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644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644B1
KR100897644B1 KR20037000841A KR20037000841A KR100897644B1 KR 100897644 B1 KR100897644 B1 KR 100897644B1 KR 20037000841 A KR20037000841 A KR 20037000841A KR 20037000841 A KR20037000841 A KR 20037000841A KR 100897644 B1 KR100897644 B1 KR 10089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ata
threshold value
pass
color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700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982A (ko
Inventor
요시노리 도미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도 Y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 1개라도 임계값 A보다도 큰 값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됨으로써,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인지, 노이즈 성분인지가 판단된다.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이다고 판단된 경우,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되어, 억제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되고, 노이즈 성분이다고 판단된 경우, suppress_flag가 1로 설정되어, 억제 처리가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다.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AC 성분, 색차 데이터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노이즈 성분의 제거를 행하는 데 이용하기에 적합한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이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JPEG 방식에서는 촬상된 정지 화상을 8×8의 블록으로 분해하고, 그 블록에 대하여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의 처리나 양자화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상술한 DCT를 이용한 부호화 처리에 있어서,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서, 휘도나 색차의 AC(교류) 계수를 억압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이 하여 노이즈를 저감하는 경우, 블록 왜곡이 발생하게 될 때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노이즈 성분과 엣지 성분을 임계값을 이용한 비교를 행함으로써, 노이즈의 저감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직교 변환 수단에 의해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 수단은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 중의 저역 성분을 임계값 A와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교 수단은 색차 데이터의 AC 성분 중의 저역 성분을 임계값 C와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직교 변환 수단의 상기 직교 변환은 DCT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카메라부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방법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단계와, 직교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와, 비교 단계의 처리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단계와, 직교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와, 비교 단계의 처리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단계와, 직교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와, 비교 단계의 처리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이 임계값 A와 비교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이 임계값 C와 비교되며, 그 비교 결과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이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화상 압축부(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지그재그 스캔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단계 S4에서 행해지는 노이즈 저감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 등의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취급하는 장치이다. 화상 처리 장치(1)의 이미지 센서(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3)에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2)는 구동부(4)에 의해 구동된다.
데이터 처리부(3)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버스(5)를 통하여, 기억부(6)에 출력한다. 기억부(6)는 일단,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6)에 기억된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는 필터(7)에 출력된다. 필터(7)는 입력된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에 대하여, 원하는 화상 사이즈의 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고, 다시 기억부(6)에 기억시킨다.
기억부(6)에 기억된 해상도가 변환된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는 화상 압축부(8)에 출력되어, 압축 처리가 실시된다. 압축 처리가 실시된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는 기록 재생 처리부(9)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러한 기록 처리는 셔터 버튼(10)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1)에 의해 지시가 있었을 때에 행해진다.
드라이브(12)는 자기 디스크(21), 광 디스크(22), 광 자기 디스크(23), 반도체 메모리(24)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할 때에 이용된다.
도 2는 화상 압축부(8)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로서의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가 데이터 버스(5)를 통하여 입력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는 휘도, 색차의 4:2:2 색 공간에서 샘플링되어 있는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단계 S2에서, DCT(이산 코사인 변환)가 행해진다. 우선, 화상 데이터는 8×8 픽셀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분할된 블록에 대하여, DCT가 행해진다. DCT는 이 경우, 4:2:2 색 공간이기 때문에, 휘도 2 블록, 색차 Cb, Cr 각각 1 블록이라는 단위로 DCT가 행해진다.
단계 S3에서, 8×8 픽셀 단위의 블록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지그재그 스캔이 행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8×8 픽셀 단위의 블록에 대하여, 좌측 위 코너의 화소를 0으로 하여, 지그재그 스캔이 행해지는 순서로 우측 하부 코너까지 1 내지 63의 번호(계수)를 할당한다. 계수 0은 DC 성분이고, 계수 1 내지 63은 AC 성분이다. AC 성분에 대하여 지그재그 스캔이 행해짐으로써, 화상 데이터가 제로 런 길이(Zero Run Length)와 데이터의 조(組)로 변환된다.
