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055B1 -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55B1
KR100896055B1 KR1020070004212A KR20070004212A KR100896055B1 KR 100896055 B1 KR100896055 B1 KR 100896055B1 KR 1020070004212 A KR1020070004212 A KR 1020070004212A KR 20070004212 A KR20070004212 A KR 20070004212A KR 100896055 B1 KR100896055 B1 KR 10089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wheel
lens
jog whe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079A (ko
Inventor
최규성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055B1/ko
Priority to EP08000578A priority patent/EP1944681A3/en
Priority to US12/014,585 priority patent/US8005506B2/en
Priority to CN2008100856327A priority patent/CN101232528B/zh
Priority to US12/014,608 priority patent/US7765495B2/en
Priority to EP08000651.3A priority patent/EP1944677B1/en
Priority to CN2008100856312A priority patent/CN101232687B/zh
Publication of KR2008006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시 사용자가 한 손으로 회전입력장치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입력장치, 조그휠, 카메라, 탄성부재, 터치스크린, 표시부

Description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ING INPUT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배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그휠의 배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그휠의 배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가 장착된 조그휠의 배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렌즈개폐수단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렌즈개폐수단의 배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프레임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조그휠과 홀센서의 조립 상태도.
도11, 도12, 도13, 도14,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표시부 200:조그휠
210:지지돌기 220:저지돌기
230:체결돌기 240:토션스프링
300:렌즈개폐수단 310:고정판
312:걸림홈 314:안내돌기
320:회전판 322:회전돌기
330:렌즈커버 332:힌지축
340:코일스프링 400:프레임
410:프레임 몸체 412:걸림턱
420:지지돌기 422:안착턱
424:걸림돌기 430:이동돌기
460:이물질 침투 방지창 470: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
472:고정홈 480:고정와셔
482:체결홈 500:카메라
600:지지판 610:압박돌기
700:모우터 720:상하이동돌기
800:연성회로기판 810:홀센서
812:마그네틱 900:인쇄회로기판
912:고정 신호단자 920:돔스위치
922:가변 신호단자
본 발명은 단말기 작동을 위한 회전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의 경우 회전입력장치가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되거나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되어 단말기 사용시 한 손으로 회전입력장치를 작동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시 한 손으로 작동이 용이한 회전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한 손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회전입력장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 기능이 다양한 회전입력장치를 갖는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입력장치의 양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입력장치가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회전입력장치의 회 전방향을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입력장치는, 상면이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노출되는 조그휠이고, 상기 단말기 내부에는 상기 조그휠이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프레임이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양측 돌출단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조그휠 또는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 돌출단부를 압축 가능한 상태로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그휠 또는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조그휠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 돌출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돌기가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조그휠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그휠에는 상기 조그휠의 양방향 회전시 상기 조그휠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조그휠의 최초의 설정위치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양측 돌출단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2개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지돌기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둘레부에 접촉부와 접촉하고, 상기 조그휠의 양방향 회전시 양측 단부가 상기 이동돌기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조그휠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그휠의 하단부에는 상면 내측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려 상기 조그휠의 상측 이탈을 저지하는 고정와셔가 체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조그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그휠에 구비된 마그네틱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그휠의 내측에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조그휠에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하는 렌즈개폐수단이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개폐수단은, 상기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통공을 개폐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판이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커버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 정판의 한 점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1커버와,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판의 다른 한 점을 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커버와 접촉 및 이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상하이동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의 하면에는 상기 상하이동돌기의 상측 이동시 상기 상하이동돌기와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돌기는 모우터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신호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단자의 상측에는 상기 조그휠의 가압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신호단자를 작동시키는 압박돌기가 구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부에는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는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상기 회전입력장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간을 이동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입력장치의 회전에 따라 카메라 모드에서의 줌(zoom) 기능,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줌(zoom) 기능, 볼륨 업(volume up) 및 볼륨 다운(volume down) 기능,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좌우 스크롤(scrole)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입력장치가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상기 특정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해진 정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실행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특정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행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소정의 터치영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의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의해 지시되는 아이콘은 상기 소정의 터치영역에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터치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아이콘은 상기 소정의 터치영역을 중심으로 원주형태를 이루며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는,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의해 지시되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었던 위치에 당해 아이콘을 대체하며 디스플레이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를,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배면도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그휠의 배면도를,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그휠의 배면 사시도를,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가 장착된 조그휠의 배면 사시도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렌즈개폐수단의 사시도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렌즈개폐수단의 배면 사시도를,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조그휠과 홀센서의 조립 상태도를, 도11, 도12, 도13, 도14,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작동도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표시부(100), 조그휠(200), 렌즈개폐수단(300), 프레임(400), 카메라(500) 및 지지판(600)을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00)는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다.
