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672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672B1
KR100898672B1 KR1020070022912A KR20070022912A KR100898672B1 KR 100898672 B1 KR100898672 B1 KR 100898672B1 KR 1020070022912 A KR1020070022912 A KR 1020070022912A KR 20070022912 A KR20070022912 A KR 20070022912A KR 100898672 B1 KR100898672 B1 KR 10089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multilayer ceramic
height direction
ceramic capaci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644A (ko
Inventor
마사아키 도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소체(10)와,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을 가진다. 소체(10)는, 내층부(11)와 외층부(12)를 포함한다. 내층부(11)에는, 내부 전극(110)이 높이 방향 H로 적층되어 있고, 이 내부 전극(110)은 측면(103)에 인출부(111)를 가지고 있다. 외층부(12)는, 높이 방향 H에서 본 내층부(11)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접속부(21,31)와, 확장부(22,32)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31)는, 높이 방향 H를 따라서 인출부(111)를 피복하고 있다. 확장부(22,32)는, 높이 방향 H에서 본 접속부(21,31)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폭치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길이 방향 L에 간격 G2, G3을 두고 배치하고 있다.
Figure R1020070022912
콘덴서, 세라믹, 내부전극, 확장, ESL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LAMINATED CERAMIC CAPACI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내층부의 적층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탑재한 전자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실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내층부의 적층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체 11 : 내층부
12 : 외층부 20 : 제1 단자 전극
21 : 접속부 22 : 확장부
30 : 제2 단자 전극 101 : 일면
102 : 타면 103 : 측면
110 : 내부 전극 111 : 인출부
112 : 유전체층
본 발명은, 저(低)ESL치가 되는 다단자형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는, 탑재되는 전자기기의 고주파화의 진전에 따라서, 보다 한층 더 저ESL치화가 요구되고 있다. 저ESL치화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특개2000-208361호 공보에는, 단자 전극의 전극폭을 넓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근래,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시장의 요청이 격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동향에 대응하여, 탑재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도 한층 더 소형화가 요청되고 있다.
그런데, 소형화가 되면, 통상적인 조건하에서는, 단자 전극의 폭도 필연적으 로 좁아지지 않을 수 없고, 저ESL치화의 요청에 반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저ESL치화를 실현하고자 하여 단자 전극의 전극폭을 넓게 하면, 다수의 단자 전극을 형성해야 하는 다단자형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소형화된 소체의 측면에, 충분한 단자 전극의 형성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저ESL치화에 한계를 일으킨다.
만일, 단자 전극의 형성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해도, 인접한 단자 전극 상호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단자 전극의 형성시에 발생하는 전기 도금 연신의 불량에 의해, 단자 전극간에 단락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극히 높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저ESL치가 되는 다단자형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제조의 생산 수율이 뛰어난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진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소체와 복수의 단자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소체는, 내층부와 외층부를 포함한다. 내층부에는, 복수의 내부 전극이 소체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 내부 전극은, 소체의 측면에 도출되는 인출부를 가지고 있다. 외층부는, 소체의 높이 방향에서 본 내층부의 적어도 일면(一面)에 적층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전극은, 소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기본적 구성에 더하여, 단자 전극 각각의 구조에 고안을 가한 점에 특징의 하나가 있다. 즉, 단자 전극은, 접속부와 확장부를 가지고 있으며, 접속부가 소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인출부를 피복하고 있다.
확장부는, 이 접속부의 적어도 일단으로부터,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폭치수를 증대시키는 끝이 넓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전극의 확장부는, 접속부보다도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소형화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서, 더 큰 단자 전극의 저ESL치화가 달성되고, 따라서 콘덴서의 고주파 특성이 향상한다.
한편, 단자 전극에 있어서, 폭이 넓어지는 것은 확장부뿐이고, 접속부는, 확장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단자 전극의 간격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자 전극의 형성시의 전기 도금 연신 불량에 의해, 인접한 단자 전극간에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는,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폭치수를 증대시켜,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상에서 최대폭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기판에 부착할 경우에, 확장부에 대한 땜납 부착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납땜 강도(신뢰성) 및 제조 생산 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확장부는,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상에서 최대폭이 되기 때문에,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기판에는 납땜부착한 후에, 땜납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히트 사이클에 기인하는 땜납 크랙의 발생이 회피되어, 신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예시적으로만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소체(10)는, 일면(一面)(101)과, 이 일면(101)에 대해서 높이 방향 H에 서로 대향하는 타면(他面)(102)을 가진 육면체로서, 높이 치수 T의 내부에 내층부(11)와, 외층부(12)를 포함한다.
