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244B1 -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244B1
KR100904244B1 KR1020027016501A KR20027016501A KR100904244B1 KR 100904244 B1 KR100904244 B1 KR 100904244B1 KR 1020027016501 A KR1020027016501 A KR 1020027016501A KR 20027016501 A KR20027016501 A KR 20027016501A KR 100904244 B1 KR100904244 B1 KR 10090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roller
recording medium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9510A (ko
Inventor
스즈키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0750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03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421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0307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되는 디스크 장착부와,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삽탈하는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이송하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挾持) 가능한 한 쌍의 이송 롤러와, 이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1 이송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2 이송 롤러를 고정하는 동시에, 구동 수단으로 제1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轉動)시킴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되는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이송한다.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직경 방향 외주 에지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이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크 이송 시에 신호 기록면에 접촉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이물이 신호 기록면에 눌리거나, 이물에 의해 신호 기록면이 손상되지 않아, 정보 신호의 판독이나 기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27016501
광 디스크, 디스크 장착부, 이송 롤러, 디스크 출입구, 정보 신호.

Description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광 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되는 디스크 장착부와, 이 디스크 기록 매체를 삽탈(揷脫)하는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이송하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출입되는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로딩 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CD(콤팩트 디스크)나 CD-ROM(리드 온리 메모리) 등의 광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OD: 옵티컬 마그네틱 디스크) 등으로 불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실행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회전 기구와, 이 디스크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판독을 실행하는 광학 픽업 장치와, 이들의 기구나 장치가 수납되는 메인 섀시의 턴테이블에 의한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디스크 이송 기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998)-3405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개략 구성을 본 출원의 도 53으로서 나타낸다. 도 53에서, 부호 (1)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의 하우징(2) 프런트면에는 가로로 긴 슬릿 형상으로 개구된 디스크 출입구(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스크 출입구(2a)로부터 출입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광학 디스크 D를 통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에 의해 정보의 기록이나 재생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에 광 디스크 D를 출입하기 위해, 하우징(2)의 디스크 출입구(2a) 내측에는 디스크 이송 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이송 기구(4)는 광 디스크 D에 삽입력과 배출력을 부여하는 이송 롤러(5)와, 이 이송 롤러(5)의 상방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부재(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 롤러(5)는 합성 고무 등의 비교적 마찰 계수가 큰 재료에 의해 중앙부가 묶인 북 형상의 롤러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부재(6)는 광 디스크 D를 턴테이블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적 역할을 하는 것이며, 합성 수지 등 마찰 계수가 적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의 이송 롤러(5)와 대향하는 면에는 이송 롤러(5)의 외주면에 대향한 원호형의 홈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6)의 홈부(6a)가 형성된 면은 길이 방향의 중도부를 움푹 들어가게 한 원호형의 가이드면(6b)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 롤러(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 항상 가이드 부재(6)측에 힘이 가해져 있다. 이 이송 롤러(5)와 가이드 부재(6) 사이에 광 디스크 D가 삽입되고, 이들로 상하로부터 끼워진 광 디스크 D가 이송 롤러(5)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하우징(2) 내의 디스크 장착부나, 또는 하우징(2) 밖의 디스크 출입구(2a)로 이송된다.
이 경우, 광 디스크 D가 하우징(2)의 디스크 출입구(2a)로부터 삽입되면, 이송 롤러(5)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광 디스크 D를 끼워 넣는다. 이 때, 이송 롤러(5)와 가이드 부재(6)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중앙부가 넓고 또한 양단으로 옮겨지는 데 따라 서서히 폭이 좁아진 술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송 롤러(5) 및 가이드 부재(6)에는 항상 광 디스크 D의 상하면 각 외주 에지가 접촉하고, 이 접촉부의 마찰력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이송된다. 그리고, 광 디스크 D의 센터 구멍 d가 턴테이블의 중심부와 일치되면, 도시하지 않은 처킹 암이 하강하여 처킹 부재가 중첩된다. 이 때, 이송 롤러(5)는 가이드 부재(6)로부터 떨어져 하강된다.
한편,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광 디스크 D의 배출 조작을 선택하면, 이송 롤러(5)가 상승하여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 가이드 부재(6)에 힘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 D가 이송 롤러(5)와 가이드 부재(6)로 상하로부터 끼워지는 동시에, 턴테이블에 대한 광 디스크 D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그 결과, 이송 롤러(5)의 회전력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출입구(2a)측으로 이송되어,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중앙부가 묶인 북 형상의 이송 롤러(5)가 합성 고무 등 비교적 마찰 계수가 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이송 롤러(5)를 가이드 부재(6)에 탄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롤러(5)의 표면이 탄성 변형되어 원통 형상의 평면 형상으로 변화되어 버려, 그 평면이 광 디스크 D의 신호 기록면에 누름 접촉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신호 기록면에 미세한 이물(먼지 등)이 부착된 상태에서 광 디스크 D가 삽입되면, 이송 롤러에 의해 이물이 신호 기록면에 눌리거나, 끌리거나 하게 되어, 신호 기록면에 손상이 생긴다. 그 결과, 광 디스크 D의 신호 기록면이 손상되면, 겉보기에도 큰 손상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의 판독이나 새로운 정보 신호를 기록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광 디스크 D가 출입되는 디스크 출입구(2a)가 개구된 채로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먼지가 하우징(2) 내로 들어가기 쉬웠다.
또한, 디스크 이송 기구(4)가 이송 롤러(5)와 가이드 부재(6)를 가지고, 이들에 광 디스크 D를 끼워 넣는 동시에 이송 롤러(5)의 회전력으로 광 디스크 D를 원반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히 큰 힘으로 광 디스크 D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지만, 이송 공정의 중간부를 지나가는 근처로부터 광 디스크 D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광 디스크 D를 배출할 때에,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이송 기구(4)로부터 떨어져, 광 디스크 D가 자중(自重)에 의해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자유 낙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출입 시에, 디스크 이송 기구측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면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하는 일이 없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에만 접촉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크 출입구를 닫아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출입될 때의 저항력을 변화시켜, 삽입 시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한편, 배출 시에는 디스크 출입구의 중도부까지 나간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挾持) 가능한 한 쌍의 이송 롤러와,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1 이송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2 이송 롤러를 고정하는 동시에, 구동 수단으로 제1 이송 롤러를 회전시켜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전동(轉動)시킴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되는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삽탈하는 디스크 출입구 사이에 이송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송 롤러와,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1 이송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 일부가 지지 가능하며 한 쌍의 이송 롤러와 협동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이송 가능한 지지 레버를 설치하고,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2 이송 롤러를 고정하는 동시에, 구동 수단으로 제1 이송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전동시켜 이송하는 데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 레버로 가압하여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출입하는 디스크 출입구가 설치된 하우징과, 디스크 출입구를 덮도록 하우징에 장착되는 게이트 부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출입구에 통과시키는 디스크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게이트 부재에는 디스크 출입구를 폐쇄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통과되는 절단면을 가지는 게이트 커버와, 절단면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통과할 때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평면에 접촉하는 절단면 둘레 에지부의 저항력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따라 변경시키는 저항력 변경 수단을 설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메인 섀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정면도, 이 도면 (B)는 평면도, 이 도면 (C) 및 (D)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배면도, 이 도면 (E)는 이 도면 (A)의 W-W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에 광 디스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게이트 부재에 광학 디스크가 통과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통과 전후의 설명도, 이 도 면 (B)는 로딩 시의 설명도, 이 도면 (C)는 언로딩 시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개폐 셔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처킹 암 및 지지 레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조립체 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되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구동측 롤러 조립체 및 고정측 롤러 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구동측 롤러 조립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평면도, 이 도면 (B)는 정면도, 이 도면 (C)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 (A)에 나타내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의 T-T선 부분을 단면한 확대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고정측 롤러 조립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평면도, 이 도면 (B)는 정면도, 이 도면 (C)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나타내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에 적용되는 구동 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나타내는 고정측 롤러 조립체에 적용되는 고정 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사시도, 이 도면 (B)는 중앙부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나타내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에 적용되는 구동 롤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사시도, 이 도면 (B)는 중앙부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캠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척 구동 조립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척 부재를 단면한 확대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이 상이한 2 종류의 광 디스크를 장착하여 제1 검출 스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이 상이한 2 종류의 광 디스크를 장착하여 제2 , 제3 및 제4 검출 스위치와 구동측 롤러 조립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광 디스크를 장착하여 제5 , 제6 , 제7 및 제8 검출 스위치와 캠 플레이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 다.
도 29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디스크 출입구에 광 디스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29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1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의 로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3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 다.
도 35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수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6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5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7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디스크 출입구에 광 디스크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0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39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2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41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3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의 로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4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43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5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수납부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6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45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7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8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도 47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며, 이 도면 (A)는 캠 플레이트 및 턴테이블 등을 정면측에서 본 설명도, 이 도면 (B)는 개폐 셔터, 처킹 암 및 캠 플레이트 등을 측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9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8㎝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및 2개의 구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및 2개의 구동 모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타이밍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수납된 하우징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수납된 하우징으로부터 광 디스크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3은 종래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11: 메인 섀시, 12: 게이트 부재, 13: 개폐 셔터, 14: 처킹 암, 15: 지지 레버, 16: 조립체 홀더, 17: 픽업ㆍ테이블 조립체, 18: 캠 플레이트, 20: 구동측 롤러 조립체, 21: 고정측 롤러 조립체, 22: 척 구동 조립체, 23: 디스크 수납부, 30: 디스크 출입구, 31: 와이퍼 부재, 40: 처킹 부재, 42: 척 플레이트, 58: 스핀들 모터, 60: 턴테이블, 61: 광학 픽업 장치(픽업 장치), 84, 101: 구동 모터, 85a, 85b, 130: 구동 롤러(제1 이송 롤러), 86, 102: 기어 기구, 95a, 95b, 135: 고정 롤러(제2 이송 롤러), 92c, 132, 137, 141: 완충체, 130: 게이트 홀더, 131: 게이트 마스크, 132: 게이트판, 138: 게이트 커버, SW1, SW2, SW3, SW4, SW5, SW6, SW7, SW8: 검출 스위치, D: 광학 디스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정보의 재생뿐만 아니라 기록도 가능하게 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디스크의 기록 및 재생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직경 12㎝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직경 8㎝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한번의 기록이 가능한 CD-R(Write 0nce)나 DVD-R, 비디오 CD-R 등의 광 디스크, 및 몇번이라도 기록이 가능한 CD-RW(ReWritable)이나 DVD-RW, 비디오 CD-RW 등의 광 디스크는 물론이고, 재생 전용 CD나 CD-ROM 등의 광 디스크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상면 및 하면에 개구된 베이스 부재를 이루는 메인 섀시(11)와, 이 메인 섀시(11)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게이트 부재(12),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지지 레버(15), 조립체 홀더(16),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 캠 플레이트(18), 구동측 롤러 조립체(20), 고정측 롤러 조립체(21) 및 척 구동 조립체(2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메인 섀시(11)는 도 6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4각형으로 형성된 평면부(11a)와, 이 평면부(11a)의 4변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정면부(11b), 배면부(11c) 및 좌우의 측면부(11d, 11e)를 가지며, 전체로서 직방체을 이루는 바닥 형상의 상자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만은 평면부(11a)의 하면측만 둘러싸도록 하방으로만 돌출되어 있지만, 배면부(11c) 및 좌우의 측면부(11d, 11e)는 모두 평면부(11a)의 하면측뿐만 아니라 상면측도 둘러싸도록 상방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이 정면부(11b)와 배면부(11c)를 잇는 전후 방향 X가 광 디스크 D가 출입되는 삽탈 방향이다.
