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132A -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132A
KR20090122132A KR1020090043872A KR20090043872A KR20090122132A KR 20090122132 A KR20090122132 A KR 20090122132A KR 1020090043872 A KR1020090043872 A KR 1020090043872A KR 20090043872 A KR20090043872 A KR 20090043872A KR 20090122132 A KR20090122132 A KR 20090122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ng
operating member
opening
base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야스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성을 높이면서, 조작부분의 외경 치수를 크게 하고, 게다가 가이드부분에서의 전유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해결 수단은 베이스(2)와, 베이스(2)상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에 개구부(16)를 갖는 제 1 조작부재(3)와, 제 1 조작부재(3)의 개구부(16)에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조작부재(4)와, 베이스(2)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3)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33) 및 제 2 조작부재(4)의 압입을 검출하는 제 2 검출부(31)를 갖는 검출부재(5)와, 베이스(2)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3)를 회전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44) 및 제 2 조작부재(4)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34)를 갖는 중간부재(6)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제 2 조작부재(4)는, 제 1 조작부재(3)의 개구부(16)에 위치하는 조작부(26) 및 조작부(26)의 노출 표면적보다도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축부(27)를 구비한다. 중간부재(6)의 제 2 지지부(34)는, 제 2 조작부재(4)의 축부(27)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입력 장치, 전자 기기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입력 장치로서, 회전조작용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하면에, 회전 중심을 맞추어서 동심으로 부착되고, 복수 극으로 착자된 링형상 자석과, 조작체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기틀(基臺)과, 조작체의 회전조작에 수반하는 링형상 자석의 회전을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검출 소자와, 링형상 자석에 대향하도록 기틀에 부착되고, 링형상 자석과의 사이에서 흡인 반발력을 발생하여 조작 감촉을 발생시키는 자성체와, 조작체의 원형 중앙구멍 내에 배치되고, 압입조작 가능한 조작 버튼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입력 장치로서,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홀 소자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특정하는 한편,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조작판을 통하여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3-281972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6-285743호 공보
그러나, 전자의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 버튼으로부터 더욱 외경측으로 돌출한 차양부의 외주면이 기틀의 내통부에 가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너무 조작 버튼의 외경 치수를 크게 하면, 압입조작할 때에 기울어지기 쉬워지고, 안정된 동작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후자의 입력 장치에서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성하는 외주면(더욱 외경측으로 돌출한 고리형상 리브의 외주면을 포함한다)을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누름버튼 스위치의 조작면적을 크게 취하려고 하면, 프린트 기판에 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점유 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고, 다른 전자 부품(검출부)을 실장 가능한 영역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작성을 높이면서, 조작부분의 외경 치수를 크게 하고, 그리고도 가이드부분에서의 전유(專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입력 장치를,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에 개구부를 갖는 제 1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조작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제 2 조작부재의 압입을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갖는 검출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를 회전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조작부재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중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노출 표면적보다도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의 제 2 지지부는, 제 2 조작부재의 축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조작부재의 조작부를 크게 하여도, 제 2 지지부에서 축부를 가이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치수를 크게 취할 수 있고, 조작부의 어느 개소를 압입하였다고 하여도 안정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조작부재 및 제 2 조작부재를, 동일 부품인 중간부재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작부재의 회전조작과, 제 2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을 각각 적절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베이스에, 검출부재와 중간부재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조작부재 및 제 2 조작부재의 조작을, 중간부재를 통 하여 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에 고정한 검출부재에 의해 그 동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조작부재 및 제 2 조작부재의 동작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조작부재는,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검출부재는,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을 검출하는 제 3 