내층부(11)에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내부 전극(110)이, 세라믹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층(112)의 일면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부 전극(110)을 가진 유전체층(112)의 복수가, 높이 방향 H에 소정의 수만큼 적층되어 있다. 높이 방향 H에 인접하는 내부 전극(11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것이 저ESL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복수의 내부 전극(110)의 각각은, 소위 인출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인출부(111)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다. 인출부(111)는, 소체(10)의 폭방향 W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103) 중에서, 적어도 한쪽으로 도출되고 있다.
또한, 높이 방향 H에 인접하는 내부 전극(110)의 인출부(111)는, 높이 방향 H에 직교하는 소체(10)의 길이 방향 L에, 간격 G1를 두고 도출되어 있다(도 3 참조). 간격 G1는, 인접하는 인출부(111)에 있어서, 그 전극폭 D111의 중앙점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외층부(12)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유전체층(112)만을 높이 방향 H에 복수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 H에서 본 내층부(11)의 양면측에 소정의 수만큼 적층되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소체(10)는, 2개의 외층부(12)에 의해서, 내층부(11)가, 높이 방향 H의 양면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이들 외층부(12)의 한쪽 단면이, 각각 일면(101), 또는, 타면(102)이 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부품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면(101), 또는, 타면(102)의 어느 쪽도 기판 부착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제1 단자 전극(20)과, 제2 단자 전극(30)을 가진다.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모두 도전성 금속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측면(103)에 있어서, 인출부(111)를 높이 방향 H에 연속하여 피복한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길이 방향 L로 간격(G2,G3)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 길이 방향 L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저ESL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상술한 다단자형의 적층 세 라믹 콘덴서로서의 기본적 구성을 가진 동시에,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구조에 고안을 가한 점에 특징이 하나 더 있다. 아래에,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구체적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제1 단자 전극(20)은, 높이 방향 H에서 본 접속부(21)의 양단에 확장부(22)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는, 인출부(111)의 전극폭 D111보다 넓은 전극폭 C21을 가지며, 측면(103)의 내층부(11)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인출부(111)를 높이 방향 H를 따라서 대략 직선 모양으로 피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극폭 C21을, 전극폭 D111보다 넓은 폭으로 하는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단자 전극(20)의 형성시에, 접속부(21)와 인출부(111)의 사이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양자 사이의 폭치수 차부분(Margin)에서 흡수하여, 접속부(21)로부터 인출부(111)가 노출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확장부(22)는, 접속부(21)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폭치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부(22)는, 측면(103)의 외층부(12)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내층부(11)와 외층부(12)의 경계 부분(13)에 폭치수 변화의 시점(始點) P1을 가지며,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상에 폭치수 변화의 종점(終點) P2를 가진 것에 의해,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상에서 최대 전극폭 D22가 되는 끝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제1 단자 전극(20)에 있어서, 내층부(11)와 외층부(12)의 경계선 부분(13)과, 접속부(21)와 확장부(22)의 경계선 부분(23)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1 단자 전극(20)은, 접속부(21)가, 확장부(2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오목 한 모양으로 잘록한 형상으로서, 시점 P1에 있어서의 전극폭 C21이, 종점 P2에 있어서의 전극폭 D22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있다.
