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26A -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26A
KR20180092726A KR1020170018832A KR20170018832A KR20180092726A KR 20180092726 A KR20180092726 A KR 20180092726A KR 1020170018832 A KR1020170018832 A KR 1020170018832A KR 20170018832 A KR20170018832 A KR 20170018832A KR 20180092726 A KR20180092726 A KR 2018009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groove
sensor base
senso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726A/ko
Priority to CN202410024478.1A priority patent/CN117950248A/zh
Priority to US16/345,461 priority patent/US10969659B2/en
Priority to EP17867458.6A priority patent/EP3537703B1/en
Priority to CN202210451416.XA priority patent/CN114706261B/zh
Priority to PCT/KR2017/012285 priority patent/WO2018084584A1/ko
Priority to CN202410029658.9A priority patent/CN117950249A/zh
Priority to EP22155414.0A priority patent/EP4033301A1/en
Priority to CN201780067478.8A priority patent/CN109923849B/zh
Publication of KR2018009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26A/ko
Priority to US17/195,035 priority patent/US11513424B2/en
Priority to US18/050,291 priority patent/US117823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04N5/2253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 상기 센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 베이스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하면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함몰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최근에는 카메라 모듈에서 고성능 렌즈 기능(performance)가 요구됨에 따라 렌즈 및 렌즈 배럴의 직경이 커지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렌즈 배럴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렌즈 구동 장치와 센서 베이스의 접착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낙하 테스트(drop test) 또는 텀블 테스트(tumble test) 시에 렌즈 구동 장치의 탈거가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장치와 센서 베이스를 접착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강화되는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 상기 센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 베이스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하면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함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와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호간 이격되는 제1홈 및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홈의 반대편에 상기 제2홈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홈과 상기 필터 수용부 사이의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 각각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의 연장 길이는 상기 필터 수용부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 상기 센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 베이스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하면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낙하 테스트(drop test) 및 텀블 테스트(tumble test) 등에서 렌즈 구동 장치가 센서 베이스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된 상태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렌즈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함몰홈(33)은 '덴트(dent) 구조' 및 '덴트부'와 혼용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 타입 모듈(Active Align Type Module)은 이미지 센서(50), 인쇄회로기판(60) 및 센서 베이스(30)를 조립한 후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에 에폭시를 도포하고, 렌즈 구동 장치(10) 및 렌즈 모듈(20)의 조립품을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오토 포커싱, Auto Focusing) 공정을 통해 센서 베이스(30)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최근 트렌드가 고성능 렌즈 퍼포먼스(performance)를 요구하여 렌즈 모듈(20)의 직경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컴팩트(compact)한 렌즈 구동 장치(10)의 크기는 제한된 상태에서 렌즈 모듈(20)의 직경이 커져 센서 베이스(30)와 렌즈 구동 장치(10)의 접착 면적은 줄어 들고 있다. 특히, 렌즈 구동 장치(10)의 솔더링(soldering) 단자부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여 실제 접착 영역은 0.4 mm 이하가 된다.
