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142B1 -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142B1
KR101450142B1 KR1020120129031A KR20120129031A KR101450142B1 KR 101450142 B1 KR101450142 B1 KR 101450142B1 KR 1020120129031 A KR1020120129031 A KR 1020120129031A KR 20120129031 A KR20120129031 A KR 20120129031A KR 101450142 B1 KR101450142 B1 KR 10145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signal
emitting
transparent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875A (ko
Inventor
조현용
김용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2012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1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8Details making use of sensor-related data, e.g. for identification of sensor or optical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66Field-of-view determination; Aiming or pointing of a photometer; Adjusting alignment; Encoding angular position; Size of the measurement area; Position tracking; Photodetection involving different fields of view for a single de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01L31/1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light source or sources being controlled by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e.g. image converters, image amplifiers or image storage devices
    • H01L31/145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light source or sources being controlled by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e.g. image converters, image amplifiers or image storage devices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하여,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 중 상기 대상물체에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Gesture sensor module and handhel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직접 터치하거나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6819호(2012.08.24.)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카메라와 같은 영상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영상센서는 전력소비가 커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관리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 중 상기 대상물체에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차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성 플레이트와 맞닿을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단부가 뾰족할 수 있다.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와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통과해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통과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 중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부는 돌출되어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와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와 결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부가 삽입되는 차단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홀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스쳐 센서 모듈은 방출부(30), 수신부(40) 및 차단부(50)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출부(30)는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체는 사용자가 제스쳐 센서 모듈을 통해 입력하고자하는 움직임이 있는 물체 또는 신체일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체는 사용자의 손일 수 있다.
이러한 방출부(30)는 대략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30)가 방출하는 신호는 적외선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넓게 퍼질수록 대상물체에 반사된 신호가 후술할 신호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스쳐 센서 모듈은 방출부(30)를 덮는 렌즈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31)는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를 방사형으로 넓게 퍼져 진행시킬 뿐만 아니라, 방출부(30)로 습기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부(31)는 합성수지재질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렌즈부(31)는 유리일 수도 있다.
수신부(40)는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대상물체에 반사될 수 있다. 이때, 대상물체에 반사되는 신호 중 일부는 수신부(40)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사용자의 손이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또는 +z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z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의 차이는 수신부(40)에 유입되는 신호의 차이로 귀결 지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강한 반사가 이루어지는 위치의 시간적 변화 등을 수신부(40)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특정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출부(30) 및 수신부(40)는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0)에 방출부(30)와 수신부(40)가 나란히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6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60)은 방출부(3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30)를 감싸는 별도의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60)의 중앙부근에는 신호가 방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우징(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30)가 실장되는 몰딩재일 수 있다. 여기서 몰딩재는 중앙부근에 원뿔대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 내에 방출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60)은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60)이 몰딩재인 경우, 몰딩재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30)가 안착되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방출부(30)가 안착되는 면이라 함은 몰딩재에 결합된 리드프레임의 상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출부(30)는 기판(20) 상에 직접 실장되고, 방출부(30)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시켜 전면(前面)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몰딩재(반사벽)는 방출부(30)를 감싸는 형태를 취하며 기판(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차단부(50)는 방출부(30)와 수신부(40) 사이에 구비되어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 중 대상물체에서 반사되지 않고 수신부(40)로 직접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도 1의 경로 d1과 같이 후술할 휴대용 기기의 투과성 플레이트(10), 예컨대 전면 유리에서 일부가 반사되어 수신부(40)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투과성 플레이트(10)를 통과하여 대상물체로 진행되지 않고 도 1의 경로 d2와 같이 투과성 플레이트(10) 내에서 마치 광섬유 내에서처럼 몇 번 반사가 이루어진 후 수신부(40)로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대상물체에서 반사되지 않고 수신부(40)로 입사되는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은 차단부(50)가 방출부(30)와 수신부(40) 사이에 구비되어 대상물체에서 반사되지 않고 수신부(40)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오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50)는 예컨대 사각기둥 형태의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스쳐 센서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나 모션감지장치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미관상 또는 내부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에 유리 등의 투과성 플레이트(1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투과성 플레이트(10)에서 일부가 반사되어 수신부(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50)는 방출부(30)나 수신부(40)보다 높을 수 있다. 예컨대, 차단부(50)는 +y방향으로 방출부(30)나 수신부(40)보다 높게 형성된 블록일 수 있다.
