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128B1 -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 Google Patents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128B1
KR100900128B1 KR1020070107121A KR20070107121A KR100900128B1 KR 100900128 B1 KR100900128 B1 KR 100900128B1 KR 1020070107121 A KR1020070107121 A KR 1020070107121A KR 20070107121 A KR20070107121 A KR 20070107121A KR 100900128 B1 KR100900128 B1 KR 10090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lower electrode
upper electrode
piezoelectr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546A (ko
Inventor
모또아끼 하라
도끼히로 니시하라
마사노리 우에다
고 엔도
Original Assignee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4Membra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86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118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lateral leakage between adjacent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3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3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03H9/132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3Air-ga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03H9/566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568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2003/02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the resonators or networks being of the membran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공진부로부터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41)의 공극(46) 상에 설치된 하부 전극(43)과, 하부 전극(43) 상에 형성된 압전막(44)과, 압전막(44)을 사이에 두고 하부 전극(43)과 대향하는 공진부(47)를 갖도록 압전막(44)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45)을 구비하고,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은, 공극(46) 상에 공진부(47)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48)를 갖고,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은,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작은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이다.
기판, 공극, 하부 전극, 상부 전극, 공진부, 압전막

Description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AND FIL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공진 부하에 공극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무선 기기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소형이면서 경량인 공진기 및 이를 조합하여 구성한 필터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하여 유전체와 표면 탄성파(SAW) 필터가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특히 고주파에서의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소형화와 모노리식화가 가능한 소자인 압전 박막 공진기 및 이를 이용하여 구성된 필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압전 박막 공진기의 하나로서, FBAR(Film Bulk Acoustic Resonator) 타입의 공진기가 알려져 있다. FBAR은, 기판 상에 상부 전극과 압전막과 하부 전극과의 적층 구조체(복합막)를 갖고,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부분의 하부 전극 아래에는 진동 에너지의 기판에의 산일을 방지하기 위해 비어 홀 혹은 캐비티(공극)를 갖고 있다. 또한, 하부 전극 아래에 유전체막을 경유하여 공 극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비어 홀은 소자 기판으로서 이용되는 예를 들면 Si 기판을 이면으로부터 에칭함으로써 형성되고, 캐비티는 기판 표면의 희생층 패턴 상에 복합막 등의 공진자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희생층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공극으로서 비어 홀 및 캐비티를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이하에서는 각각 비어 홀 타입 및 캐비티 타입이라 부른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고주파의 전기 신호를 인가하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끼워진 압전막 내부에, 역압전 효과에 의해 여진되는 탄성파나 압전 효과에 기인하는 왜곡에 의해 생기는 탄성파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 탄성파가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탄성파는,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이 각각 공기에 접하고 있는 면에서 전반사되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주변위를 갖는 두께 세로 진동파로 된다. 이 소자 구조에서는, 공극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 압전막 및 하부 전극으로 이루어지 적층 구조체의 합계 막 두께 H가, 탄성파의 1/2 파장의 정수배(n배)로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일어난다. 탄성파의 전반 속도 V는 재료에 의해 정해지고, 공진 주파수 F는 F=nV/2H로 주어진다. 이와 같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면 막 두께를 파라미터로 하여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공진기나 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으로서는,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텅스텐(W), 탄탈(Ta), 백금(Pt), 루테늄(Ru), 로듐(Rh), 이리듐(Ir), 크롬(Cr), 티탄(Ti) 등의 금속 재료 혹은 이들 금속을 조합한 적층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전막으로서는 질화 알루미늄(AlN), 산화 아연(ZnO), 티탄산 지르콘산 납(PZT), 티탄산 납(PbTiO33)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성막 시에 (002) 방향으로 배향축을 갖는 질화 알루미늄(AlN) 및 산화 아연(ZnO)은 압전막에 바람직하다. 