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916A -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916A
KR20180007916A KR1020160089474A KR20160089474A KR20180007916A KR 20180007916 A KR20180007916 A KR 20180007916A KR 1020160089474 A KR1020160089474 A KR 1020160089474A KR 20160089474 A KR20160089474 A KR 20160089474A KR 20180007916 A KR20180007916 A KR 2018000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lectronic device
conductive pattern
conductiv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56B1 (ko
Inventor
김신호
심환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56B1/ko
Priority to US15/419,119 priority patent/US9898247B2/en
Publication of KR2018000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 및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상기 접속 부재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A EARPHON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삽입되는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smart phone))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동영상 및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는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보다 분명하게 듣기 위해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이어폰 연결을 위해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기능에 따른 음성 통화 지원을 위해 4극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다.
전자 장치에서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화면을 통한 제어 또는 전자 장치에 배치된 조작 키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에 장착된 조작 키에 대응하여 단순히 통화 연결 또는 통화 종료를 수행할 수 있을 뿐이며, 저가형 이어폰의 경우에는 볼륨 키 등 이러한 조작 키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의 구조적인 변화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접속된 플러그를 조작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접속된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우징;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 및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상기 접속 부재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일면으로 노출되면서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의 홀에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접속을 인식하는 동작과,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접속되어 회전이 가능한 이어폰 플러그 구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뿐만 아니라 채널 검색, 화면 밝기 조절, 화면 크기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그 전자 장치에 접속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와 이어폰 플러그 구조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에 삽입 시 이어폰 플러그 구조에 대한 접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의 내부를 구성하는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마이크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재생 관련 오브젝트의 네비게이션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B"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02),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하우징 상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예컨대, 접속 부재)이 배치될 수 있다. 홀은 플러그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의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플러그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홀에 플러그의 삽입 및 접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에 구비된 접속 부재의 홀에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잭 인터럽트(jack interrupt)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프로세서(120)는 상기 발생된 잭 인터럽트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및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플러그는 상기 홀에 삽입 및 접속된 상태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접속 부재의 내측면에는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며, 플러그의 몸체 적어도 일부분에는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즉,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의 홀에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삽입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러그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가 상기 홀에 삽입 및 접속된 상태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몸체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2도전성 패턴의 일부분이 상기 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도전성 패턴에 대면하게 되며, 이러한 대면 상태가 될 때마다 상기 대면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가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이 정렬될 때마다 접점에서의 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전압을 기반으로 어느 접점에서 발생된 전압인지를 인식할 수 있어, 상기 플러그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어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러그가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1)의 불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러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륨을 높이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륨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 정도 예컨대, 상기 플러그의 회전 속도, 회전 각도 등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볼륨 조절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대응하여 조절되는 볼륨은 오디오 볼륨, 마이크 볼륨 중 어느 하나의 볼륨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그 전자 장치에 접속되는 이어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이어폰(200)의 접속을 위한 접속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부재(220)는 전자 장치(101)와 이어폰(200)이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고 칭할 수 있으며, 이어폰이나 헤드셋 접속을 위한 이어잭(earj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접속 부재로서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이어잭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 HDMI 단자나 충전 단자와 같이 정보통신 기기에 설치되면서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소켓, 착탈식 안테나가 결합하는 안테나 소켓과 같은 접속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접속 부재에 삽입되는 4극 이어폰 플러그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3극 이어폰 플러그, 이어잭 단자 캡, 외부 기기의 플러그 등 접속 부재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플러그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접속 부재(220)는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에 이어폰 플러그(210) 등이 삽입, 접속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플러그(2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접속 부재(220)의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어폰 플러그(210)의 구조는 예를 들어, 4극 이어폰 플러그일 경우, 그라운드(또는 접지(GND)) 단자(310), 마이크(MIC)(320) 단자, 제1 및 제2음향 단자(330, 340)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3극 이어폰 플러그일 경우 마이크 단자(320)가 제외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음향 단자(330, 340)는 각각 오른쪽(R) 음향 단자(330), 왼쪽(L) 음향 단자(340)일 수 있다. 