검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 3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피검출부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에 의거하여, 피검출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간접적으로 압입조작을 제 3 검출부에서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피검출부의 형상을 변경하는 등에 의해 소망하는 조작 감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는, 개구단부로부터 늘어나는 통형상의 외측 내주벽과, 해당 외측 내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재되는 저면부와, 해당 저면부로부터 연재되고, 상기 외측 내주벽과 개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내측 내주벽을 구비하고, 해당 내측 내주벽은, 상기 중간부재의 제 1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조작부와 상기 내측 내주벽 사이에 끼워 지지되는 탄성 시트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조작부재는, 내측 내주벽을 중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내측 내주벽과 제 2 조작부재 사이에 탄성 시트를 끼워 지지하여, 액체 등의 이물이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외측 내주벽, 저면부 및 내측 내주벽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형상 홈에 의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을 저류(貯留)하는 저류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한층 더,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축부의 외주면에 계지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축부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원형구멍과, 해당 원형구멍을 구성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 돌기부가 삽통하는 홈부와, 상기 계지 돌기부가 홈부를 통과한 후, 해당 홈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계지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계지 돌기부가 가이드 오목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탄성 시트에 의해, 제 2 조작부재의 탈락 방지 구조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 기기를,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입력 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 기기를,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에 개구부를 갖는 제 1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조작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제 2 조작부재의 압입을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갖는 검출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를 회전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조작부재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중간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보다도 단면적의 작은 축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부재의 제 2 지지부는, 제 2 조작부재의 축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조작부재를 축부에서 가이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부를 크게할 수 있고, 소망하는 외관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조작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제 2 조작부재의 동작을 스무스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축부의 횡단면적은, 조작부의 노출 표면적보다도 작기 때문에, 점유 면적을 억제하고, 제 1 검출부의 배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작 부재 및 제 2 조작부재는 동일 부품인 중간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양 조작부재의 위치 관계를 고정밀한 것으로 할 수 있고, 간극을 억제하면서, 소망하는 조작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측(側)」, 「단(端)」 및 그들의 용어를 포함하는 다른 용어)를 이용하지만, 그들의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그들의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입력 장치(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인 프린트 기판(2)과, 제 1 조작부재인 회전 다이얼(3)과, 제 2 조작부재인 누름버튼(4)과, 프린트 기판(2)에 실장된 검출부재(5)와, 프린트 기판(2)에 장착된 중간부재(6)를 구비한다.
프린트 기판(2)(예를 들면, 유리 에폭시 기판(FR4))은, 평면으로 보아 개략 원형상의 검출부(7)와, 이 검출부(7)의 양측 테두리부로부터 각각 늘어나는 리드부(8)로 이루어진다. 프린트 기판(2)의 윗면에는, 프린트 배선이 형성되고, 또한, 후술하는 검출부재(5)가 실장되어 있다. 단, 프린트 기판(2)과는 별도로 베이스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이 경우, 프린트 기판(2)이 검출부재(5)가 된다).
검출부(7)에는, 외주측의 4개소에 부착구멍(9)이 둘레 방향으로 등피치로 각각 형성되고, 외주측의 2개소의 대칭 위치에 제 1 위치 결정구멍(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검출부(7)의 윗면에는 피복 시트(11)가 접착되게 되어 있다. 피복 시트(11)는, 프린트 기판(2)의 윗면(리드부(8)를 제외한 원형 부분 : 검출부(7))을 덮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 시트(11)에는, 프린트 기판(2)의 부착구멍(9)에 대응하는 위치 4개소에 빠지는 구멍(12)이, 제 1 위치 결정구멍(10)에 대응하는 위치 2개소에 제 2 위치 결정구멍(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빠지는 구멍(12)중의 2개소는, 내주측에 넓어져서, 후술하는 홀 소자(33)와의 간섭이 회피되어 있다. 또한, 피복 시트(11)에는, 후술하는 접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돔형상으로 팽출한 금속제 박판(고무 등이라도 좋다)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스프링(14)(도 4 참조)이 일체화되고, 접점부를 온·오프하는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있다. 반전 스프링(14)에 의해 형성된 중앙부의 패임부에는 2개소에 공기 빠짐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위 4개소의 패임부는, 2개소씩 공기 빠짐 홈(1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회전 다이얼(3)은,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함에 의해 개략 원통형상으로 한 것이다.
