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728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728A
KR20140014728A KR1020120081462A KR20120081462A KR20140014728A KR 20140014728 A KR20140014728 A KR 20140014728A KR 1020120081462 A KR1020120081462 A KR 1020120081462A KR 20120081462 A KR20120081462 A KR 20120081462A KR 20140014728 A KR20140014728 A KR 2014001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key
window
support member
portable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언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728A/ko
Publication of KR2014001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투명한 스크린 영역을 가지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저면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 상기 홈키 어셈블리의 하측에 제공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을 덮어서 보호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러지는 홈키와,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A 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영상 및 음성 통화,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통화 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최신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휴대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과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에는 홈키라고 하는 버튼이 화면의 하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홈키를 누르면 모든 기능이 중단되고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게 된다.
도 1은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홈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홈키(1)는 지지 부재(2) 상에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재(2)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홈키(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는 윈도우(4)가 제공되고, 상기 윈도우(4)의 배면에는 액정 패널이 제공된다. 따라서, 액정 패널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윈도우(4)를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윈도우(4)에는 상기 홈키(1)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홈키(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홈키(1)의 상면은 상기 윈도우(4)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그러나, 종래의 홈키 어셈블리, 즉 홈키(1)와 지지 부재(2) 결합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홈키(1)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면(3)은 평평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홈키(1)의 저면과 상기 안착면(3) 사이에는 액상 접착제가 도포된다. 즉, 상기 액상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홈키(1)가 상기 안착면(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면(3)이 평평한 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액상 접착제가 상기 지지 부재(2)를 타고 흘러내려 내부의 다른 부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4)의 저면에는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영상이 출력되는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이 인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홈키(1)를 눌렀다 떼는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2)의 상면이 상기 윈도우(4)의 저면에 접촉되어 찌그덕거리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 필름의 긁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긁힌 부분을 통하여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새어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홈키의 조립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접착제의 흘러넘침 현상을 방지하고, 홈키의 누름 동작 과정에서 소음 발생 및 윈도우의 인쇄 필름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투명한 스크린 영역을 가지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저면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 상기 홈키 어셈블리의 하측에 제공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을 덮어서 보호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러지는 홈키와,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가 있다.
첫째, 홈키가 안착되는 면의 가장자리에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홈키를 부착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단턱부의 상면이 윈도우의 저면에 선접촉되므로 홈키를 누르는 동작 중에 지지 부재와 윈도우가 접촉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윈도우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 부재의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윈도우의 저면에 인쇄된 필름이 긁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그 결과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스크린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홈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홈키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10)는, 영상이 투시되는 투명한 스크린 영역을 가지는 윈도우(11)와, 상기 윈도우(11)의 배면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윈도우 프레임(12)과, 상기 윈도우 프레임(12)의 후방에 놓이는 액정 모듈(13)과, 내부에 상기 액정 모듈(13)을 수용하는 미들 프레임(14)과, 상기 미들 프레임(14)의 배면에 놓이는 회로 기판(15)과, 상기 회로 기판(15)을 지지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14)의 후면에 고정되는 리어 프레임(16)과, 상기 리어 프레임(16)의 내측에 형성된 홀에 끼워지는 배터리(17)와, 상기 배터리(17)를 덮어서 보호하는 백커버(18) 및 상기 미들 프레임(14)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홈키 어셈블리(20)는 상기 미들 프레임(14)의 하단부 영역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고, 상기 윈도우 프레임(12)과 상기 윈도우(11)의 하단부에도 상기 홈키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홈키가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홈키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20)는, 홈키(21)와, 상기 홈키(21)가 안착되는 지지 부재(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홈키(21)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누름 본체(211)와, 상기 누름 본체(211)의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단(2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22)는, 상기 홈키(21)가 안착되는 본체부(221)와, 상기 본체부(221)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단(222)과, 상기 본체부(221)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223) 및 상기 본체부(221)의 저면에 돌출되는 누름 돌기(224)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단(222)은 상기 본체부(221)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며, 내측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2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21)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되, 다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의 연속된 띠 형태로 상기 홈키(21)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둘러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홈키 