터의 조작시에 지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구성의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7의 판독 개시 조작 이벤트에서, 판독 개시 후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4의 단계 S8에서 판독한 화상을 LCD 표시부(15)에 표시하는 경우, 카메라(12)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71)를 동시에 표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12) 위치에 대응하는 개소에 마크(71)을 붙이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인 판독 대상의 코드에 카메라(12)를 맞출 때 보기가 편하게 되어 조 작이 용이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바코드 판독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11은 동일 처리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1에서는, 도 4에서의 단계 S7 및 단계 S9를 생략한다. 이 경우, 단계 S5에서, 프레임 캡쳐 이벤트가 판독된 후에, 단계 S8에서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즉시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코드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드 판독을 개시하기 전에 높은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을 표시할 수 없다. 그러나, 판독 개시 버튼(예를 들면 전화 기능 키(17))을 누르는 등의, 사용자의 조작을 생략할 수가 있어, 조작 회수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캡쳐한 화상을 기억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화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일단 정지한다. 사용자로 하여금 이 표시 화상을 이용하여 코드 판독 처리를 개시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사용자가 코드 판독 개시를 선택하면, 코드 판독을 실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파기하고, 새롭게 화상을 카메라로부터 다시 캡쳐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능력이 현저히 낮은 휴대 단말기이고, 코드 판독 처리에 1초 이상 걸리는 경우에 유효하다. 사용자는 캡쳐한 화상을 잘 살펴 보고 나서 코드 판독 처리를 개시할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명확하게 판독이 실패한 화상(손떨림 등으로 화상이 흐려진 경우 등)에서는, 코드 판독을 실행하지 않고, 화 상을 다시 찍는다. 이에 의해, 시간이 걸리는 코드 판독 처리의 실행 횟수를 최소한으로 끝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10)는, 대상이 되는 화상 정보를 입력하는 카메라(12), 바코드 판독 시에 온/오프 버튼(21) 조작에 의해 발광하는 소형의 라이트(13), 정보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15),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부(31)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자연 영상이나 바코드 등 피사체에 따라서 촬영 수순을 전환한다. 장치가 바코드 촬영 모드로 전환된 경우, 바코드 인식을 행함과 함께, 인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해상도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이용되는 카메라에 의한 바코드 판독에 있어, 바코드 촬영에 적합한 바코드 판독 모드로 자동적으로 이행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촬영 모드로의 전환 시, 코드 인식 처리를 기동할 때까지는 카메라(33)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고속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부(35)에 표시한다. 기동 후에는 코드 인식 처리에 필요한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판독 동작은 연속하여 캡쳐한 화상마다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원활한 동화상을 LCD 표시부(15)에 표시할 수 있어, 코드를 적절한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그러 나, 본 발명은 PDA 등의 휴대 정보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 등, 카메라(내장/외부 부착)를 구비한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판독 대상이 되는 코드는 어떠한 코드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라는 명칭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의 표현이다. 따라서, 통신 단말 장치, 정보 판독 장치나 정보 판독 방법 등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 수단으로서 표시부(15)에의 문자 혹은 아이콘에 의한 메시지 표시, 스피커(14)에 의한 판독 종료음에 의한 통지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통지 방법은 무엇이든 되며, 예를 들면 음성이더라도 된다. 음성으로 통지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에, 음성 데이터 생성 칩, D/A 컨버터, 증폭기 및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음성 출력부를 설치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 생성 칩을 이용하여 판독 완료/판독 실패 등의 취지의 메시지 내용의 음성 합성을 행하여 스피커에 의해 음성 출력한다. 또한, 표시부(15)에 라이트(13)를 점등하는 것이 좋다는 취지의 메시지나 바코드 종별을 변경하여야 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표시 외에 음성 혹은 음향으로서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각 회로부, 예를 들면 기억부나 표시부의 종류, 수 및 접속 방법 등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 설명한 휴대 단말 장치는, 이들 휴대 단말 장치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도 실현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기록 매체는, 도 2에 도시한 제어부(31)의 메 인 메모리 자체이어도 되다. 그 대안으로, 외부 기억 장치로서 CD-ROM 드라이브 등의 프로그램 판독 장치가 설치되고, 거기에 기록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판독 가능한 CD-ROM 등의 프로그램 미디어이어도 된다. 