단계 S4에서, 노이즈 저감 처리가 행해진다. 노이즈 저감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노이즈 저감 처리가 실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S5에서 양자화가 행해진다. 양자화는 DCT가 행해진 화소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계수로 제산함으로써 행해진다. 양자화가 행해짐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엔트로피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에서 이차원 허프만(Huffman)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는 단계 S7에서 기억 재생 처리부(9)에 대하여 출력되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록 매체 등에 기록된다.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의 단계 S4에서 행해지는 노이즈 저감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흐름도에 기초하는 노이즈 저감 처리는 매크로 블록 단위로 행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노이즈 저감은, 평탄부의 크로마(chroma)의 고역 성분을 억압(suppress)함으로써 행한다.
단계 S11에서, suppress_flag를 1로 설정함으로써 초기화가 행해진다. 이 suppress_flag는 평탄부의 크로마의 고역 성분을 억압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suppress_flag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억압을 하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억압을 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휘도 Y의 AC 계수의 성분의 절대값 중, 1개라도 임계값 A보다 큰 계수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휘도 Y의 AC 계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계수 1 내지 63이 존재한다. 단계 S12에서, 휘도 Y의 AC 계수 1 내지 63의 각각의 성분의 절대값, 모두를 임계값 A와 비교해도 되지만, 여기서는 휘도 Y의 AC 계수 1 내지 27의 각각의 성분의 절대값과, 임계값 A를 비교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작은 진폭이라도, DCT 처리 후의 블록 내에, 어떠한 화상의 엣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AC 계수 1 내지 27의 성분 중에, 어딘가에 큰 성분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계 S12에서, 임계값 A와의 비교의 대상으로서는, AC 계수1 내지 27의 성분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AC 계수 1 내지 63의 성분을, 임계값 A와의 비교의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임계값 A와의 비교의 대상을 적게 함으로써(AC 성분 중, 저역 성분을 비교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노이즈 저감 처리에 걸리는 처리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그 비교의 대상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이 경우, AC 계수 1 내지 27로 선택함으로써), 노이즈 저감 처리의 열화를 초래하지 않고, 확실하게 노이즈 저감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계 S12에서, 휘도 Y의 AC 계수 1 내지 27의 성분의 절대값 중, 1개라도 임계값 A보다도 큰 값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임계값 A보다도 큰 값은 없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된다. 즉, 이 후의 처리에서, 필요 시에 억압(억제) 처리가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억제란, 처리 대상이 되는 성분을 0 데이터로 하는 것을 말한다.
휘도 Y의 AC 계수 1 내지 27의 성분의 절대값 중, 1개라도 임계값 A보다도 큰 값이 있다고 판단되고,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되는 경우, 처리 대상으로 되어있는 DCT 블록의 화상 중에는, 어떠한 화상의 엣지 성분이 포함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것 같은 경우에도, 예를 들면 이미지 센서(2)(도 1)의 촬상 소자로부터, 소진폭의 노이즈 성분이 출력되고, 그 노이즈 성분이, 휘도 Y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DCT 블록의 화상 중의 성분은,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 아니면, 노이즈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임계값 A는 설정된다. 후술하는 임계값 C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단계 S14에 있어서는, 휘도 Y의 DCT 블록의 압축 처리가 실행된다. 그 휘도 Y의 DCT 블록의 압축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단계 S15에서 판단된다.
4:2:2 화상의 매크로 블록을 처리하는 경우, 휘도 Y의 DCT 블록은 2개 존재하기 때문에, 단계 S12 내지 S15의 처리는 2회 반복된다. 단계 S15에서, 휘도 Y의 DCT 블록에 대한 압축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색차 Cb의 임계값 B 미만의 AC 계수의 성분의 절대값 중, 1개라도 임계값 C보다 큰 값의 성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임계값 B는, 색차 Cb(색차 Cr)의 저역 성분과 고역 성분의 경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설정된다. 그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 B 미만의 색차 Cb의 AC 계수의 성분의 절대값 중에, 임계값 C보다 큰 값의 AC 계수의 성분이 존재하면, 단계 S16에서 판단되어, 단계 S17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 즉, 이하의 처리에 있어서 억압을 행하지 않는다는 설정으로 된다. 단계 S18에서, suppress_flag가 1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1이라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9로 진행한다. Suppress_flag가 1이라 고 판단되었으므로, 단계 S19에서, 색차 Cb의 임계값 B 이상의 AC 계수의 성분이 0으로 억압된다. 그리고, 단계 S20에서 색차 Cb의 DCT 블록에 대하여 압축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18에 있어서, suppress_ flag가 1이 아닌, 즉 suppress_flag이 0이라고 판단된 경우, 또는, 단계 S17에서, suppress_flag가 0으로 설정된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색차 Cb의 DCT 블록에 대하여 압축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0에 의한 색차 Cb의 DCT 블록에 대한 압축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21 내지 S25의 처리는, 색차 Cr의 DCT 블록에 대한 처리이지만, 기본적으로, 단계 S16 내지 S20에 있어서 색차 Cb의 DCT 블록에 대하여 행해지는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임계값 B와 임계값 C는, 색차 Cb와 색차 Cr의 처리일 때에, 동일한 값을 이용하도록 해도 되며, 다른 값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노이즈 저감 처리는, 휘도 Y의 AC 성분, 특히 DCT 블록의 좌측 위에 위치하는 AC 성분1 내지 27, 색차 Cb의 저역 