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290B1 -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290B1
KR100920290B1 KR1020070113016A KR20070113016A KR100920290B1 KR 100920290 B1 KR100920290 B1 KR 100920290B1 KR 1020070113016 A KR1020070113016 A KR 1020070113016A KR 20070113016 A KR20070113016 A KR 20070113016A KR 100920290 B1 KR100920290 B1 KR 10092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annular
base
operation inpu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540A (ko
Inventor
타케시 미야사카
마사유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01H2019/006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being rotation direction sensitive, e.g. the generated pulse or code depends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이며 자기 감도 특성이 높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는, 베이스(10)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윗면에 접착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20)과, 고리형상 판스프링(61) 및 대좌부(65)를 일체화하고, 상기 고리형상 판스프링(61)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재된 부착부(62)를 상기 베이스(10)의 윗면 외주 테두리부에 고정함에 의해, 상기 대좌부(65)의 하면에 돌설한 가압용 돌기(67d)를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조작 가능하게 압접시킨 조작구(60)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75)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대좌부(65)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한 조작 다이얼(80)로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113016
조작 입력 장치, 금속 베이스, 위치결정 돌기, 치구 구멍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 특히, 박형의 조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상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110)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120)과, 상기 프린트 기판(120)상에 재치된 조작판(150)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165)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150)상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170)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다이얼(170)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165)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170)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6-28574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잘라세운 한 쌍의 탄성 결합 받이부(113)에, 상기 조작판(150)으로부터 연재된 탄성 폴부(155)를 각각 계지하여 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 등의 몸체에 조립할 때에 상기 탄성 결합 받이부(113)가 걸리기 쉽고, 조립의 방해가 됨으로서 조립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조작 입력 장치의 조작판(150)은, 그 전체가 수지 성형품이고, 반복하여 가해지는 압하력으로 피로 파괴되기 쉽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 입력 장치를 박형화하기 위해, 조작판을 박육화하려고 하여도 박육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의 박육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조작판의 윗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의 고리형상 마그넷과,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된 자계 검출 소자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에 대한 상기 자계 검출 소자의 감도가 낮고, 자력이 큰 고리형상 마그넷, 즉, 단면적이 큰 고리형상 마그넷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상기 조작 입력 장치 전체의 높이 치수가 커지고 박형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 조립성에 우수하고, 박형이며, 자기 감도 특성이 높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 접착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고리형상 판스프링 및 대좌부를 일체화하고, 상기 고리형상 판스프링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재된 부착부를 상기 베이스의 윗면 외주 테두리부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대좌부의 하면에 돌설한 가압용 돌기를 상기 프린트 기판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조작 가능하게 압접시킨 조작구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대좌부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한 조작 다이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서,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조작구의 대좌부의 하면에 돌설한 가압용 돌기로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리형상 판스프링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재된 부착부를, 베이스의 윗면 외주 테두리부에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베이스에 탄성 결합 받이부를 잘라세울 필요가 없고, 휴대전화기 등의 몸 체에 조립할 때에 상기 탄성 결합 받이부를 피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몸체 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할 수 있고, 조립성에 우수한 박형의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금속제 고리형상 판스프링에 수지제 대좌부를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리형상 판스프링에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손되기 어려워지고 내구성이 향상함과 함께, 종래예보다도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구 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구의 윗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의 고리형상 마그넷을,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한 자계 검출 