어느 경우라도,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제어부(31)의 CPU가 액세스하여 실행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대안으로 어느 경우도 프로그램을 판독하며, 판독된 프로그램은, 도시하는 않은 프로그램 기억 에리어에 다운로드되어, 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방식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각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미디어는, 휴대 단말 장치 또는 정보 처리 장치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매체로서, 고정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이의 예로서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 CD-R/RW, MO, MD, DVD-ROM, DVD-RAM, DVD-RW 등의 광 디스크의 디스크계, PC 카드, 컴팩트 플래시 카드(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등록상표), IC 카드, SD 카드(등록상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등의 카드 시스템, 혹은 마스크 ROM, EPROM, EEPROM, 플래시 ROM 등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 접속 프로바이더 또는 서버 단말기(400) 등의 외부의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한 통신 접속 수단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도록, 유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매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는, 그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저장해 두거나, 혹은 별도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되는 것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으로서는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이어도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정확하게 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에 카메라 개구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코드 판독의 조작성이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4)

  1.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촬상 화상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수단과,
    피사체에 대하여 조명을 행하는 조명 수단과,
    코드 인식을 개시하기 까지,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 가능한 조명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코드 인식이 개시되고 나서부터 코드 인식이 종료되기까지의 사이는,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과,
    촬상 화상의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수단과,
    피사체에 대하여 조명을 행하는 조명 수단과,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 가능한 조명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코드 인식을 개시하기까지는, 고속의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촬상 화상을 표시가능하고, 코드 인식을 개시하면, 상기 코드 인식 수단에 필요한 프레임 레이트로 상기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한편, 코드 인식을 행하면서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하는 지시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촬영 대상을 코드로 전환하는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명 설정 수단은,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에 의해 촬영 대상을 코드로 전환한 후, 상기 조명 수단을 점등 상태 또는 소등 상태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과 상기 조명 수단이 본체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 수단과 상기 조명 설정 수단이 본체 정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과, 촬상된 화상의 코드 판독 개시를 지시하는 코드 판독 지시 수단이 본체 정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코드 종별에 따라서 상기 촬상 수단에서의 화상 캡쳐 영역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코드 종별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화상 정보의 표시배율의 변경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종별은, 1차원 코드와 2차원 코드의 종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수순 전환 수단은, 촬영 대상을 코드로 전환하면, 계조 특성, 콘트라스트, 밝기, 화이트 밸런스, 노출, 초점 심도, 윤곽 강조, 또는 해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소리, 음성, 또는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메시지 표시에 의해 인식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드 인식이 완료하면, 인식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과,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코드를 인식할 수 없을 때, 인식 실패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의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촬상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5. 제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 수단의 기동 후의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코드 인식 수단의 기동 전의 프레임 레이트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종별은, 1차원 코드와 2차원 코드의 종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소리, 음성, 또는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메시지 표시에 의해 인식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수단은, 소리, 음성, 또는 상기 표시 수단으로의 메시지 표시에 의해 인식 결과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1. 제6항에 있어서,
    코드 인식이 완료하면, 인식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2. 제7항에 있어서,
    코드 인식이 완료하면, 인식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3. 제6항에 있어서,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과,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코드를 인식할 수 없을 때, 인식 실패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설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과,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코드를 인식할 수 없을 때, 인식 실패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60009229A 2002-07-24 2006-01-31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KR100907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4733 2002-07-24