도1을 참조하면 조그휠(200)은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된다.
도2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은 상면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둘레부를 갖는다. 도2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상면에는 카메라(500)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상면에는 단말기의 모드(mode) 선택을 위한 폰트(font)가 형성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배면에는 지지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210)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데, 외측면이 조그휠(200)의 둘레부의 내면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배면에는 저지돌기(220)가 돌출 형성된다. 저지돌기(220)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데, 외측면이 지지돌기(210)의 내면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저지돌기(220)는, 조그휠(200)의 중앙을 중심하였을 때 저지돌기(220)의 양측단이 지지돌기(210)의 양측단과 이루는 각이 각각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45°보다 약간 큰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저지돌기(220)는 그 돌출 높이가 지지돌기(210)의 돌출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둘레부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230)가 돌출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배면에는 토션스프링(240)이 장착된다. 토션스프링(240)은 양측 말단에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갖는다. 토션스프링(240)은 양측 돌출단부가 지지돌기(210)의 양측단에 접촉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토션스프링(240)은 그 감김부의 소정부위가 저지돌기(22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도1을 참조하면 프레임(400)에는 조그휠(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도9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은 프레임 몸체(410)를 갖는다. 프레임 몸체(410)의 중앙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프레임 몸체(410)의 상단 근부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는 외벽이 외부로 돌출되며 걸림턱(412)이 형성된다. 돌출된 프레임 몸체(410)의 상단 외벽은 원주형태를 이루는데,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경우 조그휠(200) 둘레부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그 지름은 조그휠(200) 둘레부의 내면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한편, 도9 및 도6을 참조하면 돌출된 프레임 몸체(410)의 상단 외벽의 높이는 조그휠(200)의 둘레부의 하단과 지지돌기(210)의 하단과의 높이 차이에 해당한다.
도9를 참조하면 프레임 몸체(410)의 상면에는 지지돌기(420)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420)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데, 프레임 몸체(41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내부로 소정 거리 인입되어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420)는,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경우 토션스프링(240)의 감김부 안쪽에 위치하도록, 그 외 면 지름을 토션스프링(240)의 감김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도9를 참조하면 지지돌기(420)의 내면에는, 원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턱(422)이 형성된다. 한편, 안착턱(422)의 소정부위에는 상측으로 걸림돌기(424)가 돌출 형성된다.
도9를 참조하면 프레임 몸체(410)의 상면에는 이동돌기(430)가 2개 돌출 형성되는데, 각각 지지돌기(420)의 외측에 형성된다. 도6을 참조하면 각각의 이동돌기(430)는,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시 토션스프링(240)의 양측 돌출단부에 각각 접촉하여 조그휠(200)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토션스프링(240)을 압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동돌기(430)는 조그휠(200)이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각각 조그휠(200)의 저지돌기(220)의 양측단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조그휠(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이동돌기(430)의 원주방향 길이는, 조그휠(200)이 양방향으로 45° 만큼 회전하는 경우 이동돌기(430)가 각각 조그휠(200)의 저지돌기(220)의 양측단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돌기(430) 각각은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경우 토션스프링(240)의 감김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의 내측에는 카메라(500)가 설치되는데, 카메라(500)의 전방부가 프레임(400)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된다.
