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588A -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588A
KR20100035588A KR1020090087015A KR20090087015A KR20100035588A KR 20100035588 A KR20100035588 A KR 20100035588A KR 1020090087015 A KR1020090087015 A KR 1020090087015A KR 20090087015 A KR20090087015 A KR 20090087015A KR 20100035588 A KR20100035588 A KR 2010003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input device
push button
annular magne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484B1 (ko
Inventor
토모유키 와시즈
마사히로 아베
타케시 미야사카
마사유키 무로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2Energy stored by the attraction or repulsion of magnetic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과제
조작 부재의 기울어짐, 덜커덕거림을 방지함과 함께, 이상한 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박형이며 소형의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 수단
커버 플레이트(60)의 조작구멍(61)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50)와, 이 조작 부재(50)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50)의 변위에 의한 자기의 변화를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홀 소자(26)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50)가, 끼워 맞춤구멍(52) 내에 원환형상 마그넷(55)을 조립한 홀더(51)와, 하면에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원판 플레이트(58)를 일체화한 중앙 누름버튼(5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55)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56)을 끼워 맞춤함에 의해,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55)에 상기 원판 플레이트(58)를 분리 가능하게 흡착시켜서 상기 중앙 누름버튼(56)을 위치 규제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C, PDA,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외주부에 배설된 도전성의 복수의 가동 접촉부와, 저항체가 마련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범위에 배치된 복수의 절연 기판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가동 접촉부의 각각이 복수의 상기 저항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촉부가 이동하여, 상기 가동 접촉부가 상기 저항체에 대해 접촉면적을 가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는, 특허 문헌 1의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10)의 구멍(10d)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체(11)의 차양부(11b)가, 상기 구동체(10)의 구멍(10c) 내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2-6298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는, 상기 조작체(11)의 차양부(11b)를 구동체(10)의 구멍(10c) 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체(11)를 활주시켜서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차양부(11b)와 상기 구멍(10c) 사이에,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간극이 항상 존재한다. 이 결과, 입력 장치의 박형화나 소형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체(11)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고, 외부 진동 등을 원인으로 하는 이상한 음(異音)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전술한 연직 방향의 간극을 너무 작게 하면, 예를 들면, 몸체(12)에 외력이 부하된 때에 생기는 변형으로, 구동체(10)에 상기 조작체(11)가 가압되여,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또한, 조작체(11)의 기울어짐, 덜커덕거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동체(10)의 구멍(10d)의 높이 치수 및 조작체(11)의 차양부(11b)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함에 의해, 대향하는 활주 면적을 크게 하면, 박형화할 수가 없음과 함께, 조작체(11)의 연직 방향의 활주 동작에 의해 마모하기 쉬워지고,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입력 조작에 필요한 마그넷의 자력을 이용하여 조작 부재를 위치 규제함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의 기울어짐, 덜커덕거림을 방지함과 함께, 이상한 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박형이며 소형의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에 마련한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에 의한 자기의 변화를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가, 끼워 맞춤구멍 내에 원환형상 마그넷을 조립한 홀더와, 하면에 자성재(磁性材)로 이루어지는 원판 플레이트를 일체화한 중앙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끼워 맞춤함에 의해,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에 상기 원판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흡착시켜서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위치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원환형상 마그넷에 중앙 누름버튼의 원판 플레이트가 흡착하고, 상기 중앙 누름버튼이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중앙 누름버튼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이상한 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와 중앙 누름버튼과의 간극, 특히, 연직 방향의 간극을 최소 한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이며 소형의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중앙 누름버튼과 원판 플레이트를, 동일한 자성재로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적어지고, 생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입력 장치로서는, 하우징에 마련한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에 의한 자기의 변화를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가, 끼워 맞춤구멍 내에 원환형상 마그넷을 조립한 홀더와, 하면에 원판 플레이트를 일체화한 중앙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누름버튼과 원판 플레이트를 동일한 마그넷재로 일체 성형하고, 또한,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과 동일 극성으로 함과 함께,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끼워 맞춤함에 의해, 자기의 반발력으로 상기 조작 부재를 위치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환형상 마그넷에 원판 플레이트가 반발함에 의해, 중앙 누름버튼이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이상한 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입력 장치로서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를 자기의 변화로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를, 중앙 누름버튼의 외주면에 별체의 원환형상 마그넷을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조작구멍으로부터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킴과 함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을 분리 가능하게 흡착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원환형상 마그넷이 흡착하고, 상기 중앙 누름버튼이 위치 규제된다. 