JP2002214733A JP4113387B2 (ja) 2002-07-24 2002-07-24 携帯端末装置並びに情報読取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33A Division KR100722913B1 (ko) 2002-07-24 2003-07-21 휴대 단말 장치, 및 정보 판독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181A KR20060023181A (ko) 2006-03-13
KR100907969B1 true KR100907969B1 (ko) 2009-07-16

Family

ID=301128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33A KR100722913B1 (ko) 2002-07-24 2003-07-21 휴대 단말 장치, 및 정보 판독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60009229A KR100907969B1 (ko) 2002-07-24 2006-01-31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60009230A KR100907970B1 (ko) 2002-07-24 2006-01-31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33A KR100722913B1 (ko) 2002-07-24 2003-07-21 휴대 단말 장치, 및 정보 판독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30A KR100907970B1 (ko) 2002-07-24 2006-01-31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090136B2 (ko)
EP (4) EP1387560B1 (ko)
JP (1) JP4113387B2 (ko)
KR (3) KR100722913B1 (ko)
CN (4) CN100569025C (ko)
DE (1) DE6032090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377B1 (en) 2000-07-18 2003-12-23 Scott C. Harris Bar code data entry device
US6965683B2 (en) * 2000-12-21 2005-11-15 Digimarc Corporation Routing networks for use with watermark systems
US8103877B2 (en) 2000-12-21 2012-01-24 Digimarc Corporation Content identification and electronic tickets, coupons and credits
JP3937322B2 (ja) * 2002-10-04 2007-06-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06222B1 (ko) * 2002-11-11 2005-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인식 장치 및 방법
WO2004082247A1 (ja) * 2003-03-12 2004-09-23 Konica Minolta Opto Inc. 携帯用電子機器
US7507183B2 (en) * 2003-04-07 2009-03-24 Brent Anderson Health club exercise records system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4158032B2 (ja) * 2003-09-08 2008-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および間欠受信と定期的に行う必要のある処理との同期方法
KR100632866B1 (ko) * 2004-02-17 2006-10-16 이노성 바코드를 이용한 카메라폰의 카메라 잠금/해제 방법
WO2005091235A1 (en) * 2004-03-16 2005-09-29 Maximilian Munte Mobile paper record processing system
JP4416550B2 (ja) * 2004-03-29 2010-0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536665A (ja) * 2004-05-04 2007-12-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子装置
JP2005327184A (ja) * 2004-05-17 2005-11-24 Nec Electronics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US7229021B2 (en) 2004-06-07 2007-06-12 Nokia Corporation Indicia reader with synchronized light source and associ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E102004028834A1 (de) * 2004-06-16 2006-01-12 Vodafone Holding Gmbh Dokumentenverwaltung
FI20040858A (fi) * 2004-06-18 2005-12-19 Valtion Teknillinen Menetelmä koodin tunnistamiseksi matkaviestimen avulla ja matkaviestin
US7848578B2 (en) * 2004-09-13 2010-12-07 Nokia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apture and display of visually encoded data and an image
JP2006082422A (ja) * 2004-09-16 2006-03-30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条件設定プログラム
US7774705B2 (en) * 2004-09-28 2010-08-10 Ricoh Company, Ltd. Interactive design process for creating stand-alone visual representations for media objects
US8549400B2 (en) * 2004-09-28 2013-10-01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encoding media objects to a static visual representation
US7725825B2 (en) 2004-09-28 2010-05-25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decoding and reconstructing media objects from a still visual representation
KR100678169B1 (ko) * 2004-10-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이격된 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7433711B2 (en) * 2004-12-27 2008-10-07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101085450B1 (ko) * 2005-02-07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그 제조방법
JP2006244071A (ja) * 2005-03-02 2006-09-14 Toshiba Corp 情報提供方法、ポータルサイ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8699A (ja) * 2005-03-25 2006-10-05 Casio Comput Co Ltd コード読取装置
WO2006104198A1 (ja) * 2005-03-29 2006-10-05 Mediastick, Inc. 画像コードの電子的表示方法
CN100353370C (zh) * 2005-04-13 2007-12-05 摩托罗拉公司 对条形码图像解码的方法和系统
JP2006303651A (ja) * 2005-04-15 2006-11-02 Nokia Corp 電子装置
CN101243677A (zh) * 2005-08-17 2008-08-13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电话机以及其中使用的控制方法、控制程序及外装面板