도2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에는 투명재질의 이물질 침투 방지창(460)이 구비된다. 이물질 침투 방지창(460)은 외부로부터 카메라(500)의 렌즈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프레임 몸체(410) 상면에는 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470)가 장착된다. 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470)는 지지돌기(420)의 외측에 위치하는데, 2개의 이동돌기(430)에 삽입 고정되도록 2개의 고정홈(472)이 형성된다. 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470)는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경우 조그휠(200)의 저지돌기(220)를 지지하도록 장착되며, 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470)의 두께는 조그휠(200)의 지지돌기(210)와 저지돌기(220)의 높이 차이에 해당한다. 드러스트 와셔(thrust washer)(470)는 조그휠(200)과 프레임(400)의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키고, 회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하는 경우 조그휠(200)의 둘레부 하단면에는 고정와셔(480)가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와셔(480)에는 조그휠(200)의 둘레부 하단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30)에 대응하는 체결홈(482)이 형성된다. 고정와셔(480)의 상면 외측부는 조그휠(200)의 둘레부 하단면과 접촉하고, 고정와셔(480)의 상면 내측부는 프레임 몸체(410)의 걸림턱(412)과 접촉한다. 즉, 고정와셔(480)과 조그휠(200)의 둘레부 하단면에 체결되어 프레임 몸체(410)의 걸림턱(412)에 걸림으로써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카메라(500)의 렌즈를 개폐하는 렌즈개폐수단(300)은 프레임(400)에 장착되는데, 고정판(310), 회전판(320) 및 렌즈커버(330)를 갖는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고정판(310)의 외곽은 2개의 원호부와 상기 2개의 원호부를 연결하는 2개의 직선부로 형성되는데, 하나의 원호부는 나머지 하나의 원호 부와 마주보고 하나의 직선부는 나머지 하나의 직선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한편, 2개의 원호부는 프레임(400)의 안착턱(422)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원호부 각각에는 고정판(3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400)의 걸림돌기(424)에 걸리는 걸림홈(31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310)의 중앙부에는 고정판(310)의 하측, 즉 고정판(310)의 배면방향에 위치하는 카메라(500)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고정판(310)의 하측에는 회전판(320)이 구비된다. 회전판(320)의 중앙부에는 회전판(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카메라(500)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즉, 회전판(320)은 환테고리형으로 형성된다. 회전판(320)의 외주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에는 코일스프링(340)이 장착된다. 코일스프링(340)은 일측단이 고정판(3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회전판(320)에 연결된다. 한편, 회전판(320)의 하면에는 회전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돌기(322)에는, 상하방향 운동을 수평방향 운동으로 바꾸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고정판(310)의 상측에는 렌즈커버(330)가 구비된다. 렌즈커버(330)는 제1렌즈커버 및 제2렌즈커버로 이루어지는데, 렌즈커버(330) 각각은 소정부위가 고정판(310) 상면에 힌지축(332)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호 접촉 및 이격됨으로써 고정판(310)에 형성된 통공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렌즈커버(330) 각각은 일측단이 회전판(320)에 고정 연결되어, 회전판(32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힌지축(3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판(310)에 형성된 통공 을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고정판(310)의 상면에는 렌즈커버(330) 회전시 렌즈커버(33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31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코일스프링(340)은 회전판(320)이 회전하여 렌즈커버(330)가 개방되는 경우 회전판(320) 및 렌즈커버(330)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된다.
