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492A - 전자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492A
KR20170023492A KR1020150118709A KR20150118709A KR20170023492A KR 20170023492 A KR20170023492 A KR 20170023492A KR 1020150118709 A KR1020150118709 A KR 1020150118709A KR 20150118709 A KR20150118709 A KR 20150118709A KR 20170023492 A KR20170023492 A KR 2017002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ase
magnetic
magnetic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림
설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492A/ko
Priority to PCT/KR2015/009564 priority patent/WO2017034064A1/ko
Priority to US14/933,480 priority patent/US10095203B2/en
Publication of KR2017002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전자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자디바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마주하며,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제2 자성체; 상기 제2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상기 로터에 내장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이 제공하는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는 무선통신부; 그리고,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다른 전자기기 또는 다른 시스템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기기들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정보기기들은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상호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을 컨트롤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하나의 시스템이 다른 복수개의 시스템들을 컨트롤하거나, 복수개의 시스템들을 병합하여 복합적인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로터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로터의 회전을 소리 또는 빛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로터의 회전을 형상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마주하며,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제2 자성체; 상기 제2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상기 로터에 내장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이 제공하는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는 무선통신부; 그리고,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자성을 지니는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두개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자성을 지니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2 복수개의 자성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는, 페블(pebble)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일면이 오목한 쉘(shell)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터는 상기 쉘의 오목한 면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이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회전축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회전홈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직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싱크부; 그리고, 상기 회전홈의 상단 둘레에서 상기 회전홈의 직경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싱크부와 매칭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싱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에 내장되는 사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유닛은,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자성을 지니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의 자성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는 사운더(sound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운더는,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니는 복수개의 자성체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운더는, 자성을 지니는 제1 큐브, 그리고, 상기 큐브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2 큐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운더는, 자성을 지니는 볼, 그리고, 상기 볼과 다른 자성을 지니는 큐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에 내장되는 사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자성을 지니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의 자성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는 사운더, 그리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사운더에 고정되는 피봇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들; 그리고,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저항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저항의 변화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도트 또는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 커버되는 이너, 그리고,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아우터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는 비대칭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른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을 소리 또는 빛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을 형상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와 베이스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 배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운드 유닛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사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는 로터(100), 베이스(200), 그리고 자성체들(150,230)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터(100,rotor)는 베이스(200,base)와 함께 커플링(coupling)이 될 수 있다. 또는, 로터(100)는 베이스(200)와 함께 페어링(pairing)이 될 수 있다. 로터(100)는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한다 함은,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로터(100)와 베이스(200)의 커플링 또는 페어링은 베이스(200)가 로터(10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로터(100)는 하면 좌우측 또는 둘레에 경사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0)은 로터(100)의 하면이 테이퍼 되거나 라운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상면 좌우측 또는 둘레에 가이드면(2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210)은 베이스(200)가 전체적으로 쉘 또는 접시형상을 지니면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210)은 경사면(110)과 마주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하면 가이드면(210)이 로터(100)의 회전을 유지하도록 경사면(110)과 마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로터(100)와 베이스(200)의 커플링 또는 페어링은 영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로터(100)는 베이스(200) 상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떤 경우, 로터(100)는 베이스(200)로부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경우, 로터(100)는 베이스(200) 상에 놓여지면서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될 수 있다.
자성체들(150,230)은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들(150,230)은 로터(100)와 베이스(200)의 커플링 또는 페어링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로터(100)가 구비하는 자성체(150)와 베이스(200)가 구비하는 자성체(2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100)가 구비하는 자성체(150)가 N극을 지니는 경우, 베이스(200)가 구비하는 자성체(230)는 S극을 지닐 수 있다. 로터(100)가 구비하는 자성체(150)는 제1 자성체일 수 있고, 베이스(200)가 구비하는 자성체(230)는 제2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자성체(150)와 제2 자성체(230)의 극성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제1 자성체(150)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상에 위치할 수 있다.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제1 자성체(150)가 위치한다 함은, 로터(100)가 제1 자성체(15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자성체(150)는 로터(100)와 베이스(200)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베이스(20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200)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함은, 제1 자성체(150)의 자기력이 베이스(200)에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자성체(230)는 베이스(200)의 대략 센터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200)의 센터는, 로터(100)의 회전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베이스(200)가 로터(1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되어 베이스(200)가 회전할 때, 베이스(200)의 센터는 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일 수 있다. 제2 자성체(230)는 제1 자성체(150)와 다른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고, 커플링 또는 페어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되,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100)는 돌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200)와 마주하는 로터(10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터(100)의 면은 로터(100)의 하면일 수 있다.