그라운드 단자(310), 마이크(MIC)(320) 단자, 제1 및 제2음향 단자(330, 340)는 각각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플러그(2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접속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구획하는 절연 라인들이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 단자(320)는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전자 장치(10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른쪽 음향 단자(330)와 왼쪽 음향 단자(340)는 소리를 이어폰에 전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 접속 부재(220)에 삽입된 이어폰 플러그(2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회전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를 프로세서(120)에 전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플러그(210)의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오른쪽(R) 음향 단자(33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접지 단자(310)를 제외한 다른 단자들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2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느 하나의 접속 단자는 몸체의 외측면이 모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의 나머지 영역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플러그(210)의 어느 하나의 단자의 구조를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와 이어폰 플러그 구조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어폰의 플러그(210)는 전자 장치(101)에 형성된 접속 부재(220)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210)는 복수의 접속 단자들(310, 320, 330, 340)로 구성되며 4극 이어폰의 경우 플러그(210)의 일단으로부터 그라운드 단자(310), 마이크(MIC)(320) 단자, 오른쪽(R) 음향 단자(330), 왼쪽(L) 음향 단자(340)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a에 도시된 각 접속 단자들의 종류나 배열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러그(210)의 회전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가 프로세서(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도 4a에서는 플러그(210)의 복수의 접속 단자들(310, 320, 330, 340) 중 오른쪽(R) 음향 단자(33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 몸체 외측면을 둘러싸는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분에 도전성 패턴(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도전성 재질(4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4극 이어폰의 플러그(210)가 접속 부재(220)의 홀에 삽입 및 접속되면, 플러그(210)에 형성된 각 접속 단자들은, 접속 부재(220)의 홀 내부면에 배치된 복수의 접점들과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부재(220)의 홀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각 접점들은 플러그(210)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210)의 각 접속 단자들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10)가 삽입되면서 플러그(210)의 각 접속 단자(310, 320, 330, 340)들은 플러그(210)의 각 접속 단자(310, 320, 330, 340)에 대응하는 접속 부재(220) 내 신호 라인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4극 이어폰의 플러그(210)가 접속 부재(220)의 홀에 삽입 및 접속되면, 오른쪽 음향 단자(330) 및 왼쪽 음향 단자(340)는 각각의 신호 라인을 통해 오디오 처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른쪽 음향 단자(330) 및 왼쪽 음향 단자(340)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음향 신호를 이어폰의 오른쪽 및 왼쪽 스피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310)는 그라운드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절연체로 다른 접속 단자와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 단자(320)는 마이크 신호 라인을 통해 오디오 처리부와 연결될 수 있어, 이어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플러그(210)가 접속 부재(22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경우 회전에 따른 신호가 검출될 수 있도록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몸체 외측면의 원주면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성 재질로 된 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가 원통 형상인 경우, 도전성 패턴(410)이 형성되는 영역의 길이는 원기둥의 높이에 해당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기둥의 높이와 동일한 또는 그 높이의 일부에 대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의 길이는 길이 방향으로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길이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10)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410)의 폭은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중 하나의 접점 또는 두 개의 접점이 동시에 접촉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플러그(210)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210)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접속 부재(220)의 내부 공간에는 오른쪽 음향 단자(330)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접촉되는 위치에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이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은 플러그(210)가 삽입되면서 플러그(210)의 각 접속 단자(310, 320, 330, 340)에 대응하는 접속 부재(220) 내 신호 라인에서의 검출 전압과 다른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은 접속 부재(220)의 내측면의 원주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4극 이어폰의 경우 복수의 접점들은 최소 4개의 접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은 오른쪽 음향 단자(330)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의 길이 방향의 크기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의 길이 방향의 크기는 플러그(210)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의 길이 방향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에 삽입 시 이어폰 플러그 구조에 대한 접점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접속 부재(220)에 플러그(210)가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210)의 각 단자들(310, 320, 330, 340)은 접속 부재(220)에 접속되면서 각 단자에 대응하는 접속 부재(220) 내 신호 라인들(또는 접점들)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210)의 왼쪽 음향 단자(340)는 오디오 처리부의 'L' 포트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430)과 접속된다. 또한, 마이크 단자(320)는 오디오 처리부의 'MIC' 포트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440)과 접속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단자(310)는 접지 라인(450)에 연결된다.