도2를 참조하면 카메라(500)의 측부에는 모우터(700)가 구비된다. 모우터(700)에는 모우터(700) 회전시 상하 이동 가능한 리드(lead) 스크류(screw)가 구비되고, 리드(lead) 스크류(screw)에는 상하이동돌기(720)가 연결된다. 상하이동돌기(720)에는 리드(lead) 스크류(screw)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회전돌기(322)의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상하이동돌기(720)가 모우터(700)의 회전시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돌기(322)와 접촉하며 회전돌기(322)에 회전력을 가하여 회전판(32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카메라(500)에는 연성회로기판(800)이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800)에는 홀센서(810)가 실장되며, 홀센서(810) 작동을 위한 신호단자 및 모우터(700) 작동을 위한 신호단자 등이 패턴화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조그휠(200)의 둘레부 내면에는 2개의 마그네틱(812)이 장착되는데, 하나는 N극이고 나머지 하나는 S극을 띠는 마그네틱이다. 즉, 홀센서(810)는 조그휠(200)이 회전함에 따라 조그휠(200)에 장착된 마그네틱(812)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조그휠(2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연성회로기판(800)은 최초 설정상태에서 홀센서(810)가 2개의 마그네틱(812)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카메라(500)의 하단부는 카메라(500)를 지지하는 원판형의 지지판(600)이 구비된다. 지지판(600)의 하측에는 등간격으로 원주형태를 이루며 압박돌기(610)가 돌출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단말기에는 인쇄회로기판(900)이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900)에는 고정 신호단자(912)가 형성된다. 고정 신호단자(912)는 압박돌기(610)에 대응하도록 등간격으로 원주형태를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90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800)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도1을 참조하면 고정 신호단자(912)의 상측에는 돔스위치(920)가 실장된다. 돔스위치(920)는 각각의 고정 신호단자(912) 상측에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돔스위치(920) 압착시 고정 신호단자(912)와 접촉하는 가변 신호단자(922)가 형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돔스위치(920) 상측에는 지지판(600)가 안치되는데, 지지판(600)의 압박돌기(610)가 돔스위치(920) 상측에 위치하여 조그휠(200) 압박시 압박돌기(610)를 통하여 돔스위치(920)가 고정 신호단자(912) 쪽으로 압착되도록 안치된다.
한편, 도11을 참조하면 표시부(100)에는 단말기의 특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아이콘(110)이 디스플레이되고,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 클릭시 선택되는 모드를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아이콘(110)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120)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조그휠(200)이 양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표시부(100)에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indicator)(120)는 선택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다음 아이 콘(110)을 지시하게 된다. 이때, 인디케이터(indicator)(120)는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다음 아이콘(110)을 지시하게 된다.
한편,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을 클릭하여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게 된 경우 조그휠(200)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카메라에 의한 프리뷰(preview) 영상이 선택적으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되게 된다. 이때,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표시부(100)에는, 카메라 모드 선택시 카메라에 의한 프리뷰(preview) 영상의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실행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130)가 디스플레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을 클릭하여 표시부(100)에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때, 조그휠(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대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 기능이 수행된다. 이 경우에도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대한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실행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을 클릭하여 표 시부(100)에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때, 조그휠(20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스크롤(scrole)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연속적으로 좌우로 스크롤(scrole)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도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대한 스크롤(scrole) 정도를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조그휠(20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음향을 볼륨 업(volume up) 및 볼륨 다운(volume down)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상기 음향을 연속적으로 볼륨 업(volume up) 또는 볼륨 다운(volume down)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발생되는 음향의 크기를 알려주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디스플레이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을 클릭하여 메뉴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부(100)에 선택 가능한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메뉴선택 모드의 경우 표시부(100)는 그 중앙부에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터치영역(160)이 형성된다. 터치영역(16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터치영역(160)의 외부에는 터치영역(160)을 중심으로 원주형태를 이루며 선택 가능한 메뉴 아이콘(162)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메뉴선택 모드에서는 조그휠(200) 또는 기타의 키버튼 클릭시 선택되는 모드를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아이콘(162)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인디케이 터(indicator)(164)가 디스플레이된다. 인디케이터(indicator)(164)는,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의해 지시되는 아이콘(162)이 디스플레이되었던 위치에 당해 아이콘(162)을 대체하며 화살표 등의 특정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인디케이터(indicator)(164)에 의해 지시되는 아이콘(162)은 터치영역(16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터치영역(160)을 터치하면 터치영역(16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162)이 나타내는 모드가 선택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메뉴선택 모드에서는 조그휠(200)이 양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표시부(100)에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indicator)(164)는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는 다음 아이콘(162)을 지시하게 된다. 즉, 도13에는 인디케이터(indicator)(164)가 일정표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시함으로써 터치영역(160)에 일정표 모드를 나타내는 달력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그휠(200)을 회전시켜 인디케이터(indicator)(164)가 카메라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시한 상태가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indicator)(164)가 카메라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지시함으로써 터치영역(160)에 카메라 모드를 나타내는 카메라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indicator)(164)는 조그휠(200)이 45° 회전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 연속적으로 다음 아이콘(162)을 지시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단말기의 배면에 조그휠(200)이 위치하고, 조그휠(200)의 상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 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단말기를 잡은 손의 검지를 사용하여 조그휠(2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한 손으로 쥐고 통화를 하는 경우 검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그휠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통화음을 볼륨 업(volume up) 또는 볼륨 다운(volume down)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표시부(100)가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표시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조그휠(2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단말기를 잡은 손의 검지를 이용하여 조그휠(200)을 회전시키거나 클릭함으로써 편리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단말기 작동을 위한 조그휠(200)을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단말기 전면의 전영역을 표시부(100)로 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크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한 일실시예는 조그휠(200)에 마그네틱(812)이 장착되어 있어 조그휠(200) 회전시 마그네틱(812)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800)에 형성된 홀센서(810)에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키므로 조그휠(200)의 회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5 및 도9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 회전하는 경우 프레임(400)에 형성된 이동돌기(430)의 어느 하나가 조그휠(200)의 내면에 형성된 저지돌기(220)의 일측단에 걸림으로써 조그휠(200)의 회전이 저지된 다.
