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669B1 -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 Google Patents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669B1
KR100819669B1 KR20060104353A KR20060104353A KR100819669B1 KR 100819669 B1 KR100819669 B1 KR 100819669B1 KR 20060104353 A KR20060104353 A KR 20060104353A KR 20060104353 A KR20060104353 A KR 20060104353A KR 100819669 B1 KR100819669 B1 KR 10081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er electrode
piezoelectric
substrate
piezoelectric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0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945A (ko
Inventor
신지 다니구찌
쯔요시 요꼬야마
모또아끼 하라
다께시 사까시따
준 쯔쯔미
마사후미 이와끼
도끼히로 니시하라
마사노리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3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03H9/132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86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133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stre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3Air-ga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03H9/566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568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2003/02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the resonators or networks being of the air-gap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41) 상에 설치된 하부 전극(43)과, 하부 전극(43) 상에 설치된 압전막(44)과, 압전막(44)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45)과, 압전막(44)을 사이에 두는 하부 전극(43)과 상부 전극(45)과의 중첩 영역인 멤브레인 영역과, 기판(41)과 하부 전극(43) 사이에 설치된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을 갖고, 공극(46)의 기판면 상에의 투영 영역은 멤브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이다.
압전막, 멤브레인 영역, 이온 밀링 기술, 에칭액, 스퍼터링법, 석영 기판, 실리콘 기판, 압전 박막 공진기

Description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AND FILTER}
도 1은 종래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예 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예 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단면도.
도 4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의 B-B 단면도.
도 5의 (a) 내지 도 5의 (h)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멤브레인 영역과 희생층 또는 공극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도시한 도면.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실시예 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의 (a)는 실시예 2에 따른 필터의 평면도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의 A'-A'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필터의 통과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기판
13, 23, 33, 43 : 하부 전극
14, 24, 34, 44 : 압전 박막
15, 25, 35, 45 : 하부 전극
16, 26, 36, 46 : 공극
47 : 구멍부
48 : 희생층
49 : 도입로
50 : 멤브레인 영역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소 60-18930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0-69594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Electron.Lett., 1981년, 17권, 507-509페이지
본 발명은,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돔 형상의 공극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에 대표되는 무선 기기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소형이며 경량인 공진기 및 이것을 조합하여 구성한 필터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유전체와 표면 탄성파(SAW) 필터가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서는, 특히 고주파에서의 특성이 양호하며, 또한 소형화와 모놀리식화가 가능한 소자인 압전 박막 공진기 및 이것을 이용하여 구성된 필터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압전 박막 공진기의 하나로서, FBAR(Film Bulk Acoustic Resonator) 타입의 공진기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기판 상에, 주요 구성 요소로서, 상부 전극막과 압전막과 하부 전극막의 적층 구조체(복합막)를 갖고,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부분의 하부 전극 아래에는 공극(비어 홀 혹은 캐비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극은, 소자 기판으로서 이용되는 Si 기판을 이면으로부터 에칭(웨트 에칭이나 드라이 에칭)함으로써 형성되거나, 혹은, Si 기판의 표면에 설치한 희생층을 웨트 에칭하거나 하여 형성된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고주파의 전기 신호를 인가하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끼워진 압전막 내부에, 역압전 효과에 의해 여진되는 탄성파나 압전 효과에 기인하는 왜곡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파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들 탄성파가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탄성파는, 상부 전극(막)과 하부 전극(막)이 각각 공기에 접하고 있는 면에서 전반사되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주변위를 갖는 두께 세로 진동파로 된다. 이 소자 구조에서는, 공극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막/압전막/하부 전극막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는 박막 구조 부분의 합계 막 두께 H가, 탄성파의 1/2 파장의 정수배(n배)로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한다. 탄성파의 전파 속도 V는 재료에 의해 결정되며, 공진 주파수 F는 F=nV/2H로 주어진다. 이러한 공진 현상을 이용하면 막 두께를 파라미터로 하여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공진기나 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의 전극막으로서는,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텅스텐(W), 탄탈(Ta), 백금(Pt), 루테늄(Ru), 로듐(Rh), 이리듐(Ir), 크롬(Cr), 티탄(Ti) 등의 금속 재료 혹은 이들 금속을 조합한 적층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전막으로서는, 질화 알루미늄(AlN), 산화 아연(ZnO), 티탄산 지르콘산납(PZT), 티탄산납(PbTiO3)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질화 알루미늄(AlN) 또는 산화 아연(ZnO)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자 기판으로서는, 실리콘, 글래스, GaA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는, 하부 전극막(혹은 유전 체막)의 바로 아래에, 비어 홀 혹은 캐비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표면까지 관통하고 있는 구멍을 비어 홀이라고 하며, 기판의 표면 근방이나 하부 전극막(혹은 유전 체막)의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공동을 캐비티라고 한다. 종래의 압전 박막 공진기는 비어 홀 타입과 캐비티 타입으로 분류된다.