베이스(200)는 함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220)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대응하는 베이스(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220)는 로터(100)와 베이스(200)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돌출부(120)가 끼워지도록 베이스(200)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20)는 로터(100)와 마주하는 베이스(20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의 면은 베이스(200)의 상면일 수 있다.
제1 자성체(150)는 돌출부(120)에 인접하여, 제2 자성체(230)는 함몰부(22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자성체(150)는 여전히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자성체(230)는 여전히 제1 자성체(150)와 마주하도록 베이스(2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고, 커플링 또는 페어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회전축이라 할 수 있고, 함몰부(220)는 회전홈이라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되,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100)는 함몰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함몰부(125)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25)는 베이스(200)와 마주하는 로터(10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로터(100)의 면은 로터(100)의 하면일 수 있다.
베이스(200)는 돌출부(225)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225)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대응하는 베이스(2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225)는 로터(100)와 베이스(200)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돌출부(225)가 끼워지도록 베이스(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5)는 로터(100)와 마주하는 베이스(200)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의 면은 베이스(200)의 상면일 수 있다.
제1 자성체(150)는 함몰부(125)에 인접하여, 제2 자성체(230)는 돌출부(225)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자성체(150)는 여전히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자성체(230)는 여전히 제1 자성체(150)와 마주하도록 베이스(2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었을 때,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고, 커플링 또는 페어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돌출부(225)는 회전축이라 할 수 있고, 함몰부(125)는 회전홈이라 할 수 있다.
도 4는 로터와 베이스의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베이스가 일정각도 회전한 상태의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로터(100)는 회전축(123)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123)은 로터(100)의 하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123)은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로터(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3)은 로터(100)의 바닥면이 양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27)를 구비할 수 있다. 로터(100)의 바닥면의 양측이라 함은, 로터(100)의 바닥면의 둘레를 의미할 수 있다. 걸림부(127)는 회전축(123)의 바텀에 원형의 플레이트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걸림부(127)는 회전축(1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회전축(123)이 삽입되는 회전홈(223)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홈(223)은 베이스(20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회전홈(223)의 양측에서 베이스(200) 내부로 더 파고 들어가는 걸림홈(227)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홈(223)의 양측은, 회전홈(223)의 바텀 또는 베이스(200) 상면의 둘레를 의미할 수 있다. 걸림부(127)와 걸림홈(227)의 결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로터(100)의 회전중심과 베이스(200)의 회전중심은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로터(100)의 회전축(123)은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질 수 있다. 로터(100)의 회전축(123)이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질 수 있는 각도 또는 지점은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도 4를 참조하면, 로터(100)의 회전축(123)이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질 수 없고, 도 5를 참조하면, 로터(100)의 회전축(123)이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도 5의 상태에서 로터(100)의 회전축(123)이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질 수 있고, 로터(100)가 회전하면 도 4의 상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로터(100)는 베이스(200) 상에 회전할 수 있지만, 걸림부(127) 및 걸림홈(227)에 의해 베이스(200)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의 상태에서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을 하다가, 도 5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로터(100)는 베이스(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1 자성체(150) 및 제2 자성체(230)는 로터(100)가 도 5의 상태에서 베이스(20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자성체(150) 및 제2 자성체(230)는 로터(100)가 베이스(200)에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된 이후, 로터(100)의 회전 중에 베이스(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로터(100)의 측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7은 로터(100)의 평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로터(100)는 회전축(A1,123), 이너(A2,134,inner), 아우터(A3,132,outer), 그리고 돔(130,dom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A2,134)는 로터(10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A2,134)는 베이스(2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너(A2,134)는 로터(100)의 회전시 베이스(200)의 상면과 마주할 수 있다. 