한편, 제2 단자 전극(30)은, 높이 방향 H에서 본 접속부(31)의 양단에 확장부(32)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31)는, 인출부(111)의 전극폭 D111보다 넓은 전극폭 C31를 가지며, 측면(103)의 내층부(11)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인출부(111)를 높이 방향 H를 따라서 대략 직선 모양으로 피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극폭 C31을, 전극폭 D111보다 넓은 폭으로 하는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2 단자 전극(30)의 형성시에, 접속부(31)와 인출부(111)의 사이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양자간의 폭치수 차부분(Margin)에서 흡수하고, 접속부(31)로부터 인출부(111)가 노출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확장부(32)는, 접속부(31)의 일단으로부터,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서서히 폭치수를 증대시키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부(32)는, 측면(103)의 외층부(12)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내층부(11)와 외층부(12)의 경계 부분(13)에 폭치수 변화의 시점 P1을 가지며,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상에 폭치수 변화의 종점 P2를 가진 것에 의해, 측면(103)의 끝단 가장자리상에서 최대 전극폭 D32가 되는 끝이 넓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제2 단자 전극(30)에 있어서, 내층부(11)와 외층부(12)의 경계선 부분(13)과, 접속부(31)와 확장부(32)의 경계선 부분(33)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2 단자 전극(30)은, 접속부(31)가, 확장부(3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잘록한 형상으로서, 시점 P1에 있어서의 전극폭 C31이, 종점 P2에 있 어서의 전극폭 D32보다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저ESL치 효과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1)는,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이 땜납층(5)을 개재하여 기판(4)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이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과 땜납층(5)의 결합에 의해, 회로 패턴(41,42)과 내부 전극(110)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회로 패턴(41,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각각의 극성에 대응한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전자장치에 대하여 표 1의 조건으로 통전할 경우의 단자 전극의 ESL치 저감 효과에 대해서, 표 1 및 표 1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표 1 및 도 5에 나타내는 수치는, 제2 단자 전극(30)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제1 단자 전극(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 A(㎛) B(㎛) B/A ESL치(pH)
500 410 45.0 0.10 82
500 350 75.0 0.21 78
500 280 110.0 0.39 69
500 227 136.5 0.60 63
500 194 153.0 0.78 62
500 143 178.5 1.24 61
500 58 221.0 3.81 61
표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 전극(20)의 ESL치는, 확장부(22)와 접속부(21)의 높이 치수비 B/A가, 0.10으로부터 0.60까지 증가하는 범위에서는, 거의 반비례적으로 계속 감소하지만, 높이 치수비 B/A가 0.60보다 큰 범위에서는, 높이 치수비 B/A가 커져도, ESL치는 거의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단자 전극(20)의 ESL치 저감에 도움이 되는 높이 치수비 B/A는, 0.60≤B/A가 되는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부(22)의 구체적인 높이 치수 B는, 소체(10)의 높이 치수 T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높이 치수 T를 500㎛로 할 경우, 높이 치수 B는 136.5㎛≤B의 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전자장치에 대해서 통전(通電)할 경우의 다른 ESL치 저감 효과에 대해서, 표 2 및 표 2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표 2 및 도 6에 나타내는 수치는, 전극폭비 C21/D22를 전극폭비 C31/D32로 치환함으로써, 제2 단자 전극(30)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제1 단자 전극(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G1(㎛) C21(㎛) D22(㎛) C21/D22 ESL치(pH)
500 252 252 1.00 80
500 250 271 0.92 76
500 249 293 0.85 69
500 251 315 0.80 63
500 250 341 0.73 62
500 252 377 0.67 61
500 249 405 0.61 61
표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자 전극(20)의 ESL치는, 최대 전극폭 D22에 대한 전극폭 C21의 비 C21/D22가, 0.61로부터 0.80까지 증가하는데 대략 비례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전극폭비 C21/D22가 0.80일 때 ESL치가 63이 되는 점을 임계점으로 하여, 그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제1 단자 전극(20)의 저ESL치화에 도움이 되는 전극폭비 C21/D22는, C21/D22≤0.80이 되는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대 전극폭 D22의 구체적인 치수는, 인접한 단자 전극간의 간격 G1에 따라 변동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간격 G1를 500㎛로 했을 경우, 최대 전극폭 D22는, 315㎛≤D22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1)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종점 P2에 있어서의 확장부(22,32)의 전극폭 D22, D32가, 시점 P1에 있어서의 접속부(21,31) 확장부의 전극폭C21, C31보다 넓어지고 있는, 끝이 넓어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ESL치가 저감되고, 따라서 콘덴서의 고주파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종점 P2에 있어서의 확장부(22,32)의 전극폭 D22, D32가, 시점 P1에 있어서의 접속부(21,31) 확장부의 전극폭 C21, C31보다 넓어지고 있는, 끝이 넓은 형상이기 때문에, 이 확장부(22,32)를 기판(4)에 부착하는 경우에, 땜납층(5)과의 접촉 면적이 넓게 확보된다. 