회전 다이얼(3)의 중심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 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외측 내주벽(17)과, 이 외측 내주벽(17)의 하단으로부터 내경측으로 늘어나는 도너츠형상의 저면부(18)와, 이 저면부(18)의 내주 연(緣)으로부터 상하로 늘어나는 내측 내주벽(19)으로 구성 되어 있다. 내측 내주벽(19)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내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내주벽(19)의 하단부가 후술하는 중간부재(6)의 소경부(4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측 내주벽(17), 저면부(18) 및 내측 내주벽(19)으로 둘러싼 고리형상 홈은 내측 저류부(20)이다. 내측 저류부(20)는, 외부로부터 유입한 액체 등이 그 이상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 다이얼(3)의 외주벽(3a)은, 하단 개구 연부가 외주면에 따르도록 연장되어, 고리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 홈이 외측 저류부(21)이고, 입력 장치(1)를 전자 기기에 조립한 때에, 전자 기기 내로의 액체 등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회전 다이얼(3)의 윗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대소 1개소씩 복수의 돌기(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3b)는, 회전 다이얼(3)을 손가락 조작으로 회전조작시킬 때의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스무스한 회전 동작을 실현한다.
회전 다이얼(3)의 외주벽(3a)과 외측 내주벽(17) 사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벽면의 중간에 위치하는 고리형상 리브(22)와, 둘레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방사형상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에 의해, 수지량을 억제하고, 성형 후의 수축 등의 이상을 방지함과 함께, 소망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방사형상 리브(23)의 내주측에는 단부(段部)(23a)가 형성되고, 그곳에는 양면 테이프(24)를 통하여 고리형상 마그넷(25)이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고리형상 마그넷(25)은, N극과 S극이 고리형상으로 교대로 출현하도록 한 것으로, 여기서는 16극의 것(N극이 8개소에 출현하고, S극이 8개소에 출현하는 8개의 자석을 고리형상으로 일체화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누름버튼(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6)와 축부(27)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26)는, 원반형상이고, 회전 다이얼(3)의 개구부(16)에 배치된다. 조작부(26)의 하면에는 단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26a)는, 그 하면에서 탄성 시트(28)를 회전 다이얼(3)의 내측 내주벽(19)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한다. 축부(27)의 하단면 중앙부에는 가압 돌기부(29)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 1 스위치부(31)를 압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축부(27)의 하단측 외주면에는 대칭의 위치 2개소에 계지 돌기부(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시트(28)는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곳에는 누름버튼(4)의 축부(27)와 계지 돌기부(30)가 삽통 가능한 개구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재(5)는, 상기 프린트 기판(2)에 실장된 제 1 스위치부(31), 제 2 스위치부(32) 및 홀 소자(33)로 이루어진다. 제 1 스위치부(31)는, 프린트 기판(2)의 중앙부에 마련된 제 1 접점부(34)와, 이 제 1 접점부(34)를 덮는 피복 시트(11), 상세하게는 돔형상의 반전 스프링(14)을 일체화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스위치부(32)는, 프린트 기판(2)의 외주측 4개소에 마련된 제 2 접점부(35)와, 각 제 2 접점부(35)를 덮는 반전 스프링(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 소자(33)는, 제 1 스위치부(31)를 끼우고 대칭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중간부재(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한 것으로, 원반부(36)와, 그 상면 중앙부에서 돌출한 원통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원반부(36)에는 4개소 등분으로 원통부(37)로부터 늘어나는 탄성 암부(3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 암부(38)의 선단에는 상하로 돌출한 돌기(39a, 3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방측의 돌기(39a)가 회전 다이얼(3)의 리브에 맞닿아서 압입(押入)되고, 하방측의 돌기(39b)가 제 2 스위치부(32)를 압입한다.
