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806B1 -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806B1
KR100897806B1 KR1020060046064A KR20060046064A KR100897806B1 KR 100897806 B1 KR100897806 B1 KR 100897806B1 KR 1020060046064 A KR1020060046064 A KR 1020060046064A KR 20060046064 A KR20060046064 A KR 20060046064A KR 100897806 B1 KR100897806 B1 KR 100897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sor
item
touch screen
touch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347A (ko
Inventor
김태훈
우범영
윤정혁
안현주
한승숙
박준석
천호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806B1/ko
Priority to EP07010180.3A priority patent/EP1881396B1/en
Priority to US11/752,174 priority patent/US8274482B2/en
Priority to JP2007136472A priority patent/JP5174375B2/ja
Priority to CN2007101092195A priority patent/CN101101529B/zh
Publication of KR2007011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커서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한 상태로 소정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커서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아이템 상에 도달되어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상에 끝이 뾰족한 스타일러스펜이 없이는 구분하여 선택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아이템이 밀집되어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타일러스펜 없이도 쉽게 아이템을 선별 선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단말기, 스타일러스펜, 아이콘, 선택

Description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METHOD FOR SELECTING ITEMS AND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단말기 110: 메모리부
120: 터치스크린 130: 입력부
140: 무선처리부 150: 멀티미디어 재생부
160: 제어부
본 발명은 각종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저변확대에 따른 수요자들의 요구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일반적 음성통화 이외에도 동영상 촬영 및 재생, MP3 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그런데, 단말기가 소형화되어 가는 최근의 경향에 따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일정크기 이상으로 구현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자체의 기능은 점점 복잡/다양화되어서, 단말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의 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아이콘 수가 점차 많아지고 있고,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의 아이콘의 크기는 작아질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단말기 사용자는 요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끝이 뾰족한 스타일러스펜이 아니고서는(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스타일러스펜이 없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커서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한 상태로 소정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커서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아이템 상에 도달되어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커서가 형성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한 상태로 소정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 상기 커서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커서가 소정 아이템 상에 도달되어 상기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키오스크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하의 설명 및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10), 터치스크린부(120), 입력부(130), 무선처리부(140), 멀티미디어재생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에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예컨대, 카메라부)이 포함되어 구성될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상기 메모리부(11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들, 및 이에 따른 각종 데이터들(예를 들면, MP3 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문서 파일, 전화번호 리스트, 통화 송수신 리스트, 단문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 리스트, 이메일 리스트,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2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여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아이콘(예컨대, MP3 파일 아이콘, 동영상파일 아이콘, 이미지파일 아이콘, 문서파일 아이콘, 프로그램실행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20)에는 전화번호 리스트, 통화 송수신기록 리스트, 단문메시지 송수신기록 리스트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각종 아이콘 각각, 및 각종 리스트를 구성하는 항목 각각을 통칭하여 "아이템"이라고 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20)은 접촉식 정전용량(eletrostatic capacitive) 방식, 압력식 저항막(resistive overlay) 방식, 적외선 감지(infrared beam) 방식,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integral strain gauge) 방식, 피에조 효과(Piezo electric) 방식 등 중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되는 아이템 선택 방법은 특히 단말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할 때 더욱 편리하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는데 유리한 터치스크린일수록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20)은 그 위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일종의 명령 및/또는 정보의 입력 수단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터치스크린부(120) 이외의 별도의 입력부(130)(예컨대, 키패드, 터치휠,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등 임의의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이미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무선처리부(140)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외부와 음성통화, 단문메시지 등으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RF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15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각종 멀티미디어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미디어 재생"이라고 하면, 각종 동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위성 DMB, 미국의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및 유럽의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등의 이동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재생)하는 것도 아우르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멀티미디어 재생부(150)는 필요에 따라 이동방송 수신 및 재생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부(15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10), 상기 터치스크린부(120), 상기 입력부(130), 상기 무선처리부(140), 및 상기 멀티미디어재생부(150)를 포함한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는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이하 각각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2a 내지 도 2d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 고 있다.
부연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부(120) 화면에는 이퀄라이저 영역(123), MP3 음악 파일 재생 영역(125), 및 MP3 음악 파일 리스트 영역(127)이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1. You Light up My Life"를 재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MP3 음악 파일 리스트 영역(127)에서 "4. Goodbye" 아이템(이하 "타겟 음악 아이템"이라고 함)(128)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는 제 1 실시예에 방법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가 직접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아이템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임의의 아이템이 선택(또는 실행)되지 않고, 후술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커서에 의해서만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도록 사전 환경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예컨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가 임의의 아이템 위에 행해지더라도, 상기 임의의 아이템이 선택되지 않도록 사전 환경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터치스크린(120)의 사전 설정된 일정 위치에 커서(129)가 형성된다[S320]. 상기 일정 위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로 사전설정될 수 있으나, 상기 커서(129) 의 상하좌우 이동성을 고려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를 유지한 채 소정 궤적을 따라 상기 터치를 움직인다[S330].