메인 섀시의 좌우 측면부(11d, 11e)의 앞쪽 및 배면부(11c)의 대략 중앙에는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부(11f)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다리부(11f)는 삽입 통과 구멍(11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 통과 구멍(11g)에 삽입 통과되는 장착 나사에 의해 메인 섀시(11)는 후술하는 하우징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대략 중앙부에는 대경 디스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직경 12㎝의 광 디스크 D12를 수납할 수 있는 디스크 수납부(23)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소경 디스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직경 8㎝의 광 디스크 D8는 당연히 수납할 수 있다. 이 디스크 수납부(23)의 측부로부터 후부에 걸치는 부분에는 이것을 반원형으로 둘러싸도록 칸막이벽(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부에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이 하방으로부터 출입되는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5)는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부로부터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속되고 또한 칸막이벽(24)도 관통해 배면부(11c)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광학 픽업 장치의 광학 헤드가, 턴테이블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광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대면하여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앞쪽에는 전후 방향 X와 직교하는 좌우 방향 Y로 연장된 4개의 롤러용 관통 구멍(26a, 26b, 26c 및 26d)과, 동일하게 좌우 방향 Y로 연장된 4개의 가이드용 긴 구멍(27a, 27b, 27c 및 27d)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관통 구멍(26a∼26d)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고, 제1 및 제3 관통 구멍(26a 및 26c)은 평면부(11a)의 앞쪽 양 코너부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 구멍(26a, 26c)과 전후 방향 X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머지 2개의 제2 및 제4 관통 구멍(26b 및 26d)이 각각 전후 방향 X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4개의 긴 구멍(27a∼27d)도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고, 제1 긴 구멍(27a) 은 제1 관통 구멍(26a)과 제2 관통 구멍(26b) 사이에 설정되고, 제3 긴 구멍(27c)은 제1 관통 구멍(26a)과 제3 관통 구멍(26c)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4 긴 구멍(27d)은 제3 관통 구멍(26c)과 제4 관통 구멍(26d) 사이에 설정되고, 제2 긴 구멍(27b)은 제3 긴 구멍(27c)과 제4 긴 구멍(27d) 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이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에서의 좌우 방향 Y의 대략 중앙부에는 광 디스크 D를 쥐기 쉽게 하기 위해 V자 형상으로 움푹 들어가게 한 파지용(把持用)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용 오목부(28)의 하부에는 정면부(11b)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면부(11b)의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중앙측을 움푹 들어가게 하여 좌우 방향 Y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V자 형상의 제2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가이드부(29)는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U자 형상의 곡면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정면부(11b)의 상부에는, 게이트 부재(12)가 고정 나사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게이트 부재(1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홀더(130)와 게이트 마스크(131)로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 홀더(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 상부를 포함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출입구(30)를 덮을 수 있는 가로로 긴 장방형 판체(板體)로 이루어지는 게이트판(132)과, 이 게이트판(13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고정 암(133, 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게이트판(132)은 메인 섀시(11) 정면부(11b)의 파지용 오목부(28)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의 중도부가 V자 형상으로 절곡(折曲)되어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판(132)에는, 가로로 길게 개구된 홀더 개구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개구부(134)는 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동시에, 중앙부의 폭이 양단부의 폭보다도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 개구부(134)의 상측 에지부는, 중앙부에서 상방에의 절삭 깊이를 크게 한 역(逆)V자 형상의 경사면으로서 형성되며, 또 하측 에지부는 중앙부에서 하방에의 절삭 깊이를 크게 한 V자 형상의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출입구(30)의 형상은 전술한 V자 형상 경사면과 역V자 형상 경사면과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U자 형상의 원호면으로서 형성할 구 있고, U자 형상의 원호면을 대향시켜, 전체로서 통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게이트 부재(12)의 게이트판(132) 전면에는 상부를 제외한 하부 및 좌우 양 측부에 연속하는 돌출 프레임(1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판(132)의 전면에는 홀더 개구부(134)를 둘러싸도록 다수의 코킹용 돌기(135)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부재(12)의 각 고정 암(133)의 내면에는 보강용 리브(13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강용 리브(133a)의 선단부에는 삽입 통과 구멍(133b)이 형성되고, 또, 기부(基部)에는 위치 결정 구멍(133c)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보강용 리브(133a, 133a)는 게이트판(132)의 후면에 보강용으로 형성된 가로 리브(132b)에 의해 연통되고 있다. 그리고, 각 삽입 통과 구멍(133b) 및 위치 결정 구멍(133c)에 대응시켜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을 상단부에 개구시킨 지지 볼록부(11h)와, 위치 결정 핀(11i)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11i)에 위치 결정 구멍(133c)과 끼워 맞추게 하는 동시에, 지지 볼록부(11h)에 위치 맞춤된 삽입 통과 구멍(133b)에 고정 나사(34a)를 삽입 통과하여 단단히 조임으로써, 게이트 부재(12)가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 상부에 장착된다. 게이트 부재(1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수지)가 가장 적합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스테인리스강 그 밖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게이트 부재(12)의 게이트판(132) 전면(前面)에, 홀더 개구부(134)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절단면부착 게이트 마스크(131)가 배치되고,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도 9 (A)∼(E)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마스크(131)는 게이트판(132)의 돌출 프레임(132a) 내에 수납되는 필름 형상의 프레임(136)과, 외관 형상이 프레임(136)과 동일하며 프레임(136)의 일면에 고착 수단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양면 테이프(137)(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에 의해 고정되는 게이트 커버(138)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30)에는 홀더 개구부(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마스크 개구부(14O)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36) 및 게이트 커버(138)에는 게이트판(132)의 다수의 코킹용 돌기(135)가 각각 끼워 맞춰지는 다수의 끼워맞춤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끼워맞춤 구멍(141)에 코킹용 돌기(135)를 각각 끼워 맞추게 하고, 그들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게이트 마스크(131)가 게이트 홀더(130)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이 프레임(136)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가 가장 적합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스테인리스강 그 밖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게이트 커버(138)에는, 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길이의 절단면(143)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면(143)은 프레임(136)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절단면(143)의 길이 방향의 적당한 위치에는, 복수개소에서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절단면(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교차 절단면(144)에 의해 게이트 커버(138)에는, 소경 디스크 D8가 통과할 때에 그 최대 외주 에지를 지지하는 소직경용 지지편(支持片)(138a)과, 대경 디스크 D12가 통과할 때에 그 최대 외주 에지를 지지하는 대경용 지지편(13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에는 절단면(143)과 평행하게 연장된 슬릿(1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45)은 프레임(136)의 마스크 개구부(140)의 둘레 에지보다도 절단면(143)으로부터 먼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단면(143)에 대하여 슬릿(145)을 마스크 개구부(140)의 주위 에지보다도 먼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광 디스크 D의 통과 방향에 따라 변형 상태를 변화시켜, 광 디스크 D에 부여되는 통과 시의 저항력에 변화를 부여하도록 하고 있 다.
이 게이트 커버(138)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유연성이 높은 부직포 등의 천(구체적으로는, 도레 주식회사제「에쿠세누」를 들 수 있다)이 가장 적합하지만, 그 밖의 천이라도 되며, 또,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면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된 시트 또는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 (E)에 나타내는 부호 (146)은 게이트 마스크(131)를 게이트 홀더(130)의 게이트판(132)에 접착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이다. 이 양면 테이프(146) 대신, 접착제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절단면(143) 및 교차 절단면(144)을 게이트 커버(138)에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출입구(30)에 배치된 게이트 부재(12)를 통해 출입되는 광 디스크 D의 표면 및 이면에 그 절단면의 주위 에지를 밀착시켜, 외부의 먼지나 티끌 등이 장치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릿(145)을 붙여 게이트 커버(138)에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을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디스크 D가 삽입될 때의 저항력을 작게 하는 한편, 광 디스크 D가 배출될 때에는 그 저항력을 크게 하여 광 디스크 D를 지지하고, 디스크 배출 시에 있어서 광 디스크 D가 자중에 의해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게이트 커버(138)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절단면 에지부의 저항력을 변경시키는 저항력 변경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부재(12)의 후방에는, 개폐 셔터(13)가 상하 방향 Z로 부앙(俯仰) 동작(상하 방향에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개폐 셔터(13)는 도 12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부재(12)의 홀더 개구부(134)를 내측으로부터 개폐할 수 있는 셔터부(13a)와, 이 셔터부(13a)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좌우의 암부(13b, 13c)와, 한 쪽 암부(13b)의 선단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동 레버(13d)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부(13a)는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에 대응한 곡면을 가지는 원호 형상의 봉형체(棒形體)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 중도부의 상부에는 앙동(仰動)(상방으로 회전)했을 때에 그 상부에 배치된 부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셔터(13)의 암부(13b, 13c)의 기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회전축부(13f)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회전축부(13f)는 동일 축심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셔터부(13a)의 길이 방향 연장선이 각 회전축부(13f)의 중심부와 대략 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개폐 셔터(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 평면부(11a)의 제2 관통 구멍(26b) 및 제4 관통 구멍(26d)의 각 외측에는, 한 쌍의 회전축부(13f)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베어링부(35a, 3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암부(13b, 13c)를 없애고 셔터부(13a)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회전축부(13f)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 하면(개방 시의 이동 방향과 반대측의 면이며, 광 디스크 D의 상면측 외주 에지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면)에는, 회전축부(13f)측 보다도 중앙측을 움푹 들어가게 하여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한 제1 가이드부(13h)가 형성되어 있다.
또,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좌측 베어링부(35a)의 앞쪽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의 구동 레버(13d)가 관통되는 관통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11a)의 좌측 베어링부(35a) 근방에서 관통 구멍(36a)과 반대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스프링받이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받이 돌기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일단이 맞물려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타단은 개폐 셔터(13) 암부(13b)의 구동 레버(13d)와 반대측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프링받이 돌기(13g)에 맞물려 있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스프링 힘에 의해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는 디스크 출입구(30)를 닫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다.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후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베어링부(35c, 3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35c, 35d) 및 전술한 베어링부(35a, 35b)는 축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수용 부재와, 이 수용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오목부측으로 돌출되는 클릭부를 가지는 누름 부재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처킹 암(14)은 도 1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암부(14a)가 형성된 산 모양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양 측부에는 그 일부를 동일 방향으로 90도 절곡함으로써 보강을 겸한 한 쌍의 측면부(14b, 14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14b, 14c) 후부에는, 각각 옆쪽으로 돌출되는 축부(14d)가 동일 축심선(2) 상 에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축부(14d, 14d)를 한 쌍의 베어링부(35c, 35d)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처킹 암(14)이 메인 섀시(11)에 대하여 상하 방향 Z로 부앙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처킹 암(14)에 의해, 개구부(25)를 포함하는 디스크 수납부(23)의 후부 상방이 덮여 있다.
또한, 처킹 암(14)의 한 쪽 측면부(14b)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동 레버(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레버(38)의 선단부에는 옆쪽으로 돌출되는 축핀(38a)가 설치되고, 이 축핀(38a)에는 롤러(3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처킹 암(14)의 암부(14a)의 선단부에는, 처킹 부재(40)를 지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41a)에 의해 지지되는 처킹 부재(40)는 도 13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플레이트(42)와 요크(43)와 요크 누름(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 플레이트(42)는 링 형상을 이루는 코어재의 일면에 외향 플랜지부(42a)를 형성한 링 형상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척 플레이트(42)의 중앙부에는 링 형상의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크 수납부(42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요크 수납부(42b)에는 철판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원반 형상의 요크(43)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척 플레이트(42)의 코어재 외주면에는 3개의 노치 구멍(42c)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노치 구멍(42c)은 플랜지부에도 도달하고 있으며, 이들 노치 구멍(42c)에는 요크 누름(44)에 설치한 3개의 다리편(脚片)(44a)이 맞물림ㆍ이탈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고 있다.
요크 누름(44)의 3개의 다리편(44a)은 3개의 노치 구멍(42c)에 대응시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다리편(44a)의 선단부에는 코어재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릭부가 형성되어 있고, 척 플레이트(42)에 대하여 요크 누름(44)을 둘레 방향으로 약간 회전 변위함으로써, 그 회전 방향에 따라 다리편(44a)과 노치 구멍(42c)이 맞물림 또는 이탈된다.
이 척 플레이트(42)와 요크 누름(44)과의 맞물림 상태에서, 그 플랜지부(42a)와 요크 누름(44)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간극분만큼 처킹 부재(40)는 처킹 암(14)의 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척 플레이트(42)의 코어재와 암부(14a)의 관통 구멍(41a) 사이에도 소정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그 간극분만큼 처킹 부재(40)는 처킹 암(14)의 면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처킹 암(1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용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즉, 코일 스프링(45)의 일단은 처킹 암(14)의 다른 쪽 측면부(14c)에 걸려 고정되고, 그 타단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 형성한 수용부에 걸려 고정되고 있다. 이 처킹 암(14)의 관통 구멍(41a)의 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창(4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창(41b)은 처킹 암(14)의 하방에 배치된 지지 레버(15)의 상태를 보는 등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한 것이다.