이너(A2,134)의 양단 또는 둘레에 경사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A1,123)은 이너(A2,134)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너(A2,134) 및 회전축(A1,123)은 로터(100)의 회전중심에서 좌우 대칭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A3,132)는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할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아우터(A3,132)는 이너(A2,134)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A3,132)는 이너(A2,134)와 함께 전체적으로 보울(bowl)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A3,132)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서 좌우비대칭일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할 때, 아우터(A3,132)가 로터(100)의 회전중심에서 좌우비대칭을 형성하면 로터(100)의 회전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우터(A3,132)의 비대칭영역(133)은 아우터(A3,132)의 외부로 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돔(130)은 아우터(A3,132)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돔(130)은 아우터(A3,132)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고,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돔(130)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돔(130)은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돔(130)은 디스플레이부(11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돔(130)이 입력부(1120)와 출력부(1150)를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은 로터(100) 하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버튼(140), 제1 단자(142), 제2 단자(146), 제1 자성체(150), 제3 자성체(152,154,156,158), 걸림부(127), 그리고 싱크부(127a)를 나타낸다. 버튼(140)은 로터(100)의 하면, 즉 이너(A2,13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버튼(140)은, 예를 들면, 리셋(reset)기능을 수행하거나, 로터(100)와 베이스(200)의 커플링 또는 페어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단자(142) 및 제2 단자(146)는 로터(100)의 하면, 즉 이너(A2,13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단자(142)는 복수개의 전극들(14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자(146)는 복수개의 전극들(148)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단자(142) 또는 제2 단자(146)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단자(142) 또는 제2 단자(146)는 로터(100)의 충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단자(142)와 제2 단자(146)가 함께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거나, 제1 단자(142)와 제2 단자(146)가 각각이 위와 같은 기능을 분할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자성체(150)는 로터(100)의 회전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자성체(150)는 회전축(A1,123)의 센터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자성체(150)가 로터(100)의 회전중심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자성체(150)는 N극 또는 S극의 자성을 지닐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제1 자성체(150)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제1 자성체(150)의 둘레에서 제1 자성체(150)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4개가 구비될 수 있고, 4개의 제3 자성체들(152,154,156,158)은 제1 자성체(150)의 상하좌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제1 자성체(150)와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고, 다른 극성을 지닐 수도 있다. 복수개의 제3 자성체들(152,154,156,158)은 각각이 같은 극성을 지닐 수 있다.
걸림부(12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축(A1,123)이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걸림부(127)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싱크(sync)부(127a)가 형성될 수 있다. 싱크부(127a)는 걸림부(127)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싱크부(127a)는 걸림부(127)의 일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양측에서 돌출될 수도 있다. 싱크부(127a)는 후술할 베이스(200)의 싱크홈(227a)과 매칭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2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이스(200)는 로터(100)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로터(100)의 이너(A2,134)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전체적으로 넓적한 접시 또는 쉘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200)는 로터(100)의 이너(A2,134)에 형성된 경사부(110)와 마주하는 가이드면(210)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중앙에 회전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홈(223)의 깊이는 회전축(A1,123)의 길이와 매칭될 수 있다. 회전홈(223)의 하부 둘레에 걸림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227)에서는 앞서 설명한 로터(100)의 걸림부(127)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는 회전홈(223)의 일측의 상부가 개방된 싱크홈(227a)을 구비할 수 있다. 싱크홈(227a)은 회전홈(22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회전홈(223)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싱크홈(227a)은 로터(100)의 싱크부(127a)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에 끼워지는 영역이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반대로 설명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이탈될 수 있는 영역이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아우터(A3,132)의 비대칭영역(133)은 싱크부(127a) 및 싱크홈(227a)과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에 삽입되어 끼워지기 위한 표시를 아우터(A3,132)의 비대칭영역(133)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와 베이스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로터(100)가 베이스(200)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 및 13은 로터(100)가 베이스(200)에 끼워져서 약 9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로터(100)는 베이스(20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회전축(A1,123)은 회전홈(223)에 정렬될 수 있다. 