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876A -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876A
KR20140000876A KR1020120068474A KR20120068474A KR20140000876A KR 20140000876 A KR20140000876 A KR 20140000876A KR 1020120068474 A KR1020120068474 A KR 1020120068474A KR 20120068474 A KR20120068474 A KR 20120068474A KR 20140000876 A KR20140000876 A KR 20140000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web page
tag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혜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876A/ko
Priority to CN201310258581.4A priority patent/CN103514252A/zh
Priority to US13/928,093 priority patent/US20130346850A1/en
Priority to EP13173833.8A priority patent/EP2680170A1/en
Publication of KR2014000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하며,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상기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하고,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WEP PAG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 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인터넷 연결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인터넷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웹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웹 페이지의 다른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플릭(flick)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는 웹 페이지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웹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웹 페이지의 표시는 웹 페이지의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행됨으로써 웹 페이지에 포함된 문단이나 기사가 잘려서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단 또는 기사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상기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하며,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상기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하고,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단 또는 기사를 구분하기 위한 태그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단 또는 기사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페이지가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01)와 표시부(103)와 메모리부(105)와 입력부(107)와 무선 송수신부(109)와 데이터 처리부(111)와 오디오 처리부(113)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무선 송수신부(109)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무선 송수신부(109)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11)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111)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13)는 데이터 처리부(111)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11)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10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고, 표시부(103)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01)로부터 출력 요청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만약에, 표시부(103)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입력부(10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03)는 입력부(10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03)가 터치 표시 화면 방식으로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5)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05)는 웹페이지의 소스 코드를 저장한다. 여기서, 웹페이지의 소스 코드는 웹페이지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나타낸 글을 말하며, 웹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또는 문단을 구분하기 위한 태그를 포함한다. 그리고 태그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카테고리 또는 기사 또는 문단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이며, 예를 들면, div, iframe, html5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위한 이벤트가 입력되면, 웹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태그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의 이동 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지점으로 표시 영역을 이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제부터, 도 2를 참조하여 웹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는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201)와 웹 페이지(201) 중에서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표시 영역(203)이 도시되어 있다. 웹 페이지의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표시 영역(203)에 포함된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도 2에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사이트의 웹 페이지(205)와 웹페이지(205) 중에서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표시 영역(207)이 도시되어 있다. 웹 페이지의 표시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표시 영역(207)에 포함된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왑 사이트는 데스크 탑과 같은 단말기보다 작은 크기의 화면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쉽게 웹페이지를 가독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사이트를 말한다.
제어부(101)의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웹 페이지 중에서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위한 이벤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flick)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눈동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정지한 경우, 눈동자의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플릭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표시부(103)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입력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에서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눈동자 이동 방향과 눈동자 정지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동자 이동 방향과 눈동자 정지 시간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손가락 이동 방향과 손가락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손가락 이동 방향과 손가락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가 표시 영역을 하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01)는 표시 영역(203, 207)의 최하위 부분에 표시될 코드를 예측하고, 예측된 코드에 대응되는 지점을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태그 중에서 확인된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확인하고, 웹 페이지 내에서 확인된 태그에 대응되는 이동 지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확인된 이동 지점을 경계로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또는 문단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를 표시한 후, 30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웹 페이지 중에서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3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위한 이벤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이벤트는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벤트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눈동자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정지한 경우, 눈동자의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플릭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표시부(103)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만약에, 이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3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3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입력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에서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한 후, 307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눈동자 이동 방향과 눈동자 정지 시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동자 이동 방향과 눈동자 정지 시간을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력된 이벤트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인 경우, 제어부(101)는 손가락 이동 방향과 손가락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손가락 이동 방향과 손가락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307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태그 중에서 확인된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확인하고, 309 단계에서, 웹 페이지 내에서 확인된 태그에 대응되는 이동 지점을 확인한 후, 3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31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확인된 이동 지점을 경계로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또는 문단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를 표시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웹 페이지 중에서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에 포함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표시 영역의 이동을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스처는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스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이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을 이용하는 표시 영역 이동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플릭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만약에,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4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4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입력된 제스처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에서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제스처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플릭인 경우, 제어부(101)는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손가락 이동 방향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방향과 손가락 접촉 강도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강도를 고려하여 웹 페이지에서의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태그 중에서 확인된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확인하고, 409 단계에서, 웹 페이지 내에서 확인된 태그에 대응되는 이동 지점을 확인한 후, 411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1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확인된 이동 지점을 경계로 표시 영역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기사 또는 문단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페이지가 출력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d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벤트는 표시 영역을 웹 페이지의 하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이벤트라고 가정한다.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면, 601 화면은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초기 화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다음'이라는 웹 페이지의 표시가 요청되면, 제어부(101)는 표시부(103)를 통해 601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603 화면은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표시 영역이 이동된 화면이다. 그리고 609 화면과 611 화면은 본 발명에 따라 표시 영역이 이동된 화면이다.
603 화면과 609 및 611 화면을 비교하면, 603 화면은 View(607)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집에서 TV 보며 날씬한 몸매 만드는 요가 동작'(60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603 화면은 뉴스 카테고리의 전체 기사와 Live 스토리 카테고리의 전체 기사와 View(607) 카테고리에 포함된 전체 기사 중에서 일부 기사만을 포함하므로, 제어부(101)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내용이 잘린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609 및 611 화면은 View(607)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표시 영역을 표시한 화면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609 화면은 View(607) 카테고리 이전에 존재하는 뉴스 카테고리의 전체 기사와 Live 스토리 카테고리의 전체 기사를 포함하는 화면이다. 그리고 611 화면은 View(607) 카테고리에 포함된 전체 기사와 HOT 토픽 카테고리에 포함된 전체 기사를 포함하는 화면이다.