지지 레버(15)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둘레 방향 팔부(15a)와, 이 둘레 방향 팔부(15a)의 일단에 연속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팔부(15b)와, 이 반경 방향 팔부(15b)의 선단부에 형성된 디스크 지지부(47)와, 둘레 방향 팔부(15a)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15c) 및 센서용 조작편(15d)과, 둘레 방향 팔부(15a)에 고정된 캠 핀(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레버(15)의 둘레 방향 팔부(15a)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베어링 구멍(49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 구멍(49a)에 끼워 맞춰지는 지지축(50)에 의해 지지 레버(15)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의 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0)은 평면부(11a)이며 개구부(25)와 반대측에서 칸막이벽(24)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50)의 근방에서 칸막이벽(24)에는 반경 방향 팔부(15b)가 출입되는 노치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24a)를 가지는 평면부(11a)에는 지지축(50)을 회전 중심으로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51a)은 지지 레버(15)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으로, 반경 방향 팔부(15b)의 디스크 지지부(47)근방에 형성된 돌기(49b)가 삽입된다. 지지 레버(15)의 디스크 지지부(47)는 상하 방향으로 열린 상면편(47a)과 하면편(47b)을 가지는 단면 V자 형상의 V 홈부로 이루어지고, 그 V 홈부의 바닥에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 V 홈부의 바닥에 의한 광 디스크 D의 접촉 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상면편(47a) 및 하면편(47b)은 모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지지부(4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용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의해 항상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심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코일 스프링(5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11a)의 베어링부(35c)에 형성된 수용부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어 있고, 그 타단이 지지 레버(15)의 스프링 수용부(15c)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부(15c)는 둘레 방향 팔부(15a)의 베어링 구멍(49a)의 근방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수용부(15c)의 베어링 구멍(49a)과 반대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조작편(1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편(15d)의 외측에는, 캠 핀(48)이 하방으로 크게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캠 핀(48)은 평면부(11a)를 관통해 그 이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캠 핀(48)의 회전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평면부(11a)에는 원호 형상의 핀구멍(51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우측면부(11e)의 내측에는, 전후 방향 X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부(35e, 35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35e, 35f)에 의해 평면부(11a)의 이면 후부에는 조립체 홀더(16)가 상하 방향 Z로 부앙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립체 홀더(16)는 도 14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를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변에는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축부(16a, 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축부(16a, 16a)를 한 쌍의 베어링부(35e, 35f)에서 지지함으로써, 조립체 홀더(16)가 메인 섀시(11)에 상하 방향 Z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의 한 쌍의 축부(16a, 16a)가 형성된 변과 대향하는 변에는, 한 쌍의 축부(16a, 16a)를 잇는 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캠 돌기(5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의 개구부(54)는 캠 돌기(55)가 돌출되는 방향과 어느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개구부(54)의 외측 에지 3개소에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를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체 홀더(16)의 캠 돌기(55) 근방에는, 이 조립체 홀더(16)가 소정량 이상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는 도 1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는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에 제공되는 광 디스크 D가 장착되는 턴테이블(60)이 부착되는 스핀들 모터(58)(도 2 참조)가 고정되는 스핀들 섀시(56)와, 턴테이블(60)에 장착된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 판독을 실행하는 픽업 장치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광학 픽업 장치(6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픽업 섀시(57) 등을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섀시(56)는 전면부와 좌우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가지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의 3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슐레이터를 통해 조립 홀더(16)에 지지하기 위한 평면 C자형을 이루는 클릭 형상의 지지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의 전면부에 형성한 모터 장착 자리(56b)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8)가 장착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스핀들 모터(58)의 회전축이 모터 장착 자리(56b)를 관통해 스핀들 섀시(56)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 턴테이블(60)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60)은 광 디스크 D의 센터 구멍 d 주변부가 탑재되는 탑재부(60a)와, 그 센터 구멍 d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60b)를 가지고 있다. 턴테이블(60)의 탑재부(60a)는 광 디스크 D의 센터 구멍 d보다도 직경을 약간 크게 한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앙부에 끼워맞춤부(60b)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부(60b)에는 링 형상을 이루는 마그넷(59)이 내장되어 있이고, 이 마그넷(59)의 흡착력에 의해 전술한 처킹 부재(40)가 턴테이블(60)에 흡착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장착된 광 디스크 D가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로 협지되어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된다.
또, 스핀들 섀시(56)의 모터 장착 자리(56b)의 내측에는, 스핀들 모터(58)와 가로로 나란히 하도록 경사 모터(62)가 장착되어 있다. 경사 모터(62)의 회전축은 모터 장착 자리(56b)를 상방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경사 기어(63)가 끼워 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경사 기어(63)에는 경사캠(64)의 기어부가 맞물려 있고, 경사캠(64)의 상면에 형성한 나선 형상의 캠면에는 픽업 섀시(57)에 형성한 캠 볼록부(57a)가 대향되어 있다. 이 캠 볼록부(57a)는 스핀들 섀시(56)에 고정나사(65a)로 나사 고정된 판 스프링(65)에 의해 캠면에 누름 접촉되어 있다.
이 스핀들 섀시(56) 양 측면부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양으로 한 쌍의 베어링부(50c, 5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베어링부(56c, 56d)에는 픽업 섀시(57)에 형성한 한 쌍의 축부(57b, 57b)가 끼워 맞춰지며, 이에 따라 픽업 섀시(57)가 스핀들 섀시(56)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섀시(57)는 스핀들 섀시(56)의 상부에 중첩 가능한 프레임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다. 이 픽업 섀시(57)의 내측에 광학 픽업 장치(61)가 턴테이블(50)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 섀시(57)의 상면에는, 광학 픽업 장치(61)의 광학 헤드(61a)가 관통되는 개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픽업 섀시(57) 측면부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전술한 한 쌍의 축부(57b, 57b)가 서로의 축심선을 일치시켜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픽업 섀시(57)의 후부 상면에는 차광판(67)이 장착되어 있다. 이 차광판(67)은 가장 외측으로 이동한 광학 픽업 장치(61)의 광학 헤드(61a)의 상방을 덮어, 대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픽업 섀시(57)의 한 쪽 측면측 전단부에는 이송 모터(68)가 장착 나사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송 모터(68)의 회전축은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 홈이 형성된 이송 축(69)으로 되어 있고, 이 이송 축(69)의 후단부가 픽업 섀시(57)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픽업 섀시(57)의 이송 축(69)과 반대측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가이드축이 이송축(69)과 평행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축에 지지되고, 이송 축(69)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광학 픽업 장치(61)가 턴테이블(60)에 대하여 접근하고, 또는 턴테이블(60)로부터 이반된다. 그러므로, 광학 픽업 장치(61)는 이송축(69) 및 가이드축이 관통되는 슬라이드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70)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슬라이드 랙이 장착되어 있 고, 이 슬라이드 랙의 랙 톱니가 이송축(69)의 나사홈에 맞물려 있다.
광학 픽업 장치(61)는 광학 헤드(61a)의 대물 렌즈를 포커스 방향(상하 방향)과 트래킹 방향(가로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2축 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2축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으로서는 오로지 전자력(電磁力)이 사용되고 있으며, 가동부의 지지 방식의 차이로서 분류되는 판 스프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밖의 와이어 지지 방식, 힌지 방식, 축 슬라이드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 중 (71)은 2축 액추에이터를 덮는 2축 커버이며, 이 2축 커버(71)에는 대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창(71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가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고, 조립체 홀더(16)의 상방으로의 앙동(仰動) 또는 하방으로의 부동(俯動)에 의해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조립체 홀더(15)의 부앙 동작은 조립체 홀더(16)의 캠 돌기(55)와 캠 플레이트(18)에 형성한 승강 캠부(72)로 이루어지는 승강 캠 기구에 의해 실행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는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그 폭 방향 한 쪽의 장변 에지 중도부에 승강 캠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서 승강 캠부(72)와 동일 장변 에지에는, 그 길이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 톱니를 설치한 랙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서 승강 캠부(72)와 반대측의 장변 에지에는, 전술한 개폐 셔터(13)를 개폐 동작시키기 위한 캠 볼록부(74)가 형성되어 있 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스위치 조작편(75) 및 가이드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전술한 처킹 암(14)을 부앙 동작시키기 위한 처킹용 캠부(77)와, 지지 레버(15)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용 캠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롤러 조립체(20, 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롤러용 캠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8)의 승강 캠부(72)와 반대측의 장변 에지 중도부에는, 수동 조작에 의한 캠 플레이트(18)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 돌기(80)가 형성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18)의 승강 캠부(72)는 도 28 (A)∼(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승강 캠부(72)는 캠 플레이트(18)의 상면에 돌출되는 상수평부(72a)와, 이 수평부(72a)의 일단에 연속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부(72b)와, 이 경사부(72b)의 하단에 연속하여 캠 플레이트(18)의 하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수평부(72c)로 이루어져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는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하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슬라이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 구멍(76)이 캠 플레이트(18)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7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이드 축부(11j)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섀시(11)의 측면부(11d)에는 한 쌍의 지지부(11k) 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11k)에서 캠 플레이트(18)의 장변측 한변을 사이에 끼우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가이드 구멍(76)에 가이드 축부(11j)를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그 선단면에 형성한 나사 구멍에 와셔붙이 나사(81a)를 나사 결합시켜 단단히 조임으로써,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1)에 장착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18)가 전후 방향 X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조립체 홀더(16)가 부앙 동작된다. 즉, 도 28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의 최전부(最前部)에 있을 때에는, 캠 돌기(55)는 승강 캠부(72)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하수평부(72c)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30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는 앞부분이 처진 상태로 되고, 이 경우에는 턴테이블(60)이 낮은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립체 홀더(16)가 도 28 (C)에 나타내는 중도 위치를 거쳐 이 도면 D에 나타내는 최후부까지 이동하면, 캠 돌기(55)가 승강 캠부(72)의 경사부(72b)를 거쳐 상수평부(72a)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34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가 대략 수평의 상태로 변화되어, 턴테이블(60)이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턴테이블(60)이 디스크 수납부(23)에 수납되어 있는 광 디스크 D를 탑재하여, 이 광 디스크 D를 소정의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
또,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는 도 2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처킹용 캠부(77)는 캠 플레이트(1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수평부(77a)와, 이 상수평부(77a)의 앞쪽으로 연속하여 앞부분이 처지게 연장된 경사부(77b)와, 이 경사부(77b)의 하단에 연속하여 앞쪽으로 연장된 하수 평부(77c)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처킹용 캠부(77)에는, 도 30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구동 레버(38)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39)가 회전 접촉된다.
이 경우, 처킹용 캠부(77)의 상수평부(77a)에 롤러(39)가 위치할 때에는, 이 도면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자유단측이 앙동하여, 처킹 부재(40)가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 이에 따라,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수납부(23)의 상방 공간이 넓게 열린다.
한편, 롤러(39)가 상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거쳐 하수평부(77c)로 이동하면, 도 34 (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암(14)의 자유단측이 부동하여, 처킹 부재(40)가 낮은 위치로 눌러 내려진다. 이에 따라, 처킹 부재(40)가 대략 수평 상태로 되어,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려져 오는 턴테이불(60)에 대향된다. 이 때 디스크 수납부(23)에 광 디스크 D가 수납되어 있으면, 그 광 디스크 D가 턴테이블(60)와 처킹 부재(40)로 협지되어, 광 디스크 D의 처킹이 실행된다.
캠 플레이트(18)의 레버용 캠부(78)는 도 23 및 도 28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레버용 캠부(78)는 지지 레버(15)의 디스크 지지부(47)를 디스크 수납부(23)의 외주 에지에 지지하기 위한 제1 캠부(78a)와, 디스크 지지부(47)를 디스크 수납부(23)의 반경 방향 중도부에 지지하기 위한 제2 캠부(78b)와, 디스크 지지부(47)를 디스크 수납부(23)의 내주 에지에 지지하기 위한 제3 캠부(78c)를 가지고 있다. 제1부터 제3 캠부(78a∼78c)는 캠 플레이트(18)의 폭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 다.
또한, 제1∼제3 캠부(78a∼78c)는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와 반대측에서 서로 연통(連通)되어 있으며, 이 레버용 캠부(78)에 맞물리는 지지 레버(15)의 캠 핀(48)이 선택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캠부(78a 및 78b)의 바닥부에는 디스크 수납부(23)의 외주 에지 및 반경 방향 중도부에서 광 디스크 D로부터 디스크 지지부(47)를 탈출시켜 광 디스크 D와 디스크 지지부(47)와의 슬라이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탈출부(78a0 및 78b0)가 형성되어 있다.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는 도 23 및 도 28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롤러용 캠부(79)는 광 디스크 D의 직경에 따라 한 쌍의 롤러 조립체(20, 21)의 위치를 제어하는 대경용 캠부(79a)와 소경용 캠부(79b)를 가지고 있다. 대경용 캠부(79a) 및 소경용 캠부(79b)는 캠 플레이트(18)의 폭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용 캠부(79a) 및 소경용 캠부(79b)는 캠 플레이트(18)의 레버용 캠부(78)측에서 서로 연통되어 있고, 이 롤러용 캠부(79)에 맞물리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후술하는 캠 핀이 선택적으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용 캠부(79)의 대경용 캠부(79a)의 바닥부에는 디스크 수납부(23)에 수납된 광 디스크 D로부터 후술하는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를 탈출시켜 광 디스크 D와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출부(79a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소경용 캠부(79b)에는, 그 중도부와 바닥부에서 광 디스크 D로부터 롤러(85b, 95b)를 탈출시켜 광 디스크 D와 롤러(85b, 95b)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출부(79b0 및 79b1)가 형성되어 있다.
