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193B1 -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193B1
KR100985193B1 KR1020090133304A KR20090133304A KR100985193B1 KR 100985193 B1 KR100985193 B1 KR 100985193B1 KR 1020090133304 A KR1020090133304 A KR 1020090133304A KR 20090133304 A KR20090133304 A KR 20090133304A KR 100985193 B1 KR100985193 B1 KR 10098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nd
groove
protection device
cabl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씨피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시스템(주) filed Critical 씨피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9013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내장한 상태로 이를 보호하고 가이드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밴드(10)는, 본체(12)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14),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16)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15)이 형성되고, 후방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17)이 형성된다. 연결슬롯과 연결홈은 판상의 연결밴드(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15a,17a)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가능영역(15b,17b)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보호장치, 케이블체인, 사이드밴드, 클린룸

Description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Cable chain for clean room}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클린룸을 비롯한 정밀 생산라인 등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체인이라고 알려진 케이블 보호장치는, 케이블을 보호함과 동시에 안내하기 위하여 자동화 라인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장치는, 사용시에는 직선 구간을 형성하기도 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구간을 형성하면서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보호장치는, 하나의 링크체가 연속하여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에서 케이블을 보호하고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벤드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링크체의 사이드밴드가 서로 연속하도록 결합하는 것에 의하 여, 전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케이블 체인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케이블 체인은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가지면서 동작하게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링크체가 직선 및 곡선 구간으로 변형되면서 동작할 때, 각각의 사이드밴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마찰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링크체의 마찰은 실질적으로 마모를 발생시켜서 분진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이블 체인에서, 마모에 의하여 분진이 발생하게 되면, 클린룸과 같은 환경 또는 식품 등과 관련된 환경 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 부품 간의 마모에 의한 분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선 구간에서의 사용시 곡률반경의 규제 또는 변경이 용이한 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 구간에서의 자기 지지(self-supporting) 기능이 한층 강화된 케이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체가 연속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후방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홈은 판상의 연결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가능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밴드의 양단부에는 체결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부가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밴드의 체결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홈과;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밴드결합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밴드는; 상기 전방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걸림부와,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걸림부를 구비하는 고리형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리형가이드의 외측걸림부가 걸리는 가이드홈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단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의 중간부분 저면에는 돌출지지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지지부가 안착되는 지지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홈 및 연결슬롯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부 및 후방연결부는, 본체의 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본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는, 사이드밴드의 직선 상태에서 서로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된 지지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아암이 수납되는 원호상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방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슬롯의 밴드결합부의 주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후방연결부의 연결홈의 회동가능영역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방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홈의 밴드결합부 주위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의 연결슬롯의 회동가능영역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각의 보강리브는, 사이드밴드의 직선 상태에서 연결슬롯 또는 연결홈의 회동가능영역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의 외측면에는 연결밴드의 분리를 위한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체가 연속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 및 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의 각각의 연결슬롯은 판상의 연결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슬롯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가능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연결밴드의 양단부에는 체결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슬롯의 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부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격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밴드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리브와; 상기 구획리브의 양측의 체결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연결슬롯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방연결부의 하면에는 착탈 가능하고, 결합된 사이드밴드의 후방연결부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는 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클립이 장착되는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을 분리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부 상부의 본체에는 원호상의 지지아암이 성형되고, 후방연결부 상부의 본체에서 상기 지지아암이 수납되는 원호상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밴드를 이용하여,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도, 양자가 접촉에 의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어, 실질적으로 클린룸용 또는 식품과 관련된 라인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보호장치, 즉 케이블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상태 및 최대 회동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와의 접촉에 의한 지지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밴드 및 연결밴드의 여러 부분에서 서로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사이드밴드에 작용하는 인장력 및 비틀림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보호장치가 완전히 결합되어 곡선 구간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보호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장치는 하나의 링크체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체(La)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인접하는 링크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이러한 최대 회동 각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장치의 전체적인 회전 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링크체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10)와,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임(4)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사이드밴드(10)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와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상태에 의하여 케이블 보호장치의 전체적인 회전반경이 결정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은 서로 대향하는 사이드밴드(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핀(6)을 통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4)은 서로 대향하는 사이드밴드(1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핀(8)을 통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되는 하나의 링크체는, 양측의 사이드밴드(10)와, 상하부프레임(2,4)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케이블 등이 수납되어 안내된다.