또한, 원반부(36)에는 탄성 암부(38)와는 45도 어긋난 위치 4개소에 등분으로, 상방측에 지지용 돌기부(40)가, 하방측에 계지부(41)가 각각 돌출하고 있다. 지지용 돌기부(40)는, 상기 탄성 암부(38)의 상방측의 돌기(39a)에 비하여 원반부(36)의 윗면부터의 돌출 치수가 약간 작고, 회전 다이얼(3)을 압입할 때의 과압입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다한다. 계지부(41)는, 2갈래로 나누어진 각 탄성편(41a)의 선단 외면에 계지 폴(4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41)는, 각 탄성편(41a)을 근접시키도록 탄성 변형시켜서 프린트 기판(2)에 형성한 부착구멍(9)에 삽통되고, 계지 폴(41b)이 통과함에 의해 형상 복귀하여 계지된다. 이로써, 중간부재(6)는 프린트 기판(2)에 일체화된다. 단, 계지부(41)에 대신하여 코킹 고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지부(41)가 돌출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에는 직사각형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오목부(42)는, 프린트 기판(2)에 실장한 홀 소자(33)와의 간섭을 회피한다. 중간부재(6)와 프린트 기판(2) 사이에는, 프린트 기판(2)의 윗면에 접착한 피복 시트(11)가 개재하고, 그 탄성에 의해 양 부재 사이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원통부(37)는, 대경부(43)와, 그 상면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는 소경부(44)로 이루어지는 단(段)이 있는 형상이다. 소경부(44)는, 회전 다이얼(3)의 개구부(16)(내측 내주벽(19))에 배치되고, 회전 다이얼(3)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상 세하게는, 회전 다이얼(3)의 내측 내주벽(19)의 내주면중, 하단부가 지지되고, 그 상방 부분은 비접촉이다. 따라서 회전 다이얼(3)을 위치 이탈하는 일 없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윗면 외주부의 어느 한쪽을 압입하면, 회전 다이얼(3)이 기울어져서 압입조작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소경부(44)를 상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 치수가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내측 내주벽(19)을 동일 내경 치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컨대, 회전 다이얼(3)을 회전하면서 외주부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다면 좋다. 또한, 대경부(43)의 윗면에는 회전 다이얼(3)의 내측 내주벽(19)의 하단부가 비접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회전 다이얼(3)을 회전조작한 때의 조작성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37)는, 그 중심에 형성된 원형구멍(45)에 의해 상하면이 연통하고, 누름버튼(4)의 축부(27)가 간극 없이 삽통하는 가이드부가 되어 있다. 원형구멍(45)을 구성하는 내주면의 2개소에는, 누름버튼(4)의 각 계지 돌기부(30)가 삽통하는 홈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7)의 저면측에는, 소경부(44)의 하단 개구연에 따라 일단측의 홈부(46)로부터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오목개소(4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개소(47)의 타단측에는 가이드 오목부(48)가 형성되고, 누름버튼(4)의 각 계지 돌기부(3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48)의 오목개소(47)로부터의 깊이는, 누름버튼(4)의 압입 동작 범위를 커버하는데 충분한 깊이이다.
(조립 방법)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입력 장치(1)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미리 검출부재(5)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2)을 도시하지 않은 치구에 부착하고, 프린트 기판(2)의 윗면에 피복 시트(11)를 접착한다. 이 때, 치구에 고정한 위치 결정 핀을, 프린트 기판(2)의 제 1 위치 결정구멍(10)과, 피복 시트(11)의 제 2 위치 결정구멍(13)에 삽통하고, 치구에 대해 프린트 기판(2)과 피복 시트(11)를 위치 결정한다.