이는 제1 자성체(150)가 제2 자성체(230)와 마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싱크부(127a)는 싱크홈(227a)과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로터(100)의 비대칭영역(133)은 싱크부(127a)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6)는 제4 자성체(232,236)와 마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자성체(232,236)는 제2 자성체(23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자성체(232,236)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자성체(232,236)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4 자성체들(232,236)은 제2 자성체(230)와 서로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체(230) 및 2개의 제4 자성체들(232,236)은 S극의 자성을 지닐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체(150) 및 제3 자성체(152,156)는 서로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제1 자성체(150) 및 제3 자성체(152,156)는, 예를 들어, N극의 자성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는 베이스(200)에, 베이스(200)는 로터(100)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의 상부에서 베이스(200)에 가까워지면 자력이 작용하여 로터(100)와 베이스(200)간의 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로터(100)는 베이스(200)에 끼워져서 약 90도 정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3 자성체(152,156)는 제5 자성체(234,238)와 마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5 자성체(234,238)는 제2 자성체(230)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자성체(234,238)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자성체(234,238)는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5 자성체들(234,238)은 2개의 제4 자성체(232,236)와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제5 자성체들(234,238)은 2개의 제4 자성체(232,236)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제5 자성체들(234,238)은 제2 자성체(230)와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체(230)가 S극을 지니는 경우, 2개의 제5 자성체들(234,238)은 N극의 자성을 지닐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체(150) 및 제3 자성체(152,156)는 서로 동일한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제1 자성체(150) 및 제3 자성체(152,156)는, 예를 들어, N극의 자성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성체(150)와 제2 자성체(230)는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3자성체들(152,156)과 2개의 제5자성체들(234,238)은 서로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척력의 크기는 인력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로터(100)의 회전축(A1,123)이 베이스(200)의 회전홈(223)에 끼워져서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하여, 로터(100)의 회전은 인력 및 척력을 받으며 계속될 수 있다. 즉, 로터(100)가 베이스(200)로부터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자기부상효과를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기부상효과는 로터(1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번 회전을 시작한 로터(100)는 초기보다 작은 힘으로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100) 배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이너(134), 회전축(123), 제1 자성체(150), 제3 자성체(152,154,156,158), 그리고 홀센서(1143)를 나타낸다. 홀센서(1143)는 제3 자성체(152,154,156,158)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자성체(152,154,156,158)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홀센서(1143)는 복수개의 제3 자성체들(152,154,156,158)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홀센서(1143)는 제4 자성체(232) 및 제5 자성체(234)에 의한 극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할 때, 제3 자성체(152,154,156,158)는 제4 자성체(232) 또는 제5 자성체(234)와 마주할 수 있다. 제4 자성체(232)는 제5 자성체(234)와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닐 수 있고, 이에 따라 극성의 변화가 홀센서(114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로터(100)와 베이스(200)가 결합된 상태로, 제1 자성체(150), 제2 자성체(230), 제3 자성체(152), 제4(232) 또는 제5 자성체(234), PCB(99), 홀센서(1143), 전원공급부(1190), 그리고 사운드 유닛(300)을 나타낸다.
PCB(99)는 로터(100)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PCB(99)는 베이스(2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홀센서(1143)는 PCB(99)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홀센서(1143)는 제4(232) 또는 제5 자성체(23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홀센서(1143), 그리고 제4 자성체(232)가 일렬로 정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홀센서(1143), 그리고 제5 자성체(234)가 일렬로 정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렬로 정렬된다 함은,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할 때,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멈추었을 때,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운드 유닛(300)은 로터(100)에 내장될 수 있다. 사운드 유닛(300)은 베이스(200)의 제4 자성체(23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유닛(300)은 베이스(200)의 제5 자성체(23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운드 유닛(300), 그리고 제4 자성체(232)가 일렬로 정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유닛(300), 그리고 제5 자성체(234)가 일렬로 정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렬로 정렬된다 함은,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할 때,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멈추었을 때,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하면, 사운드 유닛(300)이 제4 자성체(232) 상측에 위치하고, 또 회전하여 제5 자성체(234) 상측에 위치하여 소리를 낼 수 있다. 이는, 사운드 유닛(300)이 제4 자성체(232)와 제5 자성체(234)의 극성이 상이함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것으로, 후술한다.