도6 및 도9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토션스프링(240)의 돌출 단부가 프레임(400)에 형성된 이동돌기(430)에 걸려 압축되므로, 회전력 제거시 토션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조그휠(200)이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프레임(400)에는 드러스트 와셔(thrust)(470)가 장착되어 드러스트 와셔(thrust)(470)가 조그휠(200)의 저지돌기(220)와 접촉하므로, 조그휠(200)과 프레임(400)의 직접 마찰이 방치되어 조그휠(200)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조그휠(200)이 프레임(400)에 안착된 경우 하부로부터 고정와셔(480)를 조그휠(200)의 하단부에 체결하므로 조그휠(200)과 프레임(40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렌즈커버(3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코일스프링(340)에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렌즈커버(33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한 탄성력 보다 큰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렌즈커버(300)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도2 및 도8을 참조하면 모우터(700)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이동돌기(720)가 상부로 이동하며 회전판(320)에 형성된 회전돌기(322)와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하이동돌기(720)는 회전돌기(322)의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하므로, 회전판(320)에는 수평방향의 힘이 발생하고, 이 수평방향의 힘에 의해 회전판(320)이 회전하게 된다. 도7을 참조하면 회전판(320)이 회전함에 따라 2개의 렌즈커버(33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호 이격되며 고정판(310)에 형성된 통공을 개방하게 된다. 고정판(310)에 형성된 통공이 개방됨에 따라 카메라(500)의 렌즈가 외부에 노출된다.
도8을 참조하면 회전판(320) 회전시 코일스프링(340)이 변형되어 탄성에너지가 저장되므로, 모우터(7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하이동돌기(72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코일스프링(34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회전판(3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렌즈커버(330)가 고정판(310)에 형성된 통공을 닫게 된다.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그휠(200)은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조그휠(200)은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의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0)는 단말기의 본체 또는 폴더에 구비되어 폴더 개방시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하거나, 폴더의 전면에 구비되어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단말기의 전방에 노출 가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면에 조그휠이 위치하고, 조그휠의 상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단말기를 잡은 손의 검지를 사용하여 조그휠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고 통화를 하는 경우 단말기를 잡은 손의 검지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조그휠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통화음을 볼륨 업(volume up) 또는 볼륨 다운(volume down)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부가 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조그휠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면서 단말기를 잡은 손의 검지를 이용하여 조그휠을 회전시키거나 클릭함으로써 편리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작동을 위한 조그휠을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단말기 전면의 전영역을 표시부로 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크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메뉴선택 모드로의 전환시 표시부의 중앙부에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터치영역이 형성되고, 터치영역을 중심으로 원주형태를 이루며 선택 가능한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며,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의해 지시되는 아이콘은 터치영역에 디스플레이되므로, 메뉴선택 모드의 표시부의 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그휠에 가해진 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조그휠이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조그휠 클릭시 모드 선택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그휠이 프레임에 안착된 경우 하부로부터 고정와셔를 조그휠의 하단부에 체결하므로 조그휠과 프레임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렌즈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코일스프링에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렌즈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한 탄성력 보다 큰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렌즈커버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카레라의 렌즈가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7)

  1.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바디;
    상기 전면에 위치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배면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배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축에 대한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되,
    상기 회전 휠의 내측에는 렌즈 및 카메라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단일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회전 휠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하는 렌즈개폐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개폐부는,
    상기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회전 가능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통공을 개폐하는 렌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커버는,
    상기 고정판의 일 점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커버부와,
    상기 고정판의 다른 한 점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는 상호 회전 및 접촉하여 상기 통공을 차폐하고, 상호 회전 및 이격되어 상기 통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휠의 회전시 상기 회전 휠이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회전 휠의 회전방향을 인식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판이 최초의 설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회전 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그휠에 구비된 마그네틱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에는 상기 휠이 안착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단말기의 특정 모드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단자와,
