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976B1 -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976B1
KR101887976B1 KR1020160059630A KR20160059630A KR101887976B1 KR 101887976 B1 KR101887976 B1 KR 101887976B1 KR 1020160059630 A KR1020160059630 A KR 1020160059630A KR 20160059630 A KR20160059630 A KR 20160059630A KR 101887976 B1 KR101887976 B1 KR 10188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upport piece
male
shaft hole
guid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928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씨피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시스템(주) filed Critical 씨피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5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4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built up from readily-separable lin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는, 일측에 바디 플레이트가 마련된 밴드 바디; 바디 플레이트와 반대면의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수 결합홈과, 수 결합홈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회동축과, 수 결합홈의 바닥면과 이격 되도록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된 수 결합부; 및 바디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회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갖는 암 결합 바디와, 축공의 내벽에 마련되며 축공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리브가 구비된 암 결합부를 포함하고, 밴드 바디를 동일 선상에 복수로 연결 시 어느 하나의 밴드 바디에 있는 수 결합부는 다른 하나의 밴드 바디에 있는 암 결합부에 결합 되고, 암 결합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밴드 바디를 서로 연결 시 복수의 지지편이 삽입되는 지지편 삽입홀과, 밴드 바디의 회전 시 지지편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복수의 지지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SIDE BAND FOR CABLE 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 구간은 물론 곡선 구간에서도 사이드 밴드와 사이드 밴드 간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체인이라고 알려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내하기 위하여 자동화 라인 등에 사용된다. 케이블 보호장치는 사용시에 직선 구간을 형성하기도 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구간을 형성하면서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장치는 하나의 링크체가 연속하여 결합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대향 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 밴드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체의 사이드밴드가 서로 연속하도록 결합 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 체인이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대향 되는 한 쌍의 사이드 밴드는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고, 인접하는 사이드 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요구되는 길이를 갖는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케이블 보호장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사이드 밴드가 직선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 자체 지지를 위하여 사이드 밴드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동일 선상의 다른 사이드 밴드와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수록 변형의 우려가 있어서, 각각의 사이드밴드가 외력에 의하여 분해되거나 정해진 위치를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5518호(2012.02.27.) "케이블 보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은 원형 리브의 외주면에 경사면을 갖는 경사돌기를 형성하고, 원형 리브가 삽입되는 원형홈의 내주면에 전술한 경사돌기가 맞물리는 경사돌출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회동축이 축공에 걸림 지지 되게 하여 직선 구간에서 외력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 됨과 아울러 동일 선상에 연결되는 사이드 밴드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전술한 선행기술은 직선 구간의 결합 상태를 위주로 고려한 것으로 곡선 구간에서도 외력과 사이드 밴드 간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15518호(씨피시스템) 2012. 02. 2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선 구간은 물론 곡선 구간에서도 사이드 밴드와 사이드 밴드 간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바디 플레이트가 마련된 밴드 바디; 상기 바디 플레이트와 반대면의 상기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수 결합홈과, 상기 수 결합홈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회동축과, 상기 수 결합홈의 바닥면과 이격 되도록 상기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된 수 결합부;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갖는 암 결합 바디와, 상기 축공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리브가 구비된 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바디를 동일 선상에 복수로 연결 시 어느 하나의 상기 밴드 바디에 있는 상기 수 결합부는 다른 하나의 밴드 바디에 있는 상기 암 결합부에 결합 되고, 상기 암 결합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밴드 바디를 서로 연결 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이 삽입되는 지지편 삽입홀과, 상기 밴드 바디의 회전 시 상기 지지편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 삽입홀은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일측부로 치우치게 마련될 수 있다.
직선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은 상기 지지편 삽입홀과 근접된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 되고, 곡선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은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벽부와 반대 방향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 될 수 있다.
상기 암 결합 바디에는 바디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 결합부에는 상기 바디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암 결합 바디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밴드 바디를 서로 연결 시 복수의 지지편이 삽입되는 지지편 삽입홀과, 밴드 바디의 회전 시 지지편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복수의 지지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을 마련하여 곡선 구간에서도 사이드 밴드와 사이드 밴드 간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밴드를 한 쌍으로 하여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밴드를 한 쌍으로 하여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주요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1)는, 밴드 바디(100)와, 밴드 바디(10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수 결합부(200)와, 밴드 바디(100)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암 결합부(30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되는 복수의 사이드 밴드(1)가 동일하게 마련되고, 어느 하나의 사이드 밴드(1)에 있는 수 결합부(200)가 다른 하나의 사이드 밴드(1)에 있는 암 결합부(300)에 결합 되어 복수의 사이드 밴드(1)는 동일 선상에 연결된다.