따라서, 제조 생산수율이 뛰어난 적층 세라믹 콘덴서(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종점 P2에 있어서의 확장부(22,32)의 전극폭 D22, D32가, 시점 P1에 있어서의 접속부(21,31) 확장부의 전극폭 C21, C31보다 넓어지고 있는 끝이 넓은 형상이기 때문에, 기판(4)에의 부착한 후에는 땜납층(5)에 가해지는 응력이 넓게 분산된다. 따라서, 히트 사이클에 기인하고 땜납 크랙의 발생을 회피하고, 높은 신뢰성을 가진 적층 세라믹 콘덴서(1)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은 외층부(12)에 대응하는 확장부(22,32)뿐이고, 내층부(11)에 대응하는 접속부(21,31)는, 확장부(22,3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잘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 L에 인접하는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에 있어서, 접속부(21,31)의 서로 대향 부분에 간격 G2가 형성되고, 종점 P2에 있어서의 확장부(22,32)의 서로 대향 부분에 간격 G3가 형성된다. 간격 G2, G3는,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잘록한 형상을 따라서, 간격 G3<간격 G2가 된다. 따라서, 내층부(11)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접속부(21,31)의 간격 G2가 넓게 확보되어, 단자 전극 형성시의 전기 도금 연신 불량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사이에 단락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이 전기 도금 연신 불량의 회피에 기여하는 간격 G2의 값에 대해서,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G1(㎛) C21(㎛) D22(㎛) C21/D22 G2(㎛) ESL치(pH) 도금 연신 불량
500 252 377 0.67 123 61 0/500
500 249 405 0.61 95 61 0/5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 G1을 500㎛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에 있어서, 접속부(21)의 전극폭 C21을 252㎛, 확장부(22)의 최대 전극폭 D22를 377㎛로 하고, 전극비 C21/D22를 0.67로 할 경우, ESL치를 63pH이하로 저감한 상태로, 전기 도금 연신 불량을 회피할 수 있는 간격 G2의 치수는 123㎛이다.
또한, 접속부(21)의 전극폭 C21을 249㎛, 확장부(22)의 최대 전극폭 D22를 405㎛로 하고, 전극비 C21/D22를 0.61로 할 경우, ESL치를 63pH이하로 저감한 상태로, 전기 도금 연신 불량을 회피할 수 있는 간격 G2의 치수는 95㎛이다.
이에 대해서, 특허 문헌 1 등의 종래 기술에서는,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은, 높이 방향 H으로 균일한 전극폭(G2=G3)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그 전극폭을 넓게 했을 경우,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나 인접하는 전극간의 간격(G2=G3)이 좁아지는 결과, 전극 형성시에 발생하는 전기 도금 연신에 의해, 단락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근래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1)의 소형화 경향에 있어서, 측면(103)에 제1 및 제2 단자 전극(20,30)을 형성할 만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원래 곤란한 현상에 비추어 보면, 이 단락 사고의 문제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도 7 내지 도 9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있어서, 내부 전극(110)은, 폭방향 W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103)의 각각에 대해서, 2개씩 도출가능한 4개의 인출부(111)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점을 모두 가진 동시에, 다양한 인출 변화성을 가진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특별히 도시하며 기재되었지만, 발명의 사상, 영역 및 개시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와 세부사항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만들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소체와, 복수의 단자 전극을 가진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소체는, 내층부와 외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층부에는, 복수의 내부 전극이, 상기 소체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내부 전극은, 상기 소체의 측면에 도출되는 인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층부는, 상기 높이 방향에서 본 상기 내층부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 전극은, 접속부와 확장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인출부의 전극폭보다 넓은 전극폭으로, 상기 인출부를 피복하고 있으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내층부와 상기 외층부의 경계 부근을 폭변화의 시점으로 하고, 상기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를 폭변화의 종점으로 하는 끝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자 전극은, 상기 소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의 높이 치수를 A, 상기 확장부의 높이 치수를 B로 했을 때,
    높이 치수비 B/A는, 0.60≤B/A가 되며,
    상기 단자 전극은,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있어서의 전극폭을 C, 상기 측면의 끝단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전극폭을 D로 했을 때, 전극폭비 C/D는, 0<C/D≤0.80이 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높이 방향에서 본 양단에 상기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22912A 2006-03-10 2007-03-08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0898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6040 2006-03-10
JP2006066040A JP4433204B2 (ja) 2006-03-10 2006-03-10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644A KR20070092644A (ko) 2007-09-13
KR100898672B1 true KR100898672B1 (ko) 2009-05-22

Family

ID=3847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912A KR100898672B1 (ko) 2006-03-10 2007-03-08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24327B2 (ko)
JP (1) JP4433204B2 (ko)
KR (1) KR100898672B1 (ko)
CN (1) CN101034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8594B2 (ja) * 2010-07-22 2015-05-1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配線基板