성분(임계값 B 미만의 AC 계수의 성분), 및 색차 Cr의 저역 성분(임계값 B 미만의 AC 계수의 성분)을 검출 대상(임계값 A 또는 임계값 C와의 비교의 대상)으로 하고, 색차 Cb의 고역 성분과 색차 Cr의 고역 성분을 억압의 대상으로 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미지 센서(2) 등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제거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을 노이즈라고 판단하여 억압하는 것과 같은 것이나, 반대로 노이즈를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이라고 판단하여 억압하지 않은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화상의 엣지 성분을 남겨,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4:2:2 색 공간에서 샘플링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4:2:0 색 공간이나 4:1:1 색 공간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22)(CD-ROM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 자기 디스크(23)(MD (Mini-Disc)(등록 상표)를 포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이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 으로 처리되지 않고,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 따르면, 직교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을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을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의해,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 중에, 제1 임계값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 중에, 제2 임계값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색차 데이터의 고역 성분의 억압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블록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고 노이즈 성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직교 변환 수단에 의해 직교 변환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 상기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 중의 저역 성분을 상기 임계값 A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단계와,
    상기 직교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직교 변환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와,
    상기 비교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7.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직교 변환을 행하는 직교 변환 단계와,
    상기 직교 변환 단계의 처리에 의해 직교 변환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A와 비교하고,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을 임계값 C와 비교하는 비교 단계와,
    상기 비교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A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의 절대값 중에, 상기 임계값 C보다 큰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색차 데이터의 고역 AC 성분의 억압을 행하는 억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A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의 AC 성분이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 아니면 노이즈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임계값 C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이 유효한 화상의 엣지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 아니면 노이즈 성분에 의한 성분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데이터의 저역 AC 성분은, 상기 색차 데이터를 상기 색차 데이터의 저역 성분과 고역 성분의 경계를 나타내는 값인 임계값 B와 비교함으로써 검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20037000841A 2001-05-21 2002-04-30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897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0891 2001-05-21
JP2001150891A JP3791003B2 (ja) 2001-05-21 2001-05-21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CT/JP2002/004308 WO2002096092A1 (en) 2001-05-21 2002-04-30 Image 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982A KR20030026982A (ko) 2003-04-03
KR100897644B1 true KR100897644B1 (ko) 2009-05-14

Family

ID=1899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00841A KR100897644B1 (ko) 2001-05-21 2002-04-30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87714B2 (ko)
EP (1) EP1404115B1 (ko)
JP (1) JP3791003B2 (ko)
KR (1) KR100897644B1 (ko)
CN (1) CN1199436C (ko)
DE (1) DE60235163D1 (ko)
TW (1) TW573431B (ko)
WO (1) WO2002096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8186B2 (en) * 2002-06-21 2005-08-09 Seiko Epson Corporation Semantic downscaling and cropping (SEDOC) of digital images
CN100362850C (zh) * 2005-01-17 2008-01-16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视图像边缘增强方法
US8179836B2 (en) * 2005-04-20 2012-05-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via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JP4302661B2 (ja) * 2005-05-02 2009-07-29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4410225B2 (ja) * 2006-08-07 2010-02-03 株式会社東芝 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20080136654A1 (en) * 2006-12-12 2008-06-12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ower source life value calculation and representation
US8326075B2 (en) 2008-09-11 2012-12-0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ing using adaptive loop filter
US8885706B2 (en) * 2011-09-16 2014-11-11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a video codec system with noise reduction capability