도 1은,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압전 박막 공진기(종래예 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구조에서는, 열산화막(SiO2)(12)을 갖는 (100) Si 기판(11) 상에, 하부 전극(13)으로서 Au-Cr막, 압전막(14)으로서 ZnO막, 상부 전극(15)으로서 Al막이 형성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적층 구조의 아래쪽에는 비어 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어 홀(16)은, (100) Si 기판(11)의 이면측으로부터, KOH 수용액 혹은 EDP 수용액(에틸렌디아민과 피로카테콜과 물의 혼합액)을 이용한 이방성 에칭을 실시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비어 홀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기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원래 상술한 이방성 에칭이라고 하는 것은, Si 기판의 (100)면의 에칭 레이트가 (111)면의 에칭 레이트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높은 값을 갖는다고 하는 특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Si 기판의 컷트면이 (100)면인 경우에 한하여 유효한 방법이라는 점이다. 둘째로, 비어 홀은, (100)면과 (111)면이 교차하는 각도인 54.7°의 경사를 갖는 측벽 형상을 취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소자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또한 Si 기판 이면의 일부 영역을 크게 에칭하여 형성되는 비어 홀에 의해 기계적 강도도 저하하게 된다는 점이다. 셋째로, 이러한 압전 박막 공진기를 복수개 근접하여 배치시켜 필터를 구성하는 경우, 개개의 공진기의 소형화가 곤란하기 때문에 필터도 실용적인 사이즈로까지 소형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넷째로, Si 기판에 비어 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인덕턴스나 캐패시턴스 등과 같은 다른 소자를 동일 기판 상에 제조할 때의 방해로 되어, 집적화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다. 다섯째로, Si 기판을 다이싱하여 개개의 칩으로 분할하는 공정이나 패키지에의 실장 공정에서, 강도가 약한 소자의 파손을 회피하기 위해 특별한 배려를 필요로 하는 점이다.
이에 대하여 캐비티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기는, 희생층 상에, 상부 전극막 과 압전막과 하부 전극막(필요에 따라 추가로 유전체막)의 적층 구조를 갖고, 이 희생층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여 형성된 캐비티를 구비한 압전 박막 공진기이다.
도 2는, 이러한 캐비티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기(종래예 2)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특허 문헌1 참조). 이 구조에서는, 열 산화막(SiO2)(22)을 갖는 기판(21) 상에, 하부 전극(23)과 압전막(24)과 상부 전극(25)이 형성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적층 구조의 아래쪽에는 캐비티(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캐비티(26)는, 미리 아일런드(섬) 형상의 ZnO의 희생층을 패터닝해 두고, 이 희생층 패턴 상에 상기한 적층 구조를 형성하며, 또한 적층 구조의 아래쪽에 있는 희생층을 산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FBAR과 같은 두께 세로 진동을 이용한 압전 박막 공진기에서는, 양호한 공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압전막의 배향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전제로 된다. 통상적으로, 캐비티 깊이는, 진동 변위와 멤브레인 부분의 휨을 고려하면, 수㎛~수십㎛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두꺼운 희생층을 성막한 후의 표면은 거칠어, 그 희생층 상에 성장시키는 하부 전극막(23)과 압전막(24)의 배향성은 상당히 저하하게 된다. 또한, 상부 전극막(25)/압전막(24)/하부 전극막(23)의 적층체는, SiO2막(22)에 의해 상측으로 융기하는 다리 형상의 기초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기계 진동에 대한 강도도 약하여 실용상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이러한 배향성의 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 어 있는 압전 박막 공진기(종래예 3)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구조에서는, 열산화막(SiO2)(32)을 갖는 Si 기판(31) 상에, 하부 전극(33)과 압전막(34)과 상부 전극(35)이 형성되어 적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적층 구조의 아래쪽에 캐비티(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기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된다.