도 17 내지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운드 유닛(300)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4 자성체(232), 하우징(310), 피봇레버(320), 그리고 사운더(330)(sounder)를 나타낸다. 피봇레버(320)는 피봇레버(320)의 일측이 하우징(3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사운더(330)는 피봇레버(320)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운더(330)는 자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더(330)는 N극 또는 S극의 자석일 수 있다. 사운더(330)가 S극의 자석이고 제4 자성체(232)가 S극을 지니는 경우, 사운더(330)는 제4 자성체(232)로부터 척력을 받고 공중에 부양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운더(330)는 자성부(332), 그리고 금속부(334)를 구비할 수 있다. 자성부(332)는 앞서 설명한 N극 또는 S극을 지닐 수 있다. 금속부(334)는 하우징(310)과 부딪혀서 소리를 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8은 제5 자성체(234), 하우징(310), 피봇레버(320), 그리고 사운더(330)(sounder)를 나타낸다. 제5 자성체(234)는, 예를 들면, N극을 지닐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하여 사운드 유닛(300)이 제4 자성체(232) 상측에서 이동하여 제5 자성체(234)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운더(330)는 제5 자성체(234)로부터 인력을 받아 금속부(334)가 하우징(310)과 접촉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를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금속부(334)는 하우징(310)과 접촉/이격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 유닛(300)은 소리를 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운더(330)는 제1 큐브(334b), 그리고 제2 큐브(33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큐브(334b)는 제2 큐브(334a) 보다 크기가 큰 자석일 수 있다. 제1 큐브(334b)는 일측이 N극을 지니고, 타측이 S극을 지닐 수 있다. 제2 큐브(334a)는 일측이 N극을 지니고, 타측이 S극을 지닐 수 있다. 제1 큐브(334b)와 제2 큐브(334a)는 하우징(310) 내측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큐브(334a)는 제1 큐브(334b)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4 자성체(23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하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5 자성체(23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9(a)에서,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4 자성체(234)가 위치할 때, 제1 큐브(334b) 및 제2 큐브(334a)는 제4 자성체(234)와 동일한 극성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9(b) 에서, 로터(100)의 회전에 의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5 자성체(232)가 위치할 때, 제1 큐브(334b) 및 제2 큐브(334a)는 극성의 변화에 의해 위치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c) 및 (d)에서와 같이 제1 큐브(334b) 및 제2 큐브(334a)는 다시 정렬된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더(330)는 소리를 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운더(330)는 볼(335a), 그리고 큐브(335b)를 포함할 수 있다. 큐브(335b)는 일측이 N극을 지니고, 타측이 S극을 지닐 수 있다. 볼(335a)과 큐브(335b)는 하우징(310) 내측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335a)은 큐브(335b)의 상부에 올려질 수 있다.
도 20(a)를 참조하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4 자성체(234)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을 하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5 자성체(232)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0(a)에서,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4 자성체(234)가 위치할 때, 볼(335a) 및 큐브(335b)는 제4 자성체(234)와 동일한 극성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0(b) 에서, 로터(100)의 회전에 의해 사운드 유닛(300)의 하측에 제5 자성체(232)가 위치할 때, 볼(335a) 및 큐브(335b)는 극성의 변화에 의해 위치 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c) 및 (d)에서와 같이 볼(335a) 및 큐브(335b)는 다시 정렬된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더(330)는 소리를 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운더(330)는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우징(31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운더(330)는 일측이 N극을 지니고, 타측이 S극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더(330)의 상부는 N극일 수 있고, 사운더(330)의 하부는 S극일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로터(100)의 하측에 제4 자성체(234)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4 자성체(234)는 N극을 지닐 수 있다. 사운더(330)는 제4 자성체(234)에 의해 인력을 받을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에서 회전하여, 로터(100)의 하측에 제5 자성체(2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5 자성체(232)는 S극을 지닐 수 있다. 사운더(330)는 제5 자성체(232)에 의해 척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운더(330)는 로터(100)의 회전에 의해 인력과 척력을 반복적으로 받으면서 상하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더(330)는 소리를 낼 수 있다.