JP4569441B2 (ja) * 2005-10-26 2010-10-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ード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46127B2 (ja) * 2006-04-04 2011-08-10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ードに保存された情報をデコードする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FR2885473B1 (fr) * 2006-04-21 2008-02-15 Ganay Fabien De Procedes d'enregistrement d'un message vocal
CN101059788B (zh) * 2006-04-21 2011-07-20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以连续性机械可读码为基础的资料交换方法及系统
EP1860822B1 (en) 2006-05-23 2017-06-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reating groups of communications devices
US7775437B2 (en) * 2006-06-01 2010-08-17 Evryx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linkable objects
DE102006050409A1 (de) * 2006-06-02 2007-12-06 Gavitec Ag System und Verfahren zum Bild- und Datenupload mit mobilem Endgerät
US7798408B2 (en) * 2006-07-10 2010-09-21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imager
WO2008026020A1 (en) * 2006-09-01 2008-03-06 Fellgate Limited A blister pack
WO2008037094A1 (de) 2006-09-29 2008-04-03 Abb Research Ltd Automatisches geräteregistrierungssystem mit barcode-erkennung und wartungs informationsgenerierung
US9411431B2 (en) * 2006-12-29 2016-08-09 Marvell World Trade Ltd. Tracking a position in relation to a surface
US8226194B1 (en) 2007-01-02 2012-07-24 Marvell International Ltd. Printing on planar or non-planar print surface with handheld printing device
US8077343B1 (en) 2007-01-03 2011-12-13 Marvell International Ltd. Determining end of print job in handheld image translation device
US8632266B1 (en) 2007-01-03 2014-01-21 Marvell International Ltd. Printer for a mobile device
US7949370B1 (en) 2007-01-03 2011-05-24 Marvell International Ltd. Scanner for a mobile device
US8472066B1 (en) 2007-01-11 2013-06-25 Marvell International Ltd. Usage maps in image deposition devices
US8342627B1 (en) 2007-01-11 2013-0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Adaptive filtering scheme in handheld positioning device
US8396654B1 (en) 2007-01-18 2013-03-12 Marvell International Ltd. Sensor positioning in handheld image translation device
GB2446424A (en) * 2007-02-07 2008-08-13 Peachinc Ltd Two dimensional bar code with locating symbols
US8223384B1 (en) 2007-02-23 2012-07-17 Marvell International Ltd. Defining a print image in memory for handheld image translation devices
US8240801B2 (en) * 2007-02-23 2012-08-14 Marvell World Trade Ltd. Determining positioning of a handheld image translation device
US8351062B2 (en) * 2007-02-26 2013-01-08 Marvell World Trade Ltd. Bit selection from print image in memory of handheld image translation device
US8107108B1 (en) * 2007-02-28 2012-01-31 Marvell International Ltd. Providing user feedback in handheld device
JP5223122B2 (ja) * 2007-03-02 2013-06-26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画像の動的なディザリング
CN101675655B (zh) * 2007-03-02 2013-06-05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手持式打印机的位置校正
US8096713B1 (en) 2007-03-02 2012-01-17 Marvell International Ltd. Managing project information with a hand-propelled device
US9180686B1 (en) 2007-04-05 2015-11-10 Marvell International Ltd. Image translation device providing navigational data feedback to communication device
US20080302872A1 (en) * 2007-06-08 2008-12-11 Timothy Scott Tate Discount card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8496177B2 (en) 2007-06-28 2013-07-30 Hand Held Products, Inc. Bar code reading terminal with video capturing mode
KR100759996B1 (ko) * 2007-07-09 2007-09-19 아이애니비 주식회사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어학용 학습기
EP2073515A1 (en) 2007-12-21 2009-06-24 Koninklijke KPN N.V. Identification of proximate mobile devices
CN101816170B (zh) 2007-07-20 2015-04-15 荷兰应用自然科学研究组织Tno 邻近移动设备的识别
US9555645B1 (en) 2007-08-07 2017-01-31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ling a plurality of nozzles of a handheld printer
US8548420B2 (en) * 2007-10-05 2013-10-01 Hand Held Products, Inc. Panic button for data collection device
US8646683B2 (en) * 2007-10-31 2014-02-11 Koplar Interactive Systems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notification
JP4436872B2 (ja) * 2008-01-24 2010-03-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ータコード読み取り装置
US8141780B2 (en) 2008-02-23 2012-03-27 Cedar Ridge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data card emulation
KR101648339B1 (ko) * 2009-09-24 2016-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인식 및 센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1877046B (zh) * 2009-11-25 2012-07-04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图像传感器件以及识别可视标识的方法
