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619A -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619A
KR20110097619A KR1020110006642A KR20110006642A KR20110097619A KR 20110097619 A KR20110097619 A KR 20110097619A KR 1020110006642 A KR1020110006642 A KR 1020110006642A KR 20110006642 A KR20110006642 A KR 20110006642A KR 20110097619 A KR20110097619 A KR 2011009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housing
annular
elastic waterproof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꾸야 구도오
가즈아끼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pedals
    • B61L1/20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malfunction of the device, e.g. by leakage current, by light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pedals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vehicle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61L23/16Track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ection b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로 인해, 프린트 기판(20)과 조작 링(50)의 사이에 탄성 방수재(40)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외주 테두리부에 설치한 두께부(47)가, 베이스(10)의 상면과 하우징(80)의 천장면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작 입력 장치, 특히, 휴대 전화기, PDA, 텔레비전, 비디오의 전자 기기에 조립되는 조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회전 조작자(10)와, 회전 조작자(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11)와, 회전 조작자(10)와 대향하여 배치된 회로 기판(12)과, 고정 접점(13) 및 가동 접점(14)으로 이루어지는 접점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회전 조작자(10)와 회로 기판(12)의 사이에 고무 형상 시트(15)를 구비하고, 고무 형상 시트(15)에는, 회로 기판(12)에 대해 틸팅 지지부(49)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틸팅 압박부(42)를 구비하고, 접점 접속 구조가 회로 기판(12) 상의 틸팅 압박부(42)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어 각각 배치되고, 회전 조작자(10)를 회전시켜, 틸팅 압박부(42)가 회로 기판(12)에 틸팅 지지부(49)를 통하여 지지되어 회전 조작자(10)의 회전 방향측으로 틸팅하고, 틸팅 압박부(42)가 회전 방향측으로 배치된 가동 접점(14)을 고정 접점(13)측으로 압박하도록 한 회전식 입력 장치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3211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회전식 입력 장치에서는, 그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식 조그로 회전 동작부와 기판의 사이에서 탄성 부재를 끼움 지지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 보다 한층 높은 방수 성능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 회로 기판의 방수 대책만이 행해지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입력 장치를 조립 장착하는 하우징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장면에 조작 구멍을 갖는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프린트 기판을 부착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 배치한 조작 링의 상면에, 조작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조작 구멍으로부터 상기 조작 다이얼을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켜,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자기 검출 센서로,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장치이며,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조작 링의 사이에 탄성 방수재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 방수재의 외주 테두리부에 설치한 두께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에 의해 끼움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방수재의 두께부가 베이스의 상면과 하우징의 천장면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탄성 방수재 자체에 설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하우징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높은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특히, 조작 다이얼에 외력이 부하되어도, 베이스는 휘기 어려우므로, 방수성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탄성 방수재의 상면에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의 내주면에 조작 링의 외주 테두리부를 밀착시켜 고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2중 시일 구조로 되어, 방수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탄성 방수재의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단면 갈고리형으로 하는 한편, 조작 링의 상면 테두리부에,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에 결합 가능한 환 형상 방수 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 형상 방수 리브와 조작 링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연면(沿面) 거리가 길어지므로, 더욱 방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링이 탄성 방수재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조작 입력 장치 중, 조작 구멍을 갖는 하우징의 일부인 조작 커버의 이면을, 탄성 방수재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된 방수용 시트 부재로 피복하는 동시에, 조작 링의 상면 테두리부와 상기 조작 커버의 천장면에 의해 상기 탄성 방수재의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끼움 지지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보다 한층 높은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하우징의 조작 구멍으로부터 조작 다이얼을 조작 가능하게 조립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방수성을 갖는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 도 2의 (b)는 도 1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3의 (b)는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3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평면도, 도 6의 (b), 도 6의 (c), 도 6의 (d)는 도 6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는 제1 실시 형태의 탄성 방수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에서 도시한 탄성 방수재의 평면도, 도 8의 (b), 도 8의 (c)는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 C-C 선 단면도이다.
도 9의 (a), 도 9의 (b) 및 도 9의 (c), 도 9의 (d)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하우징의 사시도, 그 단면 사시도 및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도 11의 (b)는 도 10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에서 도시한 탄성 방수재의 평면도, 도 12의 (b), 도 12의 (c)는 도 12의 (a)의 B-B선 부분 확대 단면도, C-C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도 14의 (b)는 도 13에서 도시한 A-A선, B-B선 단면도이다.
도 15의 (a), 도 15의 (b), 도 15의 (c)는 도 13에서 도시한 조작 기판 단체의 평면도, 도 15의 (a)의 B-B선 단면도, 저면도이다.
도 16의 (a), 도 16의 (b), 도 16의 (c)는 도 13에서 도시한 전자 기기의 탄성 방수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이다.