한편, 회전 다이얼(3)의 하면측, 상세하게는, 방사형상 리브(23)에 형성된 단부(23a)에 양면 테이프(24)를 통하여 고리형상 마그넷(25)을 접착한다. 그리고, 고리형상 마그넷(25)을 접착한 회전 다이얼(3)을 중간부재(6)의 상방에 배치한다. 이로써, 회전 다이얼(3)의 개구부(16)(내측 내주벽(19))가 중간부재(6)의 소경부(4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뒤이어, 회전 다이얼(3)의 개구부(16)를 통하여 중간부재(6)에 누름버튼(4)을 장착하고, 회전 다이얼(3)과 중간부재(6)를, 전술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 채로 일체화한다. 즉, 누름버튼(4)의 축부(27)에는 미리 탄성 시트(28)를 마련하여 둔다. 누름버튼(4)의 축부(27)를, 회전 다이얼(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중간부재(6)의 원형구멍(45)에 삽통한다. 이 때, 누름버튼(4)의 계지 돌기부(30)를 원형구멍(45)의 홈부(46)에 위치맞춘다. 중간부재(6)에 대해 누름버튼(4)을 압입하고, 계지 돌기부(30)를 중간부재(6)의 하면측으로 돌출시킨다. 중간부재(6)에 대해 상대적으로 누름버튼(4)을 회전시켜서, 계지 돌기부(30)를, 오목개소(47)를 통하여 가이드 오목부(48)로 이동시킨다. 누름버튼(4)에는, 그 조작부(26)의 하면과, 회전 다이얼(3)의 내측 내주벽(19) 사이에 끼워 지지시킨 탄성 시트(28)에 의한 가세력 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누름버튼(4)은, 그 계지 돌기부(30)가 오목개소(47)로부터 가이드 오목부(48)에 이르면, 이 가이드 오목부(48)의 저면에 맞닿을 때까지 압상된다. 이 상태에서는, 누름버튼(4)은, 그 축부(27)의 외주면을 중간부재(6)의 원형구멍(45)의 내주면에 의해, 축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가이드된다.
그 후, 피복 시트(11)를 접착한 프린트 기판(2)에, 고리형상 마그넷(25) 및 회전 다이얼(3)을 마련한 중간부재(6)를 장착한다. 여기서는, 중간부재(6)의 계지부(41)를 프린트 기판(2)의 부착구멍(9)에 삽통하고, 계지 폴을 계지함에 의해 장착 상태를 얻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프린트 기판(2)에 접착한 피복 시트(11)의 탄성력에 의해, 프린트 기판(2)과 중간부재(6) 사이에 덜컹거림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프린트 기판(2) 및 피복 시트(11)에 의해 얻어진 제 1 스위치부(31)에 누름버튼(4)의 가압 돌기부(29)의 하단이 맞닿고(또는 부근에 위치하고), 제 2 스위치부(32)에 탄성 암부(38)의 하방측의 돌기(39b)의 하단이 맞닿는다(또는 부근에 위치한다). 탄성 암부(38)의 상방측의 돌기(39a)는 회전 다이얼(3)의 리브에 맞닿는다(또는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용 돌기부(40)가 리브에 맞닿아, 회전 다이얼(3)의 회전 상태를 안정시킨다. 이로써, 입력 장치(1)가 완성된다.
(동작)
다음에, 상기 입력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회전 다이얼(3)의 고리형상의 윗면에 손가락을 얹고, 회전 방향(정역 어느 회전이라도 가능)의 힘을 작용시키면, 회전 다이얼(3)은, 내측 내주벽(19)의 하단부를 중간부재(6)의 소경부(44)에 가이드되어 회전한다. 또한, 회전 다이얼(3)은, 하면 즉 리브를 중간부재(6)의 지지용 돌기부(40)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 때문에, 회전 다이얼(3)의 회전 상태는 안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3)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 다이얼(3)에 일체화한 고리형상 마그넷(25)도 회전한다. 그리고, 고리형상 마그넷(25)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계가 홀 소자(33)에 의해 검출되고, 회전 다이얼(3)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이 연산된다.
회전 다이얼(3)의 외주부중, 도 2중, 상하 좌우의 어느 한쪽을 압입하면,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한 탄성 암부(38)가, 그 선단의 상방측의 돌기(39a)를 통하여 탄성 변형하고, 하방측의 돌기(39b)가 제 2 스위치부(32)를 압입하여 온 상태로 한다.
또한, 누름버튼(4)을 압입조작하면, 그 하단에 마련한 가압 돌기부(29)가 제 1 스위치부(31)를 압입하여 온 상태로 한다. 누름버튼(4)의 압입조작에서는, 조작부(26)의 조작면적이 크게 조작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축부(27)의 외주면을 중간부재(6)의 가이드부인 원형구멍(45)의 내주면에 가이드되어 기울어지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하이동한다.