기판으로서는 실리콘(Si), 글래스, 비화 갈륨(GaA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비어 홀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로, 열산화막(SiO2)(12)을 갖는 (100) Si 기판(11) 상에, 하부 전극(13)으로서 Au-Cr막, 압전막(14)으로서 ZnO막 및 상부 전극(15)으로서 Al막이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적층 구조체의 하방에는 공극(비어 홀)(16)이 형성되어 있다. 공극(16)은 (100) Si 기판(11)의 이면측으로부터, KOH 수용액 혹은 EDP 수용액(에틸렌디아민과 피로카테콜과 물의 혼합액)을 이용한 이방성 에칭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캐비티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로, 열산화막(SiO2)(22)을 갖는 기판(21) 상에, 하부 전극(23), 압전막(24) 및 상부 전극(25)이 형성되는 적층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적층 구조체의 하방에는 공극(캐비티)(26)이 형성되어 있다. 공극(26)은 기판(21) 상에, 미리 아일랜드(섬) 형상의 ZnO의 희생층 패턴을 형성해 두고, 희생층 패턴 상에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고, 적층 구조체의 하방에 있는 희생층을 예를 들면 산 등의 에칭액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 압전막(14, 24)을 사이에 두고 하부 전극(13, 23)과 상부 전극(15, 25)이 대향하는 영역이 공진부이다. 진동 에너지를 공진부 내에 가둠으로써, 높은 퀄리티 팩터 Q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공극(36)을 갖는 기판(31) 상에 형성된 공진부(37) 주변의 진동 매체(하부 전극(33), 압전막(34) 및 상부 전극(35))를 제거함으로써 높은 퀄리티 팩터 Q를 얻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60-18930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8993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Electron. Lett., 1981년,17권, 507-509 페이지
특허 문헌 2에 따른 공진기에서도, 공진부(37)의 상부 전극(35a)으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38)의 상부 전극(35b) 및 상부 전극(35b) 아래의 압전막(34)을 전하여 진동 에너지가 주변부에 산일되게 된다. 이에 의해 퀄리티 팩터 Q가 저하되게 된다. 배선부(38)의 압전막(34)을 제거함으로써, 공진부(3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배선부(38)의 압전막(34)을 제거하는 경우,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한 것으로 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부로부터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의 공극 상 또는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압전막과,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는 공진부를 갖도록 상기 압전막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극 상에 상기 공진부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를 갖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에서의 상기 압전막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상기 공진부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부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배선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막 두께는 상기 공진부의 막 두께보다 작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배선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밀도는 상기 공진부의 밀도보다 작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에 개구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압전막과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압전막은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AlN 또는 ZnO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양호한 공진 특성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갖는 필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부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성능인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부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a)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공극(46)을 갖는 실리콘 기판(41) 상에 Ru로 이루어지는 하부 전극(43), 하부 전극(43) 상에 AlN으로 이루어지는 압전막(44), 압전막(44) 상에 Ru로 이루어지는 상부 전극(4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압전막(44)을 사이에 두고 하부 전극(43)과 상부 전극(45)이 대향하는 영역이 공진부(47)이다.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은, 공극(46) 상에 공진부(47)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48)를 갖고 있다.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의 막 두께 t2는 공진부(47)의 상부 전극(45a)의 막 두께 t1보다 얇다. 하부 전극(43)의 두께는 약 250㎚, 압전막(44)의 두께는 약 1㎛, 공진부(47)의 상부 전극(45a)의 두께는 약 250㎚,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의 두께는 약 75㎚이다. 공진부(47)의 크기는 예를 들면 50∼200㎛, 배선부(48)는 예를 들면 1∼20㎛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7(b)은,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5(a)를 참조로, (100) 컷트의 Si로 이루어지는 기판(41)을 준비한다. 도 5(b)를 참조로, 기판(41) 상에 Ru로 이루어지고 막 두께가 약 250㎚인 하부 전극(43)을 0.6∼1.2㎩의 Ar 가스 분위기 속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도 5(c)를 참조로, 노광 기술과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하부 전극(43)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도 5(d)를 참조로, 하부 전극(43) 및 기판(41) 상에,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AlN막으로 이루어지고 막 두께가 약 1㎛인 압전막(44)을, 약 0.3㎩의 압력의 Ar/N2 혼합 가스 분위기 속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도 6(e)를 참조로, 압전막(44) 상에 Ru로 이루어지고 막 두께가 약 250㎚인 상부 전극(43)을 0.6∼1.2㎩의 Ar 가스 분위기 속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도 6(f)를 참조로, 노광 기술과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상부 전극(45)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압전막(44)을 사이에 두고 하부 전극(43)과 상부 전극(45)이 겹치는 영역이 공진부(47)이다. 도 6(g)를 참조로, 공진부(47) 이외의 상부 전극(45)을 에칭하고, 두께를 약 75㎚로 한다.