EP2345352A1 (en) 2010-01-19 2011-07-20 Nestec S.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from 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ing a code
CN101847154A (zh) * 2010-02-26 2010-09-2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查询信息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查询信息的方法
US8282005B2 (en) * 2010-06-18 2012-10-09 Hand Held Products, Inc. Portable data terminal with integrated flashlight
US8760563B2 (en) 2010-10-19 2014-06-24 Hand Held Products, Inc. Autofocusing optical imaging device
US9792612B2 (en) 2010-11-23 2017-10-17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user support of electronic devices using dynamic matrix code generation
US9329966B2 (en) 2010-11-23 2016-05-03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user support of electronic devices using matrix codes
US8386339B2 (en) 2010-11-23 2013-02-26 Echostar Technologies L.L.C. Ordering via dynamic matrix code generation
WO2012071377A1 (en) 2010-11-24 2012-05-31 Echostar Technologies L.L.C. Tracking user interaction from a receiving device
US8439257B2 (en) 2010-12-01 2013-05-14 Echostar Technologies L.L.C. User control of the display of matrix codes
US9280515B2 (en) 2010-12-03 2016-03-08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vision of alternate content in response to QR code
US8886172B2 (en) 2010-12-06 2014-11-11 Echostar Technologies L.L.C.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matrix code
US20120151293A1 (en) * 2010-12-09 2012-06-14 Echostar Technologies L.L.C. Sequenced Two-Dimensional Codes in Video
US8875173B2 (en) 2010-12-10 2014-10-28 Echostar Technologies L.L.C. Mining of advertisement viewer information using matrix code
US9596500B2 (en) 2010-12-17 2017-03-14 Echostar Technologies L.L.C.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US8640956B2 (en) 2010-12-17 2014-02-04 Echostar Technologies L.L.C. Accessing content via a matrix code
US9148686B2 (en) 2010-12-20 2015-09-29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based user interface
US8856853B2 (en) 2010-12-29 2014-10-07 Echostar Technologies L.L.C.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US8408466B2 (en) 2011-01-04 2013-04-02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ing matrix code capture by signaling matrix code readers
US8292166B2 (en) 2011-01-07 2012-10-23 Echostar Technologies L.L.C. Performing social networking functions using matrix codes
US8534540B2 (en) 2011-01-14 2013-09-17 Echostar Technologies L.L.C. 3-D matrix barcode presentation
US8692927B2 (en) * 2011-01-19 2014-04-08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terminal having focus control
US8866114B2 (en) * 2011-01-20 2014-10-21 Mitutoyo Corporation Vision measuring device
US8786410B2 (en) 2011-01-20 2014-07-22 Echostar Technologies L.L.C. Configuring remote control devices utilizing matrix codes
US8553146B2 (en) 2011-01-26 2013-10-08 Echostar Technologies L.L.C. Visually imperceptible matrix codes utilizing interlacing
US8468610B2 (en) 2011-01-27 2013-06-18 Echostar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fraudulent use of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matrix codes
US8430302B2 (en) 2011-02-03 2013-04-30 Echostar Technologies L.L.C. Enabling interactive activities for content utilizing matrix codes
US9571888B2 (en) 2011-02-15 2017-02-14 Echostar Technologies L.L.C. Selection graphics overlay of matrix code
US8511540B2 (en) 2011-02-18 2013-08-20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 for use in verification of data card swap
US8931031B2 (en) 2011-02-24 2015-01-06 Echostar Technologies L.L.C. Matrix code-based accessibility
US9367669B2 (en) 2011-02-25 2016-06-14 Echostar Technologies L.L.C. Content source identification using matrix barcode
US8443407B2 (en) 2011-02-28 2013-05-14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placeshifting using matrix code
US8833640B2 (en) 2011-02-28 2014-09-16 Echostar Technologies L.L.C. Utilizing matrix codes during installation of components of a distribution system
US8550334B2 (en) 2011-02-28 2013-10-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nching one or more matrix codes to content related to a multimedia presentation
US9736469B2 (en) 2011-02-28 2017-08-15 Echostar Technologies L.L.C. Set top box health and configuration
ES2366226B1 (es) * 2011-04-15 2012-10-09 Asociación Industrial de Óptica, Color e Imagen Dispositivo de lectura mediante un dispositivo móvil.