상기 입력 장치(1)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DVD 플레이어 등의 리모트 콘트롤,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리모트 콘트롤에 조립한 경우, 회전 다이얼(3)을 정역 회전조작함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 방송프로그램표에서, 하이라이트 표시시키는 방송프로그램을, 미리 결정된 순서 또는 역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3)의 상하 좌우의 어느 한쪽을 압입조작함에 의해서도, 방송프로그램표에서 하이라이트 표시시키는 방송프로그램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누름버튼(4)을 압입조작함에 의해, 하이라이트 표시시킨 방송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거나, 하드 디스크 비디오 레코더 등이 접속되어 있으면, 예약 녹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기기에서는, 사용 환경에 의해, 커피 등의 액체가 튈 우려가 있고, 이 액체가 구성 부품의 간극으로부터 내부로 침입하면, 오동작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이 침입을 정확히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 공기 중의 먼지 등의 내부에의 침입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 특히, 입력 장치(1)는, 전자 기기의 몸체에 조립하고 외부에 노출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입력 장치(1)와 몸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또한, 입력 장치(1)를 구성하는 회전 다이얼(3)과 누름버튼(4) 사이에도, 구조상 간극이 형성되어 버린다.
상기 입력 장치(1)에 의하면, 입력 장치(1)의 회전 다이얼(3)에는 외측 저류부(21)가 형성되고, 외주벽(3a)의 상단이 몸체의 내면에 압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와 입력 장치(1)의 간극으로부터 액체 등이 침입하였다고 하여도, 그곳에는 외측 저류부(21)가 형성되고, 게다가, 외주벽(3a)의 상단이 몸체의 내면에 압접하여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에 이르러서 이상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입력 장치(1)의 회전 다이얼(3)과 누름버튼(4)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액체 등이 침입하였다고 하여도, 그곳에는 내측 저류부(20)가 형성되고, 게다가, 내측 내주 벽(19)의 상단과 누름버튼(4)의 조작부(26)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 시트(28)가 끼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이르는 일은 없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중간부재(6)에 형성된 탄성 암부(38)는, 4개소로 하였지만, 2 또는 3개소, 또는, 5개소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그 형태는,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으로 방사형상으로 늘어나는 편측지지 들보 구조로 한하지 않고, 외경측으로부터 내경측으로 늘어나는 편측 지지 들보 구조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는 편측 지지 들보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부는 4개소로 하였지만, 2 또는 3개소, 또는, 5개소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중간부재(6)에 형성한 지지용 돌기부(40)를 제거하고, 계지부(41)를 외주연에 마련함에 의해, 프린트 기판(2)의 외연에 계지하도록 구성하면, 탄성 암부(38)를 형성 가능한 영역의 제약이 적어지고, 형상, 수량 등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회전 다이얼(3)은, 내측 내주벽(19)의 내주면을 중간부재(3)의 소경부(44)로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였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내주벽(19)을 더욱 내주측으로 연장하고, 그 내주면을 누름버튼(4)의 축부(27)의 외주면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회전 다이얼(3)은, 단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만의 구조라고 하였 지만, 소정각도씩 회전시킴에 의해 클릭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2)측에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25)과 같은 고리형상 마그넷을 대향하여 배치하고, 이극(異極)이 대향함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하거나, 회전 다이얼(3)에 중간부재(6)의 상방측의 돌기(39a)가 계탈한 계합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거나 하면 좋다.
