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274B1 - 센싱 소자 - Google Patents

센싱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274B1
KR101314274B1 KR1020110129147A KR20110129147A KR101314274B1 KR 101314274 B1 KR101314274 B1 KR 101314274B1 KR 1020110129147 A KR1020110129147 A KR 1020110129147A KR 20110129147 A KR20110129147 A KR 20110129147A KR 101314274 B1 KR101314274 B1 KR 10131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ocket
disposed
side wall
sens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725A (ko
Inventor
이수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1012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2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센싱 소자가 제공된다. 센싱 소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며, 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켓, 소켓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광 센서 어셈블리, 소켓의 상에 배치되고, 바디와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플랜지는 바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플랜지의 하면은 측벽의 최상면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센싱 소자{Sensing device}
본 발명은 센싱 소자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광 마우스는, 일반 광 마우스의 기능을 한 단계 발전시켜서, 렌즈 및 센서 등의 모듈을 소형화하고,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광학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광 마우스는 TV용 리모콘,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에서 키 패드를 대체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자 기기가 날로 소형화됨에 따라, 소자를 소켓 타입으로 소형화시킨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켓 타입 소자는 구성 부품이 모듈화 되어있고 단말기 내부에 실장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지문을 이용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같이 단말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모듈 간 체결 부위를 통해 침투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에 대해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이 소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켓 타입의 센싱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며, 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켓, 소켓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광 센서 어셈블리, 소켓의 상에 배치되고, 바디와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플랜지는 바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플랜지의 하면은 측벽의 최상면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는,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며, 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켓, 소켓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어셈블리, 소켓의 상에 배치되고, 바디와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플랜지는 바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플랜지의 하면은 측벽의 최상면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싱 소자는, 커버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의 하면과 소켓 측벽의 최상면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커버와 소켓의 측벽간 이격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이 소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센싱 소자의 신뢰성이 향상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 어셈블리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 어셈블리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싱 소자는 커버(cover)(100), 소켓(socket)(200) 및 센서 어셈블리(sensor assembly)(300)를 포함한다.
소켓(200)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2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400)이 형성될 수 있다. 소켓(200)의 이러한 내부 공간(400)에는 센서 어셈블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소켓(200)은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200)에 형성된 연결 단자(201)는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미도시)과 소켓(200)의 내부 공간(400)에 배치된 센서 어셈블리(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켓(200)의 내부 공간(400)에 배치되는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광 센서 어셈블리(300)일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센서 어셈블리(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기판(310), 광원(320), 광 감지센서(330), 및 차단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커버(도 2의 100)가 생략되고 도시되었다.
기판(310) 상에는 광원(320) 및 광 감지센서(33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기판(310)은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인쇄 회로 기판(PCB)일 수 있고, 광원(320)은 예를 들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LED 광원 혹은 LD(레이져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단부(340)에는 서로 이격된 캐비티(cavity)와 개구부(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캐비티 내부에는 광원(320)과 광 감지센서(33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320) 상에는 제1 렌즈(350)가. 광 감지센서(330) 상에는 제2 렌즈(36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340)는 광차단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부(340)는 광원(3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광원(320)이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차단부(340)는 이러한 적외선을 차단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렌즈(350)와 제2 렌즈(360)는 각각 광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렌즈(350)와 제2 렌즈(360)는 각각 몰드 타입(mold-type)으로 형성된 렌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에 도시된 이러한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 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원(320)에서 광(L)들이 조사된다. 여기서 광(L)들은 적외선 광일 수 있고, 광원(320)은 이러한 적외선 광들을 조사할 수 있는 적외선 LED 혹은 LD(레이져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320)으로부터 조사된 광(L)들은 제1 렌즈(350)를 통과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퍼지게 되고, 이렇게 여러 방향으로 퍼진 광(L)들이 목적 물체(OB)(여기서, 목적 물체(OB)는 커버(도 2의 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를 만나게 되면 반사광(RL)들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반사광(RL)들이 그 광 경로 상에서 제2 렌즈(360)를 만나게 되면, 반사광(RL)들은 광 감지센서(330) 쪽으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목적 물체(OB)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라고 하면,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광 감지센서(330)는 최초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에서, 손가락의 지문(fingerprint)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동하게 되면, 다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지문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전후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면, 손가락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목적 물체(OB)의 이동에 따라, 그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 마우스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에에서,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앞서 설명한 형태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기판(310a), 광필터(320a), 고정부(330a), 렌즈(340a), 프리즘(350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a)은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절연 기판에 다수의 회로 라인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판(310a) 상에는 광원(312a)과 광센서(314a)가 실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광원(312a)은 적외선(IR) 광을 출사시키는 적외선 광원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원(312a)은 적외선 광을 출사시키는 적외선 LED 광원일 수 있다.
광필터(320a)는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310a) 상에 실장된 광센서(314a)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필터(320a)는 목적 물체(70)에 반사된 반사광 중 일정 파장 영역의 반사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는데, 특히 광필터(320a)는 목적 물체(70)에 반사된 반사광 중 적외선 영역의 반사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다.