KR20120122671A (ko) 2011-04-29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EP2525281B1 (en) 2011-05-20 2019-01-02 EchoStar Technologies L.L.C. Improved progress bar
JP5422619B2 (ja) * 2011-08-26 2014-02-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読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840012B2 (en) 2011-11-22 2014-09-23 Hugo J. Soares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sharing scheduling data
JP5557873B2 (ja) * 2012-05-15 2014-07-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66953B2 (en) 2013-03-20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052130B (zh) * 2013-03-20 2018-08-31 Lg电子株式会社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279730B (zh) 2013-06-05 2016-09-2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处理可视化图形编码的方法和装置
CN103366149B (zh) * 2013-06-05 2017-05-31 北京奇付通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处理可视化图形编码的方法和装置
CN103418126A (zh) * 2013-08-13 2013-12-04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健身信息分析装置及系统
CN103810456A (zh) * 2014-02-25 2014-05-21 苏州德沃智能系统有限公司 可调节二维码扫描枪
JP2015169952A (ja) * 2014-03-04 2015-09-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CN103996063A (zh) * 2014-06-12 2014-08-20 北京金山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6310366B2 (ja) * 2014-08-26 2018-04-1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情報読取装置
JP6356552B2 (ja) * 2014-09-16 2018-07-11 東芝メモリ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EP3031750A1 (de) * 2014-12-11 2016-06-15 Qbo Coffee GmbH Getränkekapsel,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m Identifzieren einer Getränkekapsel
EP3031749A1 (de) * 2014-12-11 2016-06-15 Qbo Coffee GmbH Getränkekapsel,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r Getränkekapsel
EP3031748A1 (de) * 2014-12-11 2016-06-15 Qbo Coffee GmbH Getränkekapsel,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r Getränkekapsel
AU2016257636B2 (en) * 2015-05-07 2020-07-30 Smart Wave Technologies, Inc. Signal and detection system for pairing products
DE102015211116A1 (de) * 2015-06-17 2016-1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Sitzbelüftungseinrichtung, Sitzbelüftungseinrichtung
JP2017169479A (ja) * 2016-03-23 2017-09-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観察装置、測定システム及び培養容器
CN106228518B (zh) 2016-07-18 2018-04-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读性增强方法及装置
CN109478225A (zh) * 2016-08-09 2019-03-15 株式会社明日星 读取装置、程序以及单元
US10372954B2 (en) * 2016-08-16 2019-08-06 Hand Held Products, Inc. Method for reading indicia off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CN107273779A (zh) * 2017-06-12 2017-10-20 广州川鸿电子有限公司 一种条码图像识别方法、系统及装置
WO2019047028A1 (zh) * 2017-09-05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08833786B (zh) * 2018-06-29 2022-04-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模式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10740253B (zh) * 2019-04-01 2020-11-10 徐成晓 拍摄模式自适应切换方法
US11531826B2 (en) * 2019-11-01 2022-12-2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choice of barcode scanning range
US11295104B2 (en) 2020-06-10 2022-04-05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read barcodes on reflective surfaces
CN111935439B (zh) * 2020-08-12 2022-05-0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22172603A (ja) * 2021-05-06 2022-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167A (en) * 1994-04-05 1997-08-19 Metanetics Corporation Visually interactive decoding of dataforms
US6177683B1 (en) * 1998-11-25 2001-01-23 C2It, Inc. Portable viewer for invisible bar codes