또한, 차단부(50)는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성 플레이트(10) 맞닿을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는 일반적으로 투과성 플레이트(10)에서 반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부(50)는 일단이 투과성 플레이트(10)에 접촉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타단이 기판(20)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차단부(50)는 경성의 재질인 경우 공차에 의해 투과성 플레이트(10) 방향으로 미세하게 예상 외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 시 차단부(50)에 의해 투과성 플레이트(10)가 프레임 등에 완벽하게 조립되지 않고 차단부(50)에 대응하는 부분이 들뜨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차단부(50)가 공차에 의해 요구되는 길이보다 짧다면 신호를 보다 완벽히 차단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투과성 플레이트(10)와 조립되기 전에는 투과성 플레이트(10)가 조립된 후 투과성 플레이트(10)의 하면이 위치할 부분보다 차단부(50)의 끝단이 약간 돌출되도록 하되, 차단부(50)가 탄성체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성 플레이트(10)가 완벽히 조립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조립시 투과성 플레이트(10)가 차단부(50)를 가압 압축시켜 완벽히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50)가 투과성 플레이트(10)와 밀착 접촉됨에 따라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를 보다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차단부(50)는 전체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그 끝단 부분만 탄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들에 의한 제스쳐 센서 모듈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나, 차단부(50)의 형상이 다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부(50)는 대상물체가 위치할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차단부(50)가 탄성체를 포함한다고 하더라도 그 폭이 상하부에 있어서 일정하다면, 투과성 플레이트(10)에 의해 압축될 때 옆으로 휘어 신호를 적절하게 차단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50)의 탄성력에 의해 투과성 플레이트(10)도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투과성 플레이트(10)가 받는 압력이 강하다면 투과성 플레이트(10)가 파손되거나 결합된 프레임 등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조립 과정에서 정위치에 조립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50)가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투과성 플레이트(10)가 받는 힘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단부(50)는 단면 형상이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평행사변형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차단부(50)가 아랫부분부터 윗부분에 이르기까지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이 아니라, 아랫부분의 폭은 일정하고 윗부분의 폭은 점점 좁아지는 것과 같이, 차단부(50)가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50)는 단부가 뾰족할 수 있다. 이처럼 차단부(50)의 단부가 뾰족하면, 투과성 플레이트(10)에 밀착하기 용이할 수 있다. 더욱이 탄성력에 의한 투과성 플레이트(10)로 가압하는 힘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투과성 플레이트(10)가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위험을 경감할 수 있으며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차단부(50)가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투과성 플레이트(10)에 접촉하면 단부가 힘을 받아 평행사변형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나, 차단부(50)가 하우징(6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단부(50)는 하우징(6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부(50)는 방출부(30)와 수신부(40) 사이에 구비되면서 하우징(6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부(50)는 하우징(60)과 투과성 플레이트(10)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우징(60)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단부(50)는 하우징(60)의 측면에서 투과성 플레이트(10)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50)는 하우징(6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60)은 보통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차단부(50)와 일체로 제작 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차단부(50)를 제조하는 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부(50)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탄성체로 형성된 끝단을 포함할 수 있고, 투과성 플레이트(10)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도 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투과성 플레이트(10), 메인보드(70) 및 제스쳐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쳐 센서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투과성 플레이트(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투과성 플레이트(10)는 경도가 강한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투과성 플레이트(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투과성 플레이트(10)에는 터치패널이나 디스플레이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메인보드(70)는 투과성 플레이트(10)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중앙처리장치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보드(70)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제스쳐 센서 모듈은 투과성 플레이트(10)와 메인보드(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스쳐 센서 모듈은 메인보드(70)에 실장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스쳐 센서 모듈은 투과성 플레이트(10) 하측에 위치하되, 메인보드(70)는 제스쳐 센서 모듈이 존재하는 곳까지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스쳐 센서 모듈과 메인보드(70)는 와이어 등의 도전성 매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투과성 플레이트(10)는 차단부(50)가 삽입되는 차단홀(11)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30)에서 방출된 신호는 투과성 플레이트(10) 내로 입사한 뒤 투과성 플레이트(10) 내에서 한차례 또는 마치 광섬유 내에서처럼 몇 차례 반사되다가 수신부(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과성 플레이트(10)는 차단홀(11)을 구비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가 수신부(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홀(11)만으로도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가 수신부(4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보다 완벽히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부(50)가 차단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홀(11)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투과성 플레이트(10)를 관통하지 않고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홀(11)의 저면과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외측면 사이의 투과성 플레이트(10) 내부를 따라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신호가 전달된 후 수신부(4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차단홀(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성 플레이트(10)를 관통할 수 있다.
