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371B1 -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371B1
KR100897371B1 KR1020080044897A KR20080044897A KR100897371B1 KR 100897371 B1 KR100897371 B1 KR 100897371B1 KR 1020080044897 A KR1020080044897 A KR 1020080044897A KR 20080044897 A KR20080044897 A KR 20080044897A KR 100897371 B1 KR100897371 B1 KR 10089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lexible member
link element
delete delete
gra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씨피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시스템(주) filed Critical 씨피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8004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플렉시블 부재 추종성능, 작동성 및 사용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되, 상기 체인링크는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링크요소; 및 상기 링크요소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플렉시블부재, 링크, 양방향, 롤러볼

Description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flexible member}
본 발명은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보호 및 작업성능을 향상시킨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보호시스템 또는 케이블 베어라고도 불리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전기 케이블, 유압 또는 공압 호스 등과 같은 플렉시블 부재를 지지하고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플렉시블 부재가 꼬이거나 펼쳐질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손상, 얽힘 또는 단선 등을 방지함으로써 플렉시블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다수의 체인링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체인링크는 좌우 양측의 링크요소가 크로스부재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인링크들 간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관절연결되며, 좌우양측의 링크요소들 사이에는 케이블 등과 같은 플렉시블 부재가 관통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플렉시블 부재의 보호를 위해 내구성이 길어야 하고, 그 작동 도중에 분진 및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그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케이블 과 같은 플렉시블 부재의 밴딩이 원활히 추종할 수 없어서, 작동성 및 사용편의성이 매우 조악한 상태였으며 이로 인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낮고 불필요한 부피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시블 부재 추종성과 같은 작동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된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되, 상기 체인링크는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링크요소; 및 상기 링크요소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된 체인링크가 양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링크요소의 양측면은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갖는다. 이때, 상기 구배는 직선형 구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돌기는 탄성적으로 밴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의 단부에는 인접하는 체인링크의 결합홈에 형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크로스부재의 양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요소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링크의 상측 및 하측 외부노출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일부가 외측 으로 돌출된 회전가능한 롤러볼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되, 상기 체인링크는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링크요소; 상기 링크요소의 일면에 결합되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크요소커버; 상기 관통홀 테두리에 결합되는 베어링 케이스;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베어링 케이스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볼; 및 상기 링크요소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 테두리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된 체인링크가 양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링크요소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되, 상기 체인링크는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링크요소; 상기 링크요소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각각 가로질러 연결하는 한 쌍의 크로스부재; 단부가 상기 크로스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링크요소 사이 간격에 배치되는 수평 디바이더; 및 상기 수평 디바이더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폭을 가지고 상기 크로스부재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부재의 양측단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를 감싸면서 후크결합되는 후크결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된 체인링크가 양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링크요소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연쇄적으로 결합되는 링크요소 양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가 일방향이 아니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자유로이 밴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플렉시블 부재의 가이드시 이동의 자유와 원활한 추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링크요소의 양측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구배의 크기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시계방향으로의 밴딩곡률반경과 반시계방향으로의 밴딩곡률반경을 원하는 크기로 설계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가 플렉시블 부재의 밴딩을 가이드할 때 시계방향의 굽힘시의 정곡률 및 반시계방향의 굽힘시의 역곡률을 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장치의 설계변수에 따라 상기 상부경사각 내지 하부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밴딩곡률반경을 변경하여 대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설계의 자유도 내지 새로운 설계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링크요소의 일면에 롤러볼(R)이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배치되므로,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전체적으로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보다 자유롭 고 신속한 이동 및 밴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다수의 체인링크(10)가 측방을 따라서 연쇄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그의 내측에 삽입되는 케이블 및 유압호스와 같은 플렉시블 부재(미도시)의 이동을 안내하고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체인링크(10)는 내측에 플렉시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링크요소(11)와 상기 링크요소(1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인링크(10)의 최단부에는 로봇 또는 유압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프리엔드브라켓(5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리엔드브라켓(50)에는 고정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하고 호환될 수 있도록 3축 방향으로 각각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고정홈 내지 고정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체인링크(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요소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요소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요소(11)는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15)를 가지며, 상기 조인트 돌기(15)의 단부에는 결합부(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링크요소의 타측에는 결합홈(18)이 형성되며, 상기 체인링크 간의 결합에 있어서 인접하는 일측의 링크요소의 조인트 돌기(15)의 결합부(16)는 타측의 링크요소의 결합홈(18)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링크요소(11)의 가장자리 및 내부 일측에는 보강리브(13)가 돌출형성되어 지지강도를 보강한다.