JP2001209754A (ja) * 2001-01-22 2001-08-03 Olympus Optical Co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081A (en) * 1989-06-16 1995-04-18 Symbol Technologies, Inc. Digital circuit for a laser scanner using a first derivative signal and a comparison signal
US5378883A (en) * 1991-07-19 1995-01-03 Omniplanar Inc. Omnidirectional wide range hand held bar code reader
US5902988A (en) * 1992-03-12 1999-05-11 Norand Corporation Reader for decoding two-dimensional optically readable information
US5821523A (en) * 1992-03-12 1998-10-13 Bunte; Alan G. Combined code reader and digital camera using a common photodetector
JPH06139398A (ja) 1992-10-26 1994-05-20 Tokyo Electric Co Ltd 2次元コードスキャナ
US5654533A (en) 1992-10-26 1997-08-05 Kabushiki Kaisha Tec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two-dimensional symbols
JP3238507B2 (ja) * 1992-12-21 2001-12-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特殊記号読み取り装置
US5923735A (en) * 1996-05-29 1999-07-13 Symbol Technologies, Inc. Self-service checkout system utilizing portable self-checkout communications terminal
JPH0793459A (ja) * 1993-09-28 1995-04-07 Tec Corp 2次元コードスキャナ
GB2282906B (en) * 1993-10-13 1996-11-06 Dataquill Ltd Data enty systems
JPH07131746A (ja) * 1993-10-29 1995-05-19 Canon Inc 電子カメラ
US5825006A (en) * 1994-03-04 1998-10-20 Welch Allyn, Inc. Optical reader having improved autodiscrimination features
US5598007A (en) * 1994-03-21 1997-01-28 Intermec Corporation Symbology reader with fixed focus spotter beam
US5780831A (en) * 1995-07-12 1998-07-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data symbol reader
GB9600804D0 (en) * 1996-01-17 1996-03-20 Robb Garry D Multiphone
JPH09259215A (ja) 1996-03-26 1997-10-03 Tec Corp コードリーダ
JP3272600B2 (ja) * 1996-05-17 2002-04-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データシンボル読み取り装置
JP3758266B2 (ja) 1997-01-08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ード読取装置
US5992744A (en) * 1997-02-18 1999-11-30 Welch Allyn, Inc. Optical reader having multiple scanning assemblies with simultaneously decoded outputs
US6561428B2 (en) * 1997-10-17 2003-05-13 Hand Held Products, Inc. Imaging device having indicia-controlled image parsing mode
JPH11195082A (ja) * 1997-10-27 1999-07-21 Denso Corp 光学情報読取装置
JP2000041088A (ja) 1998-07-23 2000-02-08 Sharp Corp 受話器
JP2000250698A (ja) 1999-03-03 2000-09-14 Denso Corp 電話機能付き光学情報読取装置
JP2000322602A (ja) 1999-05-12 2000-11-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DE19934507A1 (de) * 1999-07-22 2001-02-08 Siemens Ag Mobiles Bildtelefon
EP1081943A1 (en) * 1999-08-31 2001-03-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transceiver camera
US6688525B1 (en) * 1999-09-22 2004-02-10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a coded pattern
JP2001119617A (ja) 1999-10-19 2001-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1197186A (ja) 2000-01-12 2001-07-19 Yasuhiro Tsuji 電話機の自動認識システムによる発信接続システム
WO2001057811A1 (en) * 2000-02-02 2001-08-09 Image Reaction Limited Data handling
WO2001067326A1 (fr) 2000-03-09 2001-09-13 Kitagawa, Yoshiko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equipe d'un lecteur de donnees optiques, serveurs et procede de commerce electronique
JP2002048586A (ja) 2000-07-31 2002-02-15 Takatsugu Kitagawa ナビゲーション方法、携帯情報機器、ナビゲーション用サーバ、及び光学的データ解析用サーバ
CA2342095A1 (en) * 2000-03-27 2001-09-27 Symagery Microsystems Inc.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accessory
JP2001326847A (ja) * 2000-05-16 2001-11-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
DE10030403B4 (de) * 2000-06-21 2011-03-03 Ipcom Gmbh & Co. Kg Telekommunikationsendgerät mit einer Kamera