우선, Si 기판(31)의 표면의 일부 영역에 에칭에 의해 오목부를 형성하고, 다음에 희생층으로서 사용하는 PSG(인석영 글래스) 안의 인이 Si 기판(31) 안에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Si 기판(31) 표면에 열 산화막(SiO2)(32)을 형성한다. 희생층의 PSG를 퇴적한 후에 연마 및 크리닝을 행하여, 표면의 미러 마무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하부 전극막(33), 압전막(34), 상부 전극막(35)의 순으로 퇴적하고, 마지막으로 PSG를 제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작 방법에서는 제작 코스트가 높아지고, 또한, 슬러리 잔사 등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운 연마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 공정수도 많아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부 전극과, 이 하부 전극 상에 설치된 압전막과, 이 압전막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과,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는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과의 중첩 영역인 멤브레인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공극의 상기 기판면 상에의 투영 영역은 상기 멤브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투영 영역의 윤곽은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영 영역의 윤곽은 비평행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복합막의 강도의 확보와 공진 특성의 변동의 저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멤브레인 영역의 윤곽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영역의 윤곽은 비평행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가로 방향 진동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하부 전극, 상기 압전막 및 상기 상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막의 응력은 압축 응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에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압전막은,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나타내 는 질화 알루미늄 및 산화 아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양호한 공진 특성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기를 복수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평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를 참조하여, Si 기판(41) 상에, 기판(41)과의 사이에 하부 전극(43) 측에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이 형성되도록 하부 전극(43)이 설치되어 있다.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이란, 예를 들면 공극(46)의 주변에서는 공극의 높이가 작고, 공극의 내부일수록 공극의 높이가 높게 되는 형상의 부푼 부분이다. 하부 전극(43) 상에 압전막(44), 압전막(44) 상에 상부 전극(4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부 전극(43), 압전막(44) 및 상부 전극(45)은 복합막을 구성하고 있다. 하부 전극(43) 및 상부 전극(45)은 Ru, 압전막(44)은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AlN을 이용하고 있다. 압전막(44)을 사이에 두는 하부 전극(43)과 상부 전극(45)과의 중첩 영역이 멤브레인 영역이다. 도 4의 (a)로부터 하부 전극(43)에는 B-B의 방향으로 후술하는 희생층을 에칭하기 위한 도입로(49)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로(49)의 선단 부근은 압전막(44)으로 피복되어 있지 않고, 하부 전극(43)은 도입로(49)의 선단에 구멍부(47)를 갖는다. 압전막(44)에는 하부 전극(4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h)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는 도 4의 (a)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이며, 도 5의 (e) 내지 도 5의 (h)는 도 4의 (b)의 B-B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e)를 참조하여, 실리콘 기판(41) 상에, 예를 들면 MgO 등으로 이루어지는 막 두께가 약 20㎚인 희생층(48)을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또는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기판(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 이외에도 석영 기판, 글래스 기판, GaAs 기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공극(46)을 형성할 때, 종래예 1 및 3과 같이 기판(41)을 에칭하지 않기 때문에, 에칭이 어려운 기판도 이용할 수 있다. 희생층(48)으로서는, ZnO, Ge, Ti 등, 에칭액에 의해, 용이하게 용해할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노광 기술과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희생층(48)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도 6의 (a)는 이 때의 희생층(48)을 형성한 영역과 멤브레인 영역(50)으로 될 영역(이하에서는 각각 희생층(48)과 멤브레인 영역(50)이라고도 함)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희생층(48)이 멤브레인 영역(50)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희생층(48)을 제거하기 위한 에칭액을 도입하기 위한 도입로(49)가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도입로(49)는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이어도 된다.
도 5의 (b) 및 도 5의 (f)를 참조하여, Ru로 이루어지며 막 두께가 약 100㎚인 하부 전극(43)을 0.6~1.2Pa의 Ar 가스 분위기 중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하부 전극(43)으로서는, 전술한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노광 기술과 이온밀링 기술을 이용하여, 하부 전극(43)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도 6의 (b)는 이 때의 희생층(48)과 멤브레인 영역(50)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 위에 하부 전극(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희생층(48)은 하부 전극(43)의 에칭 시에 제거된다. 이 결과, 도 6의 (b)의 좌측의 희생층(48)의 윤곽은 하부 전극(43)의 형상의 윤곽(즉 멤브레인 영역(50)의 윤곽)과 일치한다. 한편, 도 6의 (b)의 우측은, 하부 전극(43)으로 되는 영역은, 멤브레인 영역(50)과 멤브레인 영역(50)의 근방으로 이루어지는 희생층(48)을 피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전극(43)의 에칭 시, 멤브레인 영역(50) 근방의 희생층(48)이 제거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멤브레인 영역(50)의 좌측은 희생층(48)과 멤브레인 영역(50)의 윤곽이 일치하고, 멤브레인 영역(50)의 우측은 희생층(48)이 멤브레인 영역(50)을 포함한다. 도입로(49)의 선단에는, 구멍부(47)가 형성된다. 또한, 구멍부(47)는 나중에 형성해도 된다.