비교예에서는 접착 면적이 협소함에 따라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AA epoxy)의 디스펜싱(dispensing) 공정에 리스크(과다 도포로 필터(40)에 유입, 도포량 저하로 접착력 저하) 발생의 위험이 있다. 또한, 낙하 테스트(drop test) 및 텀블 테스트(tumble test) 시 렌즈 구동 장치(10)가 탈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의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AA Epoxy) 도포 영역에 덴트(dent) 구조를 형성한 액티브 얼라인 공정 타입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센서(50), 인쇄회로기판(10) 및 센서 베이스(30)의 조립 후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에 에폭시를 도포한다. 이때,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는 반듯이 덴트(dent) 구조에 도포되어야 한다. 이후, 액티브 얼라인을 통하여 렌즈 구동 장치(10)를 장착 후 모듈을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top surface)에 덴트(dent) 구조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 도포면의 덴트 구조 적용에 따라 덴트부에 에폭시가 유입되어 렌즈 구동 장치(10)와의 접착 면적 증가로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의 접착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력 상승으로 낙하 및 텀블 테스트 후 렌즈 구동 장치(1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덴트 구조 미적용 시 렌즈 구동 장치(10) 분리 방지 방안으로 적용되던 렌즈 구도 장치(10) 외부 에폭시 추가 실링 공정은 생략(skip)될 수 있다. 나아가, 과다 도포로 인해 액티브 얼라인 에폭시이 필터(40)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사시도이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로 호칭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1),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에서 본체(1),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본체(1)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체(1)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는 카메라 모듈(3)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1)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1)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2) 및 카메라 모듈(3)이 배치되고 본체(1)의 타면(일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 모듈(3)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는 카메라 모듈(3)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본체(1)에서 카메라 모듈(3)이 배치된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는 카메라 모듈(3)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본체(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본체(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3)은 본체(1)의 일면 및 본체(1)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저면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장치(10), 렌즈 모듈(20), 센서 베이스(30), 필터(40), 이미지 센서(50), 인쇄회로기판(60), 커넥터(70), 접착제(80), 보호부재(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구동 장치(10), 렌즈 모듈(20), 센서 베이스(30), 필터(40), 이미지 센서(50), 인쇄회로기판(60), 커넥터(70), 접착제(80), 보호부재(90) 및 제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센서 베이스(3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기판(73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모듈(20)과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결합된 렌즈 모듈(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모듈(2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은 렌즈 및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은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20)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20)은 렌즈 구동 장치(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은 렌즈 구동 장치(10)의 보빈(21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은 보빈(2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은 보빈(210)과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렌즈 모듈(20)은 보빈(2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2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50)에 조사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인쇄회로기판(60) 및 렌즈 구동 장치(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내측에 이미지 센서(50)를 수용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사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몸체부(31) 및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센서 베이스(30)에서 몸체부(31) 및 지지부(3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이미지 센서(50)의 상측에 배치되는 관통홀(31a)을 갖는 몸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몸체부(31)의 외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는 이미지 센서(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1)에는 관통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의 외주에는 지지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1)의 상면에는 렌즈 구동 장치(1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몸체부(31)의 외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인쇄회로기판(60)에 대하여 몸체부(3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31)는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 및 이미지 센서(50)와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32)의 하면에는 2개의 돌기(32a)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의 하면에는 2개의 돌기(32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32a)는 지지부(3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a)는 인쇄회로기판(60)과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32a)는 인쇄회로기판(60)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60)의 홀 또는 홈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2)에 의해 센서 베이스(30)의 하면에 제3함몰부(37)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접착제(8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함몰홈(33)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접착제(8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접착제(80)는 함몰홈(33)을 따라 도포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필터 수용부(34)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으로부터 0.05 mm의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으로부터 0.03 내지 0.05 mm의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0.2 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0.2 내지 0.3 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3)은 제1홈(33a) 및 제2홈(33b)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홈(33)은 필터 수용부(34)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호간 이격되는 제1홈(33a) 및 제2홈(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3a) 및 제2홈(33b)은 필터 수용부(34)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3a) 및 제2홈(33b)은 상호간 이격될 수 있다. 제1홈(33a)은 필터 수용부(34)를 기준으로 제2홈(33b)의 반대편에 제2홈(33b)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홈(33a) 및 제2홈(33b)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홈(33a) 및 제2홈(33b) 각각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홈(33a) 및 제2홈(33b)의 연장 길이는 필터 수용부(34)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제1홈(33a)은 필터 수용부(34)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3a)은 제2홈(33b)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홈(33a)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홈(33a)과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1홈(33a)과 필터 수용부(34) 사이의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제1홈(33a)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홈(33a)의 연장 길이(도 7의 A 참조)는 필터 수용부(34)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도 7의 B 참조) 보다 길 수 있다.
제2홈(33b)은 필터 수용부(34)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3b)은 제1홈(33a)과 이격될 수 있다. 제2홈(33b)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홈(33b)과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의 거리는 제2홈(33b)과 필터 수용부(34) 사이의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제2홈(33b)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2홈(33b)의 연장 길이(도 7의 A 참조)는 필터 수용부(34)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도 7의 B 참조) 보다 길 수 있다.