도 22 내지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배면 또는 후면에 클립(210)을 구비할 수 있다. 클립(210)은 베이스(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210)은 고정부(212), 그리고 탄성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12)는 베이스(200) 배면 또는 후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214)는 고정부(212)로부터 베이스(200)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210)은 길게 연장되고 굽어진 U자 형상일 수 있다. 클립(210)의 고정부(212)는 클립(210)의 양쪽단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14)는 고정부(212)로부터 길게 연장되되, U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헤어핀 코스에서 베이스(200)의 배면 또는 후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시 굽어질 수 있다(216). 이에 따라, 베이스(200)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일측에 고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220)는 베이스(200)의 측면, 배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220)에는 체인(222)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는 사람의 목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밴드(231,23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231,232)는 베이스(20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밴드(231), 그리고 베이스(20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밴드(2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밴드(231)는 타공된 복수개의 홈들(233)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홈들(233)은 제1 밴드(231)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나열될 수 있다. 제1 밴드(231)는 일단에 제2 밴드(232)가 끼워지는 고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밴드(232)는 일단에 후크(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밴드(232)는 제1 밴드(231)의 고리(235)에 끼워지고, 후크(234) 및 복수개의 홈들(233)에 의해 밴드(231,2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배면 또는 후면에 고정링(24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링(240)은 베이스(200)의 배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커브드(curved)될 수 있다. 고정링(240)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이거나 오메가 형상일 수 있다. 고정링(240)의 양단(242,244)은 고정나사(246)가 끼워질 수 있다. 고정나사(246)는 고정링(240)의 벌어진 양단(242,244)을 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는 운동기구나 자전거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플러그(plug)일 수 있다. 베이스(200)는 바디(252,254,256), 그리고 단자들(258)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252,254,256)는 전체적으로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바디(252,254,256)의 직경은 대략 로터(100)의 직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의 상부(252)는 로터(100)의 직경에 근접할 수 있다. 바디의 중부(254)는 로터(1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디의 하부(256)는 로터(100)의 직경에 근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0)를 콘센트에 끼우고 빼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단자들(258)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 용일 수 있다. 바디(252,254,256)는 변압기를 내장할 수 있다. 또는, 바디(252,254,256)는 교류 직류 컨버터를 내장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는 무선 통신부(1110), 입력부(1120), 감지부(1140), 출력부(1150), 인터페이스부(1160), 메모리(1170), 제어부(1180) 및 전원 공급부(1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을 통칭하여 전자디바이스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10)는, 전자디바이스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디바이스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전자디바이스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10)는, 전자디바이스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1), 이동통신 모듈(1112), 무선 인터넷 모듈(1113), 근거리 통신 모듈(1114), 위치정보 모듈(1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140)는 전자디바이스 내 정보, 전자디바이스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140)는 근접센서(1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1144, 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1145, 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홀센서(1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151), 음향 출력부(1152), 햅팁 모듈(1153), 광 출력부(1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60)는 전자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70)는 전자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170)는 전자디바이스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디바이스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디바이스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170)에 저장되고, 전자디바이스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0)는 메모리(1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7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190)는 제어부(1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디바이스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8 내지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 사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디바이스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8(a)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네비게이터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네비게이터 기능은 GPS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네비게이터 기능은 지구자기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디바이스의 네비게이터 기능이 활성화되면, 전자디바이스는 지구자기를 감지하여 타겟방향으로 북쪽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도 28(b) 참조). 이때, 타겟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51)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의 이동경로에 따라 방향이 바뀌어도 전자디바이스는 지속적으로 타겟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도 28(c) 참조). 전자디바이스의 이동경로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타겟방향을 지정하는 표시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도 28(d) 참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컨트롤 대상 설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9를 참조하면, 로터(100)는 복수개의 단자들(P1~P5)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자들(P1~P5)은 로터(1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00)는 단자(P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200)의 단자(P0)는 베이스(2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단자들(P1~P5)과 베이스(200)의 단자는,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하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단자들(P1~P5) 각각에 일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단자들(P1~P5) 중 어느 하나(P1)는 라디오설정, 다른 하나(P2)는 조명설정, 다른 하나(P3)는 에어컨 설정, 다른 하나(P4)는 TV설정, 다른 하나(P5)는 오디오설정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단자들(P1~P5) 중 어느 하나가,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200)의 단자(P0)와 접촉하면, 단자저항이 변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단자저항변화에 의해 획득되는 설정의 기능을 무선통신부(111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즉, 라디오 설정이 되면, 로터(100)의 회전에 따라 라이오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조명 설정이 되면, 로터(100)의 회전에 따라 조명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에어컨 설정이 되면, 로터(100)의 회전에 따라 풍량 또는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컨트롤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0을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단자들(P1~P5) 중 어느 하나가 베이스(200)의 단자(P0)와 접촉할 수 있다(S10). 이때, 단자저항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20). 단자저항의 변화가 감지되면, 변화된 단자저항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S30). 이는,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단순히 회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단자저항의 변화와 기능설정을 위한 단자저항의 변화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변화된 단자저항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전자디바이스는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S40).