여기서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일 측의 사이드밴드(10)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은 상술한 바와 같고, 일 측의 사이드밴드(10)는 서로 연결되는 사이드밴드(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사이드밴드(10)는, 그 전방 부분이,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후방 부분과 결합되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그와 대향하는 타측의 사이드밴드는, 실질적으로 대칭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와 동일한 구조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각 링크체에서 하나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이드밴드(10)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체에서 하나의 측벽을 형성하는 사이드밴드(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본체(12)와, 상기 본체의 전방 부분에 형성되는 전방연결부(14),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 부분에 형성되는 후방연결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3a에서 전방을 도면부호 F로 표시하고, 후방을 R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전방연결부(14) 및 후 방연결부(16)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연결부(14) 및 후방연결부(16)는,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방연결부(14) 및 후방연결부(16)는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후방연결부 및 전방연결부와 각각 서로 중첩되면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전방연결부(14)와 후방연결부(16)의 외측부분은 원호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할 것이다.
그리고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사이드밴드(10)의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연결부(14) 및 후방연결부(16)는 본체(12)의 대략 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연결부(14)는 본체(12)에 대하여 전방에서 내측(I) 부분에 형성되고, 후방연결부(16)는 본체(12)에 대하여 외측(E)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E)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이드밴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의미하고, 내측(I)은 대향하는 사이드밴드(10)의 각각의 내부의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전방연결부(14) 및 후방연결부(16)는, 각각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으로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밴드(10)는 상기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에 끼워지는 연결밴드(3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예를 들어 살펴보면, 사이드밴드(10)의 후방연결부(16)는 인접(후방)하는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14)와 연결밴드(30)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전방연결부(14)에 형성되는 연결슬롯(15)은 상기 전 방연결부(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밴드(10)의 후방연결부(16)에 형성되는 연결홈(17)은 사이드밴드(10)의 내측(I) 부분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홈(17)은 사이드밴드(1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보이지 않도록 성형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에서의 이물질의 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슬롯(15)과 연결홈(17)은 실질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밴드(30)는, 후방연결부(16)의 연결홈(17)과,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의 전방연결부(14)의 연결슬롯(15)에 같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홈(17)의 내부벽면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연통공(17c)이 형성되어 있는데(도 3b 참조), 상기 연통공(17c)은 연결밴드(30)를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통공(17c)은 후술하는 연결밴드(30)를 분리할 때,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밴드(30)를 내측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슬롯(15)과 연결홈(17)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슬롯(15)은 부채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저면은 대략 수평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전방연결부(14)의 연결슬롯(15)과 후방연결부(16)의 연결홈(17)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즉, 연결슬롯(15)는 전방이 좁고 후방이 부채꼴 형상으로 넓어지는 반면, 연결홈(17)은 후방이 좁고 전방이 부채꼴 형상으로 넓어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의 좁은 부분은 상기 연결밴드(30)와 결합되 기 위한 부분으로, 밴드결합부(15a,17a)로 칭하고, 넓게 확장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연결밴드(30)가 회동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동가능영역(15b,17b)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홈(17)의 밴드결합부(17a) 및 회동가능영역(17b)는 도 4b 및 도 5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밴드(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에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사이드밴드(1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3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전후 방향)의 양 단부에는 체결부(32)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3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앙에는 분리홈(34)이 오목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결합부(15a,17a)의 최내측에는 상기 연결밴드(30)의 체결부(32)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확장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30)의 중간부분에는 돌출지지부(35)가 가로방향[상기 체결부(32)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지지부(35)는 연결밴드(3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반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돌출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지지부(35)는 연결밴드(30)의 중간부분에서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상면 및 하면에 