도 7(h)를 참조로, 노광 기술과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압전막(44)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도 7(i)를 참조로, 기판(41)을 배면으로부터 드라이 에칭하여, 공진부(47)를 포함하도록 기판(41)에 공극(46)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공진부(47)의 주변의 공극(46) 상의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이, 공진부(47)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48)로 된다.
도 5(a)에서, 기판(41)은, 실시예 1에서 이용한 Si 기판 이외에도 예를 들면 석영 기판, 글래스 기판, GaAs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6(e)에서,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으로서는, 실시예 1에서 이용한 Ru 이외에도 배경 기술에서 예시한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에 실시예 1과 측정을 비교한 비교예 1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을 참조로, 비교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는 상부 전극(45)의 막 두께가 공진부(47) 및 배선부(48) 모두 약 250㎚이며, 동일하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에 대해 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한 압전 박막 공진기의 공진부(47)의 크기는 약 62㎛×87㎛, 배선부(48)의 길이는 약 2㎛이다. 도 9(a) 및 도 9(b)는 비교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의 각각 크기 |Z| 및 각도 ∠Z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의 각각 크기 및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를 참조로, 비교예 1에서는 공진 주파수의 퀄리티 팩터 Qr은 824에 대해 반공진 주파수의 퀄리티 팩터 Qa는 153으로 작다. 한편, 도 10(a)를 참조로, 실시예 1에서는 공진 주파수의 Qr은 826, 반공진 주파수의 Qa는 762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대해, |Z|의 Qa가 개선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도 9(b) 및 도 10(b)를 참조로, 비교예 1에 대해 실시예 1의 반공진 주파수의 ∠Z의 변화가 급준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반공진 주파수의 퀄리티 팩터 Qa를 개선할 수 있었 다.
실시예 1에서, 반공진 주파수의 퀄리티 팩터 Qa가 개선된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 대해, 탄성파의 진동 모드의 분산 특성을 계산하였다. 도 11(a) 및 도 11(b)는 비교예 1의 각각 공진부(47) 및 배선부(48)에서의 탄성파의 진동 모드의 분산 특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종축은 여진 주파수, 횡축은 각 진동 모드의 가로 방향에의 진동의 전반 상수를 파수(k)로 나타내고 있다. 횡축은 2개의 상한을 나타내고 있고, 우측이 실수 영역, 좌측이 허수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진동 모드의 전반 상수가 실수 영역에 있는 주파수의 탄성파는 전반 또는 산일하는 것을 나타내고, 허수 영역에 있는 주파수의 탄성파는 반사하여 전반 또는 산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a)를 참조로, 공진부(47)에서, 전반 상수가 실수 영역과 허수 영역 사이의 0으로 되는 점 A의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이다. 한편, 반공진 주파수는 점 A'이다. 도 11(b)를 참조로, 배선부(48)에서는 하부 전극(43)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산 특성이 공진부(47)와 약간 다르며, 공진부(47)의 공진 주파수 근방의 탄성파의 전반 상수는 실수 영역의 C에 있다. 따라서, 공진부(47)에서 공진한 탄성파의 진동 에너지는 배선부(48)를 통해 주변에 산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퀄리티 팩터 Q는 저하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실시예 1의 각각 공진부(47) 및 배선부(48)에서의 탄성파의 진동 모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a)를 참조로, 공진부(47)의 분산 특성은 비교예 1의 도 11(a)와 동일하다. 도 12(b)를 참조로, 배선부(48)에서 는 상부 전극(45)의 막 두께가 공진부(47)에 비해 얇다. 이 때문에, 하측의 진동 모드의 분산 특성이 고주파측에까지 미친다. 즉,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해 차단 주파수 B점이 고주파측으로 된다. 차단 주파수 B가 공진 주파수 A보다 고주파측으로 되면, 공진부(47)의 공진 주파수 근방의 탄성파의 전반 상수는 허수 영역 D로 된다. 따라서, 공진부(47)에서 공진한 탄성파의 진동 에너지는 배선부(48)에서 반사되어 주변에 산일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퀄리티 팩터 Q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2(a)의 공진 주파수 A점에서는, 각주파수ωA는 수학식 1의 관계가 있다.