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1을 참조하면, 로터(100)가 베이스(2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 되면, 디스플레이부(1151)는 커플링 또는 페어링 상태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로터(100)가 베이스(200) 상에서 회전하면, 홀센서(1143)가 로터(100)의 회전에 따른 자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로터(100)의 회전이 지속적이지 않으면, 로터(100)는 컨트롤을 위한 회전을 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반면, 로터(100)의 회전이 지속적이면, 로터(100)는 컨트롤을 위한 회전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로터(100)와 베이스(200)의 커플링 또는 페어링이 확인되고, 로터(100)의 회전이 지속적인지 지속적이지 않은지 감지를 하여, 로터(100)의 회전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2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200)가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되고, 로터(100)는 베이스(200)와 커플링 또는 페어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단말기(900)를 착용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전거를 운행하면서, 이동단말기(900)를 통해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전화가 오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전거의 운행 중 이동단말기(900)의 조작을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조명등(L)을 조절할 수 있다. 실내에서 조명등(L)은 방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간접조명등(L)은 사용자로부터 거리가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전자디바이스를 통해 조명등(L)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디바이스를 착용 또는 휴대하고 있고, 사용자가 조명등(L)의 밝기를 조절하고 싶다면 로터(100)를 회전시켜 조명등(L)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4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다른 전자디바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전자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디바이스를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로터(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채널 변경 또는 볼륨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5를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다른 전자디바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전자디바이스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A)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생활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디바이스를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컨디셔닝 시스템(A)의 온도을 변경하거나, 풍량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로터(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온도 변경 또는 풍량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6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는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다. 여러가지 요소를 조절해야 하는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자디바이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좌우를 조정해야 하는 무인헬리콥터(H)의 경우, 전자디바이스는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전자디바이스들은 어느 하나가 로터(100)의 회전에 의해 무인 헬리콥터(H)의 상승 및/또는 하강을 조정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로터(100)의 회전에 의해 무인 헬리콥터(H)의 좌우방향 전환을 조정할 수 있다. 전자디바이스는 무인헬리콥터(H) 리모트 유닛(R)과 연동할 수 있다. 기능의 혼동을 막기 위해, 전자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1151)에 각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7을 참조하면, 전자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1151)에 로터(100)의 회전량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터(100)의 회전량은 포인트로 표시될 수 있는데, 로터(100)가 회전함에 따라 포인트가 로터(100)의 외곽 둘레를 따라 활성화됨으로써 로터(100)의 회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의 활성화는 로터(1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터(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포인터의 활성화는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관점에서 로터(100)의 회전이 가시화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로터(100) 또는 베이스(200)와 정보를 교환하는 이동 단말기,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은 외부 시스템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시스템은 위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터(100) 및/또는 베이스(2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디바이스는 원격으로 다른 전자디바이스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원격으로 다른 전자디바이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전자디바이스의 사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전자디바이스의 제어부(1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는 제1 자성체;
    상기 제1 자성체와 다른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자성체와 마주하며, 상기 베이스에 위치하는 제2 자성체;
    상기 제2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상기 로터에 내장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이 제공하는 자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센서;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는 무선통신부; 그리고,
    상기 로터 또는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홀센서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자성을 지니는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의 둘레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두개와 마주하며,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자성을 지니고,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2 복수개의 자성체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페블(pebble)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일면이 오목한 쉘(shell)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터는 상기 쉘의 오목한 면에 놓여지는 전자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이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그리고,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는, 상기 회전축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회전홈에 위치하는 전자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직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싱크부; 그리고,
    상기 회전홈의 상단 둘레에서 상기 회전홈의 직경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싱크부와 매칭되도록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싱크홈;을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내장되는 사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유닛은,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서로 다른 자성을 지니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의 자성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는 사운더(sounder)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더는,
    서로 다른 극성을 지니는 복수개의 자성체들인 전자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더는,
    자성을 지니는 제1 큐브, 그리고,
    상기 큐브와 다른 자성을 지니는 제2 큐브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더는,
    자성을 지니는 볼, 그리고,
    상기 볼과 다른 자성을 지니는 큐브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내장되는 사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자성을 지니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복수개의 자성체들의 자성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는 사운더, 그리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사운더에 고정되는 피봇레버를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로터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들; 그리고,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저항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을 결정하는 전자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단자저항의 변화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결되는 외부 시스템을 결정하는 전자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활성화시키는 전자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도트 또는 라인을 표시하는 전자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 커버되는 이너, 그리고,
    상기 베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아우터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는 비대칭형상인 전자디바이스.