도 5의 (c) 및 도 5의 (g)를 참조하여, 하부 전극(43) 및 기판(41) 상에,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AlN막으로 이루어지며 막 두께가 약 400㎚인 압전막(44)을, 약 0.3Pa의 압력의 Ar/N2 혼합 가스 분위기 중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압전막(44) 상에, Ru로 이루어지며 막 두께가 약 100㎚인 상부 전극(45)을 0.6~1.2Pa의 Ar가스 분위기 중의 스퍼터링으로 형성한다. 압전막(44)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ZnO 등의 압전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 전극(45)은 하부 전극(43)과 마찬가지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노광 기술과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상부 전극(45) 및 압전막(44)을 소정의 형상으로 한다. 이 때, 도 5의 (c)와 같이, 하부 전극(43) 상에는, 하부 전극(43)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압전막(44)의 개구부가 설치된다. 또한, 도 5의 (g)와 같이, 도입로(49)의 선단에는 압전막(44) 및 상부 전극(45)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5의 (d) 및 도 5의 (h)를 참조하여, 희생층(48)을 에칭하기 위한 에칭액을 구멍부(47), 도입로(49)를 거쳐 도입하여, 희생층(48)을 제거한다. 여기에서, 하부 전극(43), 압전막(44) 및 상부 전극(45)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막의 응력은 압축 응력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희생층(48)의 에칭이 완료된 시점에서, 복합막은 부풀어 올라, 하부 전극(43)과 기판(41) 사이에 복합막 측에 돔 형상을 갖는 공극(46)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복합막의 압축 응력은 - 300MPa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c)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의 멤브레인 영역(50)과 공극(46)의 기판(41)에의 투영 영역(이하, 간단히 공극(46)이라고도 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멤브레인 영역은 타원형을 하고 있다. 도면의 좌측, 즉 상부 전극(45)과 연결되는 멤브레인 영역(50)의 윤곽은, 공극(46)의 윤곽과 일치하고 있다. 한편, 하부 전극(43)과 연결되는 멤브레인 영역(50)의 윤곽은 공극(46)의 윤곽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극(46)의 기판(41)면 상에의 투영 영역은 멤브레인 영역(5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멤브레인 영역(50)의 세로 방향의 폭을 LE, 가로 방향의 폭을 WE, 공극의 세로 방향의 폭을 LS, 가로 방향의 폭을 WS로 한다. 실시예 1에서는, LE=150㎛ 및 WE=125㎛로 하였다. 또한, 도 5의 (b) 및 도 5의 (f)에서, 하부 전극(43)을 에칭할 때, 희생층(48)도 에칭되기 때문에, 도 6의 (c)의 공극(46)의 좌측에서 멤브레인 영역(50)과 공극(46)의 윤곽이 일치하고 있다. 하부 전극(43)을 에칭할 때, 희생층(48)이 에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극(46)의 좌측에서도, 멤브레인 영역(50)의 윤곽이 공극(46)의 윤곽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공극 사이즈(LS)로부터 멤브레인 영역의 사이즈(LE)를 뺀 값에 대한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LS-LE는 WS-WE의 약 2배로 하고 있다. LS-LE를 크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상수가 커진다.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LS-LE가 10㎛ 정도까지는 양호한 전기 기계 결합 상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공극(46)은 멤브레인 영역(50)을 포함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상수를 향상시킬 수 있어, 공진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이 멤브레인 영역(50)보다 작은 경우, 공극(46)의 형상이 불량으로 되거나, 혹은 공극을 형성할 수 있어도 삽입 손실이 열화하여, 안정된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1에 따르면, 공극(46)을 복합막 측에 돔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예 1 및 2와 같이 기판(41)을 에칭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판(41)의 기계적 강도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극(46)을 형성하는 영역은 작아도 되기 때문에 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종래예 2에 비하여, 공극(46)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막의 기계 진동에 의 한 신뢰성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극(46)을 형성하기 위한 희생층(48)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예 1 및 종래예 3과 마찬가지로 양호한 압전막(44)의 배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공극(46)의 기판(41)면 상에의 투영 영역은 멤브레인 영역(50)을 포함함으로서, 압전 박막 공진기의 공진 특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공극(46)의 기판(41)면 상에의 투영 영역의 윤곽은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이 특정 변에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합막의 강도의 확보와 공진 특성의 변동의 저감을 양립시킬 수 있다. 모든 윤곽이 곡선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타원형이나 원형인 것이, 응력을 집중시키지 않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의 (a)는, 하부 전극(43a), 상부 전극(45a) 및 공극(46a)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의 (a)와 같이, 사각의 변을 곡선으로 한 공극(46a)으로 해도 된다. 사각 이외의 다각형의 변을 곡선으로 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8의 (b)는, 하부 전극(43b), 상부 전극(45b) 및 공극(46b)을 도시한 예이다. 공극(46b)의 기판(41)면 상에의 투영 영역의 윤곽은, 평행한 변을 갖지 않는 비평행한 변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이다. 이 경우도, 응력이 특정 변에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멤브레인 영역의 윤곽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방향 진동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원형이나 원형인 것이, 보다 가로 방향 진동의 영향을 저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8의 (a)와 같이, 멤브레인 영역(하부 전극(43a)과 상부 전극(45a)이 중첩되 는 영역)을 다각형의 변을 곡선으로 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멤브레인 영역(하부 전극(43b)과 상부 전극(45b)이 중첩되는 영역)을 평행한 변을 갖지 않는 비평행한 변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가로 방향 진동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전극(43), 압전막(44) 및 상부 전극(45)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막의 응력을 압축 응력으로 함으로써,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을 찌부러지는 일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전극(43)에는 구멍부(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부(47)로부터 희생층(48)을 에칭함으로써,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전막(44)으로서,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나타내는 질화 알루미늄, 또는 산화 아연을 이용함으로써, 양호한 공진 특성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를 복수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필터의 예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2에 따른 필터의 상면도, 도 9의 (b)는 도 9의 (a)의 A'-A' 단면도이다.