한편,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도 오디오 처리부의 'R' 포트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 외에 추가적인 3개의 신호 라인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는 신호 라인들(420a, 420b, 420c, 420d)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과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라인들(420a, 420b, 420c, 420d)은 삽입 홀 내부 공간에 형성되며, 4개의 신호 라인들(420a, 420b, 420c, 420d) 중 2개의 신호 라인들만이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도전성 영역(410)에 접촉하며, 나머지 2개의 신호 라인들은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비도전성 영역(400)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도전성 영역(410)에 접촉한 신호 라인들과는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만, 비도전성 영역(400)에 접촉한 신호 라인들과는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단면을 예시하고 있으며,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원통형의 원주면을 따라 비도전성 재질(510)이 형성되며, 일부 구간에서 도전성 재질이 노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부 구간의 크기는 도전성 패턴(410)의 폭에 해당하며, 플러그(210)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410)의 폭은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중 하나의 접점 또는 두 개의 접점이 동시에 접촉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원통형 외측면을 둘러싸는 영역들 중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는 일부분(50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도전성 재질(510)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도전성 패턴(500)은 접속 부재(210)의 도전성 패턴에 포함된 복수의 접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접속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접속 부재(220)는 내측면에 플러그(210)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210)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이 배열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접점들의 개수는 최소 3개 이상이면 플러그(2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은 접속 부재(220)의 내측면의 원주면 상에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플러그(210)의 회전에 따라 오른쪽 음향 단자(330)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과 접촉되는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은 플러그(210)가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 내부의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4개의 접점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은 360°를 4구간으로 나눈 위치 예컨대, 0°, 90°, 180°, 270°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접점을 3개로 구현하는 경우 360°를 3구간으로 나눈 위치에 예컨대, 0°, 120°, 240°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접점들이 배치될 수 있는 등 각 접점들의 개수 및 배치는 플러그(210)에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 또는 설계 목적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에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플러그(210)가 접속 부재(220)에 삽입 및 접속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된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 중 어느 하나의 접점(420a)에 플러그(210)의 도전성 패턴(410)이 접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에서는 플러그(210)가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 중 어느 하나의 접점(420c)에 플러그(210)의 도전성 패턴(410)이 접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접점이 플러그(210)의 도전성 패턴(410)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되어 회전을 인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접점이 플러그(210)의 도전성 패턴(410)에 접촉되도록 구현하는 경우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전자 장치의 접속 부재의 내부를 구성하는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잭 인터페이스(800)와 이어폰(810)의 회로 구성 특히, 플러그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에 대한 회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부(820)는 주기적으로 오디오 출력 포트들을 통해 오디오 기준 전압을 스캔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420)에 연결되는 신호 라인들은 각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에 대응하는 것으로, 프로세서(120)는 각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접점 되어진 포트를 알 수 있다.
