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314B1 - 근접센서 - Google Patents

근접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314B1
KR101277314B1 KR1020110077497A KR20110077497A KR101277314B1 KR 101277314 B1 KR101277314 B1 KR 101277314B1 KR 1020110077497 A KR1020110077497 A KR 1020110077497A KR 20110077497 A KR20110077497 A KR 20110077497A KR 101277314 B1 KR101277314 B1 KR 10127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light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485A (ko
Inventor
배병준
Original Assignee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3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는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부 상에 형성되는 발광렌즈부; 상기 발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된 후 입사되도록 상기 수광부 상에 형성되는 수광렌즈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조도감지부; 및 상기 발광렌즈부, 수광렌즈부 및 조도감지부가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발광렌즈부와 수광렌즈부 사이를 차폐하도록 차단벽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근접센서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의 수행은 물론, 인터넷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슬림화 되면서도 액정표시패널을 최대한 크게 하는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액정표시패널에서 터치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트 스크린이 주목을 받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의 입력 도구를 이용하여 액정표시패널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정보가 입력된다.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귀로 가져다 댄다. 이 경우, 사용자의 귀나 볼이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눌러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나 볼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스크린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69531(2010.06.24 공개)에는 근접센서가 포함된 휴대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근접센서에 근접이 감지되면 단말의 통화를 시작하고, 단말이 얼굴로부터 멀어지면 통화가 종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를 계속하려면 휴대용 단말기를 계속적으로 얼굴에 접촉시키거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근접센서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물체에서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구비한다. 근접센서는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점차적으로 소형화되고 있다. 근접센서가 소형화됨에 따라 발광부의 빛이 케이스의 틈새를 통해 수광부로 직접 전달되어 근접센서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부 상에 형성되는 발광렌즈부; 상기 발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된 후 입사되도록 상기 수광부 상에 형성되는 수광렌즈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조도감지부; 및 상기 발광렌즈부, 수광렌즈부 및 조도감지부가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발광렌즈부와 수광렌즈부 사이를 차폐하도록 차단벽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근접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조도감지부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도감지부와 수광부는 상기 수광렌즈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광렌즈부는, 상기 수광부와 조도감지부를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의 상면 중 상기 수광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부의 상면 중 상기 조도감지부의 상측에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광렌즈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의 상면은 케이스의 상면 또는 차단벽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렌즈부는,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돔 형태로 형성되는 수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발광렌즈부를 노출시키는 발광홀과, 상기 수광렌즈부와 조도감지부를 노출시키는 수광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홀과 수광홀의 내측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측으로 갈수록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의 차단벽 양측에는 상기 발광렌즈부와 수광렌즈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렌즈부의 상단 높이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렌즈부와 상기 수광렌즈부의 양측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조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의 상측에는 수광렌즈 측으로 연장되어 평면부의 일부를 덮도록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조도감지부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흡수하도록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케이스 내부에서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 측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근접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근접센서(100)는 인쇄회로기판(110), 발광부(120), 발광렌즈부(130), 수광부(140), 수광렌즈부(150), 조도감지부(160) 및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00)는 발광부(120)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140)에서 감지되고, 외부의 빛이 조도감지부(160)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0)에는 발광부(120), 수광부(140) 및 조도감지부(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선패턴(111)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면에는 발광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절연층(1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절연층(113)은 배선패턴(11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13)은 솔더레지스트일 수 있고, 솔더레지스트는 검은색을 띌 수 있다. 절연층(113)과 배선패턴(111)은 실질적으로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10)은 발광부(120), 수광부(140) 및 조도감지부(160)를 지지하는 지지체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0)의 타면에는 외부 인쇄회로기판 또는 전자부품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다수의 접속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113)은 발광부(120)에서 조사된 빛이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변에서 반사되어 수광부(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센서가 반사되는 빛에 의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외부 물체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20)는 적외선(infrared ray)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부(120) 상에는 발광렌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렌즈부(130)는 몰딩부(131)와 발광렌즈(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131)는 발광부(120)의 둘레와 상측을 커버하고, 발광렌즈(133)는 몰딩부(131)의 상면에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13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131)와 발광렌즈(133)는 발광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광성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131)와 발광렌즈(133)는 투광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발광렌즈부(130)의 몰딩부(131) 양측에는 돌출부(13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몰딩부(131)와 발광렌즈(133)와 동일한 투광성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발광렌즈부(13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근접센서 사이에 용융된 수지의 유동통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인쇄회로기판(110)의 둘레부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수광부(140)는 발광부(120)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수광부(140)는 발광부(120)에서 조사된 빛이 외부 물체에서 반사된 것을 수광할 수 있다. 