변형례로, 홈(33)은 일자로 연장되지 않고 지그재그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33)은 곡률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홈(33)은 복수가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복수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로, 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이 아닌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홈(33)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 및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면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베이스(30)의 홈(33) 및 렌즈 구동 장치(10)의 홈(33)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이미지 센서(5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31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 중 관통홀(31a)의 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필터(40)가 배치되는 필터 수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4)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4)는 관통홀(31a)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4)에는 필터(4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34)는 필터(4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제1함몰부(35) 및 제2함몰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함몰부(35)는 센서 베이스(30)의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함몰부(35)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기판(730)의 단자(733)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함몰부(35)에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기판(730)의 단자(73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함몰부(36)는 센서 베이스(30)의 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함몰부(36)는 제1함몰부(37)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함몰부(36)의 폭은 제1함몰부(37)의 폭 보다 좁을 수 있다. 제2함몰부(36)는 함몰면, 및 함몰면과 센서 베이스(30)의 측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30)는 제3함몰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함몰부(37)는 센서 베이스(30)의 하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함몰부(37)에 의해 센서 베이스(30)의 몸체부(31)와 인쇄회로기판(6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에는 이미지 센서(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는 관통홀(31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는 센서 베이스(30)의 상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필터 수용부(34)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는 이미지 센서(50)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40)는 렌즈 모듈(20)과 이미지 센서(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는 센서 베이스(3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례로, 필터(4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베이스(500)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40)는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40)는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필터(40)는 적외선을 흡수하는 적외선 흡수 필터일 수 있다. 다른 례로, 필터(40)는 적외선을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 필터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인쇄회로기판(6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인쇄회로기판(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50)는 인쇄회로기판(6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50)는 인쇄회로기판(6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렌즈 모듈(2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50)의 광축과 렌즈 모듈(2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50)는 렌즈 모듈(20)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이미지 센서(5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5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센서(50)는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와이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60)과 통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센서 베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센서 베이스(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렌즈 구동 장치(10)과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에는 이미지 센서(50)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이미지 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과 렌즈 구동 장치(10) 사이에는 센서 베이스(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베이스(30)는 내측에 이미지 센서(5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10)에 결합된 렌즈 모듈(20)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60)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50)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렌즈 구동 장치(10)에 전원(전류)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60)에는 렌즈 구동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FPCB(6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60)은 이미지 센서(50)가 배치되는 강성의 PCB(Rigid PCB)와, 커넥터(70)와 강성의 PCB를 연결하는 FPCB(Flexible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70)는 카메라 모듈(3)을 외부의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센서 베이스(30) 및 렌즈 구동 장치(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하면 및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센서 베이스(30)의 함몰홈(33)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센서 베이스(30)의 함몰홈(33)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80)는 에폭시(epxoy)일 수 있다.
보호부재(80)는 기판(730)의 단자(733) 및 인쇄회로기판(60)에 도포될 수 있다. 보호부재(80)는 기판(730)의 단자(7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부재(80)는 에폭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변형례에 따른 센서 베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센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변형례에서 센서 베이스(30)는 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홈(3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홈(38)은 센서 베이스(3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38)은 접착제(8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접착제(80)는 홈(38)을 따라 도포될 수 있다. 홈(38)은 필터 수용부(34)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38)은 함몰홈(33)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38) 및 함몰홈(33)은 필터 수용부(34)의 둘레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홈(38)은 함몰홈(33) 보다 더 큰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38)은 제3홈 및 제4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 및 제4홈은 필터 수용부(34)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홈 및 제4홈은 상호간 이격될 수 있다. 제3홈은 필터 수용부(34)를 기준으로 제4홈의 반대편에 제4홈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홈 및 제4홈은 센서 베이스(30)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홈 및 제4홈 각각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3홈 및 제4홈의 연장 길이(도 7의 C 참조)는 필터 수용부(34)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도 7의 C 참조)와 대응할 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 장치를 대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8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저면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커버부재(100), 가동자(200), 고정자(300), 베이스(500), 탄성부재(600) 및 센싱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에서 커버부재(100), 가동자(200), 고정자(300), 베이스(500), 탄성부재(600) 및 센싱 유닛(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센싱 유닛(700)은 오토 포커스 피드백 기능을 위한 구성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커버부재(100)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재(1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만약, 커버부재(100)가 자성체로 구비되는 경우, 마그네트(320), 센싱 마그네트(710) 및 보상 마그네트(8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커버부재(100)의 자기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커버부재(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커버부재(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6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1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구동 장치(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커버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00)는 커버부재(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부재(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01) 및 측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01)과, 상판(101)의 외주(outer periphery)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재(100)는 베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측판(102)의 일부는 베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측판(102)의 하단은 베이스(500)의 단차부(435)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은 베이스(500)의 외측 측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은 베이스(500)에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60)의 상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가동자(200), 고정자(300) 및 탄성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버부재(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는 커버부재(100)의 상판(101)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0)는 상측으로 렌즈 모듈(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부(110)는 렌즈 모듈(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0)의 크기는 렌즈 모듈(20)이 개구부(11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2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0)를 통해 유입된 광은 렌즈 모듈(2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2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으로 획득될 수 있다.