더욱이, 상기 링크요소(11)의 양측면은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10a 및 도 10b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상기 연결된 체인링크(10)가 양방향으로 밴딩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돌기(15)는 탄성적으로 밴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링크요소(11)와 일체로 사출성형(injection-mouled) 또는 주조(cast)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16)의 측면부를 따라 슬릿홈(16a)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홈(16a)은 상기 결합홈(18)의 내주면에 돌출된 슬릿돌기(18a)와 형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8) 측부의 단턱(17)에는 걸림턱(17c,17d)이 돌출되고, 상기 단턱(17) 사이로 삽입되는 다른 링크요소의 조인트 돌기(15)는 상기 걸림턱(17c,17d)에 구속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 돌기(15)에서 상기 걸림턱(17c,17d)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모따기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조인트 돌기(15)에 의해 상호 연결된 링크요소(11)들은 상기 조 인트 돌기(15)의 탄성변형에 의해 자유롭게 밴딩된다. 상기 링크요소(1)에서 조인트 돌기(15)의 밴딩시 접촉되는 부분에는 곡면가공된 라운드면(R)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돌기(15)가 보다 원활히 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인트 돌기(15)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삼각형, 원형, 반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링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크로스부재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 4의 C-C 섹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체인링크(10) 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링크요소(11)가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요소들(11)은 크로스부재(20)에 의하여 가로질러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11)와 크로스부재(20) 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부재(20)의 양단부에는 후크(21)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요소(11)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상기 후크(21)가 결합되는 걸림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4)에는 경사면(도 6의 14a, 14b)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2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14)가 상기 후크(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보수를 위하여 상호 분리하기 위한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가늘게 형성된 핀을 상기 걸림부(14)와 후크(21) 사이로 삽입하여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요소(11) 간의 이격된 간격 사이로 케이블 및 유압호스 등과 같은 블렉시블 부재가 관통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블렉시블 부재들 간의 마찰 및 엉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 사이로 별도의 수평 디바이더(30)가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하영역을 구획할 수 있고, 이러한 수평 디바이더(30)는 각 크로스부재(20)의 중앙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디바이더(30)에는 소정의 위치에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33)에는 수직 디바이더(35)가 수직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간격을 좌우방향으로도 구획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평 디바이더(3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디바이더(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수평 디바이더(30)의 단부가 연결되는 크로스부재(20)에는 설정된 폭을 갖는 스토퍼(22)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22)에 의하여 상기 수평 디바이더(30)의 양단이 지지 및 구속됨으로써 상하방향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2)는 상기 수평 디바이더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부재(11) 사이의 플렉시블 부재가 관통되는 공간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22)는 상기 수평 디바이더(30)가 경사지게 넘어짐으로써 상기 크로스부재(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상하 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블렉시블 부재들이 관통하는 공간을 정확히 구획함으로써 다수개의 플렉시블 부재들 간의 마찰 및 엉킴에 의한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의 A-A 섹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부재(20)의 양측단에는 돌기부(20a)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22)의 양단에는 상기 돌기부(20a)를 감싸면서 후크결합되는 후크결합부(2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20)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부(20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크로스부재(20)인 상태로 세워서 배치되는 방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인링크(10)의 상측 및 하측 외부노출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능한 롤러볼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가 수직하게 세워져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닥을 향하는 링크요소(11)에는 롤러볼(R)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인링크(10)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된 링크요소(11)의 외부노출면 중 적어도 일면에 결합되는 링크요소 커버(11a)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능한 롤러볼(B)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링크요소커버(11a)는 상기 링크요소(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롤러볼(R)은 링크요소(11)의 양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링크요소커버(11a)에 형성된 관통홀(11e)의 테두리(11b)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1e)을 통하여 상기 