소경용 캠부(79b)의 중도부에 형성한 탈출부(79b1)는 소경 디스크(예를 들면, 직경 8㎝의 것) D8가 삽입되었을 때의 한 쌍의 롤러 조립체(20, 21)의 위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며, 대경 디스크(예를 들면, 직경 12㎝의 것) D12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바닥부에 형성한 탈출부(79b0)에 의해 한 쌍의 롤러 조립체(20, 21)의 위치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에 의해 위치 제어되는 한 쌍의 롤러 조립체(20, 21)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6 및 도 17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의 구동측 롤러 조립체(20)는 제1 지지 부재인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와, 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탑재된 구동 수단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구동 모터(84)와,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이송 부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한 쌍의 구동 롤러(85a, 35b)와, 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에 구동 모터(84)의 동력을 전달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 하는 제1 기어 기구(86) 등을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구동측 가이드 레버(8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 지지부와, 이 롤러 지지부의 한쪽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를 가 지며, 암부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톱니가 정렬된 랙부(8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랙부(83a)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위치 검출용 제2 검출 스위치 SW2,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를 온ㆍ오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체(8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87)는 평면 형상이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암부의 선단측 일단이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온ㆍ오프시키기 위한 제1 조작부(87a)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87) 도중의 절곡부가 제3 검출 스위치 SW3를 온ㆍ오프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87b)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와 반대측의 타단이 제4 검출 스위치 SW4를 온ㆍ오프시키기 위한 제3 조작부(87c)로 되어 있다.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는 2개의 롤러 지지축(88a, 88b)과, 3개의 기어 지지축(88c, 88d, 88e)과, 2개의 가이드 핀(88f, 88g)과, 1개의 축핀(89a)이 형성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축핀(89a)만은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하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부에는 롤러(8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89)가 전술한 캠 플레이트(18)의 롤러용 캠부(79)에 맞물린다.
제1 롤러 지지축(88a)에는 제1 구동 롤러(85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롤러 지지축(88b)에는 제2 구동 롤러(85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1 기어 지지축(88c)에는 웜 휠(86a)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웜 휠(86a)에는 소경 기어(86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소경 기어(86b)는 제1 중간 기어(86c) 및 제2 중간 기어(86d)에 공통으로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제1 중간 기어(86c)는 제2 기어 지지축(88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중간 기어(86d) 는 제3 기어 지지축(88e)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웜 휠(86a)에는 웜(84a)이 맞물려있고, 이 웜(84a)이 구동 모터(84)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모터(84)는 모터 베이스(84b)를 통해 고정 나사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84)의 회전력이 웜(84a)으로부터 웜 휠(86a) 및 소경 기어(86b)에 전달되고, 이 소경 기어(86b)로부터 각 중간 기어(86c, 86d)를 통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의 각 기어부(85c, 85c)에 전달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는 구동 모터(84)의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소경 기어(86b), 제1 및 제2 중간 기어(86c, 86d), 및 기어부(85c)는 모두 헬리컬 톱니 바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 기구(86)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17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는 구동 모터(84)나 중간 기어(86c, 86d) 등의 다른 부품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8에 단면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동 롤러(85a, 85b)는 구동체(90a)와 회전체(90b)와 완충체(90c)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체(90a)는 상면을 원추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면에 기어부(9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체(90a)에 대향하는 회전체(90b)는 하면을 역원추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동체(90a)와 회전체(90b) 사이에는, 광 디스크 D의 두께 보다도 조금 큰 간극 S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의 바닥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체(90c)가 설치되어 있다.
각 구동체(90a) 의 중심부에는 롤러 지지축(88a, 88b)이 삽입 통과되는 원통 형상의 내축부(91b)와, 이 내축부(91b)와 동심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외축부(9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축부(91b)와 외축부(91c) 사이에는, 회전체(90b)에 형성한 원통 형상의 통축부(91d)가 적당한 간극을 두고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동체(90a) 및 회전체(90b)를 관통하는 롤러 지지축(88a, 88b)의 상단부에 고정 고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전체(90b)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이 구동체(90a)의 외축부(91c)에, 고무나 연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고무 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완충체(90c)가 끼워 넣어져 있다.
완충체(90c)는 광 디스크 D보다도 부드럽고 또한 마찰 저항이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완충체(90c)가 구동체(90a)와 회전체(90b) 사이의 간극 S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이 간극 S 내에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들어가, 완충체(90c)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구동측 완충체(90c)에 누름 접촉되어, 그 완충체(90c)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광 디스크 D에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구동측 완충체(90c)의 회전력과 후술하는 고정측 완충체(90c)의 마찰력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 디스크 D가 전동된다.
도 17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 지지축(88a)에는, 광 디스크 D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9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검출 부재(92)는 구동 롤러(85a)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축(92a)과, 동일하게 구동 롤러(85a)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조작핀(92b)을 가지고 있다. 지지축(92a)에는, 구동측 및 고정측 완충체(90c, 90c)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서 가이드 롤러(92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롤러(92c)와 조작핀(92b)은 롤러 지지축(88a)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 편의(偏倚)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검출 부재(92)는 도면에 복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92c)가 구동 롤러(85a)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검출 부재(92)의 조작 핀(92b)에 대응시켜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되는 광 디스크 D의 유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스위치 SW1dl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검출 스위치 SW1 및 이하에 설명하는 제2∼제8 검출 스위치 SW2∼SW8은 모두 온ㆍ오프의 전환 스위치이며, 조작자를 가압했을 때에 온으로 되어 그 신호를 출력하고, 그 조작자의 가압을 해제했을 때에 오프로 되어 그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검출 스위치 SW1은 프린트 배선 기판(93)을 통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하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은 복귀 코일 스프링으로 힘이 가해지는 조작핀(92b)에 의해 가압되어 온으로 된다. 즉, 광 디스크 D를 삽입하면, 그 광 디스크 D(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에서도, 직경 8㎝의 소경 디스크 D8에서도 동일)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검출 부재(92)가 도 26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조작핀(92b)이 조작자를 가압하여,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광 디스크 D가 통과함으로써, 복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힘으로 조작핀(92b)이 복귀되어, 제1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에 복귀된다.
고정측 롤러 조립체(2l)는 도 16 및 도 19 (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인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와, 이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장착된 제2 이송 부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한 쌍의 고정 롤러(95a, 95b) 등을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가이드 레버(9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롤러 지지부와, 이 롤러 지지부의 한쪽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를 가지고, 암부의 후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톱니가 정렬된 랙부(9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는, 2개의 롤러 지지축(96a, 96b)과, 2개의 가이드 핀(96c, 96d)이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롤러 지지축(96a)에는 제1 고정 롤러(95a)가 끼워 넣어지고, 제2 롤러 지지축(96b)에는 제2 고정 롤러(95b)가 끼워 넣어져 있다. 한 쌍의 고정 롤러(95a, 95b)는, 고정체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고정되는 점을 제외하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와 동일하다.
즉, 각 고정 롤러(95a, 95b)는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와 도시하지 않은 완충체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체(115a)는 상면을 원추형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고정하기 위한 다리편(116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다리편(116a)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설치 된 맞물림핀(94b)에 맞물려 있다. 각 맞물림핀(94b)의 선단부를 코킹함으로써 각 고정 롤러(95a, 95b)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체(115a)에 대향하는 회전체(115b)는 하면을 역원추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한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 사이에는, 광 디스크 D의 두께 보다도 조금 큰 간극 S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부의 바닥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체(115c)[도 19 (A)∼(C) 참조, 구동 롤러(85a, 85b)의 완충체(90c)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체(125a) 의 중심부에는 롤러 지지축(96a, 96b)이 삽입 통과되는 원통 형상의 내축부(116b)와, 이 내축부(116b)와 동심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외축부(11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축부(116b)와 외축부(116c) 사이에는 회전체(115b)에 형성한 원통 형상의 통축부(116d)가 적당한 간극을 두고 삽입되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체(115a) 및 회전체(115b)를 관통하는 롤러 지지축(96a, 96b)의 상단부에 고정 고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전체(115b)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고정체(115a)의 외축부(116c)에, 고무나 연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고무 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의 완충체(115c)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완충체(115c)가 고정체(115a)와 회전체(115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간극 내에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가 들어가, 그 외주 에지와 고정측 완충체(115c)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광 디스크 D에 대하여 전동력이 부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앞쪽 하부에서 좌우 방향 Y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제1 구동 롤러(85a) 및 가이드 롤러(92c)는 평면부(11a)의 제1 롤러용 관통 구멍(26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 구동 롤러(85b)는 제2 롤러용 관통 구멍(26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 제1 가이드 핀(88f)이 제1 가이드용 긴 구멍(27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 가이드 핀(88g)이 제2 가이드용 긴 구멍(27b)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 가이드 핀(88f, 88g)의 상단부에 맞물리는 고정 고리에 의해 각 가이드용 긴 구멍(27a, 27b)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도 17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정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약간 편의시킨 한 쌍의 협지편(83b, 83b)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편(83b, 83b)은 메인 섀시(11)의 정면부(11b)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11m)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또,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는 스프링받이편(83c)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에 대하여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좌우 방향 Y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9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 지지축(96a)에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검출 부재(92)와 밸런스를 취하기 위한 밸런스 부재(9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밸런스 부재(97)는 고정 롤러(95a)의 직경 방향 외측 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축(97a)과, 동일하게 고정 롤러(95a)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핀(97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축(99a)에는 고정측 완충체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에서 가이드 롤러(97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롤러(97c)와 핀(97b)과는 롤러 지지축(96a)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 편의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밸런스 부재(97)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복귀 코일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97c)가 구동 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앞쪽 하부에서 좌우 방향 Y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롤러 조립체(21)의 제1 고정 롤러(95a) 및 가이드 롤러(97c)는 평면부(11a)의 제3 롤러용 관통 구멍(26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 구동 롤러(95b)는 제4 롤러용 관통 구멍(26d)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제1 가이드 핀(96c)이 제3 가이드용 긴 구멍(27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 가이드 핀(96d)이 제4 가이드용 긴 구멍(27d)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이드 핀(96c, 96d)의 상단부에 맞물리는 고정 고리에 의해 각 가이드용 긴 구멍(27c, 27d)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도 19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의 정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두고 또한 좌우 방향 Y로 약간 편의시켜 한 쌍의 협지편(9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협지편(94c)은 메인 섀시(11)의 정 면부(11b)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레일(11m)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또,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는 스프링받이편(94d)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 받이편(94d)에는 탄성 부재의 한 구체예를 나타내는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일단이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98)은 좌우 방향 X로 연장되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설치한 스프링받이편(83c)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 사이에는,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랙부(83a)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의 랙부(94a)와 동시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99)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99)는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 하면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99)를 전후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랙부(94a)와 랙부(83a)가 함께 맞물려 있다.
따라서, 도 26에서, 구동 기어(9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구동측 롤러 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구동 기어(9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롤러 조립체(20, 21)의 하방에는, 이들을 덮도록 척 구동 조립체(22)가 배치되어 있다. 척 구동 조립체(22)는 도 2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척 구동 조립체(22)는 메인 섀시(11)의 평 면부(11a) 이면에 구동측 및 고정측 롤러 조립체(20, 21)가 수납되는 스페이스를 두고 고정 나사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탑재되는 제2 구동 모터(101), 제2 기어 기구(102) 및 제2 프린트 배선 기판(103)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술한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조작부(87)가 삽입 통과되는 긴 구멍(104)과, 구동 모터(101)의 일부가 수납되는 개구 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4개의 장착 구멍 (106a)과 2개의 위치 결정 구멍(106b, 106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서 소정수의 고정 나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 방향 Y로 연장되는 긴 구멍(104) 내로 조작부(87)가 삽입 통과되어, 그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돌출된다.
제2 구동 모터(101)는 브래킷(107)에 나사 고정되고 이 브래킷(107)을 고정 나사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구동 모터(101)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모터(101)의 회전축에는 웜(108)이 고정되어 있고, 웜(108)에는 웜 휠(109)이 맞물려 있다. 웜 휠(109)에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소경 기어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소경 기어에는 제3 중간 기어(110)가 맞물려 있다. 제3 중간 기어(110)에는 소경 기어(11O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소경 기어(11Oa)에는 출력 기어(111)의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소경 기어가 맞물려 있다.