이 때문에, 중앙 누름버튼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이상한 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높음과 함께, 커버 플레이트와 중앙 누름버튼의 간극, 특히, 연직 방향의 간극을 최소 한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이며 소형의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부재의 중앙 누름버튼을, 원환형상 마그넷과 동일한 마그넷재로 일체 성형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부재의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내에 조립한 프린트 기판중, 중앙 누름버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중앙 누름버튼으로 복합적인 조작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 편리한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로서는, 전술한 입력 장치의 조작 부재를,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조립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누름버튼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이상한 음도 발생하지 않는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박형이며 소형의 입력 장치를 조립함에 의해, 더욱더 박형이며 소형의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0)과, 베이스(30)와, 위치 규제 스프링(40)과, 조작 부재(50)와, 커버 플레이트(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개략 사각형의 금속제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4구석에 코킹구멍(11)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대각선상에 치구구멍(治具孔)(12)을 마련하고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재치 가능한 개략 원형의 프린트 기판 본체부(21)로부터 리드부(22)를 연재한 것이다. 상기 프린트 기판 본체부(21)에는, 평면 개략 X자 형상의 돔 시트(23)가 접착 일체화되고, 그 중앙부에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4)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치구구멍(2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돔 시트(23)의 주변에는 홀 소자(26)가 실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드부(22)에는 제어용 IC(27)가 탑재되어 있음과 함께, 그 자유단부에 접속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개략 H자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피복 가능한 평면 사각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0)는, 그 표리면의 4구석에 코킹용 돌기(31)를 돌설하고 있는 한 편, 표리면에 형성한 오목개소(32a, 32b)의 구석에 후술하는 복귀 스프링을 걸어 맞춤하기 위한 관통 홈(3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오목개소(32a, 32b)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50)를 끼워 맞춤하기 위한 끼워 맞춤구멍(34)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끼워 맞춤구멍(34)의 외주 연부에 상기 홀 소자(26)에 끼워 맞춤하기 위한 노치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복귀 스프링(4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띠 모양재를 평면 개략 J자 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에 돌설한 걸어 맞춤돌기(41)를 상기 베이스(30)의 관통 홈(33)에 걸어 맞춤하여 위치 결정된다.
조작 부재(50)는, 원환형상 마그넷(55)을 조립한 홀더(51)와, 원판 플레이트(58)를 조립한 중앙 누름버튼(56)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51)는, 상기 베이스(30) 내에 위치 결정된 상기 복귀 스프링(40)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외경을 갖는 원판 형상이고, 그 중앙에 마련한 끼워 맞춤구멍(52)의 윗면 연부에 차양부(53)를 일체 성형하는 한편, 그 하면 연부에 고리형상 리브(54)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구멍(52)에 원환형상 마그넷(55)을 끼워맞춤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은 N극, S극을 내외, 상하, 또는, 전후 교대의 어느 하나로 배치하고 있다.
중앙 누름버튼(56)은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 내에 끼워맞춤 가능한 외경을 갖는 원주 형상이고, 그 저면에 조작용 돌기(57)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용 돌기(57)에는,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동심원형상의 원판 플레이트(58)를 끼워맞춤 일체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55) 내에 중앙 누름버튼(56)을 조립하면, 상기 원판 플레이트(58)가 원환형상 마그넷(55)에 분리 가능하게 흡착 일체화하고, 중앙 누름버튼(56)을 위치 규제한다.
커버 플레이트(60)는, 상기 베이스(30)를 피복 가능한 평면 개략 사각형의 금속제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상기 조작 부재(50)를 빠짐방지할 수 있는 직경의 조작구멍(61)을 갖음과 함께, 그 4구석에 코킹구멍(62)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치구구멍(12)에 도시하지 않은 치구인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홀 소자(26) 등을 실장하고, 또한, 이면(裏面)에 접착재를 도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20)의 치구구멍(25)을 상기 위치 결정 핀에 삽입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접착 일체화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코킹구멍(11)에 베이스(30)의 코킹용 돌기(31)를 끼워 맞춤하여 코킹 고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30)의 관통 홈(33)에 복귀 스프링(40)의 걸어 맞춤용 돌기(41)를 끼워 맞춤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홀더(51)의 끼워 맞춤구멍(52)에 원환형상 마그넷(55)을 끼워맞춤 일체화하는 한편, 상기 중앙 누름버튼(56)의 조작용 돌기(57)에 원판 플레이트(58)를 끼워맞춤 일체화한다. 그리고, 상기 원환 마그넷(55)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56)을 끼워 맞춤하고 조립함에 의해,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55)에 원판 플레이트(58)를 흡착 일체화시킨다.