상기 프린트 기판(2) 및 거기에 접착하는 피복 시트(11)는, 입력 장치(1)의 구성 부품의 하나로 하였지만, 입력 장치(1)를 조립한 전자 기기의 일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 다이얼(3)에는 고리형상 마그넷(25)을 일체적으로 마련하도록 하였지만,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 소정 피치로 마그넷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고, 다른 부품, 예를 들면, 로터리 인코더나 퍼텐쇼미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입력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입력 장치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입력 장치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8의 (a)는 도3에 도시하는 중간부재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저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입력 장치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 장치 2 : 프린트 기판(베이스)
3 : 회전 다이얼(제 1 조작부재) 3a : 외주벽
3b : 돌기 4 : 누름버튼(제 2 조작부재)
5 : 검출부재 6 : 중간부재
7 : 검출부 8 : 리드부
9 : 부착구멍 10 : 제 1 위치 결정구멍
11 : 피복 시트 12 : 빠지는 구멍
13 : 제 2 위치 결정구멍 14 : 반전 스프링
15 : 공기 빠짐 홈 16 : 개구부
17 : 외측 내주벽 18 : 저면부
19 : 내측 내주벽 20 : 내측 저류부
21 : 외측 저류부 22 : 고리형상 리브
23 : 방사형상 리브 23a : 단부
24 : 양면 테이프 25 : 고리형상 마그넷
26 : 조작부 26a : 단부
27 : 축부 28 : 탄성 시트
28a : 개구부 29 : 가압 돌기부
30 : 계지 돌기부 31 : 제 1 스위치부(제 2 검출부)
32 : 제 2 스위치부(제 3 검출부) 33 : 홀 소자(제 1 검출부)
34 : 제 1 접점부 35 : 제 2 접점부
36 : 원반부 37 : 원통부
38 : 탄성 암부 39a : 돌기
39b : 돌기(피검출부) 40 : 지지용 돌기부
41 : 계지부 41a : 탄성편
41b : 계지 폴 42 : 직사각형 오목부
43 : 대경부 44 : 소경부(제 1 지지부)
45 : 원형구멍(제 2 지지부) 46 : 홈부
47 : 오목개소 48 : 가이드 오목부

Claims (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에 개구부를 갖는 제 1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조작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제 2 조작부재의 압입을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갖는 검출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를 회전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조작부재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중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의 노출 표면적보다도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의 제 2 지지부는, 제 2 조작부재의 축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검출부재와 중간부재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재는,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검출부재는,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을 검출하는 제 3 검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압입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 3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피검출부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는, 개구단부로부터 늘어나는 통형상의 외측 내주벽과, 해당 외측 내주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재되는 저면부와, 해당 저면부로부터 연재되고, 상기 외측 내주벽과 개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내측 내주벽을 구비하고, 해당 내측 내주벽은, 상기 중간부재의 제 1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조작부와 상기 내측 내주벽 사이에 끼워 지지되는 탄성 시트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외측 내주벽, 저면부 및 내측 내주 벽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형상 홈에 의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을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축부의 외주면에 계지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축부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원형구멍과, 해당 원형구멍을 구성하는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 돌기부가 삽통하는 홈부와, 상기 계지 돌기부가 홈부를 통과한 후, 해당 홈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계지 돌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제 2 조작부재의 계지 돌기부가 가이드 오목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중심에 개구부를 갖는 제 1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압입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조작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 1 검출부 및 제 2 조작부재의 압입을 검출하는 제 2 검출부를 갖는 검출부재와,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되고, 제 1 조작부재를 회전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조작부재를 압입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갖는 중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작부재는, 제 1 조작부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조작부 및 해당 조작부보다도 단면적이 작은 축부를 가지며,
    상기 중간부재의 제 2 지지부는, 제 2 조작부재의 축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90043872A 2008-05-22 2009-05-20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090122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4558 2008-05-22
JP2008134558A JP2009283311A (ja) 2008-05-22 2008-05-22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132A true KR20090122132A (ko) 2009-11-26

Family

ID=4145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72A KR20090122132A (ko) 2008-05-22 2009-05-20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283311A (ko)
KR (1) KR200901221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9988B2 (ja) * 2009-12-07 2013-06-26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6529017B1 (ja) * 2018-05-23 2019-06-12 株式会社オリンピア 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83311A (ja)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9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KR10093143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931433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200628645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09116206A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75335B2 (ja) 電子機器
KR100920290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90122132A (ko)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533859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972728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2009252628A (ja)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JP2007080279A (ja) 電子機器
KR101085291B1 (ko) 조작 입력 장치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JP4349462B2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3554A (ja) 情報入力装置
JP2017147174A (ja) クリック機構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5228684A (ja) 情報入力装置
JP2017097989A (ja) 回転式電子部品の防滴構造
JP2016195086A (ja) 切換スイッチ
JP5955204B2 (ja) 摺動子と摺動子取付板の取付部材への取付方法
JP2007311097A (ja) 複合操作用操作体
JP2008311007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