플러그(210)가 삽입되면서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에 대응하는 접속 부재(220) 내 신호 라인에서의 검출 전압(또는 기준 전압)을 +V라고 할 경우, 복수의 접점들(420a, 420b, 420c, 420d)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기 검출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전압이 +V일 경우 플러그(210)의 접속에 따른 전압으로, 상기 플러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몸체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제2도전성 패턴의 일부분이 접점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접점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비교기의 입력 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에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럽트 신호는 현재 접점된 포트(900, 910, 920, 930)를 알려주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포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은 +V * (Rd/(Rp+Rd))와 같으며, 기준 전압 +V 보다 낮은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1(900), 포트 2(910)에서는 기준 전압 +V이 출력되고 있고, 포트 3(920), 포트 4(930)에서는 +V * (Rd/(Rp+Rd))의 전압이 출력되고 있다면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도전성 영역(410)에 포트 3(920), 포트 4(930)와 연결된 접점에 접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포트 1(900), 포트 2(910)에서는 기준 전압 +V이 출력되고 있다는 것은 접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플러그(210)의 오른쪽 음향 단자(330)의 비도전성 영역(400)에 포트 1(900), 포트 2(910)와 연결된 접점에 접촉하고 있으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플러그(210)가 회전함에 따라 포트 2(910)와 포트 3(920)에서 +V * (Rd/(Rp+Rd))의 전압이 검출된다면, 검출된 전압에 대응하여 접점된 포트를 알려주는 인터럽트 신호를 기반으로 프로세서(120)에서는 포트 3에서 포트 2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것임을 알 수 있어,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가 회전함에 따라 접촉되는 해당 접점에서의 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전압을 기반으로 어느 접점에서 발생된 전압인지를 인식할 수 있어, 상기 플러그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1000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210)가 전자 장치(101)의 접속 부재(220)에 접속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플러그(210)의 접속 감지 시 100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주기적으로 오디오 전압 측정 단자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1010 동작에서 측정된 전압이 제1설정 전압(예: +V*(Rd/(Rp+Rd)))인지를 판단하여, 만일 제1 설정 전압이 아닌 경우 전자 장치(101)는 1015 동작에서 제2설정 전압(예: +V )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101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설정 전압이 검출된 경우 1020 동작에서 4극 이어폰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1010 동작에서 제1설정 전압이 검출된 경우 1025 동작에서 전자 장치(101)는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을 감지하여 1030 동작에서 이어폰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 전자 장치(101)는 1035 동작에서 이어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는 한 1005 동작으로 되돌아가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마이크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러그가 접속 부재에 삽입 및 접속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는 1100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이 감지되면 1105 동작에서 오디오 신호 또는 마이크 신호 출력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오디오 신호 출력 중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1110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오디오 볼륨 업/다운 및 업/다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 정도는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양 및 회전 각도 등에 대응되며, 이어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양만큼 볼륨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 속도에 따라 볼륨 조절 속도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반면, 1105 동작에서 마이크 신호 출력 중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1115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마이크 볼륨 업/다운 및 업/다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 볼륨을 조절하는 방식은 오디오 볼륨 조절하는 방식과 동일하나 마이크 볼륨 조절 시에는 이어폰에 있는 조작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이어폰의 플러그를 회전할 경우에 볼륨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어, 전자 장치(101)는 1120 동작에서 이어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는 한 1100 동작으로 되돌아가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0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이 감지되면, 1205 동작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1210 동작에서 이어폰 플러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 전자 장치(101)는 1215 동작에서 이어폰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는 한 1100 동작으로 되돌아가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에 이어폰(200)을 꽂은 상태로 인터넷 서핑이나 SNS 등 오디오 출력이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중이라면 이어폰을 회전함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면 확대/축소 등 다양한 기능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재생 관련 오브젝트의 네비게이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에서는 음악 파일과 같은 재생 관련 오브젝트에 대한 네비게이션 또는 재생을 이어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화면(1300)에서 이어폰 플러그를 돌리게 되면 다음 곡으로 전환되는 화면(1310)이 나타나면서 재생 화면(132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어폰 플러그를 회전함에 따라 원하는 음악 파일의 네비게이션, 이전 또는 다음 곡 재생 등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일면으로 노출되면서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의 홀에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접속을 인식하는 동작과,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 및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상기 접속 부재의 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접속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의 제1원주 상에 배열된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은,
    상기 내측면의 제1원주 상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은,
    상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 제1 및 제2 음향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의 몸체 외측면을 둘러싸는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은,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자 몸체 외측면의 제2원주 상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단자 몸체 외측면을 둘러싸는 영역들 중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폭은,