계속해서, 베이스(30) 내에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한 복귀 스프링(40)의 사이 에, 상기 조작 부재(50)를 위치 결정하고, 그 고리형상 리브(54)를 베이스(30)의 끼워 맞춤구멍(34)에 끼워 맞춤하여 조립한다. 최후로, 상기 베이스(30)의 코킹용 돌기(31)에 커버 플레이트(60)의 코킹구멍(62)을 끼워 맞춤하고, 코킹 고정한다.
다음에, 전술한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조립한 경우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조작 부재(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동시키면, 이에 일체인 원환형상 마그넷(55)도 슬라이드 이동하고, 또는, 회동한다. 이 때문에, 홀 소자(26)가 자력의 변화를 검지하고, 이에 의거하여 조작 부재(50)의 이동량, 회동 방향,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의 화면 표시된 스크롤 바의 이동 또는 모니터 화면 표시를 상하 또는 좌우에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소망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중앙 누름버튼(56)을 누름에 의해,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4) 내의 반전 스프링이 반전하고, 대응하는 중앙 도전부를 도통시켜서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계속해서, 중앙 누름버튼(56)으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상기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4) 내의 반전 스프링이 복귀함과 함께, 조작 부재(50)가 복귀 스프링(40)의 스프링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부재(50)에서는, 중앙 누름버튼(56)에 일체화한 원판 플레이트(58)가, 홀더(51)에 일체화한 원환형상 마그넷(55)에 분리 가능하게 흡착 일체화한다. 이 때문에, 입력 장치를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 누름버튼(56)에 기울어짐이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고,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이상한 음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전술과 같은 부적합함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구성 부품을 높은 치수 정밀도로 제조,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고, 생산성이 향상하고, 수율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 형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누름버튼(56)과 원판 플레이트부(58a)를 자성재로 일체 성형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제 1,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원판 플레이트부(58a)의 극성을 원환형상 마그넷(55)과 동일한 극성으로 함에 의해, 그 반발력을 이용하여 중앙 누름버튼(56)을 위치 규제하고, 기울어짐, 덜커덕거림을 방지하여도 좋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누름버튼(56)에 원환형상 마그넷(55)을 일체에 조립하는 한편, 커버 플레이트(60)를 자성재로 형성하고,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55)을 흡착시키는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홀더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함과 함께, 입력 장치를 보다 한층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 4 실시 형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버튼(56)과 원환형상부(55a)를 일체 성형한 경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갯수, 조립공수가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함 과 함께, 입력 장치를 보다 한층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제 3,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플레이트(60)와 원환형상 마그넷 부(55a)를 동일한 극성으로 하고, 그 반발력을 이용하여 중앙 누름버튼(56)을 위치 규제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PC 등의 다른 전자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도 1의 A, B 및 C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의 A, B 및 C는 도 3에서 도시한 베이스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의 A, B 및 C는 도 3에서 도시한 복귀 스프링의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 7의 A, B 및 C는 도 1에서 도시한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단면도,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의 A, B 및 C는 입력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단면도,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의 A, B 및 C는 입력 장치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단면도,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의 A, B 및 C는 입력 장치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단면도,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4 :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 26 : 홀 소자
30 : 베이스 33 : 관통 홈
34 : 끼워 맞춤구멍 40 : 복귀 스프링
50 : 조작 부재 51 : 홀더
52 : 끼워 맞춤구멍 53 : 차양부
55 : 원환형상 마그넷 56 : 중앙 누름버튼
57 : 원판 플레이트 60 : 커버 플레이트

Claims (7)

  1. 하우징에 마련한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에 의한 자기의 변화를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가, 끼워 맞춤구멍 내에 원환형상 마그넷을 조립한 홀더와, 하면에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원판 플레이트를 일체화한 중앙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끼워 맞춤함에 의해,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에 상기 원판 플레이트를 분리 가능하게 흡착시켜서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위치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 누름버튼과 원판 플레이트를, 동일한 자성재로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하우징에 마련한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에 의한 자기의 변화를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가, 끼워 맞춤구멍 내에 원환형상 마그넷을 조립한 홀더와, 하면에 원판 플레이트를 일체화한 중앙 누름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누름버튼과 원판 플레이트를 동일한 마그넷재로 일체 성형하고, 또한,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과 동일 극성으로 함과 함께,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 내에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끼워 맞춤함에 의해, 자기의 반발력으로 상기 조작 부재를 위치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하우징을 구성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조작구멍 내에서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와, 이 조작 부재의 주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변위를 자기의 변화로 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부재를, 중앙 누름버튼의 외주면에 별체의 원환형상 마그넷을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기 조작구멍으로부터 상기 중앙 누름버튼을 조작 가능하게 노출시킴과 함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측에 상기 원환형상 마그넷을 분리 가능하게 흡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중앙 누름버튼을, 원환형상 마그넷과 동일한 마그넷재로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내에 조립한 프린트 기판중, 중앙 누름버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력 장치의 조작 부재를,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90087015A 2008-09-26 2009-09-15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70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7358 2008-09-26