소자의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자계 검출 소자의 감도가 향상하고, 박형의 고리형상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입력 장치 전체를 한층더 박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구의 대좌부의 외경 치수를 고리형상 마그넷의 내경 치수보다도 작게 하고,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내측에 상기 조작구의 대좌부를 배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고리형상 마그넷과 조작구의 대좌부가 서로 겹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한층더 박형의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의 중앙에 마련한 조작구멍에, 2곳 접어 구부려 세운 링 스프링을 통하여,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을 배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중앙에 배치한 누름버튼이 링 스프링에 의해 항상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덜커덕거림이 없고 쾌적한 조작 감촉을 구비한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다이얼을 노출시켜서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이며, 자계 검출 소자의 자기 특성을 유효 활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1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1)는 두께 치수 약 2㎜이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의 모니터 내의 스크롤 바를 스크롤하고, 선택 지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조작 입력 장치(1)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베이스(10)와,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절연 시트(30)로 피복된 프린트 기판(20)과, 누름버튼(40)과, 고정 링(50)과, 조작구(操作具)(60)와, 활주 시트(70)와, 고리형상 마그넷(75)과, 조작 다이얼(8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개략 원형이고, 그 중앙부에 한 쌍의 위치결정 돌기(11a, 11b)를 잘라 세우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돌기(11a, 11b)는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해, 폭 치수가 다르다. 또한,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그 외주 테두리부 부근에 치구구멍(12a, 12b) 및 위치결정 구멍(13)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상기 치구구멍(12a, 12b)은, 각각 환형(丸形) 및 방형(方形)이다. 또한,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고객 앞에서 조립되는 경우에 휴대전화기 등의 몸체와의 조립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그 외주 테두리부에 위치결정용 노치부(14)를 마련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2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베이스(10)와 개략 동일한 평면 형상의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박리지로 피복된 개략 원형의 기판 본체(20a)와, 상기 기판 본체(20a)로부터 연재되는 리드부(20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 본체(20a)는, 그 중앙에 동심원형상의 중앙 고정 접점부(21)를 배치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21)의 주위에 균등한 피치로 동심원형상의 고정 접점부(22 내지 25)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본체(20a)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부(2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6a, 26b)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치구구멍(12a, 12b), 위치결정 구멍(13) 및 노치부(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치구구멍(27a, 27b), 노치부(28a) 및 노치부(28b)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본체(20a)는, 상기 관통구멍(26a, 26b)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홀 소자(29a, 29b)를 전기접속하고 있다.
절연 시트(30)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판 본체(20a)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 표면 중, 상기 고정 접점부(21 내 지 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얇은 돔형상의 도전성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31 내지 35)을 각각 접착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시트(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관통구멍(26a, 26b) 및 치구구멍(27a, 27b)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36a, 36b) 및 치구구멍(37a, 37b)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시트(30)는, 그 외주 테두리부 중,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노치부(28a, 28b)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부(38a, 38b)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 시트(3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이면에, 가동 접점(31)의 주위, 가동 접점(32)과 가동 접점(33) 사이, 및, 가동 접점(34)과 가동 접점(35) 사이에 얕은 공기 빠짐 홈을 형성하기 위해, 뒷받침 시트(30a)를 접착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시트(30)의 윗면 중, 상기 가동 접점(31)의 중앙과 대응하는 위치에 스페이서(39)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위치결정 구멍 및 치구구멍을 제외하고, 그 표리면 전체를 절연성 수지 필름으로 피복하고 있어서도 좋다.
누름버튼(4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조작구멍(81)에 삽입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 하단 테두리부에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41)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리브(41)의 외주면에는,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결정 돌기(11a, 11b)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가이드용 슬릿(42a, 42b)(도 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40)은, 링 스프링(43)을 상기 고리형상 리브(41)에 결합하고 있다. 상기 링 스프링(43)은, 상기 누름버튼(40)을 하방측으로 가세할 수 있도록, 2곳 접어 구부려 세우고 있다.