걸쳐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지지부(35)는 사이드밴드(10)의 회동시 중심점 역할을 하며 사이드밴드(10)가 비틀림 응력을 받는 경우 연결밴드(30)의 비틀림을 바로 잡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지지부(35)는 상기 연결슬롯(15) 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지지홈(15n)과 연결홈(17)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지지홈(17n)에 들어가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밴드(30)의 일측부분에는 사출 성형시 살을 좀 더 추가한 보강부(37)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37)는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길이에 더하여 일부분의 근소하게 외측으로 연장, 성형한 돌출부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사이드밴드의 조립시 가해지는 충격(예를 들면 조립용 망치 등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상기 연결밴드(30)가 충분히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슬롯(15)의 밴드결합부(15a) 및 연결홈(17)의 밴드결합부(17a)는, 연결밴드(30)의 양단부에서 확장된 체결부(32)를 탄성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에는 상기와 같은 전방연결부(14)의 연결슬롯(15)과, 후방연결부(16)의 연결홈(17)에 연결밴드(30)가 결합된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밴드(30)는 전방 연결슬롯(15)과 후방 연결홈(17)의 각각의 밴드결합부(15a,17a)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에 연결밴드(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밴드(10)의 회동에 따른,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의 회동 상태 및 연결밴드(30)의 밴딩상태가 그 회동 각도에 따라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의 상부 후방 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된 지지아암(22)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2) 의 상부 전방 측에는 상기 지지아암(22)이 수납될 수 있는 원호상의 지지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아암(22) 및 지지홈(24)은, 본체의 내부(I) 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사이드밴드(10)의 외부(E) 쪽에서는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아암(22)은 상기 지지홈(24)의 내부에 결합되어,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아암(22)은 결합된 인접 사이드밴드(1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에 대해서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고, 회동 상태에서도 결합된 사이드밴드(10)끼리를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도 4,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밴드(10)의 전방연결부(14)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성형된 고리형가이드(14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가이드(14a)는 외부(E) 측을 형하여 연장된 외측걸림부(14c)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리형가이드(14a)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걸림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밴드(10)의 후방연결부(16)의 내측에는, 상기 고리형가이드(14a)가 내부에 수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9)은 외부(E) 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 측의 후면에는 걸림턱(19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가이드(14a)가 상기 가이드홈(19)에 결합되면, 상기 외측걸림부(14c)가 상기 가이드홈(19)의 내부에 걸리게 되는 것과 동시에, 하단부의 하단걸림부(14b)는 상기 걸림턱(19a)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리형가이드(14a)가 상기 가이드홈(19)에 걸린 상태가 도 6에 명 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밴드(10)의 전방연결부(14)에 고리형가이드(14a)를 형성하고, 후방연결부(16)에 가이드홈(1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사이드밴드(1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연결홈(17) 주위에는 내부(I) 측을 향하여 돌출된 보강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6)는 연결홈(17)의 밴드결합부(17a)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내부(I) 측으로 연장 성형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연결슬롯(15)의 주위에도 보강리브(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8)도 연결슬롯(15)의 밴드결합부(15a)를 감싸는 형태로 외부(E) 측으로 연장된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26,28)는 상기 밴드결합부(17a,15a)를 감싸는 형태로 연장 성형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보강리브(26,28)의 내부에 상술한 밴드결합부(17a,15a)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홈(17) 주위에 형성된 보강리브(26)는 내측(I)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사이드밴드가 결합되면 인접 사이드밴드(10)의 연결슬롯(15) 중에서 상대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넓게 형성된 회동가능영역(15b) 속으로 결합된다. 상기 보강리브(26)는 상기 회동가능영역(15b)의 내부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회동가능영역(15b)의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가능영역(15b)는, 하방으로 일정 간격 연장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걸림턱(15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6)의 하단부는 상기 걸림턱(15e)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연결슬롯(15) 주위에 형성되는 보강리브(28)는 외부(E) 측으로 연장되고,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의 연결홈(17)의 회동가능영역(17b) 내부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8)는 회동가능영역(17b)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7e)에 걸리게 된다.
즉, 연결슬롯(15) 주위에 형성된 보강리브(28)는 연결홈(17)의 걸림턱(17e)에 걸리게 되고, 연결홈(17) 주위의 보강리브(26)는 연결슬롯(15)의 걸림턱(15e)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도,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는 인장 응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실질적으로 사이드밴드(10)에 작용하는 비틀림응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화된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 것도 당연하다.