    상기 신호단자의 상측에는 상기 휠의 가압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신호단자를 작동시키는 압박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압박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180도 이하의 회전 범위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8.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바디;
    상기 전면에 위치하는 표시부;
    상기 배면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하는 입력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와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개구부가 상기 회전 휠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상기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하는 렌즈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20.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전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에 복수의 아이콘을, 원주 형태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기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 휠의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휠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개별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휠의 내측에는 렌즈 및 카메라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삭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기 원주 형태 배열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 중앙 영역 내부에 복수의 인디케이터(indicator)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관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각각은 상기 관련된 각각의 아이콘이 확대된 양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4.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원주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표시부가 위치하는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회전 휠의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기 원주 형태의 배열에 의해 한정되는 중앙 영역 내부에 복수의 인디케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휠의 내측에는 렌즈 및 카메라를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 각각은 상기 관련된 각각의 아이콘이 확대된 양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의 터치 감지에 따라 상기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모드 중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카메라 모드, 음악 모드, 영상 모드, 달력 모드, 이메일 모드, 및 연락처 목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70004212A 2007-01-15 2007-01-15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9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12A KR100896055B1 (ko) 2007-01-15 2007-01-15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08000578A EP1944681A3 (en) 2007-01-15 2008-01-14 Mobile terminal having rotat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US12/014,585 US8005506B2 (en) 2007-01-15 2008-01-15 Mobile terminal having rotating input device
CN2008100856327A CN101232528B (zh) 2007-01-15 2008-01-15 具有旋转输入设备的移动终端
US12/014,608 US7765495B2 (en) 2007-01-15 2008-01-15 Mobile terminal having rotat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EP08000651.3A EP1944677B1 (en) 2007-01-15 2008-01-15 Mobile terminal having a rotatable input device
CN2008100856312A CN101232687B (zh) 2007-01-15 2008-01-15 具有旋转输入设备的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12A KR100896055B1 (ko) 2007-01-15 2007-01-15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079A KR20080067079A (ko) 2008-07-18
KR100896055B1 true KR100896055B1 (ko) 2009-05-07

Family

ID=393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12A KR100896055B1 (ko) 2007-01-15 2007-01-15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65495B2 (ko)
EP (2) EP1944681A3 (ko)
KR (1) KR100896055B1 (ko)
CN (2) CN1012326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ko)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55B1 (ko) * 2007-01-15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00042954A1 (en) * 2008-08-12 2010-02-18 Apple Inc. Motion based input selection
CN101661146B (zh) * 2008-08-2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卡合结构
US20100064255A1 (en) * 2008-09-05 2010-03-11 Apple Inc. Contextual menus in an electronic device
EP2226714A1 (en) 2009-03-05 2010-09-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navigating and selecting items with a return-to-center navigation component
US20100225585A1 (en) * 2009-03-05 2010-09-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navigating and selecting items with a return-to-center navigation component
KR101576181B1 (ko) * 2009-03-11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기계식 정보 입출력 장치
US20100281430A1 (en) * 2009-05-02 2010-11-04 Samir Hanna Safar Mobile applications spin menu
US20110109560A1 (en)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EP2497017A1 (en) * 2009-11-06 2012-09-12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US8601394B2 (en) 2009-11-06 2013-12-03 Bose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er customization
US8669949B2 (en) 2009-11-06 2014-03-1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US20110113368A1 (en)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US9201584B2 (en) 2009-11-06 2015-12-01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tactile feedback