JP2008247358A JP5098928B2 (ja) 2008-09-26 2008-09-26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88A true KR20100035588A (ko) 2010-04-05
KR101070484B1 KR101070484B1 (ko) 2011-10-05

Family

ID=4205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015A KR101070484B1 (ko) 2008-09-26 2009-09-15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43981B2 (ko)
JP (1) JP5098928B2 (ko)
KR (1) KR101070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937B1 (ko) * 2010-10-11 2012-06-1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30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EP3650961A1 (en) * 2013-06-11 2020-05-13 Apple Inc. An electronic watch having a rotary input mechanism
KR102035445B1 (ko) 2013-08-09 2019-10-22 애플 인크. 전자 시계
JP6226425B2 (ja) * 2014-01-31 2017-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
WO2015122885A1 (en) 2014-02-12 2015-08-20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CN105374609B (zh) * 2014-07-14 2018-12-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KR102414569B1 (ko) 2014-09-02 2022-06-29 애플 인크.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US20160172136A1 (en) * 2014-09-22 2016-06-16 Polara Engineering, Inc. Hall effect pushbutton switch
TWM502309U (zh) * 2015-02-03 2015-06-01 Apix Inc 可調式支架裝置
KR20160104950A (ko)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935A (ko)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체의 회전 인식부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515185B2 (ja) 2015-03-05 2019-05-1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方向依存光学特性を有する光学エンコーダを有する時計、手首装着型電子デバイス及びウェラブル電子デバイス
KR101993073B1 (ko) 2015-03-08 2019-06-25 애플 인크. 회전가능 및 병진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위한 압축성 밀봉부
US10018966B2 (en) 2015-04-24 2018-07-10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70023492A (ko)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디바이스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09560398U (zh) 2018-08-24 2019-10-29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578A (en) * 1983-01-13 1984-07-10 Atari, Inc. Finger control joystick utilizing Hall effect
EP0477098B1 (en) * 1990-09-18 1996-06-26 Fujitsu Limited Cursor displacement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display
DE69529978T2 (de) * 1994-12-28 2004-01-29 Idec Izumi Corp Dünne schaltvorrichtung und anzeigevorrichtung mit schalter
US5714980A (en) * 1995-10-31 1998-02-03 Mitsumi Electric Co., Ltd. Pointing device
JP2002091691A (ja) * 2000-09-20 2002-03-29 Nagano Fujitsu Component Kk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2007059A (ja) * 2000-06-27 2002-01-11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3954784B2 (ja) 2000-08-22 2007-08-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2149336A (ja) * 2000-11-09 2002-05-24 Nagano Fujitsu Component Kk 座標入力装置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JP4122045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6612404B2 (en) * 2001-05-25 2003-09-02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Contactless hall effect push button switch
ES1049932Y (es) * 2001-08-21 2002-06-01 Lorenzo Ind Sa Organo de mando multidireccional.
DE10212929A1 (de) * 2002-03-19 2003-10-02 Ego Elektro Geraetebau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EP1586983B1 (en) * 2003-01-20 2013-06-05 Asahi Kasei EMD Corporation Pointing device
JP4308559B2 (ja) * 2003-03-20 2009-08-05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入力キーパッド及びスライド入力スイッチ
JP4495525B2 (ja) * 2004-06-01 2010-07-0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4100409B2 (ja) * 2005-04-01 2008-06-1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55878B1 (ko) * 2006-02-22 2006-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US7417422B2 (en) * 2006-03-22 2008-08-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otary manipulation type input apparatus
JP4684217B2 (ja) * 2006-12-19 2011-05-18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9104877A (ja) * 2007-10-23 2009-05-14 Polymatech Co Ltd スライド操作型キーシート及びスライド操作型キースイッチ
JP5262254B2 (ja) * 2008-04-09 2013-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937B1 (ko) * 2010-10-11 2012-06-1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98928B2 (ja) 2012-12-12
US8143981B2 (en) 2012-03-27
JP2010080263A (ja) 2010-04-08
KR101070484B1 (ko) 2011-10-05
US20100079225A1 (en)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484B1 (ko)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2296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10040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8508511B2 (en) Inputting device
KR10093143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20290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533859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85291B1 (ko) 조작 입력 장치
KR20090122132A (ko) 입력 장치 및 해당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2010161020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51517B1 (ko)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10105866A (ko) 다방향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JP2010146805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64846A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端末機器
JP2009283402A (ja) シート状スイッチ
KR20100130338A (ko) 정보 입력 장치
JP2007250289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