다음에는 연속적으로 결합된 사이드밴드(10)가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클린룸용 또는 식품과 관련된 라인에서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케이블 보호장치에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와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억제되어야 한다.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진이 제조 라인에서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마찰은 최대한 억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밴드(30)의 중심에는 분리홈(34)이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17)의 내부에는 상기 분리홈(34)과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돌기(17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돌기(17f)는 연결홈(17)의 밴드결합부(17a) 내에서 중심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결합부(17a)에서 보강리브(26)가 내측(I)으로 돌출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상기 고정돌기(17f)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밴드결합부(17a)의 내부에서 대략 중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슬롯(15)의 밴드결합부(15a) 내부에도 상기 분리홈(34)에 끼워지는 동일한 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다. 단 도시의 편의상 상기 고정돌기(17f)는 연결홈(17)에 형성된 것만을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연결밴드(30)가 상기 연결홈(17)에 끼워지면 고정돌기(17f)는 분리홈(34)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밴드(30)가 연결슬롯(15)에 끼워지면, 연결슬롯(15)의 밴드결합부(15a) 내부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연결밴드(30)의 분리홈(34)에 결합되는 것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밴드(10)의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의 밴드결합부(15a,17a)에 형성된 고정돌기(17f)와, 연결밴드(30)의 중심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홈(34)이 결합되면, 결합되는 사이드밴드(10)와 연결밴드(30)의 상대위치가 완전히 정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되는 인접 사이드밴드(10) 사이에는 접촉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있다. 즉, 사이드밴드(10)의 전방연결부(14)의 외측면과 후방연결부(16)의 내측면 사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치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연결밴드(30)에 의하여 상대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중첩되는 사이드밴드에서는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연결밴드(30)가 사이드밴드(10) 사이에서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밴드(30)가 임의로 이탈하지 않게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 끼리의 전체적인 지지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케이블 보호장치(체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상태 및 곡선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의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가이드하게 된다.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셀프서포팅(self-supporting)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블 체인이 직선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케이블을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다른 기계장치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는, 직선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 끼리 많은 부분에서 서로 접촉하면서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셀프서포팅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4b에서 진한 점으로 표시한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연결된 사이드밴드들이 서로 접촉하면서 서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직선 상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사이드밴드(10) 본체(12)의 상부 전면(12a)은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본체의 상부후면(12b)에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12)에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와 접촉하는 전면 및 후면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직선으로 배열되면 서로 결합되면서 접촉하도록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사이드밴드(10)의 직선 상태에서, 상기 본체(12)의 하부 전면(12c)은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0)의 본체의 하부 후면(12d)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 다. 여기서 상기 전면결합부(14)와 후면결합부(16)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이드밴드(10)가 회동 가능하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밴드(10)가 최대 각도까지 회동한 상태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최대 각도까지 사이드밴드(10)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사이드밴드(10) 본체(12)의 하부 전면(12c)은 인접한 하부 후면(12d)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사이드밴드(10)의 최대 회동 각도가 규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전면(12c)과 하부 후면(12d)의 살을 빼거나 더하는 것에 의하여, 최대 회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지아암(22)의 외측 단부는 지지홈(24)의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고리형가이드(14a)의 저면 부분은 가이드홈(19) 주변의 저면 부분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실질적으로 체이블 보호장치의 각 사이드밴드(10)가 직선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임과 동시에 그 이상 역방향으로의 굴절은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장치 자체적으로 충분히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셀프서포팅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26)가 연결슬롯(15)의 걸림턱(15e)에 걸린 상태임과 동시에 보강리브(28)가 연결홈(17)의 걸림턱(17e)에 걸려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각 사이드밴드(10)에 걸리는 인장력에 대해서도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틀림에 대해서도 사이드밴드(10)끼리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보호장치의 회동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밴드(10)의 굴절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밴드(10)의 회동시 중심점은 연결밴드(30)의 돌출지지부(35)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사이드밴드(10)가 연결밴드(30)의 돌출지지부(35)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밴드(30)는 사이드밴드(10)의 회동각도와는 반대 방향으로 벤딩된다. 