고정 링(5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킹 구멍(51)을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코킹용 돌기(84)(도 11)에 각각 감합하고, 코킹 고정함에 의해, 조작구(60)에 조작 다이얼(80)을 회동 자유롭게 빠짐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구(6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개략 원형의 고리형상 판스프링(61)에 고리형상의 수지제 대좌부(65)를 일체 성형한 것이다. 상기 고리형상 판스프링(61)은, 그 대향하는 외주 테두리부에, 위치결정 구멍(62a)을 구비하고, 또한, 비스듬히 하방측으로 굴곡한 평면 개략 ㄷ자형의 부착부(62)를 연재함과 함께, 그 대향하는 내주 테두리부에, 상방측으로 굴곡한 일체 성형용 연재부(63)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대좌부(65)의 외경 치수 및 내경 치수는,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감합 홈(85)에 회동 가능하게 감합할 수 있는 치수이다. 또한, 상기 대좌부(65)는, 그 외주 테두리부에 노치부(66)를 소정의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노치부(66)는,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압하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유이다(도 3). 또한, 상기 대좌부(65)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하면 외주 테두리부중, 상기 가동 접점(32 내지 35)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용 돌기(67a 내지 67d)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그 하면 내주 테두리부에 상기 고정 링(50)을 빠짐방지하기 위한 고리형상 단부(段部)(6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80)의 회전시에, 대좌부(65)의 내주면이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고리형상 돌기부(83)의 외주면에 직접 활주접촉하지만, 대좌부(65)가 수지제이기 때문에, 마찰 계수가 작고 활주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조작구(60)를, 금속제 부품과 수지제 부품을 일체화하여 구성하 고 있기 때문에, 박형화하여도 금속 부품으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수지 부분에서 활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조작구(60)에 의하면, 회전체 지지 부품으로서의 강성과 활주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판스프링(61)과 대좌부(65)의 일체화의 방법으로서는, 일체 성형이라도 좋고, 접착이나 감입 등의 방법이라도 좋다. 또한, 가압용 돌기(67a 내지 67d)는 대좌부(65)와 일체로 성형한 수지제라도 좋고, 대좌부(65)와는 다른 재질 즉 수지 이외의 재질이라도 좋다. 가압용 돌기(67a 내지 67d)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좌부(64)뿐만 아니라, 고리형상 판스프링(61)에 직접 마련하여도 좋다.
활주 시트(7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구(60)의 대좌부(65)의 윗면을 피복 가능한 링 형상이고, 소정의 마찰 계수를 갖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상 마그넷(75)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것이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80)의 고리형상 홈(86)에 감합,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 마그넷(75)이 조작 다이얼(80)에 조립되어도, 상기 조작구(60)의 대좌부(65)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입력 장치를 한층더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75)과 일체로 회동하는 조작 다이얼(80)은 활주 시트(70)를 통하여 활주한다. 이 때문에, 양자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은 작고, 원활히 조작할 수 있는 박형의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조작 다이얼(80)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에 누름버 튼(40)을 감합하는 조작구멍(81)을 구비함과 함께, 그 외주 테두리부에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82)를 마련하고 있다. 이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82)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의 몸체로부터의 빠짐방지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80)은, 상기 조작구멍(81)의 하면 개구 테두리부 부근에 상기 고정 링(50)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돌기부(83)를 돌설함과 함께,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83)의 내주면측에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단부(83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83)는, 그 하면에 고정 링(50)을 코킹 고정하기 위한 코킹용 돌기(84)를 균등한 피치로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83)의 외측에는, 상기 활주 시트(70)를 감합하기 위한 고리형상 홈(85)과,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75)을 감합,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홈(86)을 동심원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홈(86)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75)의 돌기(76)를 감합하기 위한 노치부(87)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조작 다이얼(80)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회동 가능하면, 예를 들면, 정팔각형이라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치구인 쌍의 위치결정 핀에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치구구멍(12a, 12b)을 각각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한편, 프린트 기판(20)의 기판 본체(20a)의 소정의 위치에 홀 소자(29a, 29b)를 실장한다. 계속해서,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관통구멍(26a, 26b), 치구구멍(27a, 27b)을, 위치결정 돌기(11a, 11b), 위치결정 핀에 각각 삽입하여 상기 금속 베이스(10)에 접착 일체화한다.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가동 접점(31 내지 35), 뒷받침 시트(30a) 및 스페이서(39)를 절연 시트(30)에 접착 일체화한다. 계속해서, 상기 절연 시트(30)의 관통구멍(36a, 36b), 치구구멍(37a, 37b)을, 위치결정 돌기(11a, 11b), 위치결정 핀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접착 일체화한다.
