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642B1 -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642B1
KR100899642B1 KR1020080092184A KR20080092184A KR100899642B1 KR 100899642 B1 KR100899642 B1 KR 100899642B1 KR 1020080092184 A KR1020080092184 A KR 1020080092184A KR 20080092184 A KR20080092184 A KR 20080092184A KR 100899642 B1 KR100899642 B1 KR 10089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weight
mobile phone
phone cas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수
장성화
Original Assignee
(주)태원시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원시스켐 filed Critical (주)태원시스켐
Priority to KR102008009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에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락트산에 사슬연장제 및/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추가성분을 더 함유하여, 생분해성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용도에 적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고, 냉각한 후, 사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PMP 또는 MP3 케이스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폴리락트산, 탈크, 유리섬유, 탄소섬유, 휴대폰 케이스

Description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POLYLACTIC ACID FOR MANUFACTURING CELLULAR PHONE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ELLULAR PHONE CA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락트산에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를 배합하고, 상기 폴리락트산에 사슬연장제 및/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추가성분을 더 함유하여, 생분해성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킨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생분해 수지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전분을 발효, 중합반응시켜 만든 수지로 폐기시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분해되는 친환경 소재이다. 특히, 최근 지구 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석유 자원의 고갈 등과 같은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종래의 석유 자원을 원료로 하는 범용 수지를 대신하여 식물에서 유래된 폴리락트산 수지를 중심으로 한 생분해성 수지가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의 적용범위는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식품의 포장용기, 테이크아웃 용기, 쓰레기 봉투에 적용하여 비닐 봉지를 대체하고자 하는 노력에서부터, 최근에는 휴대폰, 노트북, 기타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산업용 내외장재로까지 그 적용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휴대폰은 사용자가 이동중인 실외나 실내 즉,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원하는 상대와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이동통신수단으로서, 최근 들어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기능개선뿐 아니라 사용자의 확대와 선호도에 따라, 휴대폰의 교체시기가 12 개월 내지 18 개월 이내로 단축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의 제조과정은 합성수지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여 휴대폰의 몸체에 해당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작하기 때문에, 폐 휴대폰의 양산은 합성수지로 인한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39916호 및 제2003-86475호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용 합성수지제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및 PC/ABS 블랜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49921호에서는 PVC 용액을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제조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18750호에서는 휴대폰 몸체의 케이스 제작시 플라스틱 레진에 페라이트(ferrite) 분말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액체의 수지 상태로 케이스를 사출하는 휴대폰의 케이스를 제작함으로써, 상기 페라이트에 의해 전자파를 흡수하여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의 케이스 제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핸드폰 케이스의 제작공정은 주성분으로 합성수지계 수지 소재를 사용하되, 축광 기능과 전자파 차폐효과를 얻기 위하여 추가 조성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 주성분 재질로 인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그 해결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나, 폴리락트산은 내열성이 낮아, 폴리락트산계 수지제 시트 및 그 성형체를 저장이나 수송하는 경우, 저장고나 수송 중의 트럭, 또 배의 내부는 여름철 등이 되면 고온에 도달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에, 변형이나 융착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형태 안정성에 있어서, 취약함을 가지고 있어, 시트형상 등의 형태 그대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결정화 속도가 빠르고, 용융지수가 높기 때문에 성형 조건에 제약이 크므로, 성형시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폴리락트산의 내열성이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에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나 다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가교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28901호] 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와 층상 규산염을 병용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47182호]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61797호에는 폴리락트산의 카르복실 말단을 특정의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화합물로 봉쇄함으로써, 내열성과 가수분해 내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의 내열성이나 성형성은 가교와 층상 규산염의 첨가에 의하여 향상되지만, 장기 보존이나 가혹한 습열 하에서의 사용을 행할 때에는 수지의 가수 분해에 의하여 물성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조건 하에서의 실용성이 저하된다. 