DE10030507C2 (de) 2000-06-28 2003-04-24 Karlsruhe Forschzent Manipulator für interventionelle und operative Eingriffe unter CT/MRT-Kontrolle
JP2002027047A (ja) * 2000-07-10 2002-01-25 Ribaaberu:Kk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3888049B2 (ja) 2000-09-28 2007-02-28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供サービス
JP4021645B2 (ja) 2000-11-17 2007-1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乳剤
US6685093B2 (en) * 2001-09-25 2004-02-03 Ecr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a bar code reader
JP2002176509A (ja) 2000-12-06 2002-06-21 Tohoku Ricoh Co Ltd 携帯型情報読取装置
US6749120B2 (en) * 2000-12-11 2004-06-15 Cpo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electronic barcodes
CN1166994C (zh) * 2001-01-11 2004-09-15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的影像拾取装置
JP4648551B2 (ja) * 2001-02-15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660013B2 (ja) * 2001-05-23 2011-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装置、画像記録媒体、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100446233B1 (ko) * 2001-07-05 2004-08-30 (주)우주커넥션스 바코드 및 이차원 코드 판독 장치
US6834807B2 (en) * 2001-07-13 2004-12-28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reader having a color imager
DE20112270U1 (de) * 2001-07-25 2001-10-11 Siemens Ag Mobiltelefon mit eingebauter Videokamera
US6854652B2 (en) * 2002-03-28 2005-02-1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Barcode displaying method and barcode displaying program product
JP4278918B2 (ja) * 2002-04-19 2009-06-17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方法
US6854651B2 (en) * 2002-07-01 2005-02-15 Wildseed Ltd. Non-persistently displayed bar code based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JP4202101B2 (ja) * 2002-10-10 2008-12-24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認識方法、および認識用デコード処理装置
CN1968169B (zh) * 2005-08-26 2012-11-14 手持产品公司 具有与多个无线网络的动态接入的数据收集设备和数据收集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167A (en) * 1994-04-05 1997-08-19 Metanetics Corporation Visually interactive decoding of dataforms
US6177683B1 (en) * 1998-11-25 2001-01-23 C2It, Inc. Portable viewer for invisible bar codes
JP2001209754A (ja) * 2001-01-22 2001-08-03 Olympus Optical Co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6814A1 (en) 2004-01-29
JP4113387B2 (ja) 2008-07-09
CN101686281A (zh) 2010-03-31
EP1677512B1 (en) 2011-09-21
EP1677512A3 (en) 2008-10-08
US20050258251A1 (en) 2005-11-24
KR100722913B1 (ko) 2007-05-30
CN1819679B (zh) 2012-06-20
US7424976B2 (en) 2008-09-16
JP2004056696A (ja) 2004-02-19
DE60320904D1 (de) 2008-06-26
CN1819679A (zh) 2006-08-16
EP1387560A2 (en) 2004-02-04
EP1677511A2 (en) 2006-07-05
EP1387560B1 (en) 2008-05-14
CN100569025C (zh) 2009-12-09
KR20060023181A (ko) 2006-03-13
KR20040010275A (ko) 2004-01-31
EP1677511A3 (en) 2011-07-06
KR100907970B1 (ko) 2009-07-16
US7090136B2 (en) 2006-08-15
KR20060022716A (ko) 2006-03-10
US7410100B2 (en) 2008-08-12
CN1474621A (zh) 2004-02-11
EP1677512A2 (en) 2006-07-05
EP2204978A1 (en) 2010-07-07
CN1822693B (zh) 2012-06-20
CN101686281B (zh) 2014-09-10
CN1822693A (zh) 2006-08-23
US20050258253A1 (en) 2005-11-24
EP1387560A3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69B1 (ko) 휴대 단말 장치, 정보 판독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 매체
US7668792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a display and focused-state determination means
US20060044452A1 (en) Focus state display
JP4113565B2 (ja) 携帯電話機
JP4382831B2 (ja) 携帯電話機
JP3717919B2 (ja) 携帯電話機
JP4054843B2 (ja) 携帯電話機
JP3665328B2 (ja) 携帯電話機
JP3717920B2 (ja) 携帯電話機
JP2004126942A (ja) 携帯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印刷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