척 구동 조립체(22)의 출력 기어(111)는 전술한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 에 맞물려 있다. 이 척 구동 조립체(22)의 구동 모터(101)의 회전에 의해, 메인 섀시(11)의 가이드 축부(11j) 등에 가이드되어 캠 플레이트(18)가 메인 섀시(11)의 전후 방향 X로 전진 또는 후퇴 동작된다. 또한, 웜 휠(109), 중간 기어(110) 및 출력 기어(11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고정된 3개의 기어 지지축(1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2 프린트 배선 기판(103)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구동 모터(101)와 동일 하면 앞부분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03)에는,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검출 스위치 SW2,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의 3개 검출 수단과, 이들 검출 스위치 SW2∼SW4나 구동 모터(101) 등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동작을 제어 등 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각종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3개의 검출 스위치 SW2∼SW4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출입구(30)를 통과하는 광 디스크 D의 위치에 의해 좌우 방향 Y로 변화되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들 3개의 검출 스위치 SW2∼SW4의 검출 결과에 따라, 광 디스크 D(D12 또는 D8)의 크기에 따라 그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수납부에 있는지 디스크 배출부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7에서, 부호 (E)는 광 디스크 D의 인입 개시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에 의해 여기까지 광 디스크 D가 삽입되면, 로딩 기구에 의한 후술하는 로딩 동작이 개시되고, 여기에서 광 디스크 D가 자동적으로 끌려 들어와 디스크 장착부 에 장착된다. 또, 부호 (F)는 광 디스크 D의 배출 완료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에 의해 이젝트 버튼이 조작되고, 로딩 기구의 배출 동작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배출되어, 여기까지 광 디스크 D가 자동적으로 송출된다.
또, 이 도면에서, 부호 (A)로 나타내는 위치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초기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광 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하기 전에는 구동측 롤러 조립체(20)는 이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설치한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에 접촉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2 검출 스위치 SW2는 온으로 되어 있다.
부호 (B)에서 나타내는 위치는 광 디스크 D 중 직경 8㎝의 소경 디스크 D8를 사용했을 때의, 소경 디스크 D8의 장착 위치 및 배출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소경 디스크 D8의 경우에는,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소경 디스크 D8를 장치 내에 삽입하는 디스크 장착 시 및 소경 디스크 D8를 장치 밖으로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 시의 어느 것에도, 구동측 롤러 조립체(20)는 도시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이 장착 및 배출 위치는 이 도면 (A)의 초기 위치 보다도 약간 외측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 위치의 차이는 디스크 장착 시에는 소경 디스크 D8가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 및 고정 롤러(95a, 95b)를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탈출시켜 서로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a로부터 떨어져, 3개의 제2∼제4 검출 스 위치 SW2∼SW4의 모두가 오프로 된다.
부호 (C)로 나타내는 위치는 광 디스크 D 중 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를 사용했을 때의, 대경 디스크 D12의 배출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대경 디스크 D12의 경우에는,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대경 디스크 D12가 배출되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는 도시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b)가 제3 검출 스위치 SW3에 접촉하며, 따라서 제3 검출 스위치 SW3만이 온이 되고, 다른 검출 스위치 SW2, SW4는 오프로 유지된다.
또한, 부호 (D)로 나타내는 위치는 대경 디스크 D12를 사용했을 때의, 대경 디스크 D12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하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는 도시하는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b)가 제3 검출 스위치 SW3를 계속 가압하는 동시에, 제3 조작부(87c)가 제4 검출 스위치 SW4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모두 온으로 되고, 제1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유지된다.
또,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 레버(15)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설치되고, 전술한 캠 플레이트(18)의 전후 방향 X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제6 검출 스위치 SW6, 제7 검출 스위치 SW7 및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5∼제8 검출 스위치 SW5∼SW8은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프린트 배선 기판(114)에 장착되어 있다.
제3 프린트 배선 기판(114)은 제5∼제8 검출 스위치 SW5∼SW8 그 밖의 전자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의 주고받기 등 을 실행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며, 커넥터 등의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은 메인 섀시(11)의 평면부(11a)에서의 좌측부에 설치한 선반부(11n) 상에 위치 결정되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에는 처킹 암(14)의 구동 레버(38)가 하방으로 관통되는 관통 구멍(114a)와, 메인 섀시(11)의 지지축(50)이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구멍(1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114)의 평면부(11a)에 형성한 핀 구멍(51b)측의 단부에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장착되고, 선반부(11n)의 내(內)에지부에 제6∼제8 검출 스위치 SW6∼SW8이 장착되어 있다.
제5 검출 스위치 SW5는 그 작동자를 핀 구멍(5lb)측으로 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지지 레버(15)의 조작편(15d)에 의해 온ㆍ오프 조작된다. 또, 제6∼제8 검출 스위치 SW6∼SW8은 그 작동자가 선반부(11n)의 내에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들 작동자에는 상단부가 프린트 배선 기판(114)의 상방으로 돌출된 스위치 조작부(75)의 상단 에지가 대향되고, 이 스위치 조작부(75)에 의해 3개의 검출 스위치 SW6∼SW8가 온ㆍ오프 조작된다.
제6 및 제7 검출 스위치 SW6, SW7는 광 디스크 D가 삽입되는 상태에 있는지, 이것과는 반대로 배출되는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며,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의 온ㆍ오프 상태를 봄으로써 광 디스크 D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8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최전단에 위치할 때는 양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스위치 조작부(75)에 의해 온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광 디스크 D를 삽입함으로써 스위치 조작부(75)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오프로 되고, 그 후,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 된다. 이것을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 D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광 디스크 D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있을 때에는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은 함께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가 배출 조작을 선택함으로써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이동되면, 스위치 조작부(75)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도 28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으로 되고, 그 후,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 된다. 이것을 검출함으로써, 광 디스크 D가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8 검출 스위치 SW8은 광 디스크 D가 완전히 삽입되어 디스크 장착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8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로 이동함으로써,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스위치 조작부(75)에 의해 온으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이젝트 버튼를 조작함으로써 로딩 기구에 의한 배출 동작이 실행되어, 광 디스크 D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된다.
전술한 메인 섀시(11) 및 조립체 홀더(16)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수지)나 AS(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수지)가 바람 직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개폐 셔터(13), 지지 레버(15), 캠 플레이트(18), 구동측 가이드 레버(83), 고정측 가이드 레버(94), 구동 롤러(85a, 85b), 고정 롤러(95a, 95b) 및 캡 롤러(90)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처킹 암(14) 및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다른 금속 재료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ABS나 AS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와 랙부(83a)와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와 랙부(94a)와 인장 코일 스프링(98)과 구동 기어(99)에 의해 광 디스크 D의 크기(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직경)에 따라 한 쌍의 이송 부재를 접근 또는 이반시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간격 조정 기구의 조정량을 제어하는 디스크 선택 캠 기구가 롤러용 캠부(79)와 롤러(8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18)와 구동 레버(13d)와 제2 구동 모터(101)와 제2 기어 기구(102)와 출력 기어(111)에 의해 셔터 개폐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우징(120) 내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하우징(120)은 메인 섀시(11) 및 이것에 탑재된 장치나 기구 등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그 밖의 장치, 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입방체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 다. 즉, 하우징(120)은 입방체로 된 본체부(120a)와, 이 본체부(120a)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층부(12Ob)와, 이 상층부(120b)의 상면을 덮는 천장부(120c)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20a)의 정면에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제어 상태나 조작 상태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21)와, 제어 신호나 조작 신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 수단인 조작 스위치(122, 123)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층부(120b)는 전면 및 좌우측면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묶인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층부(120b)의 주위에는 테라스와 같이 내뻗은 부분이 설정되어 있다. 이 상층부(120b)의 정면에, 내장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디스크 출입구(30)가 내측으로 대향되는 개구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20)의 개구부(124)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디스크 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파지부(125)의 내측에 게이트 부재(12)의 오목부가 대향된다. 또, 천장부(120c)에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디스크 수납부(23)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내부를 통해 보기 위한 개구창(126)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창(1261)에는, 처킹 암(14)의 암부(14a) 상방을 덮는 덮개부(1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부(126a)는 암부(14a)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덮개부(126a)를 제외하는 광 디스크 D의 거의 전체를 개구창(126)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의 동작을, 도 26∼도 28 및 도 29∼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에서 도 28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D와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도 29에서 도 38까지는, 직경 8㎝의 소경 디스크 D8가 장치에 대하여 출입되는 상태(로딩 및 언로딩)를 나타낸 것이며, 도 49는 이 소경 디스크 D8의 출입 시에서의 전술한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 및 2개의 구동 모터(84, 101)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9에서 도 48까지는, 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가 장치에 대하여 출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0은 이 대경 디스크 D12의 출입 시에서의 8개의 검출 스위치 SW1∼SW8 및 2개의 구동 모터(84, 10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타이밍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소경 디스크 D8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 및 도 3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가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를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하면(전후 방향 X), 그 선단부가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 하측으로 들어간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초기 설정 위치인 최전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 셔터(13)의 구동 레버(13d)는 캠 플레이트(18)의 상면에 얹힌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개폐 셔터(13)는 압축 코일 스프링(37)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한 쌍의 회전 축부(13f, 13f)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셔터부(13a)가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셔터부(13a)는 디스크 출입구(30)의 높이와 대략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으며, 소경 디스크 D8의 상면 외주 에지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하면에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V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제1 가이드부(13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섀시(11)에는 상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V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가이드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출입구(30)의 후방에는, 중앙부가 광폭으로 양단을 향함에 따라 협폭으로 된 통 모양의 개구부가 개구되어 있다. 그러므로, 셔터부(13a)의 제1 가이드부(13h)가 가이드면이 되어 소경 디스크 D8를 가이드 하기 때문에,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를 셔터부(13a)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 처킹 암(14)은 그 구동 레버(38)의 하단에 지지된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의 상(上)수평면(77a)에 얹혀져 있다. 그러므로, 처킹 암(14)은 처킹용 코일 스프링(45)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암부(14a)가 상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처킹 부재(40)도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또한, 조립체 홀더(16)의 캠 돌기(55)가 캠 플레이트(18)에 형성한 승강 캠부(72)의 하(下)수평부(72c)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3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 홀더(16)는 앞부분이 처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60)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로부터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에 있다. 그 결과, 메인 섀시(11) 평면 부(11a)의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수납부(23)는 넓게 개방되어 있어, 소경 디스크 D8가 수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소경 디스크 D8를 삽입하면, 셔터부(13a)의 가이드 곡면으로 가이드되어 들어가는 디스크 선단부가,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8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의 한 쌍의 고정 롤러(95a, 9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고정 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에 접촉하고, 이들 가이드 롤러(92c, 97c)를 각각 외측으로 밀어 넓힌다. 즉, 도 26에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를 지지하는 검출 부재(9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조작 핀(92b)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점이며, 이 검출 신호에 따라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제1 구동 모터(84)에 구동 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 모터(84)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방향(소경 디스크 D8를 디스크 장착부로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 된다. 그 결과, 제1 구동 모터(84)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84a)으로부터 제1 기어 기구(86)[웜 휠(86a), 소경 기어(86b), 중간 기어(86c, 86d)]를 통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의 각 기어부(85c)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가, 도 2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 된다. 이 때, 각 구동 롤러(85a, 85b)의 외축부(85e)에는 고무 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완충체(90c)가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이 구동측 완충체(90c)가 구동 롤러(85a, 85b)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 된다.
또한, 소경 디스크 D8가 삽입되면, 그 디스크 선단부가, 앞쪽 구동 롤러(8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측 완충체(90c)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의 고정측 가이드 레버(94)에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 롤러(95a, 95b) 중 앞쪽에 위치하는 고정 롤러(95a)에 가이드되어 묶인 바닥에 설치된 고정측 완충체(115c)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구동 롤러(85a)와 고정 롤러(95a)와 유저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앞쪽 구동 롤러(85a)의 회전력이, 그 완충체(90c, 115c)와 소경 디스크 D8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의 일단에 전달된다. 그 한편,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의 타단은 고정 롤러(95a)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된다.
그 결과, 소경 디스크 D8에는 메인 섀시(11)의 내측에 설정되어 있는 디스크 수납부(23)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수납부(23)로 향하는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전동된다. 이 디스크 삽입 방향에의 소경 디스크 D8의 전동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 링 힘에 저항하여 앞쪽 구동 롤러(85a)와 앞쪽 고정 롤러(95a)가 좌우 방향 Y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앞쪽 구동 롤러(85a)의 이동에 의해, 구동측 가이드 레버(83)의 조작체(87)에 의해 가압되어 그때까지 온으로 되어 있던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2점이다. 그리고,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에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경부(직경부)가 도달하면,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로부터 이반되어, 조작 핀(92b)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그 결과, 복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의해 검출 부재(92)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3점이다.