롤러볼(R)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롤러볼(R)의 후방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케이스(45)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요소커버(11a)의 후면에는 결합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1c)는 상기 링크요소(11)에 형성된 결합홈(11d)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링크요소(11)의 일면(11a)이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롤러볼(R)이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체인링크(10)의 이동이 원활해지며, 전체적으로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보다 자유로운 이동 및 밴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볼은 모든 체인링크(10)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설계사양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결합된 체인링크 중 2~3개 걸러 하나의 체인링크(10)의 바닥면 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체인링크(10)의 일면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롤러볼의 회전에 의하여 지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된 상태로 상기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가 원활히 이동 및 밴딩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링크요소의 상면 테두리의 프로파일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양방향 굽힘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는 일반적인 일방향 밴딩만 가능한 종래의 장치와 다르게 양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쇄적으로 연결된 체인링크(10)가 시계방향/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요소의 양측면 프로파일은 각각 상부(10')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10'')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구배는 직선형 구배, 즉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직선형 구배인 경우 상기 링크요소 상부(10')는 상부경사각(α)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의 하부(10'')는 하부경사각(β)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경사각(α) 및 하부경사각(β)은 상기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밴딩시 밴딩여유각도로 기능하게 되어, 상기 각도가 커질수록 곡률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체인링크와 결합된 상태로 밴딩되는 경우, 상부경사각(α)은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반시계방향 밴딩을 보장하게 되고, 하부경사각(β)는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시계방향 밴딩을 보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상부경사각(α)과 하부경사각(β)이 동일한 경우에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밴딩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된다. 반면에, 상부경사각(α)과 하부경사각(β)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각 경사각이 보장하는 밴딩여유각도만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밴딩의 곡률반경이 차이가 나게 될 것이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경사각(α)이 하부경사각(β)보다 큰 경우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밴딩여유각도가 더 크게 되므로 반시계방향으로의 밴딩시 곡률반경(도 8a의 R)이 시계방향으로의 밴딩시 곡률반경(도 8a의 r)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각 장치의 설계변수에 따라 상기 상부경사각(α)이 하부경사각(β)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변경되어 대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설계의 자유도 내지 새로운 설계변수를 제공한다.
반대로, 도 10b는 상기 상부경사각(α)이 하부경사각(β)보다 작은 경우 반시계방향으로의 밴딩여유각도가 더 작게되어 반시계방향으로의 밴딩시 곡률반경(도 8b의 r)이 시계방향으로의 밴딩시 곡률반경(도 8b의 R)보다 더 크게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부경사각(α)과 하부경사각(β)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시계방향으로의 정방향 곡률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역방향 곡률을 설정하여 사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요소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요소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링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인링크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크로스부재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링크요소의 테두리 프로파일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의 양방향 굽힘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인링크 11 : 링크요소
20 : 크로스부재 30 : 수평 디바이더
35 : 수직 디바이더 B : 롤러볼

Claims (12)

  1.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체인링크는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이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는 링크요소;
    상기 링크요소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
    상기 링크요소의 외부노출측 일면에 결합되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크요소커버;
    상기 관통홀 테두리에 결합되는 베어링 케이스;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노출되어 상기 베어링 케이스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부재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다수의 체인링크가 측방을 따라서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상기 체인링크는
    내측에 플렉스블 부재를 수용하도록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측에 돌출된 조인트 돌기를 가지고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이 각각 상부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고 하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배를 가지는 링크요소;
    상기 링크요소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