도 17의 (a), 도 17의 (b)는 도 16의 (a)에서 도시한 A-A선,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도 1 내지 도 9, 특히,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0)와, 플렉시블한 프린트 기판(20)과, 하면에 돔 형상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중앙의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4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를 부착한 수지제 필름 커버(30)와, 탄성 방수재(40)와, 상기 탄성 방수재(40)에 조립 장착되는 조작 링(50)과, 상기 조작 링(50)에 미끄럼 이동 시트(58)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적재되는 조작 다이얼(60)과,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끼워 맞춤 구멍(61) 내에 끼워 넣어지는 누름 버튼(70)과, 전술한 구성 부품을 수납하는 하우징(80)(도 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금속제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대각선 상에 한 쌍의 지그 구멍(11a, 11b)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주위에 고정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그 코너부에 설치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일변 중앙에 접속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플렉시블한 절연 시트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중앙 도전부(21a)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중앙 도전부(21a)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균등한 피치로 4개의 도전부(21b 내지 21e)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 도전부(21a) 및 상기 도전부(21b 내지 21e)는, 대략 C자 형상 고정 접점부와 상기 대략 C자 고정 접점부 내에 배치된 고정 접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중앙 도전부(21a)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지그 구멍(23a, 23b)을 형성하는 한편, 홀 소자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자기 검출 센서(24a, 24b)가 표면 실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그 외주 테두리부에 절결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접속부(26)가 연장되어 있다.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고, 접착제를 도포한 이면 중, 상기 중앙 도전부(21a) 및 상기 도전부(21b 내지 21e)에 대응하는 위치에, 편평한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지그 구멍(23a, 23b)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그 구멍(33a, 3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조립 장착한 자기 검출 센서(24a, 24b)를 피복하지 않도록 릴리프부(3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주 테두리부에 절결부(35)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방수재(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기판(20)을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 탄성 고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도전부(21a) 및 상기 도전부(21b 내지 21e)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용 중앙 돌기(41a) 및 조작용 돌기(41b 내지 41e)가, 하방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탄성 방수재(40)는, 상기 조작용 중앙 돌기(41a)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균등한 피치로 위치 규제용 돌기(42)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42)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환 형상 얕은 홈(43)의 외주측에, 상기 자기 검출 센서(24a, 24b)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용 팽출부(44)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방수재(40)는, 상기 끼워 맞춤용 팽출부(44)의 외측에 환 형상 방수 리브(45)가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45)의 바로 아래에 고정용 돌기부(46)가 소정의 피치로 하방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45)는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이다. 또한, 상기 탄성 방수재(40)는, 그 외주 테두리부에 단면 원형의 두께부(47)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조작 링(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방수재(40)에 적재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링(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 내주 테두리부에 코킹용 링(57)을 결합할 수 있는 환 형상 단부(51a)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환 형상 단부(51a)의 외주 테두리부에, 상기 조작용 돌기(41b 내지 41e)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용 돌기(51b 내지 51e)가 하방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작 링(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 내주 테두리부에, 환 형상 미끄럼 이동 시트(58)를 적재할 수 있는 환 형상 돌기부(5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링(50)은, 상기 환 형상 돌기부(52)의 주위에, 상기 끼워 맞춤용 팽출부(44)에 끼워 맞추어지는 한 쌍의 끼워 맞춤 구멍(53, 53)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클릭감용 마그네트(59)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링(50)에 적재 가능한 동심원 형상이고, 그 중심에 후술하는 누름 버튼(70)을 끼워 맞출 수 있는 끼워 맞춤 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워 맞춤 구멍(61)의 하면 주변 테두리부를 따라 코킹용 돌조(62)가 소정의 피치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60)은, 상기 코킹용 돌조(62)의 외측에 다수의 미끄럼 이동용 리브(63)가 소정의 피치로 방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측에 환 형상 홈부(64)가 동심원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 형상 홈부(64)의 저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하여 환 형상 마그네트(65)가 조립된다. 상기 환 형상 마그네트(65)는, N극 및 S극을 교대로 연속적으로 자화한 것으로, 그 외주 테두리부에 위치 결정 돌기(65a)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버튼(70)은,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끼워 맞춤 구멍(61)에 하방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져 빠짐 방지될 수 있는 외주 형상을 갖고, 그 하면 중앙에 조작용 중앙 돌기(7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70)은, 그 외주면에 절결부(72)가 균등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72)는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위치 규제용 돌기(42)에 결합되어 회전 방지된다.
