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810A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810A
KR20100112810A KR1020090031289A KR20090031289A KR20100112810A KR 20100112810 A KR20100112810 A KR 20100112810A KR 1020090031289 A KR1020090031289 A KR 1020090031289A KR 20090031289 A KR20090031289 A KR 20090031289A KR 20100112810 A KR20100112810 A KR 2010011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se
camera module
module package
camera bod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8154B1 (ko
Inventor
한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1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렌즈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며,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및, 상기 전극 패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수용부에 결속되며 외부의 그라운드층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를 커버하여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패키지{Camera Module Packag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휴대용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장착된 PDA,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 패키지(digital camera module)가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의 전자 장치에는 고주파 소자 또는 집적회로 칩 등의 부품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하는 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대부분 고유의 전기적인 동작 시에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와 같은 전자파 간섭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 전기 또는 자기 에너지는 일종의 경로를 통해 방사(Radiated Emission: RE)되어 다른 전자 장치에 전자기적인 간섭을 일으키거나, 외부로부터 전도(Conduted Emission: CE)된 전기 또는 자기 에너지에 의해 전자기적인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자파 간섭은 전자 장치의 고유의 전기적인 동작을 저해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장해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전자 장치에 채용된 모듈을 금속 기구물을 쉴딩하여 전자파 간섭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금속 기구물은 기판의 그라운드 층이나 외부의 그라운드 층에 제대로 접지되지 못함에 따라 전자파 차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며, 금속 기구물을 그라운드 층에 접지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솔더링 공정을 해야하는 등 고정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파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도 쉴딩 케이스에 대한 작업성이 우수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렌즈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며,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및, 상기 전극 패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수용부에 결속되며 외부의 그라운드층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를 커버하여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접지부는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단 및 상기 탄성단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탄성단은 상기 쉴드 케이스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삽입부의 저면은 상기 그라운드층과 접촉면을 넓게 가지도록 접촉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동일한 간격과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판의 일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카메라 본체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편과 결속되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카메라 본체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속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측면 패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카메라 본체와 조립되면서 자동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결속되는 접지부를 구비하는 쉴딩 케이스를 포함하므로 접지부가 그라운드층에 접지가 용이하여 전자파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솔더링 공정이 필요치 않으모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는 카메라 본체(110), 기판(120) 및 쉴드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본체는 렌즈 배럴, 하우징(114), 이미지 센서(116) 및 IR 필터(118)를 포함한다.
카메라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12)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112)를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 왕복이송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쇄교하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112)의 이동을 실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전원을 인가시 압전체의 변형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압전체를 이용한 피에죠 엑츄에이터(Piezo Actua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4)은 상기 렌즈(112)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과 결합되는 배럴수용 홈을 포함하며, 기판(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렌즈 배럴의 외부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가 내부공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위치 고정된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렌즈와 더불어 이동되며, 렌즈와 이미지 센서(116) 간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초점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 중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는 IR 필터(118)가 본딩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16)는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 면에 이미지 결상 영역을 구비하며,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촬상 소자를 의미하며, 기판(120)의 상부에 장착된다.
기판(120)은 상부 면에 이미지 센서(116)를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장착하고, 하우징(114)의 저면과 접착제를 통해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0)은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 전극(122)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전극(122)은 외부의 소켓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기판의 측면에는 측면 전극(122)과 인접하게 위치하며, 측면 중에서 양 코너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4)는 카메라 본체(11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쉴드 케이스(130)의 접지부(134)와 결속되어 쉴드 케이스(130)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접지부(134)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124)는 측면 전극(12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124)는 기판의 양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케이스(130)는 카메라 본체(110)에 대한 전자파 차폐를 실시하는 차폐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130)는 상부면에 렌즈(112)와 대응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하부면에 카메라 본체(110)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케이스(130)는 외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체형 바디를 위해서 쉴드 케이스(130)는 다이 캐스팅되거나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쉴드 케이스(130)는 다이캐스팅되어 구비될 때에 다이캐스팅 성형이 용이한 재료를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아연(Zn)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케이스(130)는 그 외부면에 전기도금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금층은 솔더링시 신뢰성이 좋고, 전자파 차폐 효율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주석(Sn)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쉴드 케이스(1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카메라 본체(110)가 삽입배치된다.
이때,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 상단에는 고정편(115)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쉴드 케이스(130)의 측면에 결속부(132)가 구비되어 고정편(115)이 결속부(132)에 끼워지도록 위치하며, 쉴드 케이스(130)가 카메라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쉴드 케이스(130)는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접촉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130) 및 카메라 본체(110)의 사이가 일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데, 접촉부(138)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110)와 조립된 후에도 쉴드 케이스(130)가 카메라 본체(110)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서 쉴드 케이스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쉴드 케이스(130)는 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접지부(134)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지부(134)는 쉴드 케이스(130)가 카메라 본체(110) 에 조립되면서 자동적으로 기판(120)의 수용부(124)에 결속되게 된다.
접지부(134)는 메인 기판의 그라운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124)에 삽입되면서 자동적으로 그라운드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므로 별도의 솔더링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공정이 간단하다.
접지부(134)는 쉴드 케이스(13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35), 연결부(135)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단(136) 및 탄성단(136)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용부(124)에 삽입되는 삽입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5)는 쉴드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쉴드 케이스(130)의 본체와 일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단(136)은 쉴드 케이스(130)의 본체의 단부에서 일정 각도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쉴드 케이스(130)를 조립할 때에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접지부(134)가 수용부(124)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탄성단(136)은 쉴드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판 스프링등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137)는 탄성단(136)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용부(124)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그 형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37)의 저면은 외부와 접촉면적을 넓게 가지도록 외부의 접촉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130)가 조립된 카메라 본체(110) 및 기판(120)이 메인 기판에 접착되면, 수용부(124)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접지부(134)에 의해서 메인 기판에 형성된 그라운드 층과 자동적으로 접지되게 된다.
이로써, 접지부(134)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110)에 쉴드 케이스(130)의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며, EMI 차폐 효율이 우수해지고, 낙하 등의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서 쉴드 케이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본체(110)에 쉴드 케이스(130)가 조립될 때, 탄성단(136)에 연결된 삽입부(137)가 카메라 본체(110)의 외면에 접하면서 그 간격만큼 쉴드 케이스(130)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단(136)이 보다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단(136)이 외측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탄성력이 내측을 향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케이스(130)가 카메라 본체(110)의 하부까지 완전히 내려오면, 접지부(134)가 수용부(124)의 내부 홈으로 상기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결속된다.
이러한 결속 구조를 통해서, 쉴드 케이스(130)를 카메라 본체(110)에 용이하게 결속하면서도, 그 구조가 접지부(134)에 의해서 기판(120)에 형성된 그라운드 층과 자동적으로 접지되는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 중앙부에는 고정편(215)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쉴드 케이스(130)의 중앙부에는 결속홀(23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쉴드 케이스(130)를 카메라 본체(110)를 덮도록 조립할 때, 고정편(215)이 결속홀(232)에 끼워지면서 서로 조립되며, 이에 따라 쉴드 케이스(130)가 카메라 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서 쉴드 케이스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서 쉴드 케이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카메라 본체 120.... 기판
130.... 쉴드 케이스