가동자(200)는 카메라 모듈(3)의 일 구성인 렌즈 모듈(20)(단, 렌즈 모듈(20)은 렌즈 구동 장치(10)의 구성요소로 설명될 수도 있다)과 결합될 수 있다. 가동자(200)는 렌즈 모듈(2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가동자(200)의 내주면(inner periphery surface)에 렌즈 모듈(20)의 외주면(outer periphery surface)이 결합될 수 있다. 가동자(200)는 고정자(3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동자(200)는 렌즈 모듈(2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가동자(200)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동자(200)는 'AF 가동자'라 호칭될 수 있다. 다만, 본 기재가 가동자(200)를 오토 포커스 기능을 위해서만 이동하는 부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동자(200)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위해서도 이동할 수 있다.
가동자(200)는 보빈(210) 및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동자(200)에서 보빈(210) 및 코일(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관통홀(3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관통홀(311)에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빈(210)은 렌즈 모듈(2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20)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에는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외주면에는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상부는 상측 탄성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의 하부는 하측 탄성부재(62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관통홀(211), 코일 결합부(212), 상측 결합부(213) 및 하측 결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보빈(210)에서 관통홀(211), 코일 결합부(212), 상측 결합부(213) 및 하측 결합부(214)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관통홀(211)은 보빈(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1)은 상하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1)에는 렌즈 모듈(20)이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211)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211)에는 렌즈 모듈(2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과 보빈(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 열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코일 결합부(212)에는 코일(220)이 결합될 수 있다. 코일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일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결합부(212)에는 코일(2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코일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코일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결합부(212)에는 코일(220)이 권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코일 결합부(21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220)도 복수로 구비되어 코일 결합부(21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코일 결합부(212)는 상측 또는 하측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220)은 미리 권선된 상태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코일 결합부(2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탄성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탄성부재(610)의 내측부(6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보빈(2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는 상측 탄성부재(610)의 내측부(612)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는 내측부(612)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상측 탄성부재(610)를 열융착된 돌기와 보빈(210)의 상면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하측 결합부(214)는 하측 탄성부재(62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측 결합부(214)는 하측 탄성부재(620)의 내측부(622)와 결합될 수 있다. 하측 결합부(214)는 보빈(2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측 결합부(214)의 돌기는 하측 탄성부재(620)의 내측부(622)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부(214)의 돌기는 내측부(622)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하측 탄성부재(620)를 열융착된 돌기와 보빈(210)의 하면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보빈(210)은 센싱 마그네트(710)가 수용되는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는 보빈(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는 센싱 마그네트(710)를 수용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는 코일 결합부(212)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빈(210)은 보상 마그네트(800)가 수용되는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는 보빈(2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는 보상 마그네트(800)를 수용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는 코일 결합부(212)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는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와 보빈(2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마그네트 수용부(215)에 수용된 센싱 마그네트(710)와 보상 마그네트 수용부(216)에 수용된 보상 마그네트(800)의 자성이 대칭을 이룬다면, 센싱 마그네트(710)와 보상 마그네트(800) 사이에 전자기적 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센싱 마그네트(710)가 코일(220)과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코일(220)은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220)은 보빈(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220)은 보빈(210)에 직권선될 수 있다. 코일(220)은 마그네트(320)와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코일(220)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코일(220)과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코일(220)이 마그네트(32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코일(220)은 마그네트(3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코일(220)은 마그네트(3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빈(210)을 하우징(3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코일(2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의 코일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코일(220)은 상호간 이격되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20)은 상호간 이격되는 4 개의 코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코일은 이웃하는 2 개의 코일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보빈(2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220)은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일(220)의 한 쌍의 인출선은 하측 탄성부재(620)의 구분 구성인 제1하측 탄성유닛(620a) 및 제2하측 탄성유닛(6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코일(220)은 하측 탄성부재(6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코일(220)은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60), 기판(730) 및 하측 탄성부재(6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는, 코일(220)은 상측 탄성부재(6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고정자(300)는 가동자(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300)는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자(300)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자(30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가동자(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자(300)는 하우징(310) 및 마그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자(300)에서 하우징(310) 및 마그네트(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고정자(300)는 보빈(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300)는 코일(220)과 대향되게 위치하며 하우징(310)에 고정되는 