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51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513B1
KR100867513B1 KR1020070067247A KR20070067247A KR100867513B1 KR 100867513 B1 KR100867513 B1 KR 100867513B1 KR 1020070067247 A KR1020070067247 A KR 1020070067247A KR 20070067247 A KR20070067247 A KR 20070067247A KR 100867513 B1 KR100867513 B1 KR 10086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shield case
camera module
camera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 하단에 부착되고,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카메라 본체를 덮는 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밀폐부재를 구비하여 카메라 본체의 내부로 이물 유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EMI차폐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쉴드 케이스, 이물방지, 전자파 차폐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7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U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토이 카메라(TOY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 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 이러한 카메라 모듈(1)은 카메라 본체(10), 쉴드캔(20), 기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2)를 갖는 렌즈 수용부(미도시)와, 상기 렌즈(12)를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기판(30)은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기판(30)의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40)를 구비한다.
상기 쉴드 캔(20)은 상기 렌즈(12)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22)를 형성하고, 판상의 금형부재가 절곡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1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본체(10)는 여러 파트의 기구물들이 조립되는 구조물로 상기 기구물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쉴드 캔(20)은 절곡되어 조립되는 부위에 틈이 발생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10)와 상기 쉴드 캔(20) 결합시 그 사이에도 간격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10)의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이물 유입 경로를 차단하여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 하단에 부착되고,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기판; 및 상기 카메라 본체를 덮는 쉴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 밀폐부재를 구비하여 카메라 본체의 내부로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본체는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와, 상기 렌즈를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을 따라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쉴드 케이스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그 횡단면이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횡단면이 갖는 외부테두리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신축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고, 하부면에 상기 카메라 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으며,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쉴드 케이스는 다이캐스팅되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쉴드 케이스는 그 외부면이 도금처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접지단자와 전도성 솔더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의 외부 이물에 대한 유입 경로를 차단하여 카메라 모듈 내부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쉴드 케이스와 외부 기판의 접지단자를 납땜으로 직접 연결하여 우수한 EMI차폐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납땜으로 인해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 본체(110), 쉴드 케이스(120), 기판(130), 밀폐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12)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미도시)와, 상기 렌즈(112)를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 왕복이송하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미도시된 상기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쇄교하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112)의 이동을 실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전원을 인가시 압전체의 변형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압전체를 이용한 피에죠 엑츄에이터(Piezo Actua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0)은 상기 렌즈(112)와 대응되는 상기 기판(130)의 상부면에 이미지 센서(140)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130)의 상부면과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하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140)는 상기 렌즈(112)를 통과한 입사광이 이미지를 결상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쉴드 케이스(120)는 상기 카메라 본체(110)에 대한 전자파 차폐를 실시 하는 차폐부재일 수 있다.
상기 쉴드 케이스(120)는 상부면에 상기 렌즈(112)와 대응되는 개구부(122)를 구비하고, 하부면에 상기 카메라 본체(110)가 삽입되는 삽입구(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케이스(120)는 외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체형 바디를 위해서 상기 쉴드 케이스(120)는 다이캐스팅되거나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케이스(120)는 다이캐스팅되어 구비될 때에는 다이캐스팅 성형이 용이한 재료를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아연(Zn)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케이스(120)는 그 외부면에 전기도금하여 일정두께를 갖는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금층은 솔더링시 신뢰성이 좋고, 전자파 차폐 효율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주석(Sn)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케이스(120)는 그 내부에 상기 카메라 본체(110)가 삽입배치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 하단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쉴드케이스(120)의 측면에 걸림홀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턱이 걸림홀에 끼워져 상기 쉴드케이스(120)가 상기 카메라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30)에 구비되는 접지단자(132)와 상기 쉴드 케이스(120)의 하단이 전도성 솔더(16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EMI 차폐 효율이 우수해지고, 낙하 등의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외부로부터 상기 카메라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의 경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카메라 본체(110)와 상기 쉴드 케이스(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부착되거나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쉴드 케이스(120)의 내부면을 따라 부착되는 테이프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50)는 그 횡단면에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횡단면이 갖는 외부테두리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틀을 유지하는 독립적인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150)는 신축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압축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 본체(110)와 상기 쉴드 케이스(12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150)로는 우레탄, 포론(PORON) 등의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되는 밀폐부재(150)는 상기 카메라 본체(110)와 상기 쉴드 케이스(120) 사이의 간격을 채우고, 상기 카메라 본체(110)의 측면을 감싸 이물이 카메라 본체(110)의 내부로 혼입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카메라 본체 120 : 쉴드 케이스
130 : 기판 140 : 이미지 센서
150 : 밀폐부재 160 : 전도성 솔더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 하단에 부착되고,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카메라 본체를 덮는 쉴드 케이스; 및
    상기 카메라 본체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채우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카메라 본체의 내부로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는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수용부와, 상기 렌즈를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을 따라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의 측면과 대응되는 상기 쉴드 케이스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그 횡단면이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횡단면이 갖는 외부테두리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신축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카메라 본체와 상기 쉴드 케이스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렌즈와 대응되는 개구부를 갖고, 하부면에 상기 카메라 본체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으며,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다이캐스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그 외부면이 도금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케이스는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접지단자와 전도 성 솔더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70067247A 2007-07-04 2007-07-04 카메라 모듈 KR10086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47A KR100867513B1 (ko) 2007-07-04 2007-07-0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247A KR100867513B1 (ko) 2007-07-04 2007-07-0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513B1 true KR100867513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247A KR100867513B1 (ko) 2007-07-04 2007-07-0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5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44B1 (ko) * 2008-12-10 2010-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07120B1 (ko) * 2009-01-07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6742A (ko) * 2009-12-11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24305A (ko) * 2011-08-31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8117429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341A (ja) 2003-09-05 2005-03-31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ケース構成用ケース
JP2005128375A (ja) 2003-10-27 2005-05-19 Fujinon Corp カメラハウジング
KR20060070495A (ko) * 2006-04-05 2006-06-23 장요셉 방수방습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
JP2006202565A (ja) 2005-01-19 2006-08-03 Smk Corp 電子部品のコネクタ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6341A (ja) 2003-09-05 2005-03-31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装置の生産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ケース構成用ケース
JP2005128375A (ja) 2003-10-27 2005-05-19 Fujinon Corp カメラハウジング
JP2006202565A (ja) 2005-01-19 2006-08-03 Smk Corp 電子部品のコネクタソケット
KR20060070495A (ko) * 2006-04-05 2006-06-23 장요셉 방수방습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44B1 (ko) * 2008-12-10 2010-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07120B1 (ko) * 2009-01-07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6742A (ko) * 2009-12-11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9258B1 (ko) * 2009-12-11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24305A (ko) * 2011-08-31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879661B1 (ko) * 2011-08-31 2018-07-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8117429A1 (ko) * 2016-12-23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405540B2 (en) 2016-12-23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157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4710605B (zh) 相机模块和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装置
JP533802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8958690B2 (en) Camera module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US9363424B2 (en) Camera module having a guide unit
KR100867513B1 (ko) 카메라 모듈
JP201119982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22961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5114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0904181B1 (ko)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20100103969A (ko) 카메라 모듈
KR100951293B1 (ko) 카메라 모듈
JP559578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90128852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72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115552877A (zh) 相机装置
KR20100112810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110030091A (ko) 카메라 모듈
KR20140089780A (ko) 카메라 모듈
KR101070004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1521B1 (ko) 카메라 모듈
KR100935993B1 (ko) 카메라 모듈
US20130162892A1 (en) Cog packag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00086235A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