수광부(140)는 발광부(120)에 의해 조사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감지센서일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는 발광부(120) 및 수광부(140)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는 가시광선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는 발광부(120)와 수광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는 발광부(120)와 수광부(140) 사이에 배치되므로, 근접센서(100)의 중심부나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도감지부(160)는 근접센서(100)를 기준으로 볼 때에 사방에서 빛이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는 조건을 갖는다. 결국, 조도감지부(160)는 조도의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조도감지부(160)가 발광부(120)와 수광부(140) 사이에 배치되므로, 수광부(140)는 발광부(120)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20)에서 조사된 빛이 외부 물체에 반사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광부(140)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광부(140)가 발광렌즈부(130)에서 조사되는 빛의 회절 및 발산 영향권에서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도감지부(160)는 발광부(120)에 가깝게 배치되지만, 발광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은 가시광선과는 파장 영역이 다르다. 따라서, 조도감지부(160)는 발광부(120)에서 조사된 적외선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수광렌즈부(150)는 발광렌즈부(130)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광렌즈(153)의 내부에는 조도감지부(160)와 수광부(140)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수광렌즈부(150)는 몰딩부(151)와 수광렌즈(153)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151)는 대략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151)와 수광렌즈(153)는 광투과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또한, 수광렌즈부(150)의 몰딩부(151)는 발광렌즈부(130)의 몰딩부(131)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수광렌즈부(150)의 몰딩부(151)는 수광부(140)와 조도감지부(160)를 커버할 수 있다. 몰딩부(151)의 상면 중 조도감지부(160)의 상측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에 대응되는 부분이 평면부(152)로 형성되므로, 몰딩부(151)의 평면부(152)는 발광렌즈부(130)의 상단 및 차단벽(220)의 상면보다 현저히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몰딩부(151)의 평면부(152)는 근접센서의 상면에서 함몰된 형태를 갖는다. 결국, 발광렌즈부(130)에서 조사되는 빛이 조도감지부(160)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152)는 외부의 빛이 직진하여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빛의 외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도감지부(160)는 조도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가시광선이 근접센서(100)의 사방에서 투과되어 조도감지부(160)에 입사될 수 있다. 조도감지부(160)는 실질적으로 수광렌즈부(150)의 몰딩부(131) 중 평면부(152)와,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조도감지부(160)는 조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외부 물체가 접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조도가 일정값 미만이면 외부 물체가 접근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수광렌즈(153)는 몰딩부(151)의 상면 중 수광부(140)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수광렌즈(153)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광렌즈부(150)의 몰딩부(151) 양측에는 돌출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5)는 몰딩부(151)와 수광렌즈(153)와 동일한 투광성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잇다. 돌출부(155)는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수광렌즈부(15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근접센서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는 유동통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5)는 기판의 둘레부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발광부(120), 발광렌즈부(130), 수광부(140), 수광렌즈부(150), 조도감지부(160)는 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근접센서(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케이스(200)는 발광렌즈부(130), 수광렌즈부(150) 및 조도감지부(160)가 각각 노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00)의 상면에는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가 각각 노출될 수 있도록 발광홀(230)과 수광홀(250)이 형성된다. 발광홀(230)은 발광렌즈(133)의 외면과 긴밀하게 면접촉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광홀(250)은 수광렌즈부(150)의 몰딩부(151)와 긴밀하게 면접촉되도록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는 발광홀(230)과 수광홀(250)에 의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하단부 양측에는 조립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립홈(211)은 상술한 돌출부(135,155)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어 돌출부(135,155)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홈(211)과 돌출부(135,155)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케이스(200)의 위치관계를 쉽고 명확하게 확정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 사이를 차폐시키도록 차단벽(22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220)은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 사이를 완전히 구획한다. 이러한 차단벽(220)은 발광부(120)에서 발광렌즈부(130)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수광렌즈부(150)로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발광홀(230)과 수광홀(250)은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가 삽입되도록 케이스(2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홀(230)과 수광홀(250)의 내측면(231,251)은 케이스(200)의 상면 측으로 갈수록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금형이 케이스(200)의 발광홀(230)과 수광홀(250)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 있다.