이때,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 하면에는 제1 가이드부(13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경 디스크 D8의 이동에 의해 개폐 셔터(13)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때, 제1 가이드부(13h)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상면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접촉되고, 또, 제2 가이드부(29)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하면 외주 에지가 슬라이드 접촉되어, 그 내측에 설정된 신호 기록면이 평면부(11a) 등에 접촉되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디스크 장착 시에 있어서, 신호 기록면을 문질러 손상하거나, 이물을 부착시킬 우려도 없다. 이와 같은 효과는 소경 디스크 D8를 배출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으며, 또, 후술하는 대경 디스크 D12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 소경 디스크 D8는 구동 롤러(85a) 및 고정 롤러(95a)와, 디스크 출입구(30)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 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 롤러(85a)의 회전력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경부(직경부)가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를 통과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계속해서,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가 뒤쪽 구동 롤러(85b)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한 구동측 완충체(90c)와, 뒤쪽 고정 롤러(9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한 고정측 완충체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전후 2개의 구동 롤러(85a, 85b)와 전후 2개의 고정 롤러(95a, 95b)와의 합계 4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소경 디스크 D8의 후단부가 앞쪽의 구동 롤러(85a) 및 고정 롤러(95a)로부터 이반되면, 뒤쪽의 구동 롤러(85b)와 고정 롤러(95b)로 지지되면서, 그 구동 롤러(85b)의 회전력에 의해 전동되어 디스크 수납부(23)까지 이송된다.
이 때, 소경 디스크 D8의 선단부가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부를 통과하면, 그 근방에 대기하고 있는 지지 레버(15)의 디스크 지지부(47)에 디스크 선단부가 맞물린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는 뒤쪽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 와 디스크 지지부(47)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 31 및 도 32 (A), (B)이며,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당초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 셔터(13) 및 처킹 암(14)은 동일하게 상향의 상태에 있고, 조립체 홀더(16)는 앞부분이 처진 상태에 있어, 이들에 자세의 변화는 생기고 있지 않다.
다음에, 뒤쪽 구동 롤러(85b)로부터 부여되는 전동력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지지 레버(15)를 디스크 수납부(23)의 내측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재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지지 레버(15)를 디스크 수납부(23)로부터 밀어내는 방향(도 3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 레버(15)의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에 접촉하여, 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4점이다.
이 상태로부터,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인 디스크 장착부까지 이동하고, 뒤쪽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로부터 소경 디스크 D8가 떨어짐으로써,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와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가장 근접하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 결과, 조작체(87)의 제1 조작부(87a)가 제2 검출 스위치 SW2에 접촉하여, 이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5점이다. 이 검출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모터(84)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의 회전 이 정지된다.
이 때,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레버(15)에 설치한 캠 핀(48)은 레버용 캠부(78)의 제2 캠부(78b)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또,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축핀(89a)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89)는 롤러용 캠부(79)의 소경용 캠부(79b)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제1 구동 모터(84)의 구동이 정지된 후,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 지연 시간 DT1가 경과었을 때에, 척 구동 조립체(22)의 제2 구동 모터(101)에 구동 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방향[캠 플레이트(18)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제2 구동 모터(101)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108)으로부터 제1 기어 기구(102)[웜 휠(109), 중간 기어(110) 및 출력 기어(111)]를 통해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캠 플레이트(18)가 도 3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3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퇴 이동(전후 방향 X)한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이동에 따라, 스위치 조작편(75)에 의해, 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6점이다. 계속해서, 스위치 조작편(75)에 따라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7점이다. 이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온ㆍ오프되는 순번을 봄으로써,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장착부측으로 이송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이동에 의해 지지 레버(15)의 캠 핀(48)이, 레버용 캠부(78)의 제2 캠부(78b) 내로 들어간다. 이에 대하여,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롤러(89)는 그 위치에서 롤러용 캠부(79)의 소경용 캠부(79b) 내로 들어간다.
다음에,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까지 이동하면, 스위치 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에 접촉하여,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8점이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도달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지연 시간 DT2가 경과한 부분에서,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9점이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정지되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 34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동작에 따라, 캠 돌기(55)가 승강 캠부(72)의 하수평부(72c)로부터 경사부(72b)를 거쳐 상수평부(72a)에 슬라이드된다. 그 결과, 조립체 홀더(16)가 후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축부(16a, 16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의 캠 돌기(55)측을 밀어 올리도록 앙동하여, 그 자세가 대략 수평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체 홀더(16)에 지지되어 있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상부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 내로 하방으로부터 들어간다.
그 결과,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스핀들 모터(58)의 회전축 선단부에 고 정된 턴테이블(60)이 소경 디스크 D8에 대향되어, 그 상방에의 회전에 의해 끼워맞춤부(60b)가 소경 디스크 D8의 센터 구멍 d에 끼워 맞춰진다. 이 턴테이블(60)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처킹 암(14) 및 개폐 셔터(13)가 머리를 내리도록 부동된다.
즉, 처킹 암(14)이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동 레버(38)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동작에 의해 처킹용 캠부(77)의 상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거쳐 하수평부(77c)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캠부(77)에 의해 롤러(39)의 높이 위치가 서서히 낮아지기 때문에, 암부(14a)가 눌려 내려지고, 그 선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처킹 부재(40)가 턴테이블(6O)에 근접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를 사이에 끼고 상하로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이 대향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넷(59)에 의해 처킹 부재(40)가 흡착되어, 소경 디스크 D8가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로 상하로부터 협지된다.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의 처킹이 완료되어, 턴테이블(60)의 회전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캠 핀(48)이 제2 캠부(78b)의 깊숙한 곳에 설정된 탈출부(78b0)에 얹힘으로써, 지지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지지부(47)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부(47)가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이반되어 맞물림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롤러(89)가 소경용 캠부(79b)의 깊숙한 곳에 설정된 탈출부(79b0)에 얹혀지기 때문에, 내측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양 롤러(85b, 95b)가 소경 디스크 D8로부터 이반되어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소경 디스크 D8가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만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 롤러(85b)나 고정 롤러(95b) 또는 디스크 지지부(47)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폐 셔터(13)가 압축 코일 스프링(37)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18)가 후퇴 동작함으로써 구동 레버(13d)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단부에 형성한 캠부(74)를 거쳐 앞쪽으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개폐 셔터(13)가, 도 32에 나타내는 약간 상향의 상태로부터 도 34 (B)에 나타내는 약간 하향이 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13a)의 하면이 메인 섀시(11)의 디스크 가이드부(29)에 가압되도록 접촉하고, 디스크 출입구(30)의 내측은 셔터부(13a)에 의해 간극 없이 닫힌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유저가 잘못하여 2매째의 광 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그 삽입 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2매째의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거쳐 로딩이 완료됨으로써, 그 후의 소경 디스크 D8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그 기록이나 재생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검출 스위치 SW3 및 제4 검출 스위치 SW4는 대경 디스크 D12의 제어에만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로딩 시는 물론이고, 다음에 설명하는 언로딩 시에도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에,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 조작 후, 소경 디스크 D8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 동작(언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예를 들면,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 배출 동작을 선택하면, 제2 구동 모터(101)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고, 이것이 회전 구동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0점이며, 이 제2 구동 모터(101)의 구동과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2 구동 모터(101)는 디스크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캠 플레이트(18)가 디스크 배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캠 플레이트(18)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 모터(101)와,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를 회전 구동하는 제1 구동 모터(8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소경 디스크 D8의 언로딩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캠 플레이트(18)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캠 핀(48)이 제2 캠부(78b)로부터 빠져 나가기 때문에 지지 레버(15)가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의해, 도 3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크 지지부(47)가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에 맞물린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의한 디스크 지지부(47)의 가압력이 소경 디스크 D8의 삽입측 단부에 부여됨으로써,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캠 플레이트(18)의 전진 동작에 의해, 먼저, 스위치 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로부터 이반하기 때문에,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1점이다.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의 전환 동작에 계속해서,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2점이다.
이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 전환된 후, 미리 설정된 제3 지연 시간 DT3이 경과한 부분에서,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정지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방에의 이동이 정지된다.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미리 설정된 제4 지연 시간 DT4가 경과한 부분에서, 제1 구동 모터(84)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 경우, 제1 구동 모터(84)는 디스크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가 전술한 회전 방향과 역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지지 레버(15)에 의해 앞쪽으로 가압되는 소경 디스크 D8의 배출측 외주 에지가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에 접촉된다. 그 결과, 구동 롤러(85b)의 역회전에 의해 소경 디스크 D8에는 로딩 시와는 역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며, 이에 따라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전동된다. 이 소 경 디스크 D8를 전동시키는 기능이, 한 쌍의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와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와의 협동 작용을 거쳐,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에 계승되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직경부가 한 쌍의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동작을 통해 조작체(87)가 제2 검출 스위치 SW2로부터 이반되어,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3점이다. 계속해서, 지지 레버(15)가 가장 내측까지 이동함으로써,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로부터 이반되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4점이다.
그 후, 디스크 출입구(30)에 소경 디스크 D8가 도달되면,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가, 디스크 출입구(30)의 좌우에 배치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 및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를 함께 외측으로 밀어 넓힌다. 이에 따라, 검출 부재(92)의 조작핀(92b)이 제1 검출 스위치 SW1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5점이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 전환된 부분으로부터, 제1 구동 모터(84)의 회전을 제어하여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DS의 경과 후, 제1 구동 모터(84)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와 동시에,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6점이다. 이에 따라,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경 디스크 D8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유저가 그 소경 디스크 D8를 손에 잡고 인출할 수 있다. 이 시점이 도 49에 나타내는 t17점이다.
이 때, 도 36 (A), (B) 및 도 38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조립체 홀더(16) 및 캠 플레이트(18)는 모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있어, 도 30 (A), (B)와 동일한 자세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부분에서, 다시 광 디스크 D가 삽입되어도 되도록, 다음의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하여, 제2 검출 스위치 SW2의 온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제6 검출 스위치 SW6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광 디스크 D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다.
다음에, 직경 12㎝의 대경 디스크 D12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 및 도 40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가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를 게이트 부재(12)의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하면(전후 방향 X)과, 그 선단부가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 하측으로 들어간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가 초기 설정 위치인 최전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폐 셔터(13)의 셔터부(13a)가 약간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셔터부(13a)의 하면이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이 되므로,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를 셔터부(13a)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또, 처킹 암(14)은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처킹용 캠부(77)의 상수평면(77a)에 얹혀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고, 그 선단부에 지지된 처킹 부재(40)도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또한, 조립체 홀더(16)의 캠 돌기(55)가 캠 플레이트(18)의 승강 캠부(72)의 하수평부(72c)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체 홀더(16)가 앞부분이 처진 상태로 되고, 이 조립체 홀더(16)에 탑재되어 있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턴테이블(60)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간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출입구(30)에 삽입하면, 셔터부(13a)의 가이드 곡면으로 가이드되어 들어가는 디스크 선단부가, 앞쪽 구동 롤러(8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와 앞쪽 고정 롤러(95a)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에 접촉하여, 이들 가이드 롤러(92c, 97c)를 각각 외측으로 넓힌다. 즉, 도 26에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를 지지하는 검출 부재(9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조작 핀(92b)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검출 스위치 SW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 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점이며, 이 검출 신호에 따라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제1 구동 모터(84)에 구동 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 모터(84)가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장착부에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 된다.
그 결과, 제1구동 모터(84)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84a)으로부터 제1 기어 기구(86)를 통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의 각 기어부(85c)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가 도 3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것과 일체로 각 구동 롤러(85a, 85b)의 외축부(85e)에 끼워 맞춰져 있는 고무 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동측 완충체(90c)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대경 디스크 D12가 가압되면, 그 디스크 선단부가, 앞쪽의 구동측 완충체(90c)와, 동일하게 앞쪽의 고정측 완충체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앞쪽 구동 롤러(85a)와 고정 롤러(95a)와 유저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앞쪽 구동 롤러(85a)의 회전력이 구동측 완충체(90c)와 대경 디스크 D12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 일부에 전달된다. 한편,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 타단은 고정측 완충체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에 정지된다.
그 결과, 대경 디스크 D12에는 디스크 수납부(23)로 향하는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전동된다. 이 대경 디스크 D12의 전동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앞쪽 구동 롤러(85a)와 앞쪽 고정 롤러(95a)가 좌우 방향 Y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앞쪽 구동 롤러(85a)의 이동에 의해, 그때까지 조작체(87)로 가압되어 온으로 되어 있던 제2 검출 스위치 SW2가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점이다.
그리고,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조작체(87)에 의해 제3 검출 스위치 SW3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3점이다. 또한,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로부터 이반되어, 조작 핀(92b)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된다. 그 결과, 검출 부재(92)가 스프링 힘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4점이다.