Figure 112007076102388-pat00001
한편, 도 11(b) 및 도 12(b)의 차단 주파수 B점에서, 각주파수ωB는 수학식 2의 관계가 있다.
Figure 112007076102388-pat00002
수학식 1, 수학식 2에서,h는 압전막(44)의 두께, ρ는 압전막(44)의 밀도, c33, c44는 압전막(44)의 스티프니스, e33은 압전막(44)의 압전 계수, ε33은 압전막(44)의 유전률이다. 또한,M', M''는 각각 공진부(47) 및 배선부(48)에서, 압전막(44)에 부하되는 단위 면적당의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의 질량이다. 상부 전극(45)이 단층인 경우, 상부 전극(45)의 밀도를 ρ'로 하고, 공진부(47)에서의 상부 전극(45a)의 막 두께를 t1, 배선부(48)에서의 상부 전극(45b)의 막 두께를 t2로 한다. 이 때 M'=ρ't1, M''=ρ't2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퀄리티 팩터 Q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공진 주파수 A점으로부터 차단 주파수 B점이 고주파측에 있는 것, 즉 ωAB가 조건으로 된다.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의 막 두께 t2가 공진부(47)의 상부 전극(45a)의 막 두께 t1보다 작은 것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는 M'<M''인 것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서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a)의 막 두께 t2가 공진부(47)의 상부 전극(45b)의 막 두께 t1보다 작은 경우에 Q가 개선된 이유는, 상부 전극(45)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가 상부 전극(45)의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은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간단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어, 퀄리티 팩터 Q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선부(48)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의 상부 전극(45a)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작으면, 상기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2>
도 13을 참조로, 실시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기판(41)에는 공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공진부(47)의 하부 전극(43)은 기판(41)과의 사이에 공극(46a)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극(46a)은 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도 4(b)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서도, 상부 전극(45)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가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기 때문에,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4를 참조로, 실시예 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는, 상부 전극(45)의 막 두께는 공진부(47)와 배선부(48)에서 동일하고, 배선부(48)에서의 하부 전극(43b)이 공진부(47)에서의 하부 전극(43a)보다 얇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도 4(b)와 동일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3과 같이,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가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으면,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5를 참조로, 실시예 4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는, 배선부(48)의 하부 전극(43b)은 공진부(47)에 비해 밀도가 낮은 재료(53)를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 로,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은 밀도가 낮은 재료(55)를 포함하고 있다. 재료(53과 55)로서는 예를 들면 Al(알루미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의 배선부(48)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밀도가 공진부(47)의 밀도보다 작음으로써, 하부 전극(43)과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를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로, 실시예 5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는, 상부 전극(45b)은 배선부(48)에 개구부(50)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이 배선부(48)에 개구부(50)를 가짐으로써,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를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50)의 크기가 탄성파의 파장보다 작은 경우, 개구부가 기계 진동을 방해하는 효과가 작아진다. 따라서, 개구부(50)의 크기 d는 탄성파의 파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17을 참조로, 실시예 5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는,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이 압전막(44)에 접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의해, 압전막(44)과 상부 전극(45) 사이에 공간(5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은, 배선부(48)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압전막(44)과 공간(58)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의 배선부(48)에서의 압전막(44)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를 공진부(47)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 M'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진부(47)의 진동 에너지의 산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은,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모두 공진부(47)로부터 신호를 인출하는 영역이 공극(46) 상에 형성되어 배선부(48)를 형성하고 있다. 공극(46) 상에 형성되는 배선부(48)는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중 적어도 한쪽에 갖고 있으면 된다. 