발광홀(230)의 내측면(231) 하단에는 발광홀(2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연장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홀(230)의 연장부(233)는 발광렌즈부(130)의 외측면과 긴밀하게 면접촉된다. 이러한 발광홀(230)의 연장부(233)는 발광홀(230)의 내측면(231)과 발광렌즈부(130)의 외측면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차단할 수 있다.
차단벽(220)은 발광부(120)와 수광부(140) 사이의 적외선의 이동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검은색 절연층(113)은 인쇄회로기판(110)의 일면에서 적외선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발광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케이스(200)의 내부를 통해 수광부(14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센서(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렌즈부(130)의 상단 높이(h1)는 케이스(200)의 상면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렌즈부(130)의 상단 높이(h1)는 차단벽(220)의 상면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이 수광렌즈부(150) 측에 직접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수광부(140)와 조도감지부(160)는 서브 인쇄회로기판(170)(110)에 같이 실장된 후 상기한 인쇄회로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물론, 수광부(140)와 조도감지부(160)는 상술한 인쇄회로기판(11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가 각각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260)과 제2수용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홈(260)과 제2수용홈(270)은 차단벽(220)에 의해 구획된다.
제1수용홈(260)과 제2수용홈(270)은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의 홈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홈(260)과 제2수용홈(270)은 발광렌즈부(130)의 발광렌즈(133)와, 수광렌즈부(150)의 수광렌즈(153) 및 평면부(152)의 대부분을 제외한 몰딩부(131)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차단벽(220), 제1수용홈(260) 및 제2수용홈(270)에 의해 발광렌즈부(130)와 수광렌즈부(150)의 둘레부와 일부 상면을 커버하므로, 케이스(200) 내부에서 발광부(120)에서 수광부(140) 측으로 적외선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벽(220)은 발광부(120)에서 적외선이 조사되는 영역과, 반사된 적외선이나 외부의 가시광선이 입사되는 영역을 구획한다. 따라서, 발광부(12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수광부(140)와 조도감지부(160)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여, 근접센서(100)가 오작동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광부(140)는 외부 물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조도감지부(160)는 외부의 가시광선을 감지하여 조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근접센서(100)는 적외선과 조도라는 2가지 인자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국, 2개의 인자 중에서 하나의 인자가 잘못 측정되더라도 나머지 인자를 측정하여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 비해 평면부의 일부가 폐쇄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단벽(220)의 상측에는 수광렌즈(153) 측으로 연장되어 평면부(252)의 일부를 덮도록 커버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32)는 조도감지부(160)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커버부(232)는 평면부(252)의 일부를 차폐하여 수광홀(230)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즉, 수광홀(230)의 크기가 감소되는 만큼 수광홀(230)의 차폐 면적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수광홀(230)이 작아지는 만큼 외부의 빛이 입사되는 평면부(252)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수광홀(230)이 일부만 차폐되더라도 조도감지부(160)에서는 조도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32)는 조도감지부(160)의 상측까지 연장되므로, 평면부(252)는 조도감지부(160)를 기준으로 차단벽(220) 측이 차폐되고 수광렌즈(153) 측이 외부에 노출된다. 즉, 평면부(252) 중에서 조도감지부(160)와 수광렌즈(153) 사이의 영역이 빛이 입사될 수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도감지부(160)는 평면부(252)의 일측(수광렌즈 측)에서 입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빛이 입사되는 공간은 수광홀(250) 중에서도 수광렌즈(253)와 커버부(232)의 끝단 사이의 공간이 된다. 결국, 조도감지부(160)에 빛이 입사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조도감지부(160)는 조도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인쇄회로기판 113: 절연층
120: 발광부 130: 발광렌즈부
133: 발광렌즈 140: 수광부
150: 수광렌즈부 131,151: 몰딩부
135,155: 돌출부 153: 수광렌즈
160: 조도 감지부 200: 케이스
211: 조립홈 220: 차단벽
230: 발광홀 250: 수광홀
260: 제1수용홈 270: 제2수용홈

Claims (15)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상기 발광부 상에 형성되는 발광렌즈부;
    상기 발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수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된 후 입사되도록 상기 수광부 상에 형성되는 수광렌즈부;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와 이격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조도감지부; 및
    상기 발광렌즈부, 수광렌즈부 및 조도감지부가 각각 노출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을 커버하고, 상기 발광렌즈부와 수광렌즈부 사이를 차폐하도록 차단벽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조도감지부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감지부와 수광부는 상기 수광렌즈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부는,
    상기 수광부와 조도감지부를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의 상면 중 상기 수광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광렌즈를 포함하는 근접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의 상면 중 상기 조도감지부의 상측에는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광렌즈는 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상면은 케이스의 상면 또는 차단벽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렌즈부는,
    상기 발광부를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돔 형태로 형성되는 발광렌즈를 포함하는 근접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발광렌즈부를 노출시키는 발광홀과, 상기 수광렌즈부와 조도감지부를 노출시키는 수광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홀과 수광홀의 내측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측으로 갈수록 확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차단벽 양측에는 상기 발광렌즈부와 수광렌즈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렌즈부의 상단 높이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렌즈부와 상기 수광렌즈부의 양측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조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상측에는 수광렌즈 측으로 연장되어 평면부의 일부를 덮도록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조도감지부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15. 제1항, 제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흡수하도록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이 더 포함되는 근접센서.