이러한 연결밴드(30)의 반대 방향 벤딩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밴드(10)의 회동 각도에 따른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 그리고 연결밴드(30)의 움직임이 도 5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30)의 돌출지지부(35)는 사이드밴드(10)의 지지홈(15n,17n)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러한 결합관계에 의하면, 사이드밴드(10)의 회동 상태 또는 직선 상태에서 연결밴드(30)가 항상 중심점에 위치할 수 있게 되며, 사이드밴드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에 대해서도 견고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고리형가이드(14a)는 연결되는 사이드밴드(10)의 가이드홈(19) 내부에서 원호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원호형 지지아암(22)은 지지홈(24)의 내부에서 일정 구간 원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최대 회동 각도에서, 상기 고리형가이드(14a)는 지지홈(24)의 상단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점이 도 8b에서 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고리형가이드(14a)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이드홈(19)도 일정한 폭을 가지고, 양자가 밀착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접촉상태는 실질적으로 일종의 걸림턱에 걸리는 상태와 동일하게 되어 비틀림 및 압축시 발생하는 인장력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사이드밴드(10)가 최대 각도까지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2)의 하부 전면(12c)은 인접한 하부 후면(12d)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하여 실질적인 최대 회동 각도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밴드(110)의 전방연결부(114) 및 후방연결부(116)에는 각각 연결슬롯(115,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일측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었음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114) 및 후방연결부(116)를 관통하는 연결슬롯(115,117)을 형성하고 있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슬롯(115,117)의 기능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실시예의 연결슬롯(15) 및 연결홈(17)과 동일하다. 즉, 상기 연결슬롯(115,117)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슬롯(115)은 부채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저면은 대략 수평형상을 이루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슬롯(117)도 부채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저면은 대략 수평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슬롯(115)(117)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전방은 부채꼴 형상으로 넓어지고 후방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슬롯(115)(117)의 좁은 부분은 연결밴드(130)와 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 밴드결합부(115a,117a)로 칭하고, 넓게 확장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연결밴드(130)가 회동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회동가능영역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가능영역 중 연결슬롯(115)에 위치한 회동가능영역은 도면부호 115b로 표시하고 있지만, 상기 연결슬롯(117)에 위치한 회동가능영역은 도면부호를 생략하였다. 하지만 연결슬롯(117)의 회동가능영역은 제 1실시예의 회동가능영역(17b)과 동일한 위치이기 때문에 그 위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드결합부(115a,117a)의 최내측에는 연결밴드(130)의 체결부(131)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확장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연결홈(17)에 대신하여 연결슬롯(117)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연결홈(17)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된 사이드밴드(10)의 내부로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밴 드(130)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서의 보강리브(26,28)의 구성이 생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접하는 사이드밴드(1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슬롯(115,117)에 판상의 연결밴드(1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연결밴드(13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전후 방향)의 양 단부에는 체결부(131)가 가로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 성형된 구획리브(132)가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리브(132)의 양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1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획리브(132)는, 후방연결부(116)와 전방연결부(114)가 상기 연결밴드(130)에 의하여 결합될 때, 후방연결부(116)와 전방연결부(114) 사이에 개재되는 것에 의하여, 후방연결부(116)와 전방연결부(114)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34)은, 상기 연결슬롯(117)의 내측면에서 볼록하게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19)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획리브(132)와 결합홈(134)을 구비하는 연결밴드(130)가,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연결슬롯(117)끼리를 서로 연결하게 되면, 사이드밴드(110)의 전방연결부(114)와 후방연결부(116)는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밴드(130)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방연결부(114)의 하단부에는 클립(140)이 결합된다. 상기 클립(140)은 최대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연결부(114)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클립(140)은 전방연결부(114)의 하단부에 착탈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 및 형상에 의하여 제한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 상기 클립(140)이 결합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140)은 사이드밴드(110)가 회전하게 되면 사이드밴드(110)의 후방연결부(116)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140)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사이드밴드(110)의 전체적인 회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밴드(110)의 하단부 측면에는 상기 클립(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21)은 별도의 지그 등을 이용하여 사이드밴드(11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클립(140)을 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밴드(110)의 상부 후방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 지지아암(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밴드(110)의 상부 전방측에는 상기 지지아암(122)이 수납될 수 있는 원호상의 지지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아암(122) 및 지지홈(124)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지지아암(22) 및 지지홈(24)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의 연결밴드를 이용하여 중첩되는 부분인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밴드의 내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밴드의 외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사이드밴드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연결상태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연결상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슬롯 및 연결홈과 연결밴드의 결합상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연결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연결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회동 상태 배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사이드밴드의 회동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이드밴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이드밴드의 결합상태 정면도.