    상기 복수의 접점들 중 두 개의 접점과 접촉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을 가지는 플러그가 상기 홀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을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는,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이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의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 중 어느 하나의 도전성 접점에 접속하는 상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이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의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도전성 접점에 접속함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전압이 검출된 도전성 접점을 기반으로 상기 플러그의 회전 방향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은,
    상기 플러그가 4극 이어폰 플러그일 경우, 4개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크기 및 볼륨 조절 속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밝기 조절 및 화면 크기 조절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의 일면으로 노출되면서 내측면에 제1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접속 부재의 홀에 제2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접속을 인식하는 동작과,
    상기 제1도전성 패턴 및 상기 제2도전성 패턴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패턴은,
    상기 제2도전성 패턴과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들은,
    상기 플러그가 4극 이어폰 플러그일 경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4개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회전을 감지하는 동작은,
    상기 플러그가 상기 홀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의 복수의 도전성 접점들을 통한 전압을 감지하는 동작과,
    상기 감지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플러그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플러그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볼륨 크기 및 볼륨 조절 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089474A 2016-07-14 2016-07-14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8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74A KR102482656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5/419,119 US9898247B2 (en) 2016-07-14 2017-01-30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74A KR102482656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916A true KR20180007916A (ko) 2018-01-24
KR102482656B1 KR102482656B1 (ko) 2022-12-29

Family

ID=6093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474A KR102482656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8247B2 (ko)
KR (1) KR102482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7925B2 (en) 2018-11-29 2021-06-2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plit ground connector
DE102019202151A1 (de) * 2019-02-18 2020-08-20 Deere & Company Stecker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r lösbaren Energie- und/oder Datenübertragungsverbindung
TWI772627B (zh) 2019-03-19 2022-08-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人物重識別方法、人物重識別系統及影像篩選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97U (ja) * 2011-06-21 2011-09-01 株式会社グルマンディーズ 未使用ジャック用防塵ダミープラグ
US20110300751A1 (en) * 2010-06-03 2011-12-08 Wittenberg Michael B Audio connector control system
KR20160020736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097B2 (ja) * 1993-04-19 2001-05-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半導体基体のエッチング方法
JP2009514129A (ja) * 2005-10-25 2009-04-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ソケット組立体
US7635265B2 (en) * 2007-10-31 2009-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ical volume control using contacts on rotatable connector, and method
US7800360B2 (en) * 2007-10-31 2010-09-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nector system with magnetic audio volume control and method
US20110317855A1 (en) * 2007-12-21 2011-12-29 Nokia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1651122B1 (ko) 2009-12-08 2016-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6771B1 (ko) 2010-03-05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어폰 인식 회로 장치 및 방법
US9513616B2 (en) * 2010-10-15 2016-12-0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n electronic devices
US20130108064A1 (en) * 2011-11-01 2013-05-02 Erturk D. Kocalar Connectors for invoking and supporting device testing
CN103167379B (zh) * 2011-12-13 2018-03-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播放装置
KR102174376B1 (ko) * 2014-01-13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00751A1 (en) * 2010-06-03 2011-12-08 Wittenberg Michael B Audio connector control system
JP3170097U (ja) * 2011-06-21 2011-09-01 株式会社グルマンディーズ 未使用ジャック用防塵ダミープラグ
KR20160020736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18142A1 (en) 2018-01-18
KR102482656B1 (ko) 2022-12-29
US9898247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59283B (zh) 包括扬声器的电子装置
EP3113298B1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device
EP3089282A1 (en) Connector
CN108291930B (zh) 包括天线的电子设备
EP3635509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housings
KR102575430B1 (ko)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EP34810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amera
EP3598578A1 (en) Antenna arr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rray
KR20170049958A (ko)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14608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BR112015033060B1 (pt) Dispositivo eletrônico e método para controlar multijanelas no dispositivo eletrônico
CN108700943B (zh)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操作的方法
KR102140290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855012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USB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B interface
US1019976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directional connector
US11159034B2 (en)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KR102482656B1 (ko) 이어폰을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6574847B (zh) 用于获取传感器数据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8028989B (zh) 检测外部设备的方法和处理该方法的电子设备
KR20150135895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84118A (ko) 이어잭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87188A (ko) 이어폰 및 이어폰과 연결된 전자 장치
US20200264825A1 (en) Terminal
US1090864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utpu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102533986B1 (ko) 실시간 콘텐트 데이터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