KR1020110077497A 2011-08-03 2011-08-03 근접센서 KR10127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497A KR101277314B1 (ko) 2011-08-03 2011-08-03 근접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497A KR101277314B1 (ko) 2011-08-03 2011-08-03 근접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85A KR20130015485A (ko) 2013-02-14
KR101277314B1 true KR101277314B1 (ko) 2013-06-20

Family

ID=4789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497A KR101277314B1 (ko) 2011-08-03 2011-08-03 근접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142B1 (ko) * 2012-11-14 2014-10-13 주식회사 루멘스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55076B1 (ko) * 2013-04-10 2014-10-27 주식회사 비에스이 근조도센서 일체형 음향 조립체
KR101457500B1 (ko) * 2013-05-08 2014-11-05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근접 조도 센서의 제작 방법
KR101600267B1 (ko) * 2013-10-16 2016-03-07 (주) 파트론 근접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2375B1 (ko) * 2014-01-07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2301953B1 (ko) * 2014-08-27 2021-09-15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모션 디바이스
KR102340777B1 (ko) * 2015-02-03 2021-1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센서
KR20160103415A (ko) 2015-02-24 2016-09-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근접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WO2017099351A1 (ko) * 2015-12-09 2017-06-15 (주)파트론 광학 센서 패키지
KR20200071423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9525A (ko)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아모텍 근접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베젤리스 전자장치
KR102258908B1 (ko) * 2019-08-27 2021-06-01 (주)드림텍 근조도 센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531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파지 인지 방법 및 장치
KR201000810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10199706A (ja) * 2009-02-23 2010-09-09 Sharp Corp 照度検知機能付き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28922A (ko) * 2009-09-14 2011-03-22 마루엘에스아이 주식회사 근접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531A (ko) * 2008-12-1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파지 인지 방법 및 장치
KR201000810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10199706A (ja) * 2009-02-23 2010-09-09 Sharp Corp 照度検知機能付き近接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28922A (ko) * 2009-09-14 2011-03-22 마루엘에스아이 주식회사 근접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485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314B1 (ko) 근접센서
KR102513436B1 (ko) 레인지 익스텐더 장치
KR101639997B1 (ko) 입력장치
CN109309738B (zh) 接近光传感器组件及电子设备
JP5829845B2 (ja) 表示器
CN108040148B (zh) 输入输出模组和电子装置
KR20110114865A (ko) 광포인팅 모듈 및 전자 장치
CN108023984B (zh) 输入输出模组和电子装置
JP2010086844A (ja) 傾斜センサ
KR20140135478A (ko) 모바일 장치용 지문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183984B (zh) 输入输出模组和电子装置
CN108494897B (zh) 电子装置
KR20150044506A (ko)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114708B1 (ko) 광학센서 패키지
JP5254156B2 (ja)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CN108023985B (zh) 电子装置
CN107945662B (zh) 显示屏、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1914542B1 (ko) 이미지센서 패키지
CN108200235B (zh) 输出模组和电子装置
KR101962236B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2114699B1 (ko) 광학센서 패키지
CN108093102B (zh) 电子装置
KR101450142B1 (ko)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778934B1 (ko) 지문센서 모듈
JP2013148393A (ja) 光学式測距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