US8692815B2 (en) 2009-11-06 2014-04-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8350820B2 (en) 2009-11-06 2013-01-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US8638306B2 (en) 2009-11-06 2014-01-2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8686957B2 (en) 2009-11-06 2014-04-0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US9354726B2 (en) 2009-11-06 2016-05-31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submenu
USD665417S1 (en) * 2010-03-03 2012-08-14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portion with icon
US20110291946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Touchpad interaction
WO2012051209A2 (en) * 2010-10-11 2012-04-19 Third Wave Power Pte Ltd Gesture controlled user interface
US9569002B2 (en) 2010-12-17 2017-02-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nsor arrangement for gesture recognition
WO2012119085A1 (en) * 2011-03-02 2012-09-07 Touchdome Llc. A talking dome watch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02142028B (zh) * 2011-03-18 2016-06-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文件路径显示方法
US8707211B2 (en) * 2011-10-21 2014-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adi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2361489B (zh) * 2011-10-27 2015-09-23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的拨号装置
CN103176725B (zh) * 2011-12-21 2017-06-1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文件操作系统和文件操作方法
KR101397084B1 (ko) *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3118837U (zh) * 2012-10-18 2013-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按键组件
USD743992S1 (en) * 2012-10-31 2015-11-24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2050S1 (en) * 2012-10-31 2015-06-16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72536B2 (en) *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477313B2 (en) 2012-11-20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513675B2 (en) 2012-12-29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1398141B1 (ko)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D745533S1 (en) * 2013-08-27 2015-12-1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43895B1 (ko) * 2013-09-03 2020-08-12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CN110850705B (zh) 2013-09-03 2021-06-29 苹果公司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表冠输入
CN103533486B (zh) * 2013-09-24 2016-12-0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音量外部调节器和调节方法
USD753708S1 (en) * 2013-12-30 2016-04-12 Beijing Qihoo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CN103916497A (zh) * 2014-03-25 2014-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辅助设备及移动终端产品
CN104007824B (zh) * 2014-06-10 2017-04-19 北京芯创睿胜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活动的圆形外壳作为输入设备的装置和方法
CN105204796B (zh) * 2014-06-17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5200890A2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CN106797493A (zh) 2014-09-02 2017-05-3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CN112199000A (zh) 2014-09-02 2021-01-08 苹果公司 多维对象重排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CN104731452B (zh) * 2015-03-18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WO2016171467A1 (en) 2015-04-23 2016-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ry member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5068712B (zh) * 2015-08-06 2019-04-30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的菜单选择实现方法及系统
USD804514S1 (en) * 2015-08-21 2017-12-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242524A (zh) * 2015-09-09 2016-01-13 南京物联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图形界面交互智能手表及其使用方法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0178306B2 (en) 2016-06-16 2019-01-08 Tracfone Wireless, Inc. Wireless device having dedicated rear panel control
US11843715B2 (en) * 2017-11-23 2023-12-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D924246S1 (en) 2018-03-22 2021-07-06 Leica Microsystems Cms Gmbh Microscope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622067B2 (en) * 2018-05-31 2023-04-04 Kohler Co. Connected bathroom component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893212B2 (en) 2021-06-06 2024-02-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pplication widge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47A (ja) * 1994-10-25 1996-05-1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4032548A (ja) * 2002-06-27 2004-01-29 Alps Electric Co Ltd 携帯端末
JP2004157640A (ja) * 2002-11-05 2004-06-0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
JP2005092667A (ja) * 2003-09-19 2005-04-0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情報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0981B (en) 1997-10-31 2002-07-0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GB2330982B (en) * 1997-10-31 2002-02-06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US20060250355A1 (en) * 1998-05-29 2006-11-09 Miller-Smith Richard M Image control system
DE19855022A1 (de) 1998-11-20 2000-05-25 Inst Halbleiterphysik Gmbh Mobile Telekommunikationseinheit mit verbessertem Bedienungskomfort