한편, 조작 다이얼(80)의 고리형상 홈(86)에 고리형상 마그넷(75)을 감합하여 접착 고정함과 함께, 고리형상 홈(85)에 활주 시트(70)를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80)의 고리형상 홈(85)의 저면과 조작구(60)의 대좌부(65)로 상기 활주 시트(70)를 끼워지지하도록 조립한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 다이얼(80)의 코킹용 돌기(84)에 고정 링(50)의 코킹구멍(51)을 감합하여 코킹함에 의해, 고정 링(50)이 대좌부(65)의 고리형상 단부(68)에 결합 가능해진다. 이로써, 조작 다이얼(80)과 고정 링(50)으로 조작구(60) 및 활주 시트(70)가 끼워지지된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80)이 활주 시트(70)를 통하여 상기 조작구(60)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가동 접점(31)의 상방에 누름버튼(40)을 위치 결정함과 함께, 상기 누름버튼(40)의 가이드용 슬릿(42a, 42b)을 상기 베이스(10)의 위치결정 돌기(11a, 11b)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한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위치결정 구멍(13)과 조작구(60)의 위치결정 구멍(62a)을, 도시하지 않은 새로운 위치결정 핀을 통하여 위치 결정함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40)을 조작 다이얼(80)의 조작구멍(81)에 감합하고, 링 스프링(43)을 통하여 빠짐방지한다. 또한,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노출하는 외주 테두리부에, 상 기 조작구(60)의 부착부(62)를 고정함에 의해,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고정 방법으로서는, 용접 외에, 접착, 코킹 또는 절곡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구(60)는 금속 베이스(10)에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다이얼(80)의 임의의 위치를 압하하면, 조작구(60)의 가압용 돌기(67a 내지 67d)가 가동 접점(32 내지 35)을 각각 압하함에 의해, 압하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조작구(60)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조작 다이얼(80)을 회동함에 의해, 회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조작구(60)가 가동 접점(32 내지 35)에 압접하여 상방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구(60)에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활주 시트(60)와 조작 다이얼(8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조작 다이얼(80)의 관성력에 의한 과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조작 방법의 한 예로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를 조립한 휴대전화기(도시 생략)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휴대전화기에 조립한 조작 다이얼(80)을 회동함에 의해, 이것과 일체로 고리형상 마그넷(75)이 회동하면, 한 쌍의 홀 소자(29a, 29b)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회동 방향 및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휴대전화기의 모니터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계속해서, 소망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하는 경우에, 누름버튼(40)을 누르면, 가동 접점(31)이 반전하여 중앙 고정 접점부(21)에 접촉하여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80)의 주변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용 돌기(67d)의 상방을 압하함에 의해, 상기 가압용 돌기(67d)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가동 접점(35)을 반전시켜서, 고정 접점부(25)에 도통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전화기로 한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 사시도 및 하방 사시도.
도 2는 도 1A에서 도시한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A에서 도시한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IA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부분 확대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B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서 도시한 구성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종래예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작 입력 장치 10 : 금속 베이스
11a, 11b : 위치결정 돌기 12a, 12b : 치구구멍
13 : 위치결정 구멍 14 : 노치부
20 : 프린트 기판 20a : 기판 본체
21 : 중앙 고정 접점부 22 내지 25 : 고정 접점부
26a, 26b : 관통구멍 27a, 27b : 치구구멍
28a, 28b : 노치부 29a, 29b : 홀 소자
30 : 절연 시트 31 내지 35 : 가동 접점
36a, 36b : 관통구멍 37a, 37b : 치구구멍
38a, 38b : 노치부 39 : 스페이서
40 : 누름버튼 41 :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
42a, 42b : 가이드용 슬릿 43 : 링 스프링
50 : 고정 링 51 : 코킹구멍
60 : 조작구 61 : 고리형상 판스프링
62 : 부착부 62a : 위치결정 구멍
63 : 일체 성형용 연재부 65 : 수지제 대좌부
66 : 노치부 167a 내지 67d : 가압용 돌기
68 : 고리형상 단부 70 : 활주 시트
75 : 고리형상 마그넷 80 : 조작 다이얼
81 : 조작구멍 82 :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
83 : 고리형상 돌기부 84 : 코킹용 돌기
85 : 고리형상 홈 86 : 고리형상 홈
87 : 위치결정용 노치부

Claims (5)

  1.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 접착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가압용 돌기를 돌설한 대좌부와,