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며,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 필터는, 직렬 암 공진기 4개와 병렬 암 공진기 3개로 구성되는 래더형 필터이다. S1 내지 S4는 직렬 암 공진기의 멤브레인 영역, P1 내지 P3은 병렬 암 공진기의 멤브레인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압전막(44)에는 하부 전극(4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개구 부(52)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공진기 모두, 공극(46)은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고 있으며 멤브레인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병렬 암 공진기 P1 내지 P3의 상부 전극(45) 상에는, Ti로 이루어지는 부가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병렬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켜 밴드 패스 필터의 특성을 얻기 위해서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필터의 통과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주파수에 대한 감쇠량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는 실시예 2에 따른 필터의 특성이며, 비교예는 멤브레인 영역과 공극이 일치하는 형상인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의 필터이다. 도 10으로부터, 실시예 2에서는, 통과 특성은 통과 대역에 걸쳐 개선되고 있다. 또한, 공진기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향상에 의해 통과 지역 내의 리플이 개선되고 있다. 한편,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46)이 멤브레인 영역(50)보다 작고, 그밖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제작한 필터의 경우, 공극(46)의 형상이 불량으로 되거나, 혹은 공극을 형성할 수 있어도 삽입 손실이 열화하여, 안정된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특성이 양호한 필터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는, 래더형 필터 이외의 필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필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기를 복수 조합하여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필터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 신뢰성, 생산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압전막 배향성 및 성능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기판 상에,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돔 형상의 부푼 부분을 갖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하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설치된 압전막과,
    상기 압전막 상에 설치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며,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는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과의 중첩 영역이 멤브레인 영역이고,
    상기 공극의 상기 기판면 상에의 투영 영역은 상기 멤브레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전극, 상기 압전막 및 상기 상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막의 응력은 압축 응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영역의 윤곽은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영역의 윤곽은 비평행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영역의 윤곽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영역의 윤곽은 비평행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에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은, (002)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나타내는 질화 알루미늄 및 산화 아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압전 박막 공진기를 복수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20060104353A 2005-10-27 2006-10-26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819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2094 2005-10-27
JP2005312094A JP4707533B2 (ja) 2005-10-27 2005-10-27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945A KR20070045945A (ko) 2007-05-02
KR100819669B1 true KR100819669B1 (ko) 2008-04-04

Family

ID=3768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04353A KR100819669B1 (ko) 2005-10-27 2006-10-26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2738B2 (ko)
EP (1) EP1783903B1 (ko)
JP (1) JP4707533B2 (ko)
KR (1) KR100819669B1 (ko)
CN (1) CN100576734C (ko)
DE (1) DE60200600428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621A1 (en) 2000-09-22 2002-06-27 Schurr Marc O. Methods and devices for folding and securing tissue
EP2228019B1 (en) 2002-06-17 2013-08-14 Covidien LP Annular support structures
JP2005073175A (ja) * 2003-08-27 2005-03-17 Fujitsu Media Device Kk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45536B2 (en) 2004-10-18 2010-12-07 Tyco Healthcare Group Lp Annular adhesive structure
US7938307B2 (en) 2004-10-18 2011-05-10 Tyco Healthcare Group Lp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364229B2 (en) 2005-03-15 2016-06-14 Covidien Lp Circular anastomosis structures
JP4968900B2 (ja) * 2006-10-17 2012-07-04 太陽誘電株式会社 ラダー型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7845533B2 (en) 2007-06-22 2010-12-07 Tyco Healthcare Group Lp Detachable buttress material retention systems for use with a surgical stapling device
EP2073719B1 (en) 2006-10-26 2017-05-03 Covidien LP Device using shape memory alloys for buttress attachment