마그네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보빈(2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보빈(210)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마그네트(32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탄성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상부에는 상측 탄성부재(61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하부에는 하측 탄성부재(6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커버부재(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0)은 베이스(5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310)이 생략되고 마그네트(320)가 커버부재(1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 내지 제4측부(301, 302, 303, 3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 내지 제4측부(301, 302, 303, 30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코너부(305, 306, 307, 30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호간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코너부(305, 306, 307, 30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 및 제2측부(301, 30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코너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2 및 제3측부(302, 303) 사이에 형성되는 제2코너부(3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3 및 제4측부(303, 304) 사이에 형성되는 제3코너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4 및 제1측부(304, 301) 사이에 형성되는 제4코너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720)는 제1코너부(305)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관통홀(311), 마그네트 결합부(312), 상측 결합부(313), 하측 결합부 및 센싱 유닛 수용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310)에서 관통홀(311), 마그네트 결합부(312), 상측 결합부(313), 하측 결합부 및 센싱 유닛 수용부(31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보빈(21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관통홀(311)에는 보빈(210)이 이동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관통홀(311)은 보빈(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311)의 외주면은 보빈(2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측부에 마그네트(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320)를 수용하는 마그네트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 결합부(312)는 마그네트(32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마그네트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측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그네트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탄성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313)는 상측 탄성부재(610)의 외측부(61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는 외측부(611)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는 외측부(611)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상측 탄성부재(610)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하측 탄성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결합부는 하측 탄성부재(620)의 외측부(621)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외측부(621)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외측부(621)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하측 탄성부재(6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하측 탄성부재(620)의 외측부(621)는 하우징(310)의 하면과 베이스(500)의 상면 사이에 삽입되어 가압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에는 센싱 유닛 수용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하우징(310)에 형성될 수 있다.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센서(7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기판(7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하우징(310)의 제1측부(301) 및 제1코너부(305)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하우징(310)의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유닛 수용부(315)는 제1코너부(30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720)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305)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코일(220)과 대향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의 마그네트 결합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하우징(3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코일(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코일(2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기판(740)의 몸체부(742)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21, 322, 323, 32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20)는 제1측부(301)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321)와, 제2측부(302)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322)와, 제3측부(303)에 배치되는 제3마그네트(323)와, 제4측부(304)에 배치되는 제4마그네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21, 322, 323, 324)는 상호간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21, 322, 323, 324)는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네트가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는 제3마그네트(323)와 하우징(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는 제4마그네트(324)과 하우징(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321)의 중심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305) 보다 제4코너부(308)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321)의 중심은 제4코너부(308)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322)의 중심은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305) 보다 제2코너부(306)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마그네트(322)의 중심은 제2코너부(306)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제3마그네트(323)의 중심은 하우징(310)의 제3코너부(307) 보다 제2코너부(306)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마그네트(323)의 중심은 제2코너부(306)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제4마그네트(324)의 중심은 하우징(310)의 제3코너부(307) 보다 제4코너부(308)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마그네트(324)의 중심은 제4코너부(308) 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4마그네트(321, 322, 333, 334) 및 센싱 유닛(700) 사이의 전자기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320)의 형상 및 배치구조를 통해 센싱 유닛(700)의 배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보빈(2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하우징(3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고정자(30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500)의 하측에는 인쇄회로기판(60)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인쇄회로기판(60)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50)를 보호하는 센서 베이스(30)를 대체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관통홀(510), 단자 수용부(520) 및 이물질 포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보빈(210)의 관통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의 관통홀(510)에는 필터(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500) 하부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30)에 필터(4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기판(730)의 단자(73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단자 수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520)는 기판(730)의 단자(73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520)는 베이스(50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520)에 