밴드 바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가 둥글게 마련될 수 있고, 밴드 바디(100)의 중앙부 상하측에는 가로 프레임의 단부가 끼워 맞춤 결합 되는 프레임 결합홀(110)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밴드 바디(100)의 일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결합부(300)가 마련되는 납작한 판 형상의 바디 플레이트(120)가 마련된다.
수 결합부(200)는, 암 결합부(300)와 반대되는 면의 밴드 바디(100)에 마련되어 다른 사이드 밴드(1)의 수 결합부(200)에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수 결합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플레이트(120)와 반대면의 밴드 바디(100)에 마련되는 수 결합홈(210)과, 수 결합홈(2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걸림돌기(221)를 갖는 회동축(220)과, 수 결합홈(210)의 바닥면과 이격 되도록 밴드 바디(1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편(230)과, 수 결합홈(210)의 벽부와 회동축(220) 사이의 수 결합홈(210) 바닥면에 마련되어 암 결합부(300)의 바디홈(314)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240)를 포함한다.
수 결합부(200)의 수 결합홈(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바디(100)에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 결합부(200)의 회동축(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결합홈(21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고, 회동축(220)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걸림돌기(2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밴드(1)를 연결 시 암 결합 바디(310)의 축공(311)을 통과한 후 도 2에 도시된 걸림 리브(320)에 걸림 지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걸림돌기(221)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과 축공(311)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α) 예를 들어 5 내지 10도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사이드 밴드(1)가 나란히 연결되는 경우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걸림 리브(320)에 지지 되어 사이드 밴드(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수 결합부(200)의 지지편(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바디(100)의 표면부에 마련되어 수 결합홈(210)의 바닥부와 이격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편(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등 각도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편(230)은 한 쌍의 사이드 밴드(1)를 서로 결합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결합부(300)의 지지편 삽입홀(312)로 삽입된 후 지지편 가이드홈(313)에 지지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사이드 밴드(1)가 연결되어 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경우 즉 직선 구간에서 복수의 지지편(230)은 지지편 삽입홀(312)과 근접된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313)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stopping) 된다.
이와 달리 한 쌍의 사이드 밴드(1) 중 어느 하나가 특정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 즉 곡선 구간에서 복수의 지지편(230)은 지지편 삽입홀(312)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지지편 가이드홈(313)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 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사이드 밴드(1)가 회전되는 경우 복수의 지지편(230)은 지지편 가이드홈(313)의 내부에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 되므로 곡선 구간에서도 사이드 밴드(1)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 결합부(200)의 가이드 바디(240)는, 한 쌍의 사이드 밴드(1)를 서로 연결 시 다른 사이드 밴드(1)의 바디홈(314)에 삽입되어 사이드 밴드(1)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가이드 바디(240)가 바디홈(314)에 삽입된 상태의 여유 공간을 조절해서 사이드 밴드(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수 결합부(200)의 가이드 바디(240)가 암 결합부(300)의 바디홈(314)에 삽입된 경우 바디홈(314) 상에서 가이드 바디(240)의 여유 공간이 클수록 사이드 밴드(1)의 회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그 여유 공간이 작을 수록 사이드 밴드(1)의 회전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암 결합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밴드(1)를 결합 시 수 결합부(2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암 결합부(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플레이트(120)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회동축(220)이 삽입되는 축공(311)을 갖는 암 결합 바디(310)와, 축공(311)의 내벽에 마련되며 축공(311)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221)가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리브(320)를 포함한다.
암 결합부(300)의 암 결합 바디(310) 중앙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311)이 마련되고, 이 축공(311)의 중심 가상 라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돌기(221)를 연결하는 가상 라인과 일정 각도(α) 경사지게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축공(311)의 중앙부는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삽입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확장 절개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암 결합 바디(310)의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편(230)이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편 삽입홀(312)과, 사이드 밴드(1)의 회전 시 복수의 지지편(2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313)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편 삽입홀(312)과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313)은 복수의 지지편(230)에 대응되게 3개씩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 예에서 축공(311)과 복수의 지지편 삽입홀(312) 사이의 암 결합 바디(3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240)가 삽입되는 복수의 바디홈(314)이 마련될 수 있다.