그러면, 상기 커서(129)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터치와 상기 커서 간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기 터치의 궤적과 동일한 궤적을 형성하면서 움직이게 된다[S340].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커서(129)의 이동 궤적을 보면서 상기 커서(129)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 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터치를 움직인다.
상기 커서(129)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 상에 위치하지 않았다면, 전술한 S330 및 S340 단계를 반복한다[S350].
상기 커서(129)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 상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를 상기 터치스크린(120)에서 해제한다[S350, S360]. 그러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이 선택되어 재생된다[S370].
이상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20)에 터치를 하면 커서가 생성되고, 터치를 해제하면 커서가 사라지면서 상기 커서 위치에 해당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에 소정의 변형을 가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커서의 생성은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기의 별도의 입력부(130)를 통한 단말기 조작을 통해 상기 터치 이전에 이미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의 선택에 있어서도, 상기 터치를 해제하면 바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기의 별도의 입력부(130)를 통한 단말기 조작을 통해 선택이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단말기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에서도, 먼저 언급된 도 2a 및 도 2d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부(120) 화면에는 이퀄라이저 영역(123), MP3 음악 파일 재생 영역(125), 및 MP3 음악 파일 리스트 영역(127)이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1. You Light up My Life"를 재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MP3 음악 파일 리스트 영역(127)에서 "4. Goodbye" 아이템(이하 "타겟 음악 아이템"이라고 함)(128)을 선택하여 재생시키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단말기 사용자의 터치가 직접적으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 는 임의의 아이템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임의의 아이템이 선택(또는 실행)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커서에 의해서만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도록 사전 환경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예컨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한다[S510].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의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된 일정 거리 및 방향에 커서(129)가 형성된다[S520]. 상기 커서(129)가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사전설정된 거리 및 방향으로 떨어져서 형성되는 이유는, 예컨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바로 커서가 형성되면 상기 커서가 손가락에서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서의 일정 방향은 360도 중 어느 방향으로 사전설정되어도 무방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상기 커서의 방향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0시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고 계속 설명하겠다.
그런데, 상기 커서 방향이 상기 터치 위치에 대해 약 10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터치를 약 5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이 오른쪽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커서(129)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를 충분히 이동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면 상기 커서(129)를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 상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영역 밖으로 벗어나야 할 것인데, 이는 불가능하다. 즉, 상기 커서로 임의의 아이템을 선택함에 있어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이는 상기 커서(129)가 상기 터치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커서의 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커서의 방향을 조정하는 방안은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기의 별도의 입력부(130)를 이용한 단말기 조작을 하여 상기 커서의 방향을 조정하는 등의 여러 가지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 방향 조정 조작이 보다 간편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커서 방향 조정 방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커서 방향 조정 개념이 후술되는 방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서 방향 조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커서의 방향이 상기 터치스크린(120)의 우측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을 정확히 선택함에 있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S530].
판단결과, 상기 커서 방향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면, 후술되는 S550 단계로 넘어간다.
그러나, 판단결과 상기 커서의 방향이 적절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터치 위치에서 소정 시간(예컨대, 약 0.5초) 이내의 간격으로 상기 터치스크린(120)을 두드린다[S540]. 그러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서의 방향이 상기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점차 회전한다.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커서 방향이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될 때까지 계속 두드린다. 상기 커서 방향이 원하는 방향이 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드름을 멈춘다.
그 다음, 상기 터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유지한 채 상기 터치를 이동하여 상기 커서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 상에 위치하도록 한다[S550].
그 다음, 상기 커서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 상에 위치하지 않았다면 전술한 S530 내지 S560 단계를 반복한다[S570]. 상기 커서가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 상에 위치하게 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터치를 상기 터치스크린(120) 상에서 완전히 해제한다[S570, S580].