수용된 단자(733)는 단자(733)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커버 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포집부는 베이스(500)의 상면 상에 위치하며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커버 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 상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보빈(210) 및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00)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하우징(310)에 대하여 보빈(2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베이스(500)에 대하여 보빈(2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하우징(310)의 상부와 보빈(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610)와, 하우징(310)의 하부와 보빈(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보빈(210)의 상부 및 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 탄성부재(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610)는 보빈(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보빈(210) 및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610)는 보빈(210)의 상부와 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610)는 보빈(210)을 하우징(3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610)는 외측부(611), 내측부(612) 및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610)는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1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12), 및 외측부(611)와 내측부(6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00)는 보빈(210)의 하부 및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탄성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보빈(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보빈(210) 및 하우징(310)과 결합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보빈(210)의 하부와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보빈(210)을 하우징(3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의 외측부(621)는 하우징(310)의 하면과 베이스(500)의 상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외측부(621), 내측부(622),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2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22), 및 외측부(621)와 내측부(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한 쌍으로 분리 구비되어 코일(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코일(220)의 일측 단부와 기판(7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하측 탄성유닛(620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탄성부재(620)는 제1하측 탄성유닛(620a)과 이격되며 코일(220)의 타측 단부와 기판(7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하측 탄성유닛(620b)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유닛(700)은 오토 포커스 피드백 기능을 위한 렌즈 모듈(20)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센싱 유닛(700)은 센싱 마그네트(710), 센서(720) 및 기판(7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센싱 유닛(700)에서 센싱 마그네트(710), 센서(720) 및 기판(7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보빈(2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보빈(2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720)는 하우징(310)에 위치하며 센싱 마그네트(710)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보빈(210)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센서(7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하우징(310)의 제1코너부(305)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제1코너부(305)와 제3코너부(30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인 제1가상선(도 10의 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보상 마그네트(800)와 대응하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보빈(2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코일(220)과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코일(2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는 4극 착자되어 홀 출력이 양수로 나오는 구간만 사용하도록 센서(720)와의 상대 위치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센서(720)는 센싱 마그네트(710)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720)는 제1코너부(305)와 제3코너부(30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인 제1가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가상선(L1) 상에 센서(720), 센싱 마그네트(710), 보상 마그네트(800) 모두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720)는 기판(730)에 실장될 수 있다. 센서(720)는 기판(730)의 연장부(731)에 실장될 수 있다. 센서(720)는 마그네트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Hall IC)로 구비될 수 있다.
홀 센서는 하우징(3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센싱 마그네트(710)는 보빈(210)에 고정되어 있다. 센싱 마그네트(710)가 보빈(210)과 함께 움직이면, 홀 센서와 센싱 마그네트(710)의 상대 위치에 따라 홀 센서 내부의 홀 소자가 감지하는 자속 밀도는 변화하게 된다. 홀 센서는 홀 센서와 센싱 마그네트(71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자속 밀도 값에 비례하는 홀 센서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렌즈 모듈(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기판(730)에는 센서(720)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73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센싱 유닛 수용부(315)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730)은 제1하측 탄성유닛(620a)에 의해 코일(220)의 일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730)은 제2하측 탄성유닛(620b)에 의해 코일(220)의 타측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기판(730)은 하측 탄성부재(620)를 통해 코일(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기판(730)은 하우징(310)의 측부에 접촉하는 몸체부(73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730)은 몸체부(73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단자(7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730)은 몸체부(732)로부터 절곡되어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센서(720)가 실장되는 연장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73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730)은 하우징(310)의 센싱 유닛 수용부(315)에 하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 기판(730)은 하우징(310)의 센싱 유닛 수용부(315)에 삽입된 상태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판(730)은 하우징(310)의 센싱 유닛 수용부(31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몸체부(732)는 하우징(3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연장부(731)는 하우징(3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몸체부(732)의 하측에 위치하는 단자(733)는 외부 구성과 통전을 위해 결합되기 용이하고, 연장부(731)의 내면에 실장된 센서(720)는 내측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710)를 높은 출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연장부(731)는 몸체부(732)로부터 절곡되어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731)에는 센서(720)가 실장될 수 있다. 몸체부(732)는 하우징(310)의 외측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몸체부(732)는 마그네트(320)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단자(733)는 몸체부(73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733)는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보상 마그네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센싱 마그네트(710)와 대응하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보빈(2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제1코너부(305)와 제3코너부(30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인 제1가상선(L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보상 마그네트(800)는 센싱 마그네트(710)와 보빈(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싱 마그네트(710)와 보상 마그네트(800) 사이에 전자기적 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센싱 마그네트(710)가 코일(220)과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설명한다. 