이외, 일본국 특허공개 평8-73628호에는 폴리락트산계 시트를 2축으로 연신하고, 소정의 배향(orientation)을 행함으로써, 투명성, 내충격성, 내열성이 우수한 블리스터용 시트 및 성형품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폴리락트산을 사용하여 열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 충분한 내충격성이나 내열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성형체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충분한 두께를 갖는 상기 폴리락트산으로 되는 시트를 사용하여 열성형을 행하는 경우, 내충격성이나 내열성은 유지되지만, 열성형에 있어서의 가압 압력이 보다 커져, 성형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휴대폰 케이스 제작과정에 사용된 합성수지 재질의 수지를 폴리락트산 생분해성 수지로 대체 사용 가능하도록 하되,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가 개선되어 휴대폰 케이스용으로 적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핸드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1 내지 8 중량부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0.01 내지 30 중량부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로는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테레프탈산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및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은 결정성 폴리락트산 55 내지 98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2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원료조성물로 하고 170 내지 280℃로 유지된 용융 압출기에 넣어 용융 혼련하여 용융 혼련물을 제조하고, 상기 용융 혼련물을 50∼70℃에서 12 내지 24 시간동안 냉각한 후 사출기를 통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1 내지 8 중량부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0.01 내지 30 중량부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출시 조건은 사출기 내의 온도범위 180∼280℃, 몰드온도 30∼80℃, 스크류 속도 10∼200 rpm 및 사출압력 20∼1000 kg/㎠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폴리락트산에 강화제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에 사슬연장제 및/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추가성분을 더 함유함으로써,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고, 냉각한 후, 사출하여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하고, 나아가 PMP 또는 MP3 케이스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락트산의 원료인 락트산(lactic acid)은 광학 활성을 나타내는 탄소 원자배열을 분자 중에 가지고 있으므로, L-락트산, D-락트산의 광학이성체를 가진다. 나아가, 폴리 L-락트산(이하, "PLLA"라 한다)과 폴리 D-락트산(이하, "PDLA"라 한다)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락트산은 폴리락트산이 결정성 폴리락트산 55 내지 98 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2 내지 45 중량%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결정성 폴리락트산계 중합체가 갖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발휘하는 동시에, 비결정성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에 의해 유연성이 부여되어, 물성이 향상된다. 특히,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의 함량이 결정성 폴리락트산에 비해 적게 혼합됨으로써, 내굴곡성이 향상되고, 열에 의한 성형품의 형태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락트산은 PDLA 또는 PLLA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이 2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비결정성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이 4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전체적인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이 비결정성계 성질로 전환되므로, 최종 형태변화를 초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는 결정성 폴리락트산에,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2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폴리락트산 수지의 내충격성 및 몰드 내 성형안정성 뿐만 아니라, 성형품의 내열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결정성 폴리락트산이라 함은 폴리락트산 중에서 PLLA 중의 L-락트산, PDLA 중의 D-락트산의 비율이 높은 것 즉, 광학순도가 높은 경우로서, 결정성이 높고, 내열성이나 역학 특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결정성 폴리락트산이라 함은 PDLA 중의 L-락트산 비율이나 PLLA 중의 D-락트산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공중합체로서, 결정성 및 열 안정성이 낮고, 역학특성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여,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충격강도를 개선한다. 이때, 강화제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의 향상 효과가 미약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 부족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등의 저하 등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은 수분건조가 잘 되어도 분자량이 낮으면, 강도가 부족하여 잘 부서지는 문제로 후공정 진행이 어려우므로, 상기 폴리락트산의 분자량 증대를 위한 목적으로 사슬연장제(chain extender)를 사용한다. 이때, 사슬연장제는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경우, 내열성 개선효과가 뚜렷하다. 사슬연장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 면, 분자량 증대효과가 미흡하여, 시트상으로 제조할 수 없으며, 8 중량부를 초과하면, 결정성 및 내열성은 향상되나, 지나친 가교결합으로 인하여 압출기가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공정상의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슬연장제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테레프탈산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및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을 첨가하여 고온에서 용융 압출하는 과정에서 폴리락트산-폴리카프로락톤 공중합체가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0.01 내지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음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원료조성물로 하고, 170 내지 280℃로 유지된 용융 압출기에 넣고 용융 혼련물을 제조하고, 상기 용융 혼련물을 50∼70 ℃에서 12 내지 24 시간동안 냉각한 후 사출 기를 통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1 내지 8 중량부를 및/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조성성분인 폴리락트산, 강화제, 사슬연장제 및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추가성분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70 내지 280℃로 유지된 용융 압출기에 넣어 용융 혼련하여 용융 혼련물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용융온도가 170 내지 280℃의 조건으로 설정되었으며, 170℃ 미만이면, 본 발명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충분한 혼용이 미흡하여 미반응물이 많고, 280℃를 초과하면, 고온용 특수 성형기가 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후, 용융 혼련물을 사출기를 통하여 휴대폰 케이스용 몰드에 주입시켜 사출 성형하여,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한다.
