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00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004B1
KR101070004B1 KR1020090079654A KR20090079654A KR101070004B1 KR 101070004 B1 KR101070004 B1 KR 101070004B1 KR 1020090079654 A KR1020090079654 A KR 1020090079654A KR 20090079654 A KR20090079654 A KR 20090079654A KR 101070004 B1 KR101070004 B1 KR 10107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strate
camera module
prot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192A (ko
Inventor
이정윤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0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하도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일면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부; 및 상기 회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기판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을 오픈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이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가 도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보호부의 네 모서리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촬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개인휴대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개인휴대단말기란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장착된 PDA,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digital camera module)의 장착되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에는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부로 돌출되는 형상인 보스가 형성되고, 이러한 보스가 삽입되도록 기판에는 홀이 형성되어 하우징과 기판이 서로 결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스 결합에 의해서 서로 결속되는 하우징과 기판은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보스에 의해서 안정적인 결속이 유지되며, 흔들림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되는 보스가 하우징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의 측벽이 두껍게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다른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실장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피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하우징에 보스가 형성되지 않는 무보스 하우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무보스 하우징의 경우에도 외부의 충격이 발생되면 하우징의 유동이 발생되어 와이어 접속 불량 및 치수 불량이 발생되며, 이미지 센서를 하우징이 가리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종종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보스(bossless) 하우징을 사용하면서 하우징이 안정적으로 기판부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하도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일면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부; 및 상기 회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기판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을 오픈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이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가 도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보호부의 네 모서리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판부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피에스알(PSR:Photo Solder Regis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오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판부의 네 모서 리를 따라 오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이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가 도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이 장착되는 부분이 오픈된 보호부를 포함하므로 오픈된 공간에 장착된 하우징이 외부의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아 와이어 접속 불량 및 치수 불량과 하우징의 유동에 의해서 이미지 센서를 가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보스가 형성되지 않아 하우징의 측벽을 얇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하우징 내부의 실장 공간을 보다 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 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112), 하우징(114), 이미지 센서(116), IR 필터(118), 기판부(120) 및 보호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12)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며, 하나 이상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배열되는 중공 원통형에 해당하고, 그 상부면에는 광 투과를 위한 렌즈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렌즈 배럴(112)에 배치되는 렌즈들은 인접한 렌즈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 배럴(112)에 배치되는 렌즈들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원인가 시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 송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장과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서로 쇄교하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전원을 인가시 압전체의 변형에 의해 렌즈의 이동을 실현하는 압전체를 이용한 피에죠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12)은 하우징(114)에 결합되며, 결합되는 방법으로는 상기 렌즈 배럴(112)의 외부 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가 하우징(114)의 내부 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미도시). 그러나, 렌즈 배럴과 하우징의 결합 구조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4)은 상기 렌즈 배럴(112)과 결합되는 배럴수용 홈을 포함하며, 기판부(1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렌즈 배럴(112)의 외부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가 내부공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12)은 위치 고정된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렌즈와 더불어 이동되며, 렌즈와 이미지 센서(116) 간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초점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 중 적외선을 필터링할 수 있는 IR 필터(118)가 본딩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6)는 렌즈를 통하여 입사된 빛을 결상할 수 있도록 상부 면에 이미지 결상 영역을 구비하며,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촬상 소자이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16)는 기판부(120)의 상부 면에 와이어 본딩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은 와이어 본딩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120)는 상부에 장착된 이미지 센서(116)가 하우징(11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4)의 저면과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은 개인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카메라 촬영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부(120)의 상부면에는 이미지 센서(116)가 장착되는 부분에 보호부(130)가 형성되며, 하우징(114)과 기판부(120)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보호부(130)가 오픈될 수 있다.
보호부(130)는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피에스알(PSR:photo solder resist)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부(120) 상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로 영역에 반도체 소자 등을 탑재 시에 솔더링 부착에 따른 불필요한 부분에서의 솔더 부착을 방지하며 회로패턴의 표면회로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보호부가 피에스알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보호부(130)에서 오픈되는 간격은 하우징의 하부 단면적과 동일한 크 기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보호부(130)가 도포되지 않은 기판부(120)에는 하우징(114)의 저면이 접착된다.
이때, 접착된 하우징(114)의 내부 측면에는 보호부(130)가 밀착되며, 보호부(130)에 의해서 하우징(114)이 내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화살표).
또한, 하우징(114)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반대편의 하우징이 보호부(130)에 의해서 동일하게 유동이 방지되면서 자동적으로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4)이 장착되는 부분이 오픈된 보호부(130)를 포함하므로 오픈된 공간에 장착된 하우징이 외부의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우징(114)이 기판부(120)의 패드로 유동되어 발생되는 와이어 접속 불량 및 하우징(114)이 기판부(120) 상에서 틀어짐으로 발생되는 치수 불량과 이미지 센서(116)를 하우징이 가리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4)에 별도의 보스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하우징(114)의 측벽을 보다 얇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실장 공간을 보다 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호부(230)는 하우징(114)의 장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접착된 하우징(114)의 내부 측면에는 보호부(230)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보호부(130)가 하우징(114)이 내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화살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4)이 장착되는 부분이 오픈된 보호부(230)를 포함하므로 오픈된 공간에 장착된 하우징이 외부의 충격에도 유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우징(114)이 기판부(120)의 패드로 유동되어 발생되는 와이어 접속 불량 및 하우징(114)이 기판부(120) 상에서 틀어짐으로 발생되는 치수 불량과 이미지 센서(116)를 하우징이 가리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부(120) 상에 형성되는 보호부(330)는 네 코너가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는 도피부(332)를 포함한다. 도피부(332)에는 하우징(114)이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될 때에 접착제가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고 상기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한다(화살표).
따라서, 하우징(114)과 기판부(120)의 접착 시, 접착제가 도피부(332)에 의해서 기판부(120)의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므로 기판부(1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기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보호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 렌즈 배럴 114.... 하우징
120.... 기판부 130, 230, 330.... 보호부

Claims (6)

  1. 내부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하도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일면에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부; 및
    상기 회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기판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을 오픈하는 보호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이 접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제가 도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도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보호부의 네 모서리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판부 상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피에스알(PSR:Photo Solder Regis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에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오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부의 장착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단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판부의 네 모서리를 따라 오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KR1020090079654A 2009-08-27 2009-08-27 카메라 모듈 KR10107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54A KR101070004B1 (ko) 2009-08-27 2009-08-2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54A KR101070004B1 (ko) 2009-08-27 2009-08-27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92A KR20110022192A (ko) 2011-03-07
KR101070004B1 true KR101070004B1 (ko) 2011-10-04

Family

ID=4393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654A KR101070004B1 (ko) 2009-08-27 2009-08-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728A (ko) * 2012-07-25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97B1 (ko) * 2007-04-26 2008-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97B1 (ko) * 2007-04-26 2008-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92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421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KR101060951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JP546459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30127780A (ko) 카메라 모듈
KR20080019883A (ko) 칩 내장형 기판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JPWO2007096992A1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018253B1 (ko) 카메라 모듈
KR20080031570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792387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54606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00115161A (ko) 카메라 모듈
KR101070004B1 (ko) 카메라 모듈
JP607912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018154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1004958B1 (ko) 카메라 모듈
KR100992271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104269A (ko) 카메라 모듈
KR101470012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5569B1 (ko) 카메라 모듈
JP4883310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CN113574853B (zh) 相机模块
JP614598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51521B1 (ko) 카메라 모듈
KR101004873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20230053241A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