609 및 611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601 화면에서 표시 영역의 이동을 위한 이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 내에서의 표시 영역에 대한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집에서 TV 보며 날씬한 몸매 만드는 요가 동작'(501) 코드를 예상 이동 지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div> (503)를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결정된 태그를 경계로 표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영역의 출력이 웹 페이지 내에서 결정된 태그의 윗부분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01)는 609 화면과 같이, 결정된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인 View(607)가 포함되지 않도록 표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표시 영역의 출력이 웹 페이지 내에서 결정된 태그의 아랫부분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01)는 611 화면과 같이, 결정된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인 View(607)가 포함되도록 표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609 및 611 화면은 웹 페이지에서 View(607)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출력함으로, 제어부(101)는 특정 카테고리에 포함된 내용의 잘림없이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문단 또는 기사를 구분하기 위한 태그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단 또는 기사의 잘림없이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표시 영역을 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를 가정한 후 본 발명을 적용하였으나, 표시 영역을 상/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영역을 좌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코드들 중에서 표시 영역의 최좌측에 표시될 코드를 예측하고, 예측된 코드를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예측된 코드와 가장 가까운 태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확인된 태그에 대응되는 지점을 경계로 표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101: 제어부 103: 표시부
105: 메모리부 107: 입력부
109: 무선 송수신부 111: 데이터 처리부
113: 오디오 처리부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상기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카테고리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과 사용자의 손가락과 스타일러스 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플릭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웹 페이지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 영역의 이동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의 예상 이동 지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포함된 복수의 태그들 중에서 상기 예상 이동 지점과 가장 가까운 태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웹 페이지에 포함된 카테고리를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표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과 사용자의 손가락과 스타일러스 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플릭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웹 페이지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를 경계로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태그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KR1020120068474A 2012-06-26 2012-06-26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0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74A KR20140000876A (ko) 2012-06-26 2012-06-26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N201310258581.4A CN103514252A (zh) 2012-06-26 2013-06-26 在便携式终端中显示网页的装置和方法
US13/928,093 US20130346850A1 (en) 2012-06-26 2013-06-2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web page in a portable terminal
EP13173833.8A EP2680170A1 (en) 2012-06-26 2013-06-2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web page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74A KR20140000876A (ko) 2012-06-26 2012-06-26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876A true KR20140000876A (ko) 2014-01-06

Family

ID=4874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474A KR20140000876A (ko) 2012-06-26 2012-06-26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46850A1 (ko)
EP (1) EP2680170A1 (ko)
KR (1) KR20140000876A (ko)
CN (1) CN103514252A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0099B2 (en) * 2000-06-12 2007-04-24 Softview Llc Resolution independent vector display of internet content
US7203901B2 (en) * 2002-11-27 2007-04-10 Microsoft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web browsing
EP1743255A4 (en) * 2004-04-08 2008-11-05 Justsystems Corp DEVICE FOR PROCESSING DOCUMENTS USING A MARKUP LANGUAGE
US7434173B2 (en) * 2004-08-30 2008-10-07 Microsoft Corporation Scrolling web pages using direct interaction
US20100083093A1 (en) * 2005-11-17 2010-04-01 Kddi Corporation Content Convers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7664813B2 (en) * 2006-04-28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data presentation
KR100897806B1 (ko) * 2006-05-23 2009-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US8775930B2 (en) * 2006-07-07 2014-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ic frequency weighted visualization component
US9594731B2 (en) * 2007-06-29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YSIWYG, browser-based XML editor
US8245155B2 (en) * 2007-11-29 2012-08-14 Sony Corporation Computer implemented display,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and method including scrolling features
US8174502B2 (en) * 2008-03-04 2012-05-08 Apple Inc. Touch event processing for web pages
US8717305B2 (en) * 2008-03-04 2014-05-06 Apple Inc. Touch event model for web pages
US8375322B2 (en) * 2008-06-20 2013-02-12 International Busni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 sensitive paging
KR101609162B1 (ko) * 2008-11-13 2016-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00124438A (ko) * 2009-05-19 2010-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127455A (ko) * 2010-05-19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 분할 장치 및 방법
US20110252302A1 (en) * 2010-04-12 2011-10-13 Microsoft Corporation Fitting network content onto a reduced-size screen
US20110289435A1 (en) * 2010-05-19 2011-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web page and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KR101761612B1 (ko) * 2010-07-16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KR101708821B1 (ko) * 2010-09-3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4252A (zh) 2014-01-15
EP2680170A1 (en) 2014-01-01
US20130346850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52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클립보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3105658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948645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67641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855250B1 (ko)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10727525B (zh) 用于活动协作的配套应用程序
EP35616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ebpage content
US20100199179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06708496B (zh) 图形界面中标签页的处理方法和装置
KR20120075826A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KR20130008424A (ko) 휴대 단말기에서 바로 가기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07811A (ko)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9984232B2 (en)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921735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nputting a uniform resource locator
KR101999762B1 (ko)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40054712A (ko) 휴대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의 로딩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EP2731001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an object according to a bending state
KR20140113074A (ko) 전자장치의 웹 페이지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51227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using sematic entity in text message of electronic device
KR101958747B1 (ko)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06764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0876A (ko) 휴대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147555B (zh) 一种翻译内容的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