또한,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 조작편(87)에 의해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5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 경부(직경부)가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를 통과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98)의 스프링 힘에 의해 구동측 롤러 조립체(20) 및 고정측 롤러 조립체(21)가 항상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양 롤러(85a, 95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조작편(87)이 제4 검출 스위치 SW4로부터 일단 떨어지고,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6점이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중심부가 앞쪽 구동 롤러(85a)측으로부터 뒤쪽 구동 롤러(85b)측으로 이동하면, 다시 대경 디스크 D12의 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다시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7점이다. 이때, 대경 디스크 D12는 구동측 완충체(90c) 및 고정측 완충체(115c)와, 디스크 출입구(30)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퍼 부재(31)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측 완충체(90c)의 회전력에 의해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전동된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가 뒤쪽 구동 롤러(85b)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구동측 완충체(90c)와, 뒤쪽 고정 롤러(95a)에 가이드되어 홈부의 바닥에 설치된 고정측 완충체(115c)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구동측 전후 2개의 완충체(90c, 90c)와 고정측 전후 2개의 완충체(115c, 115c)와의 합계 4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의 후단부가 앞쪽의 구동 롤러(85a) 및 고정 롤러(95a)로부터 이반되면, 뒤쪽의 구동 롤러(85b)와 고정 롤러(95b)로 지지되면서, 그 구동 롤러(85b)의 회전력에 의해 전동되어 디스크 수납부(23)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대경 디스크 D12의 선단부가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부를 통과하면, 그 근방에 대기하고 있는 지지 레버(15)의 디스크 지지부(47)에 디스크 선단부가 접촉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는 뒤쪽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와 디스크 지지부(47)와의 3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이송되어, 디스크 수납부(23)에 도달하면, 도 41 및 도 42 (A), (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캠 플레이트(18)는 당초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개폐 셔터(13) 및 처킹 암(14)은 동일하게 상향의 상태에 있고, 조립체 홀더(16)는 앞부분이 내려간 상태에 있어, 이들에 자세의 변화는 생기고 있지 않다.
이때,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지지 레버(15)를 디스크 수납부(23)로부터 밀어내는 방향(도 4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 레버(15)의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8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수납부(23)의 중앙인 디스크 장착부까지 이동하고, 뒤쪽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 사이가 소정의 간격 보다도 근접함으로써, 조작체(87)의 제2 조작부(87c)가 제4 검출 스위치 SW4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고, 그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9점이다. 이 검출 신호에 따라 제1 구동 모터(84)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레버(15)에 설치한 캠 핀(48)은 레버용 캠부(78)의 제1 캠부(78a)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또,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축핀(8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89)는 롤러용 캠부(79)의 대경용 캠부(79a)에 면하는 위치에 대향되어 있다.
제1 구동 모터(84)의 구동이 정지된 후,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제1 지연 시간 DT1가 경과한 부분에서, 척 구동 조립체(22)의 제2 구동 모터(101)에 구동 전류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미리 결정된 소정의 방향[캠 플레이트(18)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 된다.
그 결과, 제2 구동 모터(101)의 회전력이, 그 회전축에 고정된 웜(108)으로부터 제1 기어 기구(102)[웜 휠(109), 중간 기어(110) 및 출력 기어(111)]를 통해 캠 플레이트(18)의 랙부(73)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캠 플레이트(18)가 도 4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4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후퇴 이동(전후 방향 X)한다.
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이동에 의해, 스위치 조작편(75)에 따라, 먼저, 제6 검출 스위치 SW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0점이다. 계속해서, 스위치 조작편(75)에 의해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1점이다. 이 2개의 검출 스위치 SW6, SW7가 온ㆍ오프되는 순번을 봄으로써,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장착부 측으로 이송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이동에 의해 지지 레버(15)의 캠 핀(48)이, 레버용 캠부(78)의 제1 캠부(78a) 내로 들어간다. 이에 대하여,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롤러(89)는 그 위치에서 롤러용 캠부(79)의 대경용 캠부(79a)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2점이다.
다음에,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까지 이동되면, 스위치 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에 접촉하여,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3점이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도달한 후, 미리 설정된 제2 지연 시간 DT2가 경과한 부분에서,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정지되어 캠 플레이트(18)가 최후부에 정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도 44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동작에 따라, 캠 돌기(55)가 승강 캠부(72)의 하수평부(72c)로부터 경사부(72b)를 거쳐 상수평부(72a)로 슬라이드된다. 그 결과, 조립체 홀더(16)가 후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축부(16a, 16a)를 회전 중심으로하여 선단부의 캠 돌기(55)측을 밀어 올리도록 앙동되고, 그 자세가 대략 수평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체 홀더(16)에 지지되어 있는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상부가 메인 섀시(11)의 개구부(25) 내로 하방으로부터 들어간다.
이에 따라, 픽업ㆍ테이블 조립체(17)의 스핀들 모터(58) 회전축의 선단부에 고정된 턴테이블(60)이 대경 디스크 D12에 대향되어, 그 상방에의 회전에 의해 끼워맞춤부(60b)가 대경 디스크 D12의 센터 구멍 d에 끼워 맞춰진다. 이 턴테이블(60)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처킹 암(14) 및 개폐 셔터(13)가 머리를 내리도록 부동된다.
즉, 처킹 암(14)이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디스크 수납부(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그 구동 레버(38)의 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39)가 캠 플레이트(18)의 후퇴 동작에 의해 처킹용 캠부(77)의 상수평부(77a)로부터 경사부(77b)를 거쳐 하수평부(77c)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캠부(77)에 의해 롤러(39)의 높이 위치가 서서히 낮아지기 때문에, 암부(14a)가 밀려 내려지고, 그 선단부에 유지되고 있는 처킹 부재(40)가 턴테이블(60)에 근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이 대향된다. 그 결과, 턴테이블(60)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넷(59)에 의해 처킹 부재(40)가 흡착되고, 대경 디스크 D12가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로 상하로부터 협지된다.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의 처킹이 완료되고, 턴테이블(60)의 회전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가 일체적으로 회전 구동 된다.
이때, 캠 핀(48)이 제1 캠부(78a)의 깊숙한 곳에 설정된 탈출부(78a0)에 얹힘으로써, 지지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지 지부(47)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부(47)가 대경 디스크 D12로부터 이반하여 맞물림이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롤러(89)가 대경용 캠부(79a)의 깊숙한 곳에 설정된 탈출부(79a0)에 얹히기 때문에, 내측의 구동 롤러(85b) 및 고정 롤러(95b)가 다시 외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따라, 양 롤러(85b, 95b)가 대경 디스크 D12로부터 이반하여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대경 디스크 D12가 처킹 부재(40)와 턴테이블(60)만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 외주 에지가 구동 롤러(85b)나 고정 롤러(95b) 또는 디스크 지지부(47)에 슬라이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폐 셔터(13)가 압축 코일 스프링(37)에 의해 항상 앞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18)가 후퇴 동작함으로써 구동 레버(13d)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하여, 캠 플레이트(18)의 전단부에 형성한 캠부(74)를 거쳐 앞쪽으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개폐 셔터(13)가, 도 42에 나타내는 약간 상향의 상태로부터 도 44에 나타내는 약간 하향이 되는 상태로 변화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13a)의 하면이 메인 섀시(11)의 디스크 가이드부(29)에 눌리도록 접촉하고, 디스크 출입구(30)의 내측은 셔터부(13a)에 의해 간극없이 닫혀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유저가 잘못하여 2매째의 광 디스크 D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그 삽입 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2매째의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거쳐 로딩이 완료됨으로써, 그 후의 대경 디스크 D12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이 가능해 져, 그 기록이나 재생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정보 신호의 기록이나 재생 조작 후, 대경 디스크 D12를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배출하는 디스크 배출 동작(언로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예를 들면, 인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 배출 동작을 선택하면, 제2 구동 모터(101)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이것이 회전 구동 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4점이다.
이 경우, 제2 구동 모터(101)는 디스크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캠 플레이트(18)가 디스크 배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캠 플레이트(18)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 모터(201)와,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를 회전 구동 하는 제1 구동 모터(8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대경 디스크 D12의 언로딩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캠 플레이트(18)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캠 핀(48)이 제1 캠부(78a)로부터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지 레버(15)가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의해, 도 45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 지지부(47)가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에 맞물린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52)의 스프링 힘에 의한 디스크 지지부(47)의 가압력이 대경 디스크 D12의 삽입측 단부에 부여됨으로써,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캠 플레이트(18)의 전진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3 지연 시간 DT3가 경과한 후, 스위치 조작편(75)이 제8 검출 스위치 SW8로부터 이반하기 때문 에, 제8 검출 스위치 SW8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5점이다. 이 제8 검출 스위치 SW8의 전환 동작에 계속해서,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6점이다. 계속해서, 제7 검출 스위치 SW7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7점이다.
이 제7 검출 스위치 SW7이 오프로 전환된 후, 미리 설정된 제4 지연 시간 DT4가 경과한 부분에서,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 모터(101)가 정지되어, 캠 플레이트(18)의 전방에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제2 구동 모터(10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이 정지된 후, 미리 설정된 제5 지연 시간 DT5가 경과한 부분에서, 제1 구동 모터(84)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 경우, 제1 구동 모터(84)는 디스크 삽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구동 롤러(85a, 85b)가 전술한 회전 방향과 역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지지 레버(15)에 의해 앞쪽으로 가압되는 대경 디스크 D12의 배출측 외주 에지가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에 접촉된다. 그 결과, 구동 롤러(85b)의 역회전에 의해 대경 디스크 D12에는 로딩 때와는 역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며, 이에 따라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측으로 전동된다. 이 대경 디스크 D12를 전동시키는 기능이, 한 쌍의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와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와의 협동 작용을 거쳐,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에 계승되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 직경부가 한 쌍의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 사이로 들어감으로써, 구동측 롤러 조립체(20)의 조작체(87)에 의해, 먼저,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8점이다. 계속해서, 지지 레버(15)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편(15d)이 제5 검출 스위치 SW5로부터 이반되어, 제5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19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 직경부가 한 쌍의 뒤쪽 구동 롤러(85b) 및 뒤쪽 고정 롤러(95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조작체(87)가 이반되어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0점이다. 계속해서,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 직경부가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로 들어감으로써, 제4 검출 스위치 SW4가 다시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1점이다. 그리고, 대경 디스크 D12가 한 쌍의 앞쪽 구동 롤러(85a) 및 앞쪽 고정 롤러(95a)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제4 검출 스위치 SW5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다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2점이다.
그 후, 디스크 출입구(30)에 대경 디스크 D12가 도달하면,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가 디스크 출입구(30)의 좌우에 배치된 구동측 가이드 롤러(92c) 및 고정측 가이드 롤러(97c)를 함께 외측으로 밀어 넓힌다. 이에 따라, 검출 부재(92)의 조작핀(92b)이 제1 검출 스위치 SW1에 접촉되기 때문에,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3점이다.
이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 전환된 부분으로부터, 제1 구동 모터(84)의 회전을 제어하여 감속을 개시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DS의 경과 후, 제1 구동 모터(84)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3 검출 스위치 SW3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4점이다. 이에 따라,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 디스크 D12가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유저가 그 대경 디스크 D12를 손에 잡고 꺼낼 수 있다. 이 시점이 도 50에 나타내는 t25점이다.
이때, 유저가 대경 디스크 D12를 인출함으로써, 제1 검출 스위치 SW1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된다. 이 경우, 도 46 (A), (B) 및 도 48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셔터(13), 처킹 암(14), 조립체 홀더(16) 및 캠 플레이트(18)는 모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있어, 도 40 (A), (B)와 동일한 자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0)가 수납된 하우징(120)의 디스크 출입구(30)가 면하는 개구부(124)에는, 그 중앙부에서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원호 형상의 디스크 파지부(1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와 센터 구멍 d에 손가락을 걸어 간단히 꺼낼 수 있다. 그러므로, 광 디스크 D를 꺼낼 때에, 신호 기록면에 닿을 우려를 적게 할 수 있어, 유저가 신호 기록면에 닿는 것에 의한 오염이나 기름 등의 부착을 방지하여, 정보 신호의 확실한 기록, 재생을 확보할 수 있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부분에서, 다시 광 디스크 D가 삽입되어도 되도록, 다음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즉, 제2 검출 스위치 SW2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제6 검출 스위치 SW6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광 디스크 D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로딩 시 및 언로딩 시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D(D8, D12)가 게이트 부재(12)의 개구부(134, 140)에 삽입되면, 게이트 커버(138)의 절단면(143) 상하 절단면 에지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상하로부터 지지된다. 이 때, 광 디스크 D가 통과하기 위해 작용하는 저항력은 그 광 디스크 D가 통과하는 방향, 즉, 광 디스크 D가 로딩 상태에 있는지, 이와는 역인 언로딩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변화된다.
이 게이트 커버(138)에 의한 저항력의 변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 도 11 (A), (B) 및 (C) 이다. 이 도면 (A)는 광 디스크 D가 게이트 커버(138)를 통과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도면 (B)는 로딩 시, 이 도면 (C)는 언로딩 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로딩 시 및 언로딩 시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최대 외경부가 게이트 커버(138)의 소경용 지지편(138a)에 슬라이드 접촉되고, 또, 대경 디스크 D12의 최대 외경부가 게이트 커버(138)의 대경용 지지편(138b)에 슬라이드 접촉된다.
