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95B1 -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95B1
KR101413595B1 KR1020120133022A KR20120133022A KR101413595B1 KR 101413595 B1 KR101413595 B1 KR 101413595B1 KR 1020120133022 A KR1020120133022 A KR 1020120133022A KR 20120133022 A KR20120133022 A KR 20120133022A KR 101413595 B1 KR101413595 B1 KR 10141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sensor module
gesture sensor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934A (ko
Inventor
정보현
유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2013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9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하여,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제1평면에 배치된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지 않은 제2평면에 배치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Gesture sensor module and handhel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직접 터치하거나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카메라와 같은 영상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영상센서는 전력소비가 커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관리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제1평면에 배치된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지 않은 제2평면에 배치된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방출부가 기울어지도록 상기 방출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제1평면에 배치된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기 제1평면에 배치된 수신부와,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수신부가 결합되며 기판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지 않은 안착면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스쳐 센서 모듈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항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스쳐 센서 모듈과, 상기 제스쳐 센서 모듈이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투과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방출부가 상기 수신부보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평면과 멀어질 수 있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평면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평면과 멀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투과성 플레이트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한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부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를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가 배치된 배치평면이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와 평행하지 않은 제스쳐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평면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와 멀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방출부(21), 수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출부(21)는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체는 사용자가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통해 입력하고자하는 움직임이 있는 물체 또는 신체일 수 있다. 예컨대 대상물체는 사용자의 손일 수 있다.
이러한 방출부(21)는 대략 +x 방향과 +z 방향 사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21)는 +x 방향과 +z 방향 사이의 한 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퍼지도록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출부(21)에서 방출하는 신호는 예컨대 적외선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는 넓게 퍼질수록 대상물체에 반사된 신호가 후술할 신호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방출부(21)를 덮는 렌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미도시)는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를 방사형으로 넓게 퍼져 진행시킬 뿐만 아니라, 방출부(21)로 습기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부(미도시)는 합성수지재질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렌즈부(미도시)는 유리일 수도 있다.
수신부(22)는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는 대상물체에 반사될 수 있다. 이때, 대상물체에 반사되는 신호 중 일부는 수신부(22)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는, 사용자의 손이 +y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y 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또는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와 -x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의 차이는 수신부(22)에 유입되는 신호의 차이로 귀결 지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강한 반사가 이루어지는 위치의 시간적 변화 등을 수신부(22)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특정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방출부(21)와 수신부(22)의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면, 방출부(21)는 제1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신부(22)는 제1평면과 평해하지 않은 제2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평면은 xy평면이고, 제1평면은 제2평면과 평행하지 않고 기울어진 평면일 수 있다. 즉 제1평면과 제2평면은 상호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1평면과 제2평면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소정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21)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수신부(22)보다 상방에 있거나 하방에 존재할 수 있다. 제1평면은 수직한 벡터가 +x 방향과 +z방향의 사이로 진행될 수 있다. 제1평면의 기울어진 방향은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설치되는 위치나 기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어느 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설치되는 위치나 기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1평면과 제2평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부(22)가 +z 방향을 향하도록 제2평면에 배치되면, 방출부(21)는 +z방향을 향하며 동시에 +x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방향이란 xyz 방향이 모두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이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마주보지 않도록 제1평면과 제2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출부(21) 및 수신부(22)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방출부(21)는 인쇄회로기판에 기울어져 실장되고, 수신부(22)는 인쇄회로기판에 평행하게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3)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은 방출부(21)가 기울어지도록 방출부(21)를 감쌀 수 있다. 또한, 하우징(23)은 방출부(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쌓아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21)가 실장되는 몰딩재일 수 있다. 여기서 몰딩재는 중앙부근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 내에 방출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3)은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하우징(23)은 방출부(21)를 감싸는 별도의 케이스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23)의 중앙부근에는 신호가 방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3)이 몰딩재인 경우, 몰딩재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부(21)가 안착되는 면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방출부(21)는 몰딩재의 개구의 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몰딩재의 저면이 제1평면일 수 있다.
하우징(23)은 수신부(22)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수신부(22)가 안착되는 하우징(23)의 면이 제2평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나, 방출부(21) 및 수신부(22)가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3)은 방출부(21) 및 수신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3)의 어느 일면이 제1평면에 위치하고, 방출부(21) 및 수신부(22)는 하우징(23)의 어느 일면에 안착되어 제1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방출부(21) 및 수신부(22)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 리드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드프레임은 하우징(2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리드프레임이 제1평면에 위치하고, 방출부(21) 및 수신부(22)는 리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3)은 휴대용 단말기 등의 기기 등의 기판에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3)은 기판과 접촉하는 안착면(24)을 가지는데, 이 안착면(24)이 제1평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출부(21) 및 수신부(22)는 기기의 기판에 기울어져 실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방출부(21)가 기울어져 있어 대상물체로 다량의 신호를 방출할 수 있으므로 인식능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휴대용 단말기 등의 기기에 결합되는 것과 연관되는 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투과성 플레이트(10)와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성 플레이트(10)는 장축과 단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투과성 플레이트(10)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축은 +x 방향과 평행하며, 단축은 +y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투과성 플레이트(10)는 제2평면과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투과성 플레이트(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대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투과성 플레이트(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도 있다.
투과성 플레이트(10)는 부분적으로 특정 색으로 코팅될 수 있는데, 방출부(21)에서 방출되는 신호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20`)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투과성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어느 한 방향에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투과성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z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투과성 플레이트(1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어 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스쳐 센서 모듈(20)이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면, 투과성 플레이트(10)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투과성 플레이트(10)는 디스플레이 패널보다 클 수 있으므로, 모서리 부분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도록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휴대용 단말기의 송화부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스쳐 센서 모듈은(20)는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송화부에서 -y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양 측면에 배치되거나, 투과성 플레이트(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출부(21)에서 방출된 신호의 주 방출방향이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해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방출부(21)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로 신호를 주로 방출하면 많은 신호가 대상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부(22)를 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제스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방출부(21)는 다양의 신호를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21)가 배치되는 제1평면은 투과성 플레이트(10)와 평행한 제2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는데, 제1평면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 멀어질수록 제2평면과 멀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의 방출부(21)와 수신부(22)의 배치 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방출부(21)는 수신부(22)보다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는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축과 그 부근이라 할 수 있다.
또는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투과성 플레이트(10)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방출부(21)는 신호를 주로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해 방출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출부(21) 및/또는 수신부(22)를 감싸거나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투과성 플레이트(10)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센서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스쳐 센서 모듈(20)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방출부(21)와 수신부(22)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출부(21)와 수신부(22)가 배치되는 배치평면은 전술한 제1평면과 마찬가지로 투과성 플레이트(10)와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배치평면은 투과성 플레이트(10)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으며, 투과성 플레이트(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방출부(21)와 수신부(22)는 투과성 플레이트(10)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배치평면은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과성 플레이트(10)와 멀어질 수 있다. 즉, 방출부(21)는 신호의 주 방출방향이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수신부(22)도 반사된 신호를 보다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투과성 플레이트(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투과성 플레이트 20: 제스쳐 센서 모듈
21: 방출부 30: 수신부
23: 하우징 24: 안착면