이때, 사출조건은 사출기 내의 온도범위 180∼280℃, 몰드온도 30∼80℃, 스크류 속도 20∼200 rpm 및 사출압력 20∼1000 kg/㎠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휴대폰 케이스뿐만 아니라, PMP 또는 MP3 케이스 제조공정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결정성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탈크 3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로서 에폭시계 사슬연장제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원료 조성물을 170 내지 280℃로 유지된 용융 압출기에 넣고, 직경 110mm, 슬릿 간격 0.5mm의 원통상 세극을 갖는 환상 다이에서 압출하였다. 상기 용융 혼련물을 50℃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킨 후, 사출기에 넣고, 휴대폰 케이스용 몰드에 주입시켜 사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강화제로서 사용된 탈크 대신에 유리섬유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강화제로서 사용된 탈크 대신에 탄소섬유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결정성 폴리락트산 90중량%에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10중량%를 혼합하여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3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로서 에폭시계 사슬연장제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원료 조성물에 폴리카프로락톤 6 중량부를 더 함유하여 원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결정성 폴리락트산 100중량%로만 이루어진 원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인강강도, 인장신율, 굴곡강도, 충격강도, 연화점 및 열 변형 온도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과 대비하여 비교하였다.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에 따른 물성측정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인장강도, kgf/㎠ 730 1,070 670
인장신율, % 15 7 8
굴곡강도, kgf/㎠ 1,200 1,600 900
충격강도(Izod), kgㆍcm/cm 1.5 3.6 0.3
연화점(Vicat), ℃ 73 157 72
열변형온도, ℃ 71 75 56
열변형온도(열처리 후) 71 - -
비중 1.39 1.48 1.26
상기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보다, 인강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에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70℃에서 24시간 열처리(annealing)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열 변형 온도가 57℃에서 71℃로 14℃ 상승하므로 내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폴리락트산에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에 사슬연장제 및/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추가성분을 더 함유하여, 폴리락트산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휴대폰 케이스용도에 적합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둘째,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고, 냉각한 후, 사출하여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고, 나아가 PMP 또는 MP3 케이스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 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결정성 폴리락트산 단독 또는
    결정성 폴리락트산 55 내지 98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2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1 내지 8 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0.01 내지 30 중량부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가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테레프탈산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및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5. 삭제
  6. 결정성 폴리락트산 단독 또는 결정성 폴리락트산 55 내지 98중량% 및 비결정성 폴리락트산 2 내지 4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탈크,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강화제 10 내지 40 중량부 및 사슬연장제 1 내지 8 중량부가 함유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원료조성물로 하고,
    상기 원료조성물을 170 내지 280℃로 유지된 용융 압출기에 넣어 용융 혼련하여 용융 혼련물을 제조하고,
    상기 용융 혼련물을 50∼70℃에서 12 내지 24 시간동안 냉각한 후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에서 선택되는 성분 을 0.01 내지 30 중량부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조건이 사출기 내의 온도범위 180∼280℃, 몰드온도 30∼80℃, 스크류 속도 10∼200 rpm 및 사출압력 20∼1000 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가 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 테레프탈산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및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이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생분해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080092184A 2008-09-19 2008-09-19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089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84A KR100899642B1 (ko) 2008-09-19 2008-09-19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84A KR100899642B1 (ko) 2008-09-19 2008-09-19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642B1 true KR100899642B1 (ko) 2009-05-27