US9131073B1 (en) 2012-03-02 2015-09-08 Google Inc. Motion estimation aided noise reduction
US9344729B1 (en) 2012-07-11 2016-05-17 Google Inc. Selective prediction signal filtering
CN102801983A (zh) * 2012-08-29 2012-11-28 上海国茂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dct的去噪方法及装置
US9998750B2 (en) * 2013-03-15 2018-06-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d conversion of video from a first to a second compression format
CN105011299A (zh) * 2014-04-18 2015-11-04 天津市恒安食品有限公司 一种玉米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011301A (zh) * 2014-04-18 2015-11-04 天津市恒安食品有限公司 一种燕麦粗粮饮料及其制备工艺
US10102613B2 (en) 2014-09-25 2018-10-16 Google Llc Frequency-domain denoising
CN108305222B (zh) * 2018-01-04 2020-08-0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的降噪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195A (ja) * 1991-04-10 1992-11-0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514739A (ja) * 1991-07-02 1993-01-22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KR960020537A (ko) * 1994-11-24 1996-06-17 슈즈이 다께오 화상 데이타의 복호화 처리중에 발생되는 양자화 노이즈 감소방법 및 화상 데이타 복호화 장치
KR960020538A (ko) * 1994-11-24 1996-06-17 슈즈이 다께오 영상 데이타의 복호 처리 중에 발생되는 모스키토 노이즈를 줄이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영상 데이타의 복호 장치
KR20000050286A (ko) * 1999-01-02 2000-08-05 윤종용 이산 코사인 변환에 의해 부호화 된 영상에 생긴 블록현상의 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1194B1 (fr) * 1987-09-29 1989-12-29 Labo Electronique Physique Dispositif de codage de signaux video numeriques
JPH0670175A (ja) * 1992-08-19 1994-03-11 Fujitsu Ltd 画像データ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H0774959A (ja) * 1993-09-02 1995-03-1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07322259A (ja) * 1994-05-20 1995-12-0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5719961A (en) * 1994-07-22 1998-02-17 Apple Computer, Inc. Adaptive technique for encoder and decoder signal transform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195A (ja) * 1991-04-10 1992-11-0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信号符号化装置及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514739A (ja) * 1991-07-02 1993-01-22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
KR960020537A (ko) * 1994-11-24 1996-06-17 슈즈이 다께오 화상 데이타의 복호화 처리중에 발생되는 양자화 노이즈 감소방법 및 화상 데이타 복호화 장치
KR960020538A (ko) * 1994-11-24 1996-06-17 슈즈이 다께오 영상 데이타의 복호 처리 중에 발생되는 모스키토 노이즈를 줄이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영상 데이타의 복호 장치
KR20000050286A (ko) * 1999-01-02 2000-08-05 윤종용 이산 코사인 변환에 의해 부호화 된 영상에 생긴 블록현상의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6092A1 (en) 2002-11-28
JP2002344749A (ja) 2002-11-29
EP1404115B1 (en) 2010-01-20
CN1199436C (zh) 2005-04-27
US20040047416A1 (en) 2004-03-11
TW573431B (en) 2004-01-21
EP1404115A4 (en) 2006-09-06
DE60235163D1 (de) 2010-03-11
KR20030026982A (ko) 2003-04-03
EP1404115A1 (en) 2004-03-31
US7187714B2 (en) 2007-03-06
JP3791003B2 (ja) 2006-06-28
CN1463531A (zh)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644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080198932A1 (en) Complexity-based rate control using adaptive prefilter
JP2006157481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4804107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244702A (ja) ブロッキング効果を除去するための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9027368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blur correction function
JP200713475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7251881A (ja) ブロックノイズ除去装置及び電子機器
JP3365784B2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10224790A (ja) 圧縮伸張された画像中のブロック状ノイズを除去する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方法
JP2010258576A (ja) シーンチェンジ検出装置および映像記録装置
JPH11187400A (ja) 歪除去方法および歪除去フィルタ
JP3812808B2 (ja) スキップ領域検出型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07240926A (ja) 画像間予測符号化装置
JP4196929B2 (ja) ノイズ検出装置及びノイズ検出プログラム
JP2001094996A (ja) ブロック歪低減方法及びブロック歪低減装置
JPH08186842A (ja) 画像データの雑音低減装置および方法
JP3870458B2 (ja) 画像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方法
US20170280154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0050278A (ja) 動きベクトル算出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算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335933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画像処理装置
JP3227213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
JP382587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処理のプログラムコードが格納された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JPH06311499A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4144489A (ja) 画像データ記録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