Claims (9)

  1. 렌즈를 수용하는 카메라 본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결상하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며, 측면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및, 상기 전극 패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수용부에 결속되며 외부의 그라운드층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쉴드 케이스;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쉴드 케이스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단 및, 상기 탄성단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단은,
    상기 쉴드 케이스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저면은 상기 그라운드층과 접촉면을 넓게 가지도록 접촉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동일한 간격과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판의 일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편과 결속되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고정편이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속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20090031289A 2009-04-10 2009-04-10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18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89A KR101018154B1 (ko) 2009-04-10 2009-04-10 카메라 모듈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289A KR101018154B1 (ko) 2009-04-10 2009-04-10 카메라 모듈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810A true KR20100112810A (ko) 2010-10-20
KR101018154B1 KR101018154B1 (ko) 2011-02-28

Family

ID=4313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289A KR101018154B1 (ko) 2009-04-10 2009-04-10 카메라 모듈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866A1 (en) * 2011-11-08 2013-05-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WO2017142313A1 (en) * 2016-02-18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261943A1 (ko) * 2020-06-25 2021-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425A (ja) 2002-07-31 2004-02-26 Mitsumi Electric Co Ltd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06101312A (ja) 2004-09-30 2006-04-13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KR100876108B1 (ko) 2007-09-10 2008-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109B1 (ko) * 2007-09-11 2008-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866A1 (en) * 2011-11-08 2013-05-1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CN103930309A (zh) * 2011-11-08 2014-07-16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车辆的摄像头模块
CN103930309B (zh) * 2011-11-08 2016-07-06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车辆的摄像头模块
US9736347B2 (en) 2011-11-08 2017-08-15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0057467B2 (en) 2011-11-08 2018-08-21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0750066B2 (en) 2011-11-08 2020-08-1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US11496659B2 (en) 2011-11-08 2022-11-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for vehicle
WO2017142313A1 (en) * 2016-02-18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42617B2 (en) 2016-02-18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261943A1 (ko) * 2020-06-25 2021-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4174572A4 (en) * 2020-06-25 2023-1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154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933B2 (en) Camera module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KR101060951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JP546459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27710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8958690B2 (en) Camera module
US20150222793A1 (en) Camera module
KR20110063158A (ko) 카메라 모듈
KR101022961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1997B1 (ko) 카메라 모듈
KR101018154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CN113194218B (zh) 摄像头模组制造方法及电子产品制造方法
KR100867513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19729A (ko) 카메라 모듈
US11405540B2 (en) Camera module
KR100832635B1 (ko) 멀티 카메라 모듈
KR20090128852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03886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0487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US20220113456A1 (en) Camera module
KR20110030091A (ko) 카메라 모듈
KR101070004B1 (ko) 카메라 모듈
KR102649753B1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614598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608429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1055569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