Family

ID=4086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84A KR100899642B1 (ko) 2008-09-19 2008-09-19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4212B (zh) * 2010-02-02 2013-06-05 广东上九生物降解塑料有限公司 一种聚乳酸可降解材料的制备方法
CN115232346A (zh) * 2022-08-22 2022-10-25 山东哈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包装的植物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381A (ko) * 2000-01-11 2002-10-11 이. 카쇼기 인더스트리스, 엘엘씨. 충전재 입자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전분 조성물
KR20030060943A (ko) * 2000-11-22 2003-07-16 클로페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공기 및 습증기 통과가능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8221B1 (ko) * 2006-03-23 2007-09-12 마린테크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그물
JP2007231154A (ja) * 2006-03-01 2007-09-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粉末成形用生分解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381A (ko) * 2000-01-11 2002-10-11 이. 카쇼기 인더스트리스, 엘엘씨. 충전재 입자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전분 조성물
KR20030060943A (ko) * 2000-11-22 2003-07-16 클로페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공기 및 습증기 통과가능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31154A (ja) * 2006-03-01 2007-09-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粉末成形用生分解性樹脂組成物
KR100758221B1 (ko) * 2006-03-23 2007-09-12 마린테크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그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4212B (zh) * 2010-02-02 2013-06-05 广东上九生物降解塑料有限公司 一种聚乳酸可降解材料的制备方法
CN115232346A (zh) * 2022-08-22 2022-10-25 山东哈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包装的植物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232346B (zh) * 2022-08-22 2024-03-01 山东哈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包装的植物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251B1 (ko)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조성물, 그를 이용한 발포시트, 그의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시트 성형체의 용도
JP5661997B2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13801450A (zh) 耐高温挤出吸管制品用全生物降解改性塑料及其制备方法
CN108350156B (zh) 聚酯树脂及该聚酯树脂的制造方法、以及聚酯树脂组合物
EP2573136B1 (en) Blend of polylactic acid resin and copolyester resi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EP1652874B1 (en) Injection-molded objec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ellet for use for injection-molded object
KR101789724B1 (ko)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컴파운드 조성물
CN112048162A (zh) 一种吸塑薄壁制品用全生物降解改性塑料及其制备方法
CN111621239B (zh) 一种全生物降解胶带及其制备方法
CN103224697B (zh) 一种可完全生物降解的pha/pcl共混物及其制备方法
CN110373008B (zh) 一种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25944B1 (ko) 천연 보강제 강화 폴리유산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99642B1 (ko) 폴리락트산을 함유한 휴대폰 케이스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508612B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169415B1 (ko)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N115989129A (zh) 聚呋喃二甲酸乙二醇酯、高粘度聚呋喃二甲酸乙二醇酯的制造方法、聚酯组合物、聚酯制瓶、聚酯制瓶的制造方法和饮料制品
JP2004161967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ポリエステルの耐熱性シート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4384949B2 (ja) 射出成形体
CN112625414B (zh) 一种海水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7140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그 성형품의 제조 방법
CN112251002A (zh) 具有优良韧性和耐温性能的pbs降解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37674B1 (ko)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60088133A (ko)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계 수지 성형품
JP4841869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20160146076A (ko) 아이소소르바이드와 네오펜틸글리콜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