그러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이 선택되어 재생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커서의 방향 조정이 상기 커서가 형성된 후 상기 터치가 이동하기 전에 행해지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커서의 방향 조정은 상기 터치의 이동 중간에 또는 이동이 끝난 후에 행해져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타겟 음악 아이템(128)의 선택에 있어서도, 상기 선택이 상기 터치가 완전히 해제될 때 행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선택이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기의 별도의 입력부를 통한 단말기 조작을 통해 행해지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컨대, 상기 커서가 임의의 아이템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아이템이 하이라이트되어 상기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끝이 뾰족한 스타일러스펜이 없이는 구분하여 선택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은 아이템이 밀집되어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쉽게 아이템을 선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가 별도의 스타일러스펜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쉽게 터치스크린 상의 모든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되면 터치위치와는 상관없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사전설정된 일정 위치에 커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소정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커서가 상기 터치위치와 상기 일정 위치 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커서가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서가 아이템 상에 도달하면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아이템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될 때, 터치위치와는 상관없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커서가 사전설정된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단계;
    상기 터치가 유지되어 소정 궤적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커서가 상기 궤적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단계;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상기 커서가 사라지는 단계; 및
    상기 커서가 상기 아이템 상에 도달할 때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아이템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046064A 2006-05-23 2006-05-23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89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064A KR100897806B1 (ko) 2006-05-23 2006-05-23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EP07010180.3A EP1881396B1 (en) 2006-05-23 2007-05-22 Controlling pointer movements on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US11/752,174 US8274482B2 (en) 2006-05-23 2007-05-22 Controlling pointer movements on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mobile terminal
JP2007136472A JP5174375B2 (ja) 2006-05-23 2007-05-23 移動端末のタッチ感知型スクリーン上でポインタ移動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CN2007101092195A CN101101529B (zh) 2006-05-23 2007-05-23 控制移动终端的触敏屏上指针的移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064A KR100897806B1 (ko) 2006-05-23 2006-05-23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024A Division KR101053627B1 (ko) 2008-12-16 2008-12-16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347A KR20070113347A (ko) 2007-11-29
KR100897806B1 true KR100897806B1 (ko) 2009-05-15

Family

ID=3874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064A KR100897806B1 (ko) 2006-05-23 2006-05-23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74482B2 (ko)
EP (1) EP1881396B1 (ko)
JP (1) JP5174375B2 (ko)
KR (1) KR100897806B1 (ko)
CN (1) CN101101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7444B2 (en) * 2002-03-19 2009-02-03 Aol Llc Reformatting columns of content for display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ITBO20060789A1 (it) * 2006-11-21 2008-05-22 Technogym Spa Macchina ginnica.
US8607167B2 (en) * 2007-01-07 2013-12-10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and directions
US8171432B2 (en) * 2008-01-06 2012-05-01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selecting application options
US8302033B2 (en) * 2007-06-22 2012-10-30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JP5058724B2 (ja) * 2007-09-05 2012-10-2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US8327272B2 (en) 2008-01-06 2012-12-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nd managing electronic calendars
TWI360775B (en) 2008-04-22 2012-03-21 Ht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CN101571785B (zh) * 2008-04-29 2013-03-27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用户界面的操作方法、装置及储存媒体
US8423916B2 (en) * 2008-11-20 2013-04-1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27386B1 (ko) * 2008-12-08 2015-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1577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US9524094B2 (en) * 2009-02-20 2016-12-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display of a cursor
KR101062594B1 (ko) * 2009-03-19 2011-09-06 김연수 포인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US8464182B2 (en) * 2009-06-07 2013-06-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maps, directions,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KR20110026066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38592B2 (en) * 2009-12-22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live content promoter for digital broadcast TV
US20110148774A1 (en) * 2009-12-23 2011-06-23 Nokia Corporation Handling Tactile Inputs
US8862576B2 (en) 2010-01-06 2014-10-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pping directions between search results
US8456297B2 (en) * 2010-01-06 2013-06-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cking movement on a map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20110191704A1 (en) * 2010-02-04 2011-08-04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 multiplexing gesture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9075522B2 (en)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JP2011242386A (ja) * 2010-04-23 2011-12-01 Immersion Corp 接触センサと触覚アクチュエータとの透明複合圧電材結合体
FR2963970B1 (fr) * 2010-08-17 2013-07-12 Compagnie Ind Et Financiere Dingenierie Ingenico Procede de commande d'actions au moyen d'un ecran tactile.