고정부(330a)는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 간의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유지되도록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기판(310a) 및 광필터(320a)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340a)는 광원(312a)으로부터 출사되어 목적 물체(70)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경로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광투과부(335a)는 이렇게 광경로가 조절된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기능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330a)는 이러한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가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고정함으로써, 그 하부에 배치된 광센서(314a)가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광을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30a)가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 간의 얼라인먼트가 유지되도록 렌즈(340a), 광투과부(335a), 및 광필터(320a)를 고정하는 것은 고정부(330a)에 형성된 고정 돌기(337a) 및 삽입홈(338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340a)는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330a)에 형성된 고정 돌기(337a)에 의해 고정되고, 광투과부(335a)는 고정부(330a)에 형성되어 렌즈(340a)와 얼라인먼트가 유지되도록 배치되며, 광필터(320a)는 고정부(330a)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338a)에 부착되어 렌즈(340a) 및 광투과부(335a)와 얼라인먼트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투과부(335a)는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330a)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투과부(335a)와 고정부(330a)를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광 센서 어셈블리(300)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렌즈(340a)는 고정부(330a)에 형성된 광투과부(335a) 상부에 배치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312a)으로부터 출사되어 목적 물체(70)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경로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리즘(350a)은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312a)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리즘(350a)은 광원(312a)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목적 물체(70)에 도달하도록 광경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즘(350a)은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와 집광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면, 그리고 반사된 광을 목적 물체(70)까지 전달하는 출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이러한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 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원(312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프리즘(350a)을 통해 광경로가 형성되어 목적 물체(70)에 도달한다. 그리고, 목적 물체(70)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은 렌즈(340a)를 통해 반사광 경로가 형성되고, 광투과부(335a)는 렌즈(340a)를 통하지 않은 광들은 모두 차단하면서 렌즈(340a)를 통해 광경로가 형성된 반사광만을 투과시킨다. 그리고, 광투과부(335a)를 통해 투과된 반사광은 광필터(320a)를 거치면서 특정 파장 영역의 광(예를 들어, 적외선 파장 영역의 광)만 광센서(314a)에 도달하여 광센서(314a)는 목적 물체(70)의 지문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목적 물체(70)가 이동하게 되면, 다시 동일한 과정을 통해, 목적 물체(70)의 지문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목적 물체(70)의 이동 전후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면, 목적 물체(70)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량을 계산할 수 있다. 즉,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목적 물체(70)의 이동에 따라, 그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량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광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 마우스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 및 3b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300)가 광원을 포함하는 광 센서 어셈블리(300)인 것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300)는 필요에 따라 광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300)는 광원을 포함하지 않고 커버(100)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300)일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300)는 별도의 광원 없이 센서 어셈블리(30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 어셈블리(300)일 수도 있다. 나아가, 센서 어셈블리(300)는 커버(10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어셈블리(300)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소켓(200)의 내부 공간(400)에 배치되는 센서 어셈블리(300)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소켓(200) 및 센서 어셈블리(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0)는 바디(body)(110)와 플랜지(flange)(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110)를 둘러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120)는 바디(1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바디(110)를 둘러싼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0)는 소켓(200)의 측벽(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120)는 측벽(210)의 최상면(Q)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플랜지(120)는 측벽(210)의 최상면(Q) 상에 배치되되, 플랜지(120)의 하면(P)은 측벽(210)의 최상면(Q)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210)의 외측면(R)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랜지(120)의 외측면(S)은 측벽(210) 외측면(R)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도시된 형상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랜지(120)의 형상은 플랜지(120)의 하면(P)과 측벽(210)의 최상면(Q)이 오버랩된다면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랜지(120)의 외측면(S)은 측벽(210)의 외측면(R)보다 안쪽(측벽(210)의 최상면(Q)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플랜지(120)의 하면(P)과 측벽(210)의 최상면(Q)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이 소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실시예와 달리 커버(100a)에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아 커버(100a)가 소켓(200a)의 측벽(210a)을 덮지 못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물이나 액체 등이 유입되면, 커버(100a)와 소켓(200a)의 측벽(210a)간 이격 공간(빗금으로 도시된 영역)을 통해 이물이나 액체가 센서 어셈블리(300) 등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는, 커버(100)에 플랜지(120)가 형성되어, 플랜지(120)의 하면(P)과 측벽(210)의 최상면(Q)이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도 4와 같은 커버(100)와 소켓(200)의 측벽(210)간 이격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이 센서 어셈블리(300)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센싱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커버(100)의 형상과 소켓(200)의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플랜지(120)에는 플랜지(1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켓(200)의 측벽(210)에는 측벽(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관통홀(121)과 제2 관통홀(211)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관통홀(121)과 제2 관통홀(211)이 오버랩되어 배치된 센싱 소자에, 외부로부터 이물이나 액체가 유입될 경우, 유입된 이물이나 액체는 제1 관통홀(121) 및 제2 관통홀(211)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 등이 센서 어셈블리(300)등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소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소켓(200)의 측벽(210)에 형성된 제2 관통홀(211)에는, 유입되는 이물이나 액체가 센서 에셈블리(3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측벽(210)의 상단부를 따라 홈(2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홈(212)은 센싱 소자에 이물이나 액체가 유입될 경우 제2 관통홀(211)로 이들을 유도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들이 어셈블리(300)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홈(212) 안쪽의 측벽을 더 높게 설계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센싱 소자는 소켓(200)의 내부 공간(400)에 배치되는 돔키(Dome Key)(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는 이러한 돔키(500)의 존재로 인해 상하(도 7의 화살표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센싱 소자가 예를 들어, 광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이러한 상하 이동을 통해 광 마우스의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00)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커버(100)에 연결된 플랜지(120)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켓(200)의 측벽(210)과 맞닿게 되며, 이 때 같이 돔키(500)가 눌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100)에 작용하던 압력이 없어지게 되면, 돔키(500)가 복원되어, 커버(100)의 플랜지(120)와 소켓(200)의 측벽이 다시 이격되게 된다.
본 실시에에서, 플랜지(1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210)의 상면과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랜지(120)는 측벽(210)의 외측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플랜지(120)가 측벽(210)의 외측면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이유는, 센싱 소자가 돔키(50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때, 커버(10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즉, 플랜지(120)는 측벽(210)의 외측면 일부를 덮음으로써 커버(100)가 소켓(20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소켓(200)의 측벽(210)에는 고정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20)의 단부에는 고정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5)는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홈(125)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홈(125)은 커버(10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215)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갈고리(hook) 형상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215)의 형상은 얼마든지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소켓(200)의 측벽(210)에는 고정홈(125)이 형성되고, 플랜지(12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15)가 이 고정홈(125)에 삽입 배치될 경우, 커버(10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하로 정상 범위 이상으로 유동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센싱 소자의 체결 원리와 반대로 센싱 소자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소켓(200)의 측벽(210)에 고정부(215)가 형성되고, 커버(110)에 고정홈(125)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센싱 소자는 커버(110)의 측면에는 고정홈(125)이 형성되고, 소켓(200)의 측벽(210)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215)가 고정홈(125)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커버(cover) 110: 바디(body)
120: 플랜지(flange) 200: 소켓(socket)
210: 측벽 300: 센서 어셈블리
500: 돔키(dome key)