Claims (10)

  1.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성 플레이트에 대해 기울어진 제1평면에 배치된 방출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에 평행한 제2평면에 배치된 수신부; 및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수신부가 결합되며,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출부가 안착되는 상기 개구의 저면이 상기 제1평면이고, 상기 수신부가 배치되는 면이 상기 제2평면인, 제스쳐 센서 모듈.
  2. 삭제
  3. 삭제
  4. 대상물체로 신호를 방출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투과성 플레이트에 대해 기울어진 제1평면에 배치된 방출부;
    상기 대상물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1평면에 배치된 수신부;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수신부가 결합되며, 상기 방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기판과 개구를 가지며, 기판과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평면과 평행하지 않은 안착면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평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방출부 및 상기 수신부가 결합되는 리드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출부가 안착되는 상기 개구의 저면이 상기 제1평면의 일부인, 제스쳐 센서 모듈.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상기 제스쳐 센서 모듈이 안착되는 기판;
    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방출부가 상기 수신부보다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1항의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상기 제스쳐 센서 모듈이 안착되는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면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평면과 멀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항의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상기 제스쳐 센서 모듈이 안착되는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방출부와 상기 수신부는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평면은 상기 투과성 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2평면과 멀어지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33022A 2012-11-22 2012-11-22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1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022A KR101413595B1 (ko) 2012-11-22 2012-11-22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022A KR101413595B1 (ko) 2012-11-22 2012-11-22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34A KR20140065934A (ko) 2014-05-30
KR101413595B1 true KR101413595B1 (ko) 2014-07-02

Family

ID=5089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022A KR101413595B1 (ko) 2012-11-22 2012-11-22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3059B1 (fr) * 2015-02-23 2017-02-17 Renault Sa Interface d’interaction comprenant un ecran tactile et un detecteur de proximi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3886A1 (en) 2002-12-11 2004-06-17 Lee Chia Hsiang Sensing structure for optic input
JP2006049546A (ja) * 2004-08-04 2006-02-16 Lite-On Technology Corp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0970B1 (ko) * 2011-08-19 2011-1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모션 감지 스위치
KR101176819B1 (ko) * 2011-06-24 2012-08-24 광전자 주식회사 조도?근접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3886A1 (en) 2002-12-11 2004-06-17 Lee Chia Hsiang Sensing structure for optic input
JP2006049546A (ja) * 2004-08-04 2006-02-16 Lite-On Technology Corp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6819B1 (ko) * 2011-06-24 2012-08-24 광전자 주식회사 조도?근접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0970B1 (ko) * 2011-08-19 2011-12-08 주식회사 하이소닉 모션 감지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34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017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05387B1 (en)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assembly,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10764414B2 (en) Display screen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8575537B2 (en) Compact multi-directio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US11075444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antenna
KR20190141474A (ko)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8912481B2 (en) Reflective display including an integral motion sensing switch
WO2019100971A1 (zh) 电子装置及传感器组件
US11177556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8073305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近距离光学感测模块
EP4020946A1 (en) Antenna fix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8761830B2 (en) Proximity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CN107885278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2600941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413595B1 (ko)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0209799B2 (en) Touch display system and touch operation device
CN107945662B (zh) 显示屏、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2624300B1 (ko) 인쇄 회로 기판 및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957428B (zh) 一种距离检测装置及终端
KR101550273B1 (ko) 비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KR102649194B1 (ko)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cross-talk 방지 구조
WO2020119414A1 (zh) 封装模组及终端设备
KR101450142B1 (ko) 제스쳐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EP3574632B1 (en) Sensor combination
CN107992162B (zh) 显示屏、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