코일(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220)과 마그네트(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코일(220)이 마그네트(3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코일(220)이 결합된 보빈(210)은 코일(22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렌즈 모듈(20)이 내측에 결합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50)에 대하여 렌즈 모듈(20)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절이 수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오토 포커스 피드백이 적용된다. 하우징(310)에 배치되는 센서(720)는 보빈(210)에 고정된 센싱 마그네트(710)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센서(720)와 센싱 마그네트(71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므로 센서(72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은 변화된다. 센서(72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빈(210)의 광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보빈(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보빈(2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오토 포커스 피드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를 오토 포커스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AF 모델로 설명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하우징(310)과 베이스(500)가 이격되고 측방 지지부재(와이어 또는 판스프링)가 하우징(310)을 베이스(5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베이스(500)의 상면에 OIS 코일부가 마그네트(320)와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과 함께 손떨림 보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렌즈 구동 장치 20: 렌즈 모듈
30: 센서 베이스 40: 필터
50: 이미지 센서 60: 인쇄회로기판
70: 커넥터 80: 접착제

Claims (6)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
    상기 센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 베이스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하면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함몰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관통홀의 둘레에 해당하는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필터가 배치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와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호간 이격되는 제1홈 및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필터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홈의 반대편에 상기 제2홈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홈과 상기 필터 수용부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제2홈은 상기 센서 베이스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 각각은 가상의 직선을 따라 곧게 연장되고,
    상기 제1홈 및 제2홈의 연장 길이는 상기 필터 수용부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2마그네트;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
    상기 센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상기 센서 베이스 및 상기 렌즈 구동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하면 및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 베이스는 상기 센서 베이스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0170018832A 2016-11-01 2017-02-10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92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32A KR20180092726A (ko) 2017-02-10 2017-02-10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CT/KR2017/012285 WO2018084584A1 (ko) 2016-11-01 2017-11-01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기기 및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US16/345,461 US10969659B2 (en) 2016-11-01 2017-11-01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EP17867458.6A EP3537703B1 (en) 2016-11-01 2017-11-01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CN202210451416.XA CN114706261B (zh) 2016-11-01 2017-11-01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CN202410024478.1A CN117950248A (zh) 2016-11-01 2017-11-01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CN202410029658.9A CN117950249A (zh) 2016-11-01 2017-11-01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EP22155414.0A EP4033301A1 (en) 2016-11-01 2017-11-01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CN201780067478.8A CN109923849B (zh) 2016-11-01 2017-11-01 双摄像头模块、光学装置及用于制造双摄像头模块的方法
US17/195,035 US11513424B2 (en) 2016-11-01 2021-03-08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US18/050,291 US11782329B2 (en) 2016-11-01 2022-10-27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832A KR20180092726A (ko) 2017-02-10 2017-02-10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26A true KR20180092726A (ko) 2018-08-20

Family

ID=6344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832A KR20180092726A (ko) 2016-11-01 2017-02-10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7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801A1 (ko) * 2020-08-26 2022-03-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WO2023096112A1 (ko) * 2021-11-25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801A1 (ko) * 2020-08-26 2022-03-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WO2023096112A1 (ko) * 2021-11-25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706261B (zh) 摄像头模块以及光学装置
CN113341525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装置
KR20190001299A (ko) 카메라 모듈
KR20220053538A (ko) 카메라 모듈
US11493725B2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US11143938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N116299950A (zh) 相机装置和光学设备
KR2017008375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38689A (ko)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3984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3395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81981A (ko)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9272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01083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8000778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2769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09098A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10325628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KR20180092720A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230367135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2017011103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03284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11373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80081978A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92725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