US9513791B2 (en) 2010-09-29 2016-12-06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process continu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047006B2 (en) 2010-09-29 2015-06-0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2446435B (zh) * 2010-09-30 2013-11-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模拟时钟的调节方法及装置
US20120233545A1 (en) * 2011-03-11 2012-09-13 Akihiko Ikeda Detection of a held touch on a touch-sensitive display
JP5235032B2 (ja) * 2011-04-04 2013-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826190B2 (en) 2011-05-27 2014-09-02 Google Inc. Moving a graphical selector
US8656315B2 (en) 2011-05-27 2014-02-18 Google Inc. Moving a graphical selector
EP2570903A1 (en) * 2011-09-15 2013-03-20 Uniqoteq O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enabling selection of an object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811780B2 (ja) * 2011-11-07 2015-11-1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5925024B2 (ja) * 2012-04-06 2016-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33186B2 (en) * 2012-04-23 2017-04-2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utput of content based on human recognition data detection
KR20140000876A (ko) * 2012-06-26 2014-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20568A (ko) * 2012-08-09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656296B1 (en) 2012-09-27 2014-02-18 Google Inc. Selection of characters in a string of characters
US9804777B1 (en) 2012-10-23 2017-10-31 Google Inc. Gesture-based text selection
JP2014089522A (ja) * 2012-10-29 2014-05-15 Kyocera Corp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JP6029453B2 (ja) * 2012-12-21 2016-11-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カーソル表示制御プログラム、カーソル表示制御方法、カーソル発生制御プログラム、カーソル発生制御方法、アイコン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アイコン表示方法
EP2770413A3 (en) * 2013-02-22 201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ursor in electronic devices and a method thereof
CN103616996B (zh) * 2013-11-28 2017-06-06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遮盖内容的鼠标显示方法及系统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KR102206385B1 (ko) 2014-04-11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7052109A1 (en) 2015-09-22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grab method in electronic device
KR20170066916A (ko) * 2015-12-07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943562B2 (ja) * 2016-11-25 2021-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CN110026980A (zh) * 2019-04-04 2019-07-19 飞依诺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机械臂控制终端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361A (ko) * 2000-01-19 2001-12-07 임머숀 코퍼레이션 터치패드용 햅틱 피드백 및 기타 터치 제어장치
KR20030082968A (ko) * 2001-03-09 2003-10-23 임머숀 코퍼레이션 랩톱 컴퓨터 및 기타 휴대 장치용 햅틱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6946A (en) * 1991-07-08 1994-12-27 Mikan; Peter J. Computer mouse simulator device
JPH0651908A (ja) 1992-07-28 1994-02-25 Sony Corp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US5808604A (en) * 1994-03-10 1998-09-15 Microsof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a cursor on a control
JP3204842B2 (ja) * 1994-06-07 2001-09-04 富士通株式会社 Cadシステムにおける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H0876927A (ja) * 1994-08-31 1996-03-22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
JP3744116B2 (ja) * 1997-04-08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JPH1124841A (ja) * 1997-07-07 1999-01-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6278443B1 (en) * 1998-04-30 2001-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 screen with random finger placement and rolling on screen to control the movement of information on-screen
US6411283B1 (en) * 1999-05-20 2002-06-25 Micron Technology, Inc. Computer touch screen adapted to facilitate selection of features at edge of screen
GB2355086A (en) * 1999-10-06 2001-04-11 Ncr Int Inc Selection of displayed options, for self-service terminals
JP2001195187A (ja) * 2000-01-11 2001-07-19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US7190348B2 (en) * 2000-12-26 2007-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touchscreen data input
JP2003005912A (ja) * 2001-06-20 2003-01-10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表示方法
FI115254B (fi) 2001-12-20 2005-03-31 Nokia Corp Kosketusnäytön käyttäminen osoitinvälineellä
US20060149624A1 (en) * 2004-12-30 2006-07-06 Shumeet Baluja Generating and/or serving local area advertisements, such as advertisements for devices with call functionality
KR100539904B1 (ko) * 2004-02-27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및 그 사용 방법
US7728821B2 (en) * 2004-08-06 2010-06-01 Touchtable, Inc. Touch detecting interactive display
US7489306B2 (en) 2004-12-22 2009-02-10 Microsoft Corporation Touch screen accuracy
KR200382968Y1 (ko) 2005-02-17 2005-04-27 지영도 돌기 있는 런닝머신
US20070097096A1 (en) * 2006-03-25 2007-05-03 Outland Research, Llc Bimodal user interface paradigm for touch screen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361A (ko) * 2000-01-19 2001-12-07 임머숀 코퍼레이션 터치패드용 햅틱 피드백 및 기타 터치 제어장치
KR20030082968A (ko) * 2001-03-09 2003-10-23 임머숀 코퍼레이션 랩톱 컴퓨터 및 기타 휴대 장치용 햅틱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74375B2 (ja) 2013-04-03
US8274482B2 (en) 2012-09-25
CN101101529A (zh) 2008-01-09
JP2007317197A (ja) 2007-12-06
EP1881396A3 (en) 2009-02-11
CN101101529B (zh) 2012-02-08
EP1881396A2 (en) 2008-01-23
EP1881396B1 (en) 2019-03-20
KR20070113347A (ko) 2007-11-29
US20070273664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806B1 (ko)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6301530B2 (ja) タッチデバイスの機能運用方法及び装置
JP5841791B2 (ja) 携帯用端末機における電子書籍ページめくり装置及び方法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146019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playing and displaying music
KR101608673B1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703456B2 (en) Mobile terminal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US9182911B2 (en) Menu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US2008028886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728453A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6888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547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oating user interface
AU2019203391A1 (en)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KR101954794B1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3263834A1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80530A (ko)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023599A (ko) 메뉴 표시 장치, 메뉴 표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40075315A1 (en) Media reproduction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KR201200342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1069815A2 (en) Media control arrangement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US818516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