US8413871B2 (en) 2007-03-06 2013-04-09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JP5080858B2 (ja) * 2007-05-17 2012-11-21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US8038045B2 (en) 2007-05-25 2011-10-18 Tyco Healthcare Group Lp Staple buttress retention system
US7665646B2 (en) 2007-06-18 2010-02-23 Tyco Healthcare Group Lp Interlocking buttress material retention system
US8062330B2 (en) 2007-06-27 2011-11-22 Tyco Healthcare Group Lp Buttress and surgical stapling apparatus
JP5279068B2 (ja) * 2008-02-15 2013-09-04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フィルタ、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5191762B2 (ja) * 2008-03-06 2013-05-08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通信装置
JP5226409B2 (ja) * 2008-07-17 2013-07-03 太陽誘電株式会社 共振デバイス、通信モジュール、通信装置、共振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20100147921A1 (en) 2008-12-16 2010-06-17 Lee Olson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Surgical Buttress
JP2010205921A (ja) * 2009-03-03 2010-09-16 Olympu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486215B2 (en) 2009-03-31 2016-11-08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8016178B2 (en) 2009-03-31 2011-09-13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7967179B2 (en) 2009-03-31 2011-06-28 Tyco Healthcare Group Lp Center cinch and release of buttress material
US8365972B2 (en) 2009-03-31 2013-02-05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0842485B2 (en) 2009-10-15 2020-11-24 Covidien Lp Brachytherapy buttress
US10293553B2 (en) 2009-10-15 2019-05-21 Covidien Lp Buttress brachytherapy and integrated staple line markers for margin identification
US9610080B2 (en) 2009-10-15 2017-04-04 Covidien Lp Staple line reinforcement for anvil and cartridge
US20150231409A1 (en) 2009-10-15 2015-08-20 Covidien Lp Buttress brachytherapy and integrated staple line markers for margin identification
US8157151B2 (en) 2009-10-15 2012-04-17 Tyco Healthcare Group Lp Staple line reinforcement for anvil and cartridge
US9693772B2 (en) 2009-10-15 2017-07-04 Covidien Lp Staple line reinforcement for anvil and cartridge
US8479968B2 (en) 2011-03-10 2013-07-09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buttress attachment
US8789737B2 (en) 2011-04-27 2014-07-29 Covidien Lp Circular stapler and staple line reinforcement material
US8584920B2 (en) 2011-11-04 2013-11-19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including releasable buttress
US8967448B2 (en) 2011-12-14 2015-03-03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including buttress attachment via tabs
US9237892B2 (en) 2011-12-14 2016-01-19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to the cartridge surface
US9113885B2 (en) 2011-12-14 2015-08-25 Covidien Lp Buttress assembly for use with surgical stapling device
US9351731B2 (en) 2011-12-14 2016-05-31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including releasable surgical buttress
US9326773B2 (en) 2012-01-26 2016-05-03 Covidien Lp Surgical device including buttress material
US9010609B2 (en) 2012-01-26 2015-04-21 Covidien Lp Circular stapler including buttress
US9010612B2 (en) 2012-01-26 2015-04-21 Covidien Lp Buttress support design for EEA anvil
US9931116B2 (en) 2012-02-10 2018-04-03 Covidien Lp Buttress composition
US8820606B2 (en) 2012-02-24 2014-09-02 Covidien Lp Buttress retention system for linear endostaplers
US9572576B2 (en) 2012-07-18 2017-02-21 Covidien Lp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surgical buttress
US20140048580A1 (en) 2012-08-20 2014-02-20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features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9161753B2 (en) 2012-10-10 2015-10-20 Covidien Lp Buttress fixation for a circular stapler
US9192384B2 (en) 2012-11-09 2015-11-24 Covidien Lp Recessed groove for better suture retention
US20140131418A1 (en) 2012-11-09 2014-05-15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Including Buttress Attachment
US9681936B2 (en) 2012-11-30 2017-06-20 Covidien Lp Multi-layer porous film material
US9295466B2 (en) 2012-11-30 2016-03-29 Covidien Lp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surgical buttress
US9402627B2 (en) 2012-12-13 2016-08-02 Covidien Lp Folded buttress for use with a surgical apparatus
US9204881B2 (en) 2013-01-11 2015-12-08 Covidien Lp Buttress retainer for EEA anvil
US9433420B2 (en) 2013-01-23 2016-09-06 Covidien Lp Surgical apparatus including surgical buttress
US9192383B2 (en) 2013-02-04 2015-11-24 Covidien Lp Circular stapling device including buttress material
US9414839B2 (en) 2013-02-04 2016-08-16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for circular stapling device
US9504470B2 (en) 2013-02-25 2016-11-29 Covidien Lp Circular stapling device with buttress
US20140239047A1 (en) 2013-02-28 2014-08-28 Covidien Lp Adherence concepts for non-woven absorbable felt buttresses
US9782173B2 (en) 2013-03-07 2017-10-10 Covidien Lp Circular stapling device including buttress release mechanism