하우징(8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 기판(81)에 커버(82)를 접합 일체화하여 편평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80)은, 상기 커버(82)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조작 구멍(83)으로부터 상기 조작 다이얼(60) 및 누름 버튼(70)이 조작 가능하게 노출된다. 또한, 상기 설치 기판(81)에는 고정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접속 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지그인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에 베이스(10)의 지그 구멍(11a, 11b)을 삽입 관통하고, 계속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지그 구멍(23a, 23b)을 삽입하여 양자를 부착 일체화한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접속부(26)를 상기 베이스(10)의 접속 구멍(14)으로부터 인출하는 한편,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자기 검출 센서(24a, 24b)를 설치하고, 전기 접속한다. 계속하여, 상기 위치 결정 핀에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지그 구멍(33a, 33b)을 삽입하고, 프린트 기판(20)에 부착 일체화한다. 이에 의해, 중앙 도전부(21a) 및 도전부(21b 내지 21e)에,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가 각각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 핀을 빼낸 상기 베이스(10)의 고정 구멍(12)에 탄성 방수재(40)의 고정용 돌기부(46)를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탄성 방수재(40)로 상기 프린트 기판(20)과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가 끼움 지지된다.
다음에, 조작 링(50)의 환 형상 돌기부(52)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 시트(58)를 적재하는 동시에, 위치 결정용 오목부(54)에 클릭감용 마그네트(59)를 끼워 맞추고, 고정한다. 한편, 조작 다이얼(60)의 환 형상 홈부(64)의 저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통하여 환 형상 마그네트(65)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끼워 맞춤 구멍(61)에 누름 버튼(70)을 하방측으로부터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링(50)을 조립 장착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코킹용 돌기(62)를 코킹용 링(57)의 코킹 구멍(57a)에 코킹 고정한다. 이에 의해, 조작 링(50), 조작 다이얼(60) 및 누름 버튼(70)이 일체화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다이얼(60)이 조작 링(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계속하여, 상기 베이스(10)에 조립 장착한 탄성 방수재(40)의 환 형상 방수 리브(45)에, 조작 링(50)의 외주 테두리부를 끼워 맞춤하여, 가고정 한다. 그리고, 하우징(80)의 설치 기판(81)에 상기 베이스(10)의 설치 구멍(13)을 통하여 고정하고, 접속 구멍(14)으로부터 접속부(26)를 인출하는 동시에, 상기 설치 기판(81)에 커버(82)를 접합 일체화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방수재(40)의 두께부(47)가 상기 커버(82)의 천장면에 압접되어 물,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환 형상 방수 리브(45)의 선단부가 조작 링(50)의 상면 주변 테두리부와 상기 커버(82)의 천장면 테두리부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높은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링(50)은 탄성 방수재(40) 및 누름 버튼(70)에 압박되고 있으므로,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70)은,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에 압박되고 있으므로,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적용한 경우의 조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60)을 상기 조작용 링(5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 다이얼(60)은 미끄럼 이동 시트(58)를 통해 조작 링(50) 위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60)에 설치한 환 형상 마그네트(65)의 회전에 수반하여, 한 쌍의 자기 검출 센서(24a, 24b)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계속하여, 원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누름 버튼(70)을 압박함으로써, 그 조작용 중앙 돌기(71)로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의 반전 스프링을 반전시켜, 대응하는 중앙 도전부(21a)를 도통시켜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60)의 주변부를 밀어 내리고, 조작 링(50)의 조작용 돌기(51b 내지 51e)로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의 반전 스프링을 적절하게 반전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도전부(21b 내지 21e)를 각각 도통시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접촉에 의한 회전 검지 방식이므로, 종래 예에 관한 접촉에 의한 회전 검지 방식보다도, 원활하고 양호한 조작 감촉이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고, 다른 점은 도 12의 (b),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방수재(40)의 상면에 단면 갈고리형의 환 형상 방수 리브(45)를 돌출 설치한 점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 방수재(40)에 조립 장착되는 조작 링(50)은, 그 상면 테두리부에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45)에 결합하는 환 형상 방수 홈(50a)(도 11)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1의 (a),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링(50)의 환 형상 방수 홈(50a)에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45)를 결합함으로써, 연면 거리가 길어져, 접촉 면적이 증대하므로, 보다 한층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기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의 조작 커버(90)의 이면측에 탄성 방수재(40)를 선부착하는 경우이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방수재(40)에, 조작용 돌기(48a)를 구비한 시트 부재(48)를 일체 형성한 경우이다.
