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90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908A
KR20100034908A KR1020080094138A KR20080094138A KR20100034908A KR 20100034908 A KR20100034908 A KR 20100034908A KR 1020080094138 A KR1020080094138 A KR 1020080094138A KR 20080094138 A KR20080094138 A KR 20080094138A KR 20100034908 A KR20100034908 A KR 20100034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holder
wave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063B1 (ko
Inventor
김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 결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전자파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폰, CDMA폰, PDA 등의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일상 정보의 네트워크 전송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이 들어가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PDA 및 셀룰러 폰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팜 사이즈의 기기를 사용하면 언제라도 사진을 촬영하거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카메라 모듈이 고화소, 고기능화 되면서 카메라 모듈에서도 다량의 전자파 장애(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가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장비에서 신호 잡음, 통화 감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시 예에서는 유해한 전자파의 외부방사 및 내부유입을 차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 결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렌즈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수용부 내부로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및 상기 홀더와 소켓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상기 소켓과 탄성 결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전자파 차단부재가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전자파나 노이즈가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카 메라 모듈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파 차단부재의 하부에 결합을 위한 고정후크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결합홈을 형성하기 위해 전자파 차단부재가 오픈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어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10)와, 상기 렌즈부(110)가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130), 상기 홀더(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로기판(150)과, 상기 홀더(1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전자파 차단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130)는 렌즈부(110)를 상부에 장착하고 그 내부에 IR 필터를 장착 할 수 있는 단이 구비된 하우징 부재이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10)는 피사체의 광 이미지를 입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렌즈부(110)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물체로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조합되어 홀더(130)의 내부에 구비된 장착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130) 내부의 렌즈부에 입사되는 광 이미지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140)는 회로기판(15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40)와 회로기판(150)에 형성된 전극패드(141, 151)를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이용하여 도전성 재질인 와이어(미도시)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140)는 IR 필터를 통해 적외선이 차단된 광 이미지를 결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수의 화소로 구성된 화소영역과, 화소영역의 입출력 단자인 다수의 전극패드로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50)은 이미지 센서(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130) 하부에 회로기판(150)을 결합시킨 후, 홀더(130) 상부에 렌즈부(110)를 삽입시키고, 상기 홀더(130)를 감싸도록 전자파 차단부재(120)를 결합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130) 하부에 회로기판(150)을 접착시킨 후, 소정 온도에서 에폭시를 경화시켜 홀더(13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홀더(130)의 하부 중심부에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확보된 공간에는 이미지 센서(140)가 위치한다.
상기 홀더(130)와 회로기판(150)이 접착되면 홀더(150)에 렌즈부(110)를 삽입시키고,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홀더(130)를 감싸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중심부에 렌즈부(110)가 노출되도록 렌즈 개구부가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자파 차단부재의 결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조립체(300)는 렌즈(110), 이미지 센서, 회로기판이 결합된 홀더(130) 및 상기 홀더(130)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200)으로 구분 형성되며, 상기 홀더(130) 및 소켓(20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전자파 차단부재(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 이미지 센서, 회로기판을 포함한 소켓 타입의 카메라 모듈의 결합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중심부에 렌즈부(110)가 노출되도록 렌즈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130) 상부면 및 소켓(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조립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상기 홀더(130) 및 소켓(200)의 외 주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자파 차단부재의 결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의 결합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고정후크(121)가 형성되고, 회로기판(15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후크(121)가 체결되는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중심부에 렌즈부(110)가 노출되도록 렌즈 개구부가 형성되고, 홀더(13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다. 상기 회로기판(150)은 통상적인 PC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후크(121)는 전자파 차단부재(120) 하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후크(121)는 전자파 차단부재(120) 4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후크(121)는 회로기판(150)에 형성된 고정홈(151)에 체결되도록 고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후크(121)는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결합홈을 형성하기 위해 전자파 차단부재의 소정부분이 오픈됨에 의해 전자파 차폐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150)의 하부에는 전자파 차단부재(120)에 형성된 고정후크(121)가 체결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51)은 단차를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후크의 모양에 따라 체결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51)의 내부면에는 접지단자(152)가 형성된다. 상기 접지단자(152)는 고정홈(151)의 내부면에 전도성 물질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로기판(150)의 각진 모서리 부분에 대해 모따기(chamfer)를 형성하고, 상기 모따기가 형성된 모서리의 내부로 단차를 형성하여 고정홈(151)을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홈(151)은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고정후크(121)와 결합되도록 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와 회로기판(150)의 결합시에,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후크(121)는 탄성력에 의해 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회로기판(150)의 고정홈(15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후크(121)는 고정홈(151)의 내부면에 형성된 접지단자(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나 노이즈는 상기 접지단자(152)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전자파나 노이즈가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내의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는 전자파 차단부 재(120)에 의해 외부방사가 최대한 억제되고, 상기 접지단자(152)를 거쳐 외부로 접지 처리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와 회로기판(150)의 모서리에 고정후크(121)와 고정홈(151)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파 차단부재(120) 하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후크(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대응하는 위치의 회로기판(150) 측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소켓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에는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에는 전자파 차단부재의 고정후크와 결합되도록 그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후크는 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소켓의 고정홈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고정후크는 고정홈의 내부면에 형성된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전도성 재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에 의해 전자파나 노이즈가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에 결합된 전자파 차단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켓에 결합된 전자파 차단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5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홀더(130)와 회로기판(15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130)를 감싸도록 전자파 차단부재(12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후크(121)는 회로기판(150)에 형성된 고정홈(151)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고정홈(151)의 내부면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후크(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홀더(1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도 6은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홀더(130)가 삽입되어 있는 소켓(200)을 감싸도록 전자파 차단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홀더(130)의 상부에는 렌즈부(110) 및 회로기판(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후크(121)는 소켓(200)에 형성된 고정홈(201)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고정홈(201)의 내부면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후크(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120)는 홀더(130)의 상부면 및 소켓(200)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전자파 차단부재가 카메라 모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조립되어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전자파나 노이즈가 카메라 모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 모듈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파 차단부재의 하부에 결합을 위한 고정후크를 형성함으로써, 기 존의 결합홈을 형성하기 위해 전자파 차단부재가 오픈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어 전자파 차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도.
도 3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차단부재의 결합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회로기판에 결합된 전자파 차단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소켓에 결합된 전자파 차단부재의 단면도.