JP2001357758A (ja) * 2000-06-12 2001-12-2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JP2003084910A (ja) 2001-09-14 2003-03-20 Nemoto Kyorindo:Kk 入力操作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492354B2 (en) * 2002-02-21 2009-02-17 Mochis Investment Llc 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4235393B2 (ja) * 2002-03-11 2009-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デックス画像表示制御装置
US7111788B2 (en) * 2002-04-22 2006-09-2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pplication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001435B2 (en) 2002-05-30 2006-02-21 Automotive Technology, Inc. Leather treatment
JP4338364B2 (ja) * 2002-07-02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968508B2 (en) * 2002-07-30 2005-11-22 Motorola, Inc. Rotating user interface
KR100810300B1 (ko) 2002-10-15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4295159A (ja) 2003-02-07 2004-10-21 Sony Corp アイコン表示システム、アイコン表示方法、電子機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59063A (ja) * 2003-02-26 2004-09-16 Sony Corp 3次元オブジェクトの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17681B1 (ko) * 2003-04-1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CN100380919C (zh) * 2003-08-14 2008-04-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户接口系统
JP4439225B2 (ja) 2003-09-08 2010-03-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バリヤ装置
JP2006119368A (ja) 2004-10-21 2006-05-11 Konica Minolta Opto Inc 広角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モニタカメラ及びデジタル機器
US20060095865A1 (en) * 2004-11-04 2006-05-04 Rostom Mohamed A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desktop environment
JP4731882B2 (ja) 2004-11-09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バリア付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KR101050607B1 (ko) * 2004-11-24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줌 장치 및 방법
FR2878646B1 (fr) * 2004-11-26 2007-02-09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EP1684158A1 (en) * 2005-01-22 2006-07-26 MobiNote Technology Corp.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multimedia audio and video recorder/player
US20060250640A1 (en) * 2005-05-09 2006-11-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reading coded data from a print medium before printing
US20070030963A1 (en) * 2005-08-04 2007-02-08 Apple Computer, Inc. Secur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data
US7860536B2 (en) 2006-01-05 2010-12-28 Apple Inc. Telephone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1075163A (zh) 2006-05-19 2007-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利用转轮输入字符的手持装置
US8564543B2 (en)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US7714839B2 (en) 2006-09-29 2010-05-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Jog dial for mobile terminal
US7667148B2 (en) * 2006-10-13 2010-02-23 Apple Inc. Method,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aling with a click wheel
KR100896055B1 (ko) * 2007-01-15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47A (ja) * 1994-10-25 1996-05-17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4032548A (ja) * 2002-06-27 2004-01-29 Alps Electric Co Ltd 携帯端末
JP2004157640A (ja) * 2002-11-05 2004-06-0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
JP2005092667A (ja) * 2003-09-19 2005-04-07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情報入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ko)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49646B1 (ko) 2010-02-11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2634A1 (en) 2008-07-17
CN101232528A (zh) 2008-07-30
EP1944677A2 (en) 2008-07-16
CN101232687A (zh) 2008-07-30
US20080171572A1 (en) 2008-07-17
CN101232687B (zh) 2013-06-12
EP1944681A3 (en) 2009-06-10
KR20080067079A (ko) 2008-07-18
EP1944677B1 (en) 2018-09-19
US7765495B2 (en) 2010-07-27
CN101232528B (zh) 2012-05-30
EP1944681A2 (en) 2008-07-16
US8005506B2 (en) 2011-08-23
EP1944677A3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055B1 (ko) 회전입력장치 구비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508511B2 (en) Inputting device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75335B2 (ja) 電子機器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90295984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920290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US8368651B2 (en) Input device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09171085A (ja) 電子機器
JP2012216353A (ja) 防塵防滴機構を有する押釦装置
JP3995363B2 (ja) ゲーム機などに使用するコントローラ
JP2011192413A (ja)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KR20090122132A (ko)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5292198B2 (ja) 入力装置
JP5483648B1 (ja) 入力装置
KR20110100576A (ko)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JP2012113263A (ja) 撮像装置
JP2014089814A (ja) 入力装置
JP200710314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4147231A (ja) カメラ
KR20090054035A (ko) 전자기기의 마우스용 힌지장치
JP2013206768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KR960028220A (ko) 캠코더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