상기 조작 커버(9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조작 구멍(91, 92, 93)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이면에 상기 조작 구멍(91, 92, 93)을 포위하도록 끼워 맞춤용 환 형상 홈(9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방수재(40)는, 도 16 및 도 17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주변 테두리부에 상기 끼워 맞춤용 환 형상 홈(94)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 형상 리브(48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조작 커버(90)의 이면측에 상기 탄성 방수재(40)를 설치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방수성을 갖는 휴대 전화기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기타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
12 : 고정 구멍
13 : 설치 구멍
14 : 접속 구멍
20 : 프린트 기판
23a, 23b : 지그 구멍
24a, 24b : 자기 검출 센서
30 : 수지제 필름 커버
31a :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
31b 내지 31e : 누름 버튼 스위치
33a, 33b : 지그 구멍
40 : 탄성 방수재
41a : 조작용 중앙 돌기
41b 내지 41e : 조작용 돌기
42 : 위치 규제용 돌기
44 : 끼워 맞춤용 팽출부
45 : 환 형상 방수 리브
46 : 고정용 돌기
47 : 두께부
48 : 방수용 시트 부재
48a : 조작용 돌기
48b : 환 형상 리브
50 : 조작용 링
50a : 환 형상 방수 홈
51b 내지 51e : 조작용 돌기
59 : 클릭감용 마그네트
60 : 조작 다이얼
61 : 끼워 맞춤 구멍
62 : 걸림용 돌조
63 : 환 형상 홈부
64 : 미끄럼 이동용 리브
65 : 환 형상 마그네트
70 : 누름 버튼
71 : 조작용 중앙 돌기
80 : 하우징
81 : 설치 기판
82 : 커버
90 : 조작 커버
91, 92, 93 : 조작 구멍

Claims (5)

  1. 천장면에 조작 구멍을 갖는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프린트 기판을 부착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 배치한 조작 링의 상면에, 조작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조작 구멍으로부터 상기 조작 다이얼을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키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자기 검출 센서로,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장치이며,
    상기 프린트 기판과 상기 조작 링의 사이에 탄성 방수재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 방수재의 외주 테두리부에 설치한 두께부를,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에 의해 끼움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방수재의 상면에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의 내주면에 조작 링의 외주 테두리부를 밀착시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방수재의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단면 갈고리형으로 하는 한편, 조작 링의 상면 테두리부에, 상기 환 형상 방수 리브에 결합 가능한 환 형상 방수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 중, 조작 구멍을 갖는 하우징의 일부인 조작 커버의 이면을, 탄성 방수재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연장한 방수용 시트 부재로 피복하는 동시에, 조작 링의 상면 테두리부와 상기 조작 커버의 천장면에 의해 상기 탄성 방수재의 환 형상 방수 리브를 끼움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하우징의 조작 구멍으로부터 조작 다이얼을 조작 가능하게 조립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10006642A 2010-02-25 2011-01-24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KR20110097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0828 2010-02-25
JP2010040828A JP2011175938A (ja) 2010-02-25 2010-02-25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19A true KR20110097619A (ko) 2011-08-31

Family

ID=4449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642A KR20110097619A (ko) 2010-02-25 2011-01-24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75938A (ko)
KR (1) KR20110097619A (ko)
CN (1) CN1021697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6745A1 (en) * 2014-09-22 2016-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ke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6144B2 (ja) * 2012-03-19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KR101312921B1 (ko) 2012-03-29 2013-10-01 크루셜텍 (주) 포인팅 디바이스
JP6297521B2 (ja) 2015-06-03 2018-03-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CN105118717B (zh) * 2015-07-04 2018-03-09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按键装置及具有该按键装置的终端
JP6611529B2 (ja) * 2015-09-11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871635B (zh) * 2016-09-23 2021-01-2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开关机构及具有该开关机构的电子装置
CN107112159A (zh) * 2016-12-27 2017-08-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摇杆装置及手环
CN107946115B (zh) * 2017-12-21 2019-03-26 贵州航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转换开关
JP7005397B2 (ja) * 2018-03-14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転操作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CN109062157B (zh) * 2018-08-09 2021-02-02 中电九天智能科技有限公司 无人电视机组装线的智能控制系统
WO2023105884A1 (ja) * 2021-12-09 2023-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9015A (ja) * 2004-08-02 2006-02-16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561394B2 (ja) * 2005-02-17 2010-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073451A (ja) * 2005-09-09 2007-03-22 Alps Electric Co Ltd 回転入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6745A1 (en) * 2014-09-22 2016-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key apparatus
KR20160034744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방수장치
US9871330B2 (en) * 2014-09-22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ke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75938A (ja) 2011-09-08
CN102169773A (zh)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7619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JP5098928B2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11495B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645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35788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83086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33859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2216353A (ja) 防塵防滴機構を有する押釦装置
JP5459082B2 (ja) 電子部品の防滴構造
KR101085291B1 (ko) 조작 입력 장치
JP2010073554A (ja) 情報入力装置
JP2005228684A (ja) 情報入力装置
KR20100070286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2007149429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2007311098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TW201206316A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