만약, 공진부와 공극(46)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제조 시의 하부 전극(43), 상부 전극(45) 및 공극(46)을 형성하는 정밀도를 고려하면, 공진부(47)의 일부가 기판의 바로 위에 접하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하면, 공진부(47)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특성이 열화되게 된다. 따라서, 공극(46)은 공진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 모두 공극(46) 상에 배선부(4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전극(43) 상의 배선부(48)에는 압전막(44)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공극(46) 상에 하부 전극(43)만이 설치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공극(46) 상에는 압전막(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 압전막(44)으로서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나타내는 질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아연을 이용함으로써, 양호한 공진 특성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실시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가 복수 조합하여 구성된 필터의 예이다. 도 18(a)는 실시예 7에 따른 필터의 상면도, 도 18(b)는 도 18(a)의 A'-A' 단면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2의 도 13과 마찬가지이며, 실시예 2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a)를 참조로, 실시예 7의 필터는 래더형 필터이며, 직렬 아암 공진기 S1 내지 S4가 입출력 패드(52a, 52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병렬 아암 공진기 P1 내지 P3이 그라운드 패드(52c)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도 18(b)를 참조로, 각 공진기 모두, 공진부(47)의 주변의 배선부(48)의 상부 전극(45b)의 막 두께가 공진부(47)의 상부 전극(45a)의 막 두께보다 작다.
실시예 7에 따르면, 압전 박막 공진기의 퀄리티 팩터 Q의 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고성능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7은 실시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를 갖는 필터의 예이었지만, 실시예 1,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의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발휘하지만, 모든 공진기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중 어느 하나의 압전 박막 공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더형 필터 이외의 필터에 실 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ㆍ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3(a)는 종래예 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 단면도.
도 4(a)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의 모식도(그 1).
도 6(e) 내지 도 6(g)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의 모식도(그 2).
도 7(h) 및 도 7(i)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의 모식도(그 3).
도 8은 비교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비교예 1의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1의 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비교예 1의 탄성파의 분산 특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2(a) 및 도 12(b)는 실시예 1의 탄성파의 분산 특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16(a)는 실시예 5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16(b)는 단면도.
도 17은 실시예 6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18(a)는 실시예 7에 따른 필터의 평면도, 도 18(b)는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기판
13, 23, 33, 43 : 하부 전극
14, 24, 34, 44 : 압전 박막
15, 25, 35, 45 : 상부 전극
16, 26, 36, 46 : 공극
47 : 공진부
48 : 배선부
50 : 개구부
58 : 공간

Claims (7)

  1. 기판의 공극 상 또는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설치된 압전막과,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는 공진부를 갖도록 상기 압전막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극 상에 상기 공진부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를 갖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에서의 상기 압전막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상기 공진부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작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상기 배선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밀도는 상기 공진부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2. 삭제
  3. 기판의 공극 상 또는 기판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설치된 압전막과,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부 전극과 대향하는 공진부를 갖도록 상기 압전막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극 상에 상기 공진부로부터 신호를 빼내기 위한 배선부를 갖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에서의 상기 압전막에 접하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상기 공진부에서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보다 작고,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배선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압전막과 공간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은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AlN 또는 Zn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5. 제1항 또는 제3항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갖는 필터.
