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921B1 - 포인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921B1
KR101312921B1 KR1020120032051A KR20120032051A KR101312921B1 KR 101312921 B1 KR101312921 B1 KR 101312921B1 KR 1020120032051 A KR1020120032051 A KR 1020120032051A KR 20120032051 A KR20120032051 A KR 20120032051A KR 101312921 B1 KR101312921 B1 KR 10131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ap
housing
pointing device
ou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환
이진영
이석준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03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는 홀더, 기판 및 홀더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판과 하우징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갭에 탄성체가 채워진다.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 {POINTING DEVICE}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는 휴대폰이나 리모컨에 탑재되어 화면 상의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포인팅 디바이스는 피사체의 상대적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신호를 감지하는 이미지센서 및 그 이미지 센서와 피사체(일례로 손가락)와의 접촉을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하면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손가락에 부딪쳐 반사되며, 접촉된 손가락이 움직이면 이미지 센서에 입력되는 광신호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광신호가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어 화면 상의 포인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그런데 종래의 포인팅 디바이스는 방수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포인팅 디바이스의 내부로 물과 같은 액체가 스며드는 경우 하우징 내부가 침수되어 포인팅 디바이스가 오동작하거나 동작이 정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089065호(2009.01.30. 출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되는 홀더, 기판 및 홀더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판과 하우징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갭에 탄성체가 채워진다.
탄성체는 갭보다 큰 폭으로 설계되어 갭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하우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외측부 및 외측부의 내부에서 기판을 덮는 내측부를 포함하며, 갭은 외측부와 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는 기판의 인출을 위한 오프닝을 가지고, 탄성체는 오프닝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는 내측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외측부와 내측부 및 탄성체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인팅 디바이스는 내부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하여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100)는 기판(10), 홀더(20), 하우징(30) 및 돔스위치(40)를 포함한다.
기판(10)은 이미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며 커넥터(34)를 통해 전자기기, 일례로 휴대폰의 메인 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된다. 기판(10)의 상측(도 1의 +Z축 방향 일측)으로는 홀더(20) 및 하우징(30)이 위치하고, 기판(10)의 하측(도 1의 -Z축 방향 일측)으로는 돔스위치(40)가 위치한다.
홀더(20)는 기판(10) 위에 배치된다. 홀더(20)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광학 플라스틱, 일례로 Black EMC(Epoxy Moulding Compound)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홀더(20)는 광원(미도시)과 결상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과 결상부재는 홀더(20)에 구비된 수용공간(미도시)에 수용된다. 상기 광원은 하우징(30)을 향해 빛을 출사한다. 상기 광원은 적외선 엘이디일 수 있다. 상기 결상부재는 피사체에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32)를 향하는 빛을 결상한다. 상기 결상부재는 집광렌즈일 수 있으며, 빛의 경로 변경을 위한 프리즘(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30)은 홀더(20)의 상측에서 홀더(20)를 덮도록 배치된다. 하우징(10)은 외측부(32)와 내측부(34)를 포함한다. 외측부(32)는 하우징(10)의 외부를 형성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외측부(32)는 -Z축 방향에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에 내측부(34)와 기판(10) 일부 및 홀더(20)가 수납된다. 기판(10)은 그 일부가 외측부(32)의 내부에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이 외측부(32)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외측부(32)는 측면에 오프닝(321)이 형성된다. 기판(10)은 오프닝(321)을 통과하여 외측부(32)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다. 외측부(32)는 적외선만을 투과시키고 적외선 이외의 빛은 차단한다. 즉, 광원으로 사용되는 적외선은 외측부(32)를 통과하여 외측부(32)의 표면에서 피사체에 반사되어 광신호로 사용되고, 외측부(32)의 바깥으로부터 입사되는 햇빛, 외부 조명 등의 잡광은 외측부(32)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외측부(32)는 잡광에 의한 포인팅 디바이스(100)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부(32)는 광학 플라스틱, 일례로 적외선 폴리카보네이트(infrared polycarbonate)일 수 있고, 적외선만 투과시키는 도료가 코팅된 투명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내측부(34)는 외측부(32)의 상기 공간에 위치하며, 외측부(32)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기판(10) 및 홀더(20)를 수납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외측부(32)와 내측부(34)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외측부(32)와 내측부(34)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내측부(34)는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우레탄(urethane)일 수 있다. 내측부(34)는 연장부(341)를 포함한다. 연장부(341)는 내측부(34)의 일측에서 돔스위치(40)를 향해 연장된다. 연장부(341)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도 1에서는 2개의 연장부(341)를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측부(34)로부터 연장된 형상의 연장부(341)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연장부는 내측부(34)와 분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돔스위치(40)는 기판(10)의 하측에 위치한다. 돔스위치(40)는 마우스 클릭 기능을 구현한다. 돔스위치(40)는 사용자가 하우징(30)을 누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온/오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100)의 저면도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돔스위치(4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부(32)의 내부에 기판(10)이 수납된다. 기판(10)과 외측부(32)의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갭(G)은 기판(10)과 하우징(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갭(G)은 기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판(10)과 외측부(32)를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오프닝(321)의 양측으로는 연장부(341)가 위치한다. 연장부(341)는 기판(10)과 외측부(32) 사이의 갭(G)을 채우도록 형성된다. 연장부(341)는 갭(G)을 완벽하게 채울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의 갭(G) 보다 큰 폭으로 설계된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이 설계 시의 연장부(341)를 나타낸다. 연장부(341)는 갭(G)보다 큰 폭으로 설계되더라도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 시 갭(G)의 크기에 맞춰 수축되면서 갭(G)에 끼워 맞춰져 갭(G) 전체를 완벽하게 채우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액체가 유입되더라도 연장부(341)가 액체 유입 경로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하우징(30)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될 수 없다.
한편, 도 2에서는 2개의 연장부(341)를 도시하였으나, 연장부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 생략 도시하였던 돔스위치(40)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과 외측부(32)의 사이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갭(G)이 형성된다. 그리고 갭(G)에 연장부(341)가 삽입된다. 설계시 연장부(341)의 폭(W)은 갭(G)의 폭보다 크다(W > G). 내측부(34)는 기판(10)의 위쪽(+Z축 방향)으로 위치하며, 연장부(341)가 내측부(34)로부터 돔스위치(40) 측으로 더 연장되어 기판(10)의 측면까지 감싸고 있다. 그리고 기판(10)과 외측부(32) 및 내측부(34)의 아래(-Z축 방향 일측)로 돔스위치(40)가 부착된다. 돔스위치(40)는 외측부(32)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지 않고 완벽하게 접착되며, 이로써 돔스위치(40) 또는 돔스위치와 외측부(32) 사이를 통한 수분 유입이 차단된다. 정리하면, 연장부(341)는 기판(10)과 외측부(32) 사이의 갭(G)을 채우고, -Z축 방향으로 돔스위치(40)와 접착된다. 따라서 연장부(341)는 기판(10)과 외측부(32) 및 돔스위치(40) 사이의 틈을 완벽하게 막아 하우징(3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한편, 연장부는 외측부(32)보다 -Z축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부가 구비될 경우, -Z축 방향으로의 밀폐 효과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좀더 완벽한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100)는 연장부(341)를 형성하여 기판(10)과 하우징(30) 사이의 갭(G)을 채움으로써, 하우징(30) 내부로의 액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100)는 액체 유입에 의한 제품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100)는 하우징(30)의 이중사출에 의해 연장부(34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포인팅 디바이스 10: 기판
20: 홀더 30: 하우징
40: 돔스위치