US9655620B2 (en) 2013-10-28 2017-05-23 Covidien Lp Circular surgical stapling device including buttress material
JP6333540B2 (ja) * 2013-11-11 2018-05-30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フィルタ、及び分波器
US9844378B2 (en) 2014-04-29 2017-12-19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and methods of adhering a surgical buttress thereto
US10835216B2 (en) 2014-12-24 2020-11-17 Covidien Lp Spinneret for manufacture of melt blown nonwoven fabric
US10470767B2 (en) 2015-02-10 2019-11-12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having ultrasonic energy delivery
EP3291745A4 (en) 2015-04-10 2019-02-13 Covidien LP SURGICAL CLAMP DEVICE WITH INTEGRATED BUBBLE
JP6368298B2 (ja) * 2015-12-14 2018-08-01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デュプレクサ
US10959731B2 (en) 2016-06-14 2021-03-30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1026686B2 (en) 2016-11-08 2021-06-08 Covidien Lp Structure for attaching buttress to anvil and/or cartridge of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0874768B2 (en) 2017-01-20 2020-12-29 Covidien Lp Drug eluting medical device
US10925607B2 (en) 2017-02-28 2021-02-23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staple sheath
US10368868B2 (en) 2017-03-09 2019-08-06 Covidien Lp Structure for attaching buttress material to anvil and cartridge of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11096610B2 (en) 2017-03-28 2021-08-24 Covidien Lp Surgical implants including sensing fibers
US10849625B2 (en) 2017-08-07 2020-12-01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retention systems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0945733B2 (en) 2017-08-23 2021-03-16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reload and tip attachment assemblies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141151B2 (en) 2017-12-08 2021-10-12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for circular stapling
US11065000B2 (en) 2018-02-22 2021-07-20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es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N108512520B (zh) * 2018-02-27 2022-04-29 苏州汉天下电子有限公司 体声波谐振器与电容器的单片集成结构及其制造方法、滤波器、双工器以及射频通信模块
US10758237B2 (en) 2018-04-30 2020-09-01 Covidien Lp Circular stapling apparatus with pinned buttress
US11284896B2 (en) 2018-05-09 2022-03-29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loading and attaching/detaching assemblies
US11432818B2 (en) 2018-05-09 2022-09-06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assemblies
US11219460B2 (en) 2018-07-02 2022-01-11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ith anvil buttress
US10806459B2 (en) 2018-09-14 2020-10-20 Covidien Lp Drug patterned reinforcement material for circular anastomosis
KR20200031541A (ko) * 2018-09-14 2020-03-24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희생 층 에칭을 위한 릴리스 포트들의 위치들
US10952729B2 (en) 2018-10-03 2021-03-23 Covidien Lp Universal linear buttress retention/release assemblies and methods
CN111010102B (zh) * 2019-03-18 2023-12-15 天津大学 考虑形状的薄膜封装的mems器件组件及电子设备
CN110868177B (zh) * 2019-04-23 2023-08-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三研究所 谐振器和滤波器
US11730472B2 (en) 2019-04-25 2023-08-22 Covidien Lp Surgical system and surgical loading units thereof
US11596403B2 (en) 2019-05-08 2023-03-07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device
US11478245B2 (en) 2019-05-08 2022-10-25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device
US11969169B2 (en) 2019-09-10 2024-04-30 Covidien Lp Anvil buttress loading unit for a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571208B2 (en) 2019-10-11 2023-02-07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loading units
CN111082776B (zh) * 2019-12-11 2021-06-01 诺思(天津)微系统有限责任公司 电极具有空隙层的体声波谐振器、滤波器及电子设备
US11523824B2 (en) 2019-12-12 2022-12-13 Covidien Lp Anvil buttress loading for a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N111262542B (zh) * 2020-02-27 2022-03-25 见闻录(浙江)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结构的体声波谐振器及制造工艺
US11547407B2 (en) 2020-03-19 2023-01-10 Covidien Lp Staple line reinforce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337699B2 (en) 2020-04-28 2022-05-24 Covidien Lp Magnesium infused surgical buttress for surgical stapler
US11707276B2 (en) 2020-09-08 2023-07-25 Covidien Lp Surgical buttress assemblies and techniques for surgical stapling
US11399833B2 (en) 2020-10-19 2022-08-02 Covidien Lp Anvil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534170B2 (en) 2021-01-04 2022-12-27 Covidien Lp Anvil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596399B2 (en) 2021-06-23 2023-03-07 Covidien Lp Anvil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510670B1 (en) 2021-06-23 2022-11-29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672538B2 (en) 2021-06-24 2023-06-13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device including a buttress retention assembly