  6. 삭제
  7. 삭제
KR1020070107121A 2006-10-25 2007-10-24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900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0495 2006-10-25
JP2006290495A JP4838093B2 (ja) 2006-10-25 2006-10-25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546A KR20080037546A (ko) 2008-04-30
KR100900128B1 true KR100900128B1 (ko) 2009-06-01

Family

ID=3939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121A KR100900128B1 (ko) 2006-10-25 2007-10-24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02101B2 (ko)
JP (1) JP4838093B2 (ko)
KR (1) KR100900128B1 (ko)
CN (1) CN101170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1876B2 (en) 2004-11-15 2015-03-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Piezoelectric resonator structures and electrical filters having frame elements
US7791434B2 (en) * 2004-12-22 2010-09-07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selective metal etch and having a trench in the piezoelectric
US8237425B1 (en) * 2006-05-26 2012-08-07 Altera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with high noise rejection
JP4870541B2 (ja) * 2006-12-15 2012-02-08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JP5191762B2 (ja) * 2008-03-06 2013-05-08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通信装置
US8487719B2 (en) * 2008-04-29 2013-07-16 Triquint Semiconductor, Inc.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US20100277034A1 (en) * 2009-03-11 2010-11-04 Rajarishi Sinha Array of baw resonators with mask controlled resonant frequencies
US8902023B2 (en) 2009-06-24 2014-12-0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structure having an electrode with a cantilevered portion
US9673778B2 (en) 2009-06-24 2017-06-0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olid mount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structure comprising a bridge
US8248185B2 (en) * 2009-06-24 2012-08-2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structure comprising a bridge
US9520856B2 (en) 2009-06-24 2016-12-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structure having an electrode with a cantilevered portion
WO2011036979A1 (ja) * 2009-09-28 2011-03-31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
US8692631B2 (en) * 2009-10-12 2014-04-08 Hao Zhang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5319491B2 (ja) * 2009-10-22 2013-10-16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
US9219464B2 (en) 2009-11-25 2015-12-2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wave (BAW) resonator structure having an electrode with a cantilevered portion and a piezoelectric layer with multiple dopants
US9450561B2 (en) 2009-11-25 2016-09-2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wave (BAW) resonator structure having an electrode with a cantilevered portion and a piezoelectric layer with varying amounts of dopant
US8796904B2 (en) 2011-10-31 2014-08-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piezoelectric layer and inverse piezoelectric layer
US9243316B2 (en) 2010-01-22 2016-01-2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 of fabricating piezoelectric material with selected c-axis orientation
CN101908865B (zh) * 2010-08-20 2014-02-12 庞慰 体波谐振器及其加工方法
KR101708893B1 (ko) * 2010-09-0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체적 음향 공진기 구조 및 제조 방법
US8962443B2 (en) 2011-01-31 2015-02-2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airbrid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588889B2 (ja) * 2011-02-08 2014-09-10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フィルタ
US9136818B2 (en) 2011-02-28 2015-09-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US9154112B2 (en) 2011-02-28 2015-10-0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upled resonator filter comprising a bridge
US9099983B2 (en) 2011-02-28 2015-08-0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device comprising a bridge in an acoustic reflector
US9048812B2 (en) 2011-02-28 2015-06-0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comprising bridge formed within piezoelectric layer
US9083302B2 (en) 2011-02-28 2015-07-1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and an acoustic reflector along a perimeter of the resonator
US9425764B2 (en) 2012-10-25 2016-08-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coustic resonator having composite electrodes with integrated lateral features
US9203374B2 (en) 2011-02-28 2015-12-0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US9148117B2 (en) 2011-02-28 2015-09-2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upled resonator filter comprising a bridge and frame elements
US9490771B2 (en) 2012-10-29 2016-11-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collar and frame
US9490418B2 (en) 2011-03-29 2016-11-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collar and acoustic reflector with temperature compensating layer
US8575820B2 (en) 2011-03-29 2013-11-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US9401692B2 (en) 2012-10-29 2016-07-2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having collar structure
US9444426B2 (en) 2012-10-25 2016-09-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coustic resonator having integrated lateral feature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feature