도 11 (B)에 나타내는 로딩 시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게이트 커버(138)의 소경용 지지편(138a)이 슬릿(145)을 중심으로 변형된다. 마찬가지로,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게이트 커버(138)의 대경용 지지편(138b)이 슬릿(145)을 중심으로 변형된다.
이 때,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의 변형을 방해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경용 지지편(138a) 또는 대경용 지지편(138b)은 슬릿(145)에서 직선적으로 크게 변형되고, 또한, 그 변형 부분이 슬릿(145)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으로부터 광 디스크 D(D8, D12)에 가해지는 저항력은 매우 작은 것이기 때문에, 광 디스크 D는 용이하게 절단면(143)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1 (C)에 나타내는 언로딩 시에는, 소경 디스크 D8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게이트 커버(138)의 소경용 지지편(138a)이 프레임(136)의 마스크 개구부(140)의 주위 에지를 시점으로 하여 만곡된다. 마찬가지로, 대경 디스크 D12의 외주 에지에 의해 게이트 커버(138)의 대경용 지지편(138b)이 프레임(136)의 마스크 개구부(140)의 주위 에지를 시점으로서 만곡된다. 이 때, 마스크 개구부(140)의 주위 에지로부터 광 디스크 D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슬릿(145)으로부터 광 디스 크 D의 표면까지의 거리 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은 슬릿(145)이 없는 부분에서 마스크 개구부(140)의 주위 에지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그 내부 저항이 크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소경용 지지편(138a) 및 대경용 지지편(138b)으로부터 광 디스크 D(D8, D12)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커진다. 그 결과, 광 디스크 D가 게이트 커버(138)의 절단면(143)을 통과할 때의 저항력이 커져, 광 디스크 D의 통과가 어렵게 된다. 이 게이트 커버(138)의 저항력에 의해 광 디스크 D가 지지되어, 디스크 출입구(30)로부터 광 디스크 D가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전술한 제1 이송 롤러인 구동 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21 (A) 및 (B)는 전술한 제2 이송 롤러인 고정 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동 롤러(130)는 구동체(131a)와 평형체(131b)와 완충체(132)를 가지며, 구동체(131aA)의 하면에는 기어부(1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130)의 완충체(132)는 그 외주면의 축방향 중도부에,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환형 홈(1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홈(132a)에서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받아들임으로써, 광 디스크 D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고정 롤러(135)는 고정체(136a)와 평형체(136b)와 완충체(137)를 가지 며, 고정체(130a)의 하부에는 다리편(13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 롤러(135)의 완충체(137)는 구동 롤러(130)의 완충체(13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외주면의 축방향 중도부에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가 둘레방향으로 연속되는 환형 홈(1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홈(137a)에서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를 받아들임으로써, 광 디스크 D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2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136a)에는 외축부(139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 외축부(139a)에 끼워 맞춰지는 내축부(139b)가 평형체(136b)에 형성되어 있다. 이 외축부(139a)와 내축부(139b)를 압입 등의 고착 수단에 의해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고정체(136a)와 평형체(136b)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축부(139a)에 대하여 완충체(137)가 압입 등의 수단에 의해 끼워 맞춰져, 회전 불능하게 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2 (A) 및 (B)는 본 발명에 관한 이송 롤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이송 롤러(140)는 광 디스크 D의 외주 에지와 접촉하는 완충체(141)만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이송 롤러(140)는 롤러 형상의 완충체(141)와, 이 완충체(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142)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142)는 상부를 가늘게 한 원추 형상의 하지지부(142a)와, 하부를 가늘게 한 원추 형상의 상지지부(142b)를 가지며, 양 지지부(142a, 142b) 사이에 간극 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 S 사이에 완충체(141)가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어 있다.
완충체(141)의 상하에는 각각 베어링 부재(143a, 143b)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 부재(143a, 143b)와 함께 하지지부(142a)로부터 상지지부(142b)까지 관통하는 회전축(144)에 의해 완충체(141)가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이송 롤러(14O)는 고정측 이송 롤러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완충체(141)를 고정하여 회전 불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기록(기입)과 재생(판독) 양쪽을 실행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보의 기록만을 실행하는 기록 전용 디스크 기록 장치 또는 정보의 재생만을 실행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경 8㎝의 광 디스크와 직경 12㎝의 광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른 사이즈의 광 디스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직경 방향 외주 에지에 닿는 것만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장착부와 디스크 출입구 사이로 이송시킬 수 있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면에 접촉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이물이 신호 기록면에 눌리거 나, 이물에 의해 신호 기록면이 손상되는 일이 없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한 쌍의 이송 롤러와 지지 레버와의 3점에서 확실하게 지지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정밀도 양호하게 이송할 수 있는 동시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의 판독이나 새로운 정보 신호의 기록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출입할 때 이외에는 디스크 출입구를 확실히 폐쇄하여 먼지가 하우징 내로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및 배출 시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 게이트 커버의 저항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삽입 시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한편, 배출 시에는 디스크 출입구의 중도부까지 나간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자중에 의해 디스크 출입구로부터 자유 낙하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그 직경 방향으로 협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이송 롤러와,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1 이송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 일부가 지지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와 협동(協動)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지지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중 제2 이송 롤러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으로 상기 제1 이송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회전력을 부여하고 전동시켜 이송하는 데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지지 레버로 지지하여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에 제공되는 디스크 장착부에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 장착부에 존재하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상기 지지 레버로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사이에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상기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 레버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주부로부터 이반(離反)하거나, 또는 걸어맞추어지도록 이동시키는 레버용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용 캠부는 대경 디스크용의 제1 캠부와, 소경 디스크용의 제2 캠부를 가지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직경에 따라 상기 지지 레버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이송 롤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양 지지 부재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이송 롤러 및 제2 이송 롤러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는 V자형 또는 U자형의 홈을 둘레 방향으로 연속시킨 홈부착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착 롤러의 홈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에지를 접촉시키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의 홈부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보다도 부드럽고 또한 마찰 계수가 큰 고무형 탄성체를 설치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롤러 및 제2 이송 롤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 배치하여 설치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롤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이송 롤러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착부는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 출입구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직경보다도 큰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장착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및 상기 지지 레버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탈출시켜 상기 한 쌍의 이송 롤러 및 지지 레버가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27016501A 2001-04-05 2002-04-05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KR100904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07506 2001-04-05
JP2001107506A JP3690300B2 (ja) 2001-04-05 2001-04-05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JP-P-2001-00142183 2001-05-11
JP2001142183A JP3690307B2 (ja) 2001-05-11 2001-05-11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PCT/JP2002/003459 WO2002082439A1 (fr) 2001-04-05 2002-04-05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sur di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9510A KR20030009510A (ko) 2003-01-29
KR100904244B1 true KR100904244B1 (ko) 2009-06-25

Family

ID=2661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01A KR100904244B1 (ko) 2001-04-05 2002-04-05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353522B2 (ko)
EP (2) EP1376568B1 (ko)
KR (1) KR100904244B1 (ko)
DE (2) DE60234916D1 (ko)
WO (1) WO2002082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0174B2 (ja) * 2001-04-09 2005-04-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4246970A (ja) * 2003-02-13 2004-09-0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ロットイン型再生記録装置
US20060212883A1 (en) * 2003-09-28 2006-09-21 Dongzuo Yang Slot-in disc loading system with various disc size compatibility
JP4179962B2 (ja) * 2003-10-20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20050198656A1 (en) * 2003-12-05 2005-09-08 Sony Corporation Disc drive device
KR20050079335A (ko) * 2004-02-05 2005-08-10 레이미디어 주식회사 초박형 슬롯인타입 드라이브 장치
JP3822615B2 (ja) * 2004-04-14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339772B2 (ja) * 2004-10-05 2009-10-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搬送装置
JP2006185565A (ja) * 2004-12-28 2006-07-13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275079B2 (ja) * 2005-01-20 2009-06-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TWI320924B (en) * 2005-02-02 2010-02-21 Teac Corp Disc device
DE102005019066B3 (de) * 2005-04-23 2006-06-22 Preh Gmbh CD-Schacht Abdeckung
JP2007265521A (ja) * 2006-03-28 2007-10-11 Orion Denki Kk 記録再生装置
JP4784415B2 (ja) * 2006-07-06 2011-10-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TWI322411B (en) * 2006-08-24 2010-03-21 Quanta Storage Inc Slot-in disk drive device and method
JP2009176385A (ja) 2008-01-28 2009-08-06 Sharp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10009678A (ja) * 2008-06-27 2010-01-14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トレイとトレイ飾りとの取付け構造
CN101944383B (zh) * 2009-07-07 2014-05-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碟机
TWI420517B (zh) * 2009-07-08 2013-12-21 Hon Hai Prec Ind Co Ltd 光碟機
KR101316032B1 (ko) * 2011-10-24 2013-10-07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1806359B1 (ko) * 2012-01-11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노출형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559A (ja) * 1995-06-14 1996-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ピックアップ駆動装置
JPH11120658A (ja) 1997-10-17 1999-04-30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H11328799A (ja) 1998-05-11 1999-11-30 Nakamichi Corp ディスク移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9745B (en) * 1980-02-15 1985-02-06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dis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of recording-disc playback apparatus
CA1204859A (en) * 1982-12-12 1986-05-20 Nobuyuki Hara Loading apparatus for a disc
AU564899B2 (en) * 1983-10-27 1987-08-27 Sony Corporation Compact disk player
BE901937A (fr) * 1985-03-14 1985-07-01 Staar Sa Dispositif d'insertion et d'ejection automatique de supports d'informations.
US4862320A (en) 1987-09-14 1989-08-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ack for circuit boards of an electrical system
DE19516733A1 (de) 1995-05-06 1996-11-07 Philips Patentverwaltung Lademechanismus
JP3670716B2 (ja) * 1995-06-13 2005-07-1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シャッター防塵構造
JPH09297982A (ja) * 1996-05-02 1997-11-18 Alps Electric Co Ltd 記録再生装置
HU220927B1 (en) * 1996-05-02 2002-06-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ading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information disc into/from an information-technology apparatus
US6219325B1 (en) * 1996-06-10 2001-04-17 Teac Corporation Supporting arrangement for the insertion and ejection of a recording medium in a reproducing apparatus
JP2000113659A (ja) 1998-09-30 2000-04-21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TW430782B (en) * 1999-02-12 2001-04-21 Acer Peripherals Inc Trigger mechanism of eject device for disk players
JP3856604B2 (ja) * 1999-09-02 2006-12-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収納装置
JP4005747B2 (ja) * 1999-09-2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扉装置
JP3583065B2 (ja) * 2000-10-13 2004-10-27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20060130081A1 (en) * 2002-05-20 2006-06-15 Sony Corporation Disc loading device
JP2005203033A (ja) * 2004-01-15 2005-07-28 Shinwa Co Ltd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559A (ja) * 1995-06-14 1996-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ピックアップ駆動装置
JPH11120658A (ja) 1997-10-17 1999-04-30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JPH11328799A (ja) 1998-05-11 1999-11-30 Nakamichi Corp ディスク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9582A2 (en) 2006-05-24
KR20030009510A (ko) 2003-01-29
EP1659582B1 (en) 2010-02-17
US20030174627A1 (en) 2003-09-18
US20050223399A1 (en) 2005-10-06
DE60235414D1 (de) 2010-04-01
EP1376568B1 (en) 2009-12-30
EP1659582A3 (en) 2006-05-31
EP1376568A1 (en) 2004-01-02
DE60234916D1 (de) 2010-02-11
EP1376568A4 (en) 2005-05-04
US7353522B2 (en) 2008-04-01
US7363636B2 (en) 2008-04-22
WO2002082439A1 (fr)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44B1 (ko)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KR100886884B1 (ko)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US6463025B1 (en) Disk recorder or player for automatic front side insertion and ejection of disks
EP1465179A1 (en) Disc apparatus
JP3685047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69030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690307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9204765A (ja) Cd−romプレーヤ装置
US6157605A (en) Optical disc apparatus
JP4348874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164929A (en) Stopper for trays in a magazine of a cd player
US8056097B2 (e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205798A1 (en) Traverse unit positioning structure in disc apparatus
US20050262523A1 (en) Disk drive
US7231648B2 (en) Disk holding apparatus, and disk apparatus
JP2002358769A (ja) 電子機器
JPH08287626A (ja) 送り機構
JP3412374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84412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087115B2 (ja)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
JP200800420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960035524A (ko) 광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장치
JPH06259862A (ja) ディスク装置
JP2006318566A (ja) ディスク装置
JPWO2009037771A1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