KR101228688B1 (ko) * 2010-11-25 201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세라믹 캐패시터
JP5689143B2 (ja) * 2013-03-19 2015-03-25 太陽誘電株式会社 低背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994713B1 (ko) * 2013-04-22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2015019083A (ja) * 2014-08-13 2015-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体
JP2015019082A (ja) 2014-08-13 2015-01-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5035630A (ja) * 2014-11-13 2015-0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3端子型コンデンサ
JP2016136561A (ja) * 2015-01-23 2016-07-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WO2016171261A1 (ja) * 2015-04-24 2018-02-15 京セラ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および実装構造体
JP6577906B2 (ja) * 2016-05-30 2019-09-18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2297593B1 (ko) 2016-09-23 2021-09-0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전자 부품 및 전자 부품 장치
JP2018081996A (ja) 2016-11-15 2018-05-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7359595B2 (ja) * 2019-08-23 2023-10-11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回路基板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7099434B2 (ja) * 2019-11-29 2022-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851A (ja) 2001-06-12 2002-12-20 Murata Mfg Co Ltd チップ型電子部品およびチップ型電子部品への導電性ペースト付与方法
JP2004259991A (ja) 2003-02-26 2004-09-16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部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7165B1 (en) * 1997-11-14 2007-04-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JP2003051423A (ja) * 2001-08-03 2003-02-21 Tdk Corp 電子部品
JP4000701B2 (ja) 1999-01-14 2007-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4423707B2 (ja) * 1999-07-22 2010-03-03 Tdk株式会社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3489728B2 (ja) * 1999-10-18 2004-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および高周波回路
JP4332634B2 (ja) * 2000-10-06 2009-09-1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US6496355B1 (en) * 2001-10-04 2002-12-17 Avx Corporation Interdigitated capacitor with ball grid array (BGA) terminations
JP2006013380A (ja) * 2004-06-29 2006-01-12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JP4757587B2 (ja) 2005-09-21 2011-08-24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851A (ja) 2001-06-12 2002-12-20 Murata Mfg Co Ltd チップ型電子部品およびチップ型電子部品への導電性ペースト付与方法
JP2004259991A (ja) 2003-02-26 2004-09-16 Kyocera Corp 積層セラミック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24327B2 (en) 2008-01-29
US20070211410A1 (en) 2007-09-13
JP2007243039A (ja) 2007-09-20
KR20070092644A (ko) 2007-09-13
CN101034622B (zh) 2010-05-26
CN101034622A (zh) 2007-09-12
JP4433204B2 (ja)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672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0883524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US7715172B2 (en) Multilayer capacitor
KR101401641B1 (ko) 적층 콘덴서
US7394643B2 (en)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US7684204B2 (en) Circuit board for mounting multilayer chip capacitor and circuit board apparatus including the multilayer chip capacitor
US20060250747A1 (en) Layer-built capaci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70279836A1 (en) Monolithic capacitor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US20040027787A1 (en)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00988A1 (en) Multilayer capacitor
JP2005064377A (ja) 電子部品
US20190244760A1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JP4911036B2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US8395881B2 (en) 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and mounted structure of 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US10395844B2 (en) Capacitor component
JP4736225B2 (ja) コンデンサ
US8018711B2 (en) Feedthrough capacitor and mounted structure thereof
JP4539440B2 (ja) 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US20100032193A1 (en) Electrode pa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0900673B1 (ko) 적층형 칩 커패시터
JP2005223280A (ja) チップ型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39403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及び電子部品装置
US20230045941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2021192404A (ja) 積層インダクタ部品
EP1220247A1 (en) Multiterminal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