JP2012244616A (ja) 2011-05-24 2012-12-10 Taiyo Yuden Co Ltd 圧電薄膜共振子、フィルタおよびモジュール
US8350445B1 (en) 2011-06-16 2013-01-08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non-piezoelectric layer and bridge
JP2013138425A (ja) * 2011-12-27 2013-07-1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ブリッジを備えるソリッドマウントバルク音響波共振器構造
US9608592B2 (en) 2014-01-21 2017-03-2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Film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FBAR) having stress-relief
US9385684B2 (en) 2012-10-23 2016-07-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having guard ring
US9634642B2 (en) * 2014-05-30 2017-04-2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vertically extended acoustic cavity
KR102058029B1 (ko) 2014-09-30 2019-12-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래더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JP6368214B2 (ja) * 2014-10-03 2018-08-01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
KR101843244B1 (ko) * 2016-02-17 2018-05-14 삼성전기주식회사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JP6757594B2 (ja) * 2016-05-18 2020-09-23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CN109690946B (zh) * 2016-09-13 2023-01-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弹性波滤波器装置、多工器、高频前端电路及通信装置
KR101867285B1 (ko) * 2016-09-21 2018-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음향 공진기 및 필터
US10797676B2 (en) 2017-09-15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Acoustic resonator with enhanced boundary conditions
JP7290941B2 (ja) * 2018-12-27 2023-06-14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US10879872B2 (en) 2019-04-19 2020-12-29 Akoustis, Inc. BAW resonators with antisymmetric thick electrodes
CN111756346B (zh) * 2020-05-19 2021-08-24 见闻录(浙江)半导体有限公司 一种固态装配谐振器的联接结构及制作工艺
CN114978094A (zh) * 2022-05-16 2022-08-30 武汉敏声新技术有限公司 一种体声波谐振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84A (ko) * 2001-10-26 2003-05-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압전 박막 공진자, 필터, 및 압전 박막 공진자의 제조 방법
JP2006109402A (ja) * 2004-09-07 2006-04-20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307A (ja) 1984-03-09 1985-09-26 Toshiba Corp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1382C (zh) * 1998-01-16 2004-10-13 三菱电机株式会社 薄膜压电元件
EP1078453B1 (de) * 1998-05-08 2003-04-16 Infineon Technologies AG Dünnfilm-piezoresonator
JP2001211052A (ja) * 2000-01-26 2001-08-03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
GB0012439D0 (en) * 2000-05-24 2000-07-12 Univ Cranfield Improvements to filters
GB0014963D0 (en) * 2000-06-20 2000-08-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bulk acoustic wave device
JP4039322B2 (ja) * 2002-07-23 2008-0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複合圧電共振器および通信装置、並びに、圧電フィルタの周波数調整方法
JP4128836B2 (ja) * 2002-09-27 2008-07-30 Tdk株式会社 薄膜圧電共振子、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
JP4223428B2 (ja) * 2004-03-31 2009-02-1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19935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薄膜圧電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20020A (ja) * 2004-07-01 2006-01-19 Nippon Dempa Kogyo Co Ltd 水晶振動子
JP4535841B2 (ja) 2004-10-28 2010-09-01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
JP4435049B2 (ja) * 2005-08-08 2010-03-17 株式会社東芝 薄膜圧電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6461B2 (ja) * 2005-10-12 2011-08-24 宇部興産株式会社 窒化アルミニウム薄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薄膜共振子
EP1944866B1 (en) * 2005-11-04 2011-12-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Piezoelectric thin film reson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84A (ko) * 2001-10-26 2003-05-0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압전 박막 공진자, 필터, 및 압전 박막 공진자의 제조 방법
JP2006109402A (ja) * 2004-09-07 2006-04-20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2101B2 (en) 2009-10-13
KR20080037546A (ko) 2008-04-30
JP2008109414A (ja) 2008-05-08
JP4838093B2 (ja) 2011-12-14
CN101170303A (zh) 2008-04-30
CN101170303B (zh) 2011-09-14
US20080143215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128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922475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JP4024741B2 (ja) 圧電薄膜共振子及びフィルタ
US7965015B2 (en) Lamb wave device
KR100771345B1 (ko)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JP5147932B2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5319491B2 (ja) 圧電薄膜共振子
KR101242314B1 (ko) 압전 박막 공진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회로 부품
JP4721779B2 (ja) 音響共振器
JP5904591B2 (ja) 弾性波デバイス
KR100819669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JP4149444B2 (ja)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
JP5100849B2 (ja) 弾性波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12135B2 (en) Acoustic wave filter and duplexer
JP6185292B2 (ja) 弾性波デバイス
JP2005073175A (ja)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77810A (ja) フィルタ
JP2005033775A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7481B2 (ja) フィルタ
JP2009188939A (ja) 薄膜バルク波共振器
TW202310460A (zh) 體聲波共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