차단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에서 투과성 플레이트(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단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차단부(50)는 신호를 보다 완벽히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홀(11)을 채우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차단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30)와 수신부(40)에 구비되고 하우징(60)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차단부(50)는 투과성 플레이트(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단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방출부(30)와 수신부(40)를 모두 감싸는 케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이 설명하고 도면에도 그와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방출부(30)와 수신부(40)를 감싸되 신호가 방출되도록 하는 개구와 신호가 입사하도록 하는 개구를 갖는 케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부(50)는 그러한 케이스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케이스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우징(60)이 수신부(40)의 적어도 일부 역시 감싸되 수신부(40)로 신호가 입사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를 갖는 것으로 변형된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과성 플레이트 20: 기판
30: 방출부 40: 수신부
50: 차단부 60: 하우징
70: 메인보드

Claims (15)

  1.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구비되고,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 중 상기 대상물체에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수신부를 제외하고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성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차단홀에 삽입되는, 제스쳐 센서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갖는, 제스쳐 센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단부가 뾰족한, 제스쳐 센서 모듈.
  6. 삭제
  7. 삭제
  8. 투과성 플레이트; 및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평평한 상면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통과해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통과해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 중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되지 않고 상기 수신부로 유입되는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수신부를 제외하고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상기 방출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부가 삽입되는 차단홀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상기 차단홀에 삽입되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대상물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부분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홀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129031A 2012-11-14 2012-11-14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5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31A KR101450142B1 (ko) 2012-11-14 2012-11-14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31A KR101450142B1 (ko) 2012-11-14 2012-11-14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75A KR20140061875A (ko) 2014-05-22
KR101450142B1 true KR101450142B1 (ko) 2014-10-13

Family

ID=508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31A KR101450142B1 (ko) 2012-11-14 2012-11-14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0830B2 (ja) * 2016-05-30 2020-10-21 ローム株式会社 受発光モジュール、電子機器および受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21608A (ko) * 2010-08-10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176819B1 (ko) * 2011-06-24 2012-08-24 광전자 주식회사 조도?근접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5485A (ko) * 2011-08-03 2013-02-14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근접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20021608A (ko) * 2010-08-10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176819B1 (ko) * 2011-06-24 2012-08-24 광전자 주식회사 조도?근접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5485A (ko) * 2011-08-03 2013-02-14 하이브모션 주식회사 근접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875A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5387B1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assembly,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8946620B2 (en) Proximity sensor device with internal channeling section
US8604436B1 (en) Proximity sensor device
CN108040155B (zh) 一种光敏组件及移动终端
KR101387731B1 (ko) 포인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971060B2 (e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ide-range ambient signals and ensuring proximity sensing accurac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77314B1 (ko) 근접센서
CN109309738B (zh) 接近光传感器组件及电子设备
CN106444997B (zh) 传感器组件、盖板组件以及移动终端
CN108769354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4933413A (zh) 指纹识别组件及移动终端
US20140084145A1 (en) Optical package with removably attachable cover
CN111190237B (zh) 红外光接近式传感器
US10004140B2 (en) Three-dimensional circuit substrate and sensor module using three-dimensional circuit substrate
CN109040362B (zh)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组装方法
KR20080043906A (ko) 초슬림 광포인팅 장치 모듈
KR101450142B1 (ko)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110280037A1 (en) Optical pointing module having lighting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14708B1 (ko) 광학센서 패키지
US201502764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high electrostatic protection
KR20150014133A (ko)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1872A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1048468A (ja)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電子機器
KR102114699B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1413595B1 (ko)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