Claims (21)

  1.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체가 연속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후방연결부에는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슬롯과 연결홈은 판상의 연결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가능영역을 각각 구비하며;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의 양단부에는 체결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부가 성형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연결밴드의 체결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분리홈과;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밴드결합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로 구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상기 전방연결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걸림부와,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단걸림부를 구비하는 고리형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리형가이드의 외측걸림부가 걸리는 가이드홈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단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의 중간부분 저면에는 돌출지지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연결슬롯 및 연결홈의 저면에는 상기 돌출지지부가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 및 연결슬롯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성형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부 및 후방연결부는, 본체의 반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본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성형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의 각각의 상부 전면과 상부 후면은, 사이드밴드의 직선 상태에서 서로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하부 전면과 하부 후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에는 후방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연장된 지지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아암이 수납되는 원호상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슬롯의 밴드결합부의 주위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후방연결부의 연결홈의 회동가능영역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홈의 밴드결합부 주위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인접하는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의 연결슬롯의 회동가능영역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리브는, 사이드밴드의 직선 상태에서 연결슬롯 또는 연결홈의 회동가능영역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케이블 보호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의 외측면에는 연결밴드의 분리를 위한 연통공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5.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사이드밴드와, 상기 사이드밴드의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체가 연속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밴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전방연결부, 그리고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사이드밴드의 전방연결부와 연결되기 위한 후방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 및 후방연결부에는 연결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의 각각의 연결슬롯은 판상의 연결밴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중첩되면서, 인접하는 사이드밴드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슬롯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상기 연결밴드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밴드결합부와, 상기 밴드결합부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결밴드의 일측과 접촉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하는 회동가능영역을 구비하며;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보호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의 양단부에는 체결부가 가로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슬롯의 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가 압입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부가 성형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연결밴드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연결되는 전방연결부와 후방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획리브와;
    상기 구획리브의 양측의 체결부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연결슬롯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19. 제 15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부의 하면에는 착탈 가능하고, 결합된 사이드밴드의 후방연결부의 하단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는 클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이 장착되는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클립을 분리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연결부 상부의 본체에는 원호상의 지지아암이 성형되고, 후방연결부 상부의 본체에서 상기 지지아암이 수납되는 원호상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보호장치.
KR1020090133304A 2009-12-29 2009-12-29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KR10098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04A KR100985193B1 (ko) 2009-12-29 2009-12-29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04A KR100985193B1 (ko) 2009-12-29 2009-12-29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193B1 true KR100985193B1 (ko) 2010-10-05

Family

ID=4313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04A KR100985193B1 (ko) 2009-12-29 2009-12-29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1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09B1 (ko) * 2018-04-12 2019-10-21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베어
KR20200008238A (ko) * 2018-07-16 2020-01-28 씨피시스템(주)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 및 이를 갖는 체인 링크와,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EP3686457A1 (de) * 2019-01-25 2020-07-29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KR20220071563A (ko)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 수량 변동 대응 및 케이블 이탈방지 겸 충격흡수와 분진억제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 체인
KR20220071566A (ko)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수량 변동 대응형 케이블 가이드 체인
WO2023096058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스테른 먼지 발생 억제가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용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0198A1 (en) * 2001-04-23 2003-01-02 Igus Spritzgussteile Fur Die Industrie Gmbh Energy guiding chain
EP1703168A2 (de) 2005-03-14 2006-09-20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7310937B2 (en) * 2005-10-18 2007-12-25 Kim Kyung-Min Clean room ch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0198A1 (en) * 2001-04-23 2003-01-02 Igus Spritzgussteile Fur Die Industrie Gmbh Energy guiding chain
JP2007285524A (ja) * 2001-04-23 2007-11-01 Igus Gmbh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用継手要素
EP1703168A2 (de) 2005-03-14 2006-09-20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Energieführungskette
US7310937B2 (en) * 2005-10-18 2007-12-25 Kim Kyung-Min Clean room chai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09B1 (ko) * 2018-04-12 2019-10-21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케이블 베어
KR20200008238A (ko) * 2018-07-16 2020-01-28 씨피시스템(주)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 및 이를 갖는 체인 링크와,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KR102076211B1 (ko) * 2018-07-16 2020-02-11 씨피시스템(주)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 및 이를 갖는 체인 링크와,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EP3686457A1 (de) * 2019-01-25 2020-07-29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KR20220071563A (ko)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 수량 변동 대응 및 케이블 이탈방지 겸 충격흡수와 분진억제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 체인
KR20220071566A (ko) 2020-11-24 2022-05-31 이민우 케이블수량 변동 대응형 케이블 가이드 체인
WO2023096058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스테른 먼지 발생 억제가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용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193B1 (ko) 클린룸용 케이블 보호장치
JP411197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0517779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CN107110299B (zh) 尤其供净化室使用的管线引导装置、壳部件和支撑骨架
TWI613381B (zh) 導引複數供電線之能量鏈條
EP1030426A2 (en) Cable chain
US8220243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779708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US7100641B2 (en) Protective ducting
US8622481B2 (en) Fiber optic cable protection in a mining system
JP411196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748816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6510682B2 (en) Cable drag chain
JP2007192367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480972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US20100283236A1 (en) Anchoring element for pipe couplings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EP1767842A3 (en) Housing type joint
CN103453075A (zh) 线缆类保护引导部件
JP2007263236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3070553A (ja) 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用取り付けブラケット
CN114868316A (zh) 用于净化室应用的管线引导设备及其支撑链和链节
WO2021124954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KR100890197B1 (ko) 회전체 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