Claims (10)

  1. 렌즈부;
    상기 렌즈부가 상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과 탄성 결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 하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와 대응하는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고정후크가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렌즈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
    상기 렌즈가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수용부 내부로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및
    상기 홀더와 소켓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상기 소켓과 탄성 결합되는 전자파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전자파 차단부재 하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와 대응하는 소켓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고정후크가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접지단자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080094138A 2008-09-25 2008-09-25 카메라 모듈 KR10156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38A KR101567063B1 (ko) 2008-09-25 2008-09-2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38A KR101567063B1 (ko) 2008-09-25 2008-09-2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08A true KR20100034908A (ko) 2010-04-02
KR101567063B1 KR101567063B1 (ko) 2015-11-06

Family

ID=4221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138A KR101567063B1 (ko) 2008-09-25 2008-09-2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4B1 (ko) * 2011-12-05 2013-10-02 (주)파트론 센싱 소자
WO2018074829A1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86B1 (ko) * 2016-12-13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2565A (ja) * 2005-01-19 2006-08-03 Smk Corp 電子部品のコネクタソケット
JP4632083B2 (ja) * 2005-03-31 2011-02-1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4B1 (ko) * 2011-12-05 2013-10-02 (주)파트론 센싱 소자
WO2018074829A1 (ko) * 2016-10-18 2018-04-26 엘지이노텍(주) 카메라 모듈
US10771661B2 (en) 2016-10-18 2020-09-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303785B2 (en) 2016-10-18 2022-04-12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63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99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712449B1 (ko) 촬상 소자 및 카메라 모듈
KR10087610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951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GB2413435A (en) Camera lens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CN109960094B (zh) 成像装置
KR101022961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34908A (ko) 카메라 모듈
KR20190019729A (ko) 카메라 모듈
KR20080089692A (ko) 카메라 모듈
US9628678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JP4787719B2 (ja) 撮像装置
KR101327622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101671A (ko) 카메라모듈
KR10122065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KR20100123010A (ko) 카메라 모듈
KR101003653B1 (ko) 카메라 모듈
CN110892703A (zh) 拍摄装置
KR20080081726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11147628B (zh) 影像撷取组件
KR20100112810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70806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42366A (ko) 이미지 센서 패키지
KR101026830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063237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