    단부가 상기 크로스부재에 접하도록, 상기 링크요소 사이 간격에 배치되는 수평 디바이더;
    상기 수평 디바이더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폭을 가지고, 양단에 상기 크로스부재의 양측단에 형성된 돌기부를 감싸면서 후크결합되는 후크결합부가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체인링크의 상측 및 하측 외부노출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가능한 롤러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시블부재 보호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44897A 2008-05-15 2008-05-15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KR10089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97A KR100897371B1 (ko) 2008-05-15 2008-05-15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97A KR100897371B1 (ko) 2008-05-15 2008-05-15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371B1 true KR100897371B1 (ko) 2009-05-14

Family

ID=4086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897A KR100897371B1 (ko) 2008-05-15 2008-05-15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374A (ko) * 2017-07-13 2017-08-07 송창욱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KR101798527B1 (ko) 2016-02-29 2017-11-16 씨피시스템(주) 클린룸용 사이드 밴드
KR102139507B1 (ko) * 2019-04-29 2020-07-29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체인 유닛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492A (en) 1977-08-08 1979-03-05 Tsubakimoto Chain Co Swivel type cable drag chain apparatus
JPS54152851U (ko) 1978-04-17 1979-10-24
JPS63251646A (ja) 1987-04-09 1988-10-19 Tsubakimoto Chain Co 開閉可能な密閉型ケ−ブルドラグチエ−ン
JPH02186146A (ja) * 1989-01-09 1990-07-20 Oriental Chain Kogyo Kk 閉鎖形ケーブル支持チェーン
JPH0665652U (ja) * 1993-01-29 1994-09-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と結合杆との係止構造
EP0708270A1 (de) 1994-07-27 1996-04-24 Bauer Spezialtiefbau GmbH Schlauchkette
JP2001177945A (ja) 1999-12-17 2001-06-29 Nitto Electric Works Ltd 連結式ケーブルガイド
JP2003299238A (ja) 2002-04-02 2003-10-17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の保護案内ガイド
KR100587499B1 (ko) 2005-10-18 2006-06-08 씨피시스템(주) 클린룸 체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9492A (en) 1977-08-08 1979-03-05 Tsubakimoto Chain Co Swivel type cable drag chain apparatus
JPS54152851U (ko) 1978-04-17 1979-10-24
JPS63251646A (ja) 1987-04-09 1988-10-19 Tsubakimoto Chain Co 開閉可能な密閉型ケ−ブルドラグチエ−ン
JPH02186146A (ja) * 1989-01-09 1990-07-20 Oriental Chain Kogyo Kk 閉鎖形ケーブル支持チェーン
JPH0665652U (ja) * 1993-01-29 1994-09-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リンクプレートと結合杆との係止構造
EP0708270A1 (de) 1994-07-27 1996-04-24 Bauer Spezialtiefbau GmbH Schlauchkette
JP2001177945A (ja) 1999-12-17 2001-06-29 Nitto Electric Works Ltd 連結式ケーブルガイド
JP2003299238A (ja) 2002-04-02 2003-10-17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の保護案内ガイド
KR100587499B1 (ko) 2005-10-18 2006-06-08 씨피시스템(주) 클린룸 체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27B1 (ko) 2016-02-29 2017-11-16 씨피시스템(주) 클린룸용 사이드 밴드
KR20170090374A (ko) * 2017-07-13 2017-08-07 송창욱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KR101983896B1 (ko) * 2017-07-13 2019-05-29 송창욱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KR102139507B1 (ko) * 2019-04-29 2020-07-29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체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564B2 (en) Protector
US7075011B1 (en) Continuous power supply device
KR20120085188A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0897371B1 (ko)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TWI495808B (zh) 纜線類保護導引裝置
JP2005137082A (ja) 常時給電装置
JP6060064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54174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110085890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11668888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JP6228804B2 (ja) ハーネス屈曲規制部材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KR100890176B1 (ko)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JP543069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480972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US9494215B2 (en) Energy guiding chain
KR100985193B1 (ko)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0890197B1 (ko) 회전체 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WO2021124954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JP626262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372852B2 (ja) 給電用ハーネスクランプ
JP596115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1115398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able management system
JP6584299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
KR101887976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KR102139507B1 (ko) 케이블 체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