US11678879B2 (en) 2021-07-01 2023-06-20 Covidien Lp Buttress attachment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684368B2 (en) 2021-07-14 2023-06-27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device including a buttress retention assembly
US11801052B2 (en) 2021-08-30 2023-10-31 Covidien Lp Assemblies for surgical stapling instruments
US11751875B2 (en) 2021-10-13 2023-09-12 Coviden Lp Surgical buttress attachment assemblies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US11806017B2 (en) 2021-11-23 2023-11-07 Covidien Lp Anvil buttress loading system for surgical stapl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575A (en) 1983-06-06 1985-09-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corder operating with liquid drops and comprising elongates piezoelectric transducers rigidly connected at both ends with a jet orifice plate
KR20030013893A (ko) * 2001-08-10 2003-02-15 한국쌍신전기주식회사 압전박막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5488A (ko) * 2002-10-22 2004-04-29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6272A (ko) * 2004-05-31 2006-05-17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박막 공진자, 필터 및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307A (ja) 1984-03-09 1985-09-26 Toshiba Corp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88218A (ja) * 1990-11-15 1994-03-29 Tosoh Corp 酸化亜鉛系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6060818A (en) 1998-06-02 2000-05-09 Hewlett-Packard Company SBAR structures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SBAR.FBAR film processing techniques for the manufacturing of SBAR/BAR filters
US6215375B1 (en) * 1999-03-30 2001-04-10 Agilent Technologies, Inc.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with improved lateral mode suppression
US6222304B1 (en) * 1999-07-28 2001-04-24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Micro-shell transducer
US6424237B1 (en) * 2000-12-21 2002-07-23 Agilent Technologies, Inc. Bulk acoustic resonator perimeter reflection system
CN1168208C (zh) 2001-09-10 2004-09-22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高频薄膜本体滤波器的制法及其装置
JP3954395B2 (ja) * 2001-10-26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フィルタ、および圧電薄膜共振子の製造方法
KR20030039446A (ko) * 2001-11-13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Fbar 제조방법
JP3854212B2 (ja) * 2002-03-29 2006-12-06 株式会社東芝 高周波フィルタ
JP4111139B2 (ja) * 2003-06-03 2008-07-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共振部品
JP2005045694A (ja) * 2003-07-25 2005-02-17 Sony Corp 薄膜バルク音響共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24741B2 (ja) * 2003-10-20 2007-12-19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及びフィルタ
EP1533896B1 (en) * 2003-11-20 2011-11-02 Panasonic Corporation Piezoelectric element, composite piezoelectric element, and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JP4149444B2 (ja) * 2005-01-12 2008-09-10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575A (en) 1983-06-06 1985-09-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corder operating with liquid drops and comprising elongates piezoelectric transducers rigidly connected at both ends with a jet orifice plate
KR20030013893A (ko) * 2001-08-10 2003-02-15 한국쌍신전기주식회사 압전박막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5488A (ko) * 2002-10-22 2004-04-29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46272A (ko) * 2004-05-31 2006-05-17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압전 박막 공진자, 필터 및 이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2738B2 (en) 2009-01-27
CN100576734C (zh) 2009-12-30
CN1956324A (zh) 2007-05-02
EP1783903B1 (en) 2008-12-17
EP1783903A2 (en) 2007-05-09
DE602006004289D1 (de) 2009-01-29
KR20070045945A (ko) 2007-05-02
EP1783903A3 (en) 2007-11-07
JP2007124166A (ja) 2007-05-17
JP4707533B2 (ja) 2011-06-22
US20070096597A1 (en) 200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669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710780B1 (ko) 압전 박막 공진자, 필터 및 이들의 제조 방법
JP4149444B2 (ja)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タ
KR100922475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950391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841166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US8531087B2 (en) 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with distributed concave or convex patterns
KR100771345B1 (ko)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CN113497596B (zh) 体声波谐振器、体声波谐振器组件、滤波器及电子设备
CN110611493A (zh) 声波谐振器、包括其的声波谐振器滤波器及其制造方法
JP2007208728A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3782B2 (ja)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JP2016096466A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デュプレクサ
JP4707574B2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327291A (zh) 体声波谐振器及弹性波滤波器装置
KR102608094B1 (ko) 체적 음향 공진기 필터
KR20200073968A (ko) 체적 음향 공진기 및 탄성파 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