어셈블리(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돌기(224)의 하측에는 회로 기판이 놓인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홈키(21)를 누르면 상기 누름 돌기(224)가 상기 회로 기판의 어느 지점을 눌러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홈키(21)를 눌렀음을 인식하여, 스크린 화면이 초기 화면(또는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 가도록 하거나, 현재 작동 중인 프로그램이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홈키(211)는 충격 강도가 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지지 부재(22)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홈키 어셈블리(2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의 내부에 조립되면, 상기 윈도우(11)의 상면과 상기 홈키(21)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자인에 따라서, 상기 홈키(21)의 상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함몰되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223)는 상기 홈키(21)의 연장단(212)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홈키(21)의 저면과 상기 본체부(221)의 상면, 즉 상기 홈키(21)가 안착되는 안착면 사이에는 액상의 접착제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접착제가 도포되더라도, 상기 단턱부(223)에 의하여 상기 접착제가 상기 지지 부재(22)의 상면을 따라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홈키 어셈블리(2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의 내부에 조립되면, 상기 단턱부(223)의 상면이 상기 윈도우(11)의 저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부(223)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단턱부(223)는 상기 윈도우(11)의 저면에 선접촉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즉, 상기 지지 부재(22)와 윈도우(11)간의 접촉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홈키(21)를 눌렀다 떼는 "클릭"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하던 찌그덕 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윈도우(11)의 저면에 인쇄된 필름이 상기 지지 부재(22)에 의하여 긁히는 현상도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상기 인쇄 필름이 긁히면서 발생하는 틈새를 통하여 상기 액정 모듈을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홈키 어셈블리(20)는 제 1 실시예의 홈키 어셈블리 구조와 동일하되, 단턱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22)의 상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단턱부(2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태로 절곡되는 종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부재(22)의 본체부(221)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홈키(21)의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홈키(21)의 연장단(212)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턱부(226) 구조에 의하면, 상기 홈키(21)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누설이 확실하게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투명한 스크린 영역을 가지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저면에 장착되는 홈키 어셈블리;
    상기 홈키 어셈블리의 하측에 제공되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을 덮어서 보호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러지는 홈키와,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홈키가 안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는,
    상기 윈도우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는 누름 본체와,
    상기 누름 본체의 하단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연장단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입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누름 본체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장단을 덮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81462A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단말기 KR20140014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62A KR20140014728A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62A KR20140014728A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28A true KR20140014728A (ko) 2014-02-06

Family

ID=5026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62A KR20140014728A (ko) 2012-07-25 2012-07-25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72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308A (ko) * 2007-06-12 2008-1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9339A (ko) * 2008-07-18 2010-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10022192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1250410A (ja) * 2011-05-25 2011-12-08 Toshiba Corp 電子機器
KR20120009272A (ko) * 2010-07-23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308A (ko) * 2007-06-12 2008-1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9339A (ko) * 2008-07-18 2010-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20110022192A (ko) * 2009-08-27 2011-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09272A (ko) * 2010-07-23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1250410A (ja) * 2011-05-25 2011-12-08 Toshiba Corp 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091B2 (en) Borderless ultra-thin slide phon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829733B2 (en) Mobile terminal
CN110581904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20060146486A1 (en) Compact display module
EP2720443B1 (en) Mobile terminal with light diffuser for a key
US20190335029A1 (en) Housing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ssembling Housing Assembly
KR20140111503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6716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thereof
US9088703B2 (en) Window for preventing camera distor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105072234A (zh) 移动终端按键结构、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控制方法
JP4795459B2 (ja) ボタンキー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210927687U (zh) 一种电子设备
KR20140040974A (ko) 이동 단말기
JP6051103B2 (ja) 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939293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14728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20104061A (ko)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KR20110028945A (ko)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전자기기용 케이스
JP2008182608A (ja) 携帯端末
CN111726431B (zh) 电子设备
CN217063780U (zh) 一种窄边框手机
KR201200007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8900667B (zh) 一种移动终端
CN202677014U (zh) 一种lcd模组
CN103299606B (zh) 便携式电子装置和保护便携式电子装置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