암 결합부(300)의 걸림 리브(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311)의 내벽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며, 한 쌍의 걸림 리브(320)의 사이로 인입된 한 쌍의 걸림돌기(221)를 걸림 지지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사이드 밴드(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걸림 리브(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311)의 내벽 전체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축공(311)의 내벽에 여유 높이를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걸림돌기(221)가 축공(311)의 내벽에 위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 리브(320)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므로 한 쌍의 걸림돌기(221)의 회전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100 : 밴드 바디 110 : 프레임 결합홀
120 : 바디 플레이트 200 : 수 결합부
210 : 수 결합홈 220 : 회동축
221 : 걸림돌기 230 : 지지편
240 : 가이드 바디 300 : 암 결합부
310 : 암 결합 바디 311 : 축공
312 : 지지편 삽입홀 313 : 지지편 가이드홈
314 : 바디홈 320: 걸림 리브

Claims (4)

  1. 일측에 바디 플레이트가 마련된 밴드 바디;
    상기 바디 플레이트와 반대면의 상기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수 결합홈과, 상기 수 결합홈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걸림돌기를 갖는 회동축과, 상기 수 결합홈의 바닥면과 이격 되도록 상기 밴드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편이 구비된 수 결합부;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는 축공을 갖는 암 결합 바디와, 상기 축공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축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 지지 되는 걸림 리브가 구비된 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바디를 동일 선상에 복수로 연결 시 어느 하나의 상기 밴드 바디에 있는 상기 수 결합부는 다른 하나의 밴드 바디에 있는 상기 암 결합부에 결합 되고, 상기 암 결합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밴드 바디를 서로 연결 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이 삽입되는 지지편 삽입홀과, 상기 밴드 바디의 회전 시 상기 지지편 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암 결합 바디에는 바디홈이 마련되고, 상기 수 결합부에는 상기 바디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 삽입홀은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일측부로 치우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직선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은 상기 지지편 삽입홀과 근접된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 되고, 곡선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편은 상기 복수의 지지편 가이드홈의 벽부와 반대 방향의 벽부에 닿아 스토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4. 삭제
KR1020160059630A 2016-05-16 2016-05-16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KR10188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30A KR101887976B1 (ko) 2016-05-16 2016-05-16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30A KR101887976B1 (ko) 2016-05-16 2016-05-16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28A KR20170128928A (ko) 2017-11-24
KR101887976B1 true KR101887976B1 (ko) 2018-08-14

Family

ID=6081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30A KR101887976B1 (ko) 2016-05-16 2016-05-16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9784B1 (de) 1991-02-22 1995-05-03 Kabelschlepp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nergieführungskette
JP4098275B2 (ja) * 2004-06-07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115518B1 (ko) * 2010-12-20 2012-02-27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461A (ko) * 2010-01-06 2011-07-13 주식회사 코닥트 케이블 베이어의 처짐 방지용 링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9784B1 (de) 1991-02-22 1995-05-03 Kabelschlepp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nergieführungskette
JP4098275B2 (ja) * 2004-06-07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115518B1 (ko) * 2010-12-20 2012-02-27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28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468B2 (en) Closure for a brassiere
JP5779708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5383933B2 (ja) 湾曲ロック部材を備えた電気差込コネクタ
JP4714285B2 (ja) 差込み結合器ハウジングのためのロック装置
EP2954139B1 (en) An improved tightening square with fixed pins for angular connection of sections
JP6060064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421403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050016032A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6216035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EP3512058A1 (en) Cable protection chain
US10305218B2 (en) Protective cap for an attachment housing
US20220320842A1 (en) Flexible channel molding assemblies
KR101887976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사이드 밴드
KR101480972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US9710677B1 (en) Tamper evident port protector
CN209943276U (zh) 一种拼接结构
KR100897371B1 (ko) 플렉시블 부재 보호장치
JP4550108B2 (ja) 長物保持装置
EP3563715A1 (en) Swivel snaphook
KR102212320B1 (ko) 플러그 커넥터 모듈용 가이드 요소를 갖는 지지 프레임
KR101115518B1 (ko) 케이블 보호장치
US10170848B1 (en) Terminal block lockout device
KR20170032784A (ko) 커버용 힌지장치
JP3797588B2 (ja) ケーブル保護材
KR101321857B1 (ko) 케이블체인 보호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