KR1020150118709A 2015-08-24 2015-08-24 전자디바이스 KR20170023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09A KR20170023492A (ko) 2015-08-24 2015-08-24 전자디바이스
PCT/KR2015/009564 WO2017034064A1 (ko) 2015-08-24 2015-09-11 전자디바이스
US14/933,480 US10095203B2 (en) 2015-08-24 2015-11-05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09A KR20170023492A (ko) 2015-08-24 2015-08-24 전자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92A true KR20170023492A (ko) 2017-03-06

Family

ID=5810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709A KR20170023492A (ko) 2015-08-24 2015-08-24 전자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95203B2 (ko)
KR (1) KR20170023492A (ko)
WO (1) WO2017034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4708B (zh) * 2015-11-11 2016-10-21 宣明智 微型裝置的固定元件及微型裝置
KR102619061B1 (ko) * 2016-12-27 2023-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 비행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무인 비행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CN109426278B (zh) * 2017-09-01 2023-06-20 漳州立达信光电子科技有限公司 物联网控制装置
CN111163372A (zh) * 2019-12-28 2020-05-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设备
US20210325683A1 (en) * 2020-09-02 2021-10-21 Facebook Technologies, Llc Virtual reality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5671B2 (en) 2001-10-22 2008-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JP2004016538A (ja) * 2002-06-18 2004-01-22 Kunihiro Kishida 計時システム
KR200409445Y1 (ko) * 2005-12-07 2006-02-24 고현규 자석이 구비된 회전 결합 부재
JP4404057B2 (ja) * 2006-02-10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無接点スイッチとそれを用いた記録メディアおよび操作部材
KR100655878B1 (ko) 2006-02-22 2006-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KR100739210B1 (ko) 2006-03-10 2007-07-1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US7417422B2 (en) 2006-03-22 2008-08-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otary manipulation type input apparatus
KR100731972B1 (ko) 2006-03-28 2007-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DE102007050177B4 (de) 2007-06-12 2012-04-12 Lg Electronics Inc. Eingabe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ausgestattetes mobiles Endgerät sowie Benutzerschnittstelle desselben
KR101405934B1 (ko) * 2007-08-29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회전 감지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JP4998171B2 (ja) * 2007-09-21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5081553B2 (ja) * 2007-09-27 2012-11-28 Ntn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付き軸受
KR101404745B1 (ko) * 2007-10-15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4978413B2 (ja) * 2007-10-1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操作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US20090121905A1 (en) * 2007-11-08 2009-05-14 Griffin Jr Paul P Cylindrical Remote Control
JP5098928B2 (ja) * 2008-09-26 2012-12-12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2138167A (ja) * 2009-09-30 2012-07-19 Nec Corp アナログポインティングキー構造
US20120197345A1 (en) * 2011-01-28 2012-08-02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Medical Device User Interface
DE102012001997B4 (de) * 2012-02-03 2023-02-09 Tdk-Micronas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KR102094889B1 (ko) * 2013-08-2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81169A (ko) * 2014-01-03 201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4064A1 (ko) 2017-03-02
US20170060110A1 (en) 2017-03-02
US10095203B2 (en)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3492A (ko) 전자디바이스
EP2891942B1 (en) Wearable terminal
CN109643534B (zh) 平面磁性头戴式耳机
JP6358796B2 (ja) 画面ロック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US9529447B2 (en) Removable input module
US10133351B2 (en) Providing haptic output based on a determined orient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011004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EP3336617A1 (en) Cradle for wireless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o same
KR102497528B1 (ko) 와치타입 단말기
EP3139264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425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7523622A (ja) デバイスモードに基づくデバイス間のメッセージアラート提示の調整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6759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32561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3579374A1 (en)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KR20160142528A (ko) 단말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8886549B (zh) 可附接外部存储介质的电子设备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10585638B2 (en) Terminal apparatus, output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80007916A (ko)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60086183A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48870B1 (ko) 전자 디바이스
KR20170033162A (ko)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KR20160037614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