Claims (14)

  1.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며, 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광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소켓의 상에 배치되고, 바디와 플랜지(flange)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바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은 상기 측벽의 최상면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센싱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어셈블리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목적 물체에 반사됨으로써 형성된 반사광을 센싱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센싱 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측벽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센싱 소자.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소켓의 측벽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센싱 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돔키를 더 포함하는 센싱 소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측벽의 상면과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센싱 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측벽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센싱 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형상은 갈고리(hook) 형상인 센싱 소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측벽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센싱 소자.
  12.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며, 측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소켓의 상에 배치되고, 바디와 플랜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바디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은 상기 측벽의 최상면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관통홀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센싱 소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소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조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소자.
KR1020110129147A 2011-12-05 2011-12-05 센싱 소자 KR10131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147A KR101314274B1 (ko) 2011-12-05 2011-12-05 센싱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147A KR101314274B1 (ko) 2011-12-05 2011-12-05 센싱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25A KR20130062725A (ko) 2013-06-13
KR101314274B1 true KR101314274B1 (ko) 2013-10-02

Family

ID=4886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147A KR101314274B1 (ko) 2011-12-05 2011-12-05 센싱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086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84852A1 (en) * 2008-01-21 2009-07-23 Crucial Tec Co., Ltd.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34908A (ko) * 2008-09-25 2010-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20098792A1 (en) 2010-10-26 2012-04-26 Chee Foo Lum Optical finger nav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086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84852A1 (en) * 2008-01-21 2009-07-23 Crucial Tec Co., Ltd. Optical joystick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34908A (ko) * 2008-09-25 2010-04-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20098792A1 (en) 2010-10-26 2012-04-26 Chee Foo Lum Optical finger navig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25A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554B1 (ko) 초슬림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US10281611B2 (en) Proximity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755029B2 (en) Optical navigator sensor and optical navigator apparatus using the same
US8816963B2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appliance using optical navigation module
KR101971669B1 (ko) 광학 센서 패키지
US20130038535A1 (en) Optical pointing device
JP2015060998A (ja) 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当該センサモジュールに用いられる立体配線回路基板
KR101479609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JP6436296B2 (ja) 立体回路基板および当該立体回路基板を用いたセンサモジュール
CN109154763B (zh) 摄像装置
US8428450B2 (en) Integrated optical module
KR101314274B1 (ko) 센싱 소자
TWI529563B (zh) 移動軌跡擷取裝置及其移動軌跡擷取模組
JP2012201346A (ja) 照明装置
KR101550273B1 (ko) 비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US20220283335A1 (en) Beam-Tilting Light Source Enclosures
KR20150033042A (ko) 근접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02308A (ko) 센싱 소자
JP4222289B2 (ja) 画像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3756B1 (ko) 광학 입력 장치
CN113496137B (zh) 指纹识别装置和门禁终端
JP4242814B2 (ja)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1900B1 (ko) 인풋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1312921B1 (ko) 포인팅 디바이스
KR101774222B1 (ko) 비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