Claims (6)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홀더; 및
    상기 기판 및 상기 홀더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상기 갭에 탄성체가 채워지는 포인팅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갭보다 큰 폭으로 설계되어 상기 갭에 끼워 맞춰지는 포인팅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외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서 상기 기판을 덮는 내측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갭은 상기 외측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포인팅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기판의 인출을 위한 오프닝을 가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오프닝의 양측에 위치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내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포인팅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 및 상기 탄성체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포인팅 디바이스.
KR1020120032051A 2012-03-29 2012-03-29 포인팅 디바이스 KR10131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51A KR101312921B1 (ko) 2012-03-29 2012-03-29 포인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51A KR101312921B1 (ko) 2012-03-29 2012-03-29 포인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921B1 true KR101312921B1 (ko) 2013-10-01

Family

ID=4963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051A KR101312921B1 (ko) 2012-03-29 2012-03-29 포인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9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09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컴퓨터
KR20090012815U (ko) * 2008-06-11 2009-1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보 입력 장치
JP2010073554A (ja) 2008-09-19 2010-04-02 Omron Corp 情報入力装置
JP2011175938A (ja) 2010-02-25 2011-09-08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509A (ko) * 1997-08-06 1999-03-05 윤종용 터치패널 장치 및 터치패널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컴퓨터
KR20090012815U (ko) * 2008-06-11 2009-12-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보 입력 장치
JP2010073554A (ja) 2008-09-19 2010-04-02 Omron Corp 情報入力装置
JP2011175938A (ja) 2010-02-25 2011-09-08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29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KR101277314B1 (ko) 근접센서
TWI570400B (zh) 可防止漏光的光學偵測裝置
KR20100070116A (ko) 광 조이스틱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462095B2 (en) Touch input electronic device
JP2009176271A (ja) 光学式ジョイスティ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携帯電子機器
US20120307479A1 (en) Key button
US20140084145A1 (en) Optical package with removably attachable cover
KR101312921B1 (ko) 포인팅 디바이스
JP6170392B2 (ja) 電子機器
KR20080093304A (ko) 광 포인팅 장치
JP2019074972A (ja) ウエアラブル型の測定装置
US8680413B2 (en) Illuminating push-butt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JP2010192243A (ja) スイッチ装置
KR101268340B1 (ko) 차단커버가 장착된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US8982052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s
CN110192849B (zh) 智能可穿戴设备
KR101167061B1 (ko) 광 조이스틱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60056663A (ko) 광학 센서 패키지
JP2013157372A (ja) 光セン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4274B1 (ko) 센싱 소자
JP7253569B2 (ja) 装置
KR101111900B1 (ko) 인풋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1328343B1 (ko) 광포인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0020976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