    상기 대좌부에 가세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대좌부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고,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조립한 조작 다이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에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대좌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설한 가압용 돌기로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가압하는 조작입력장치로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대좌부 사이에 배치되고, 금속제의 고리형상판과, 해당 고리형상판 외주연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측으로 연재하고, 그 선단이 굴곡하여 상기 베이스 윗면에 고정되는 금속제의 부착부와, 상기 고리형상판 내주연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재하고, 그 선단이 골곡된 일체성형용 연재부로부터 형성되는 고리형상 판스프링인 것 및, 상기 일체성형용 연재부에 의해 상기 대좌부와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제 고리형상 판스프링에 수지제 대좌부를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대좌부의 외경 치수를 고리형상 마그넷의 내경 치수보다도 작게 하고,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내측에 상기 대좌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조작 다이얼의 중앙에 마련한 조작구멍에, 2곳 접어 구부려 세운 링 스프링을 통하여,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5. 제 1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다이얼을 노출시켜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70113016A 2007-01-12 2007-11-07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920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4879 2007-01-12
JP2007004879A JP4830862B2 (ja) 2007-01-12 2007-01-12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40A KR20080066540A (ko) 2008-07-16
KR100920290B1 true KR100920290B1 (ko) 2009-10-08

Family

ID=3927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016A KR100920290B1 (ko) 2007-01-12 2007-11-07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70377A1 (ko)
EP (1) EP1944783A1 (ko)
JP (1) JP4830862B2 (ko)
KR (1) KR100920290B1 (ko)
CN (1) CN1012214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9082A1 (de) * 2009-08-27 2011-03-0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Magnetbaugruppe für eine Drehmoment- und/oder Drehwinkelsensoranordnung mit einem Magnetring und Herstellungsverfahren
JP5338592B2 (ja) * 2009-09-24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8432678B2 (en) 2010-01-06 2013-04-30 Apple Inc. Component assembly
EP2549631B1 (en) 2011-07-22 2021-07-14 LG Innotek Co., Ltd. Holding structure of sensing magnet for EPS motor
JP5475898B2 (ja) * 2013-01-23 2014-04-1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機能型電子部品
JP5798160B2 (ja) * 2013-08-09 2015-10-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JP6165573B2 (ja) * 2013-09-24 2017-07-1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
TWI671773B (zh) * 2019-03-27 2019-09-1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及其按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11A (ja) *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5743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76A (ja) * 1991-07-29 1993-02-09 Wako Sangyo Kk 金型の冷却加熱タンク用仕切り具
JP3926077B2 (ja) * 1999-12-27 2007-06-0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2001325859A (ja) * 2000-05-16 2001-11-22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2190237A (ja) * 2000-12-20 2002-07-05 Mic Electron Co 多方向スイッチ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75007B2 (ja) * 2002-03-22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型入力装置
NO20025188L (no) * 2002-04-22 2003-10-23 Ziad Badarneh Anordning ved elektroniske apparater og utstyr
JP2004047491A (ja) * 2003-10-09 2004-0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回転式電子部品
JP2005129465A (ja) * 2003-10-27 2005-05-19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揺動型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3311A (ja) *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5743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0377A1 (en) 2008-07-17
JP2008171724A (ja) 2008-07-24
KR20080066540A (ko) 2008-07-16
CN101221473B (zh) 2011-03-30
EP1944783A1 (en) 2008-07-16
JP4830862B2 (ja) 2011-12-07
CN101221473A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290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10040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2296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20100035588A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10120849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97619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JP5662328B2 (ja)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JP2010161020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292198B2 (ja) 入力装置
KR20100070286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5483648B1 (ja) 入力装置
JP5440284B2 (ja)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