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162A -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3162A KR20170033162A KR1020150131145A KR20150131145A KR20170033162A KR 20170033162 A KR20170033162 A KR 20170033162A KR 1020150131145 A KR1020150131145 A KR 1020150131145A KR 20150131145 A KR20150131145 A KR 20150131145A KR 20170033162 A KR20170033162 A KR 201700331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lectrode
- display unit
- charger
- butt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단말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곽에는 충전용 전극을 구비하는 버튼이 노출되고, 상기 충전기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부 영역에 상기 버튼이 삽입 및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되는 것을 ㅌ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치 타입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구비한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특히 스마트 와치(smart watch)에 대한 제품들이 많다. 이들 중 상기 와치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를 충전기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충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와치 타입 단말기를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와치 타입 단말기는 충전이 잦아 더욱 불편함이 컸다.
또한, 충전 단자를 와치 타입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충전시에 와치의 측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거치하는 경우 와치 타입 단말기의 디자인을 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와치 타입 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단말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곽에는 충전용 전극을 구비하는 버튼이 노출되고, 상기 충전기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부 영역에 상기 버튼이 삽입 및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되는 것을 ㅌ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기는, 상기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배터리; 및 상기 내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배터리는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회로기판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는,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이 삽입되도록 하부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개방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튼이 이동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자기부재;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기부재와 자기 결합하는 제2 자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는 상기 버튼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정위치에서 자기 결합하도록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은,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접촉되는 제1 접촉단자; 및 상기 이동부의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전극과 접촉되는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배터리가 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구비되는 엘시디 모듈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하나의 화면정보를 출력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단말기에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호신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가이드를 향하도록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이TE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촉단자 또는 제2 접촉단자는 적어도 하나가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절연체를 감싸는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에는 홀 센서(Hall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자기부재에 의한 자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의 깊이는 상기 버튼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의 폭은 상기 버튼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기에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기의 내부 배터리를 우선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치 타입 단말기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충전기를 장착함으로써 와치 타입 단말기와 충전기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한 쌍의 자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충전기가 단말기의 외측에 구비되면 자동으로 정위치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충전기에 엘시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와 동일 또는 상이한 화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와 동일한 화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단말기의 화면표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들과 접촉단자들의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을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제1 상태에서의 버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제2 상태에서의 버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들과 접촉단자들의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을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제1 상태에서의 버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제2 상태에서의 버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도 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두 개의 케이스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06), 카메라(105), 마이크로폰(103), 사용자 입력부(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30)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와치 타입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분해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이를 충전하는 충전기(200)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가 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충전기(20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기(200)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단말기(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기(200)는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한다.
상기 충전기(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배터리(220)는 데이터 케이블(31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며, 상기 내부 배터리(220)가 상기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케이블(310)이 충전기(20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충전기(200)가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배터리가 충전기(200)보다 먼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기(2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ring) 형상의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배터리(220)와, 상기 내부 배터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본체가 원형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본체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때도 상기 충전기(200)의 내주면은 상기 단말기(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의 형상이 원형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의 본체가 원형이므로, 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바디(210) 역시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바디(210)는 내부에 관통홀(205)이 형성되는 도넛(doughnut)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210)는 내부에 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링 형상의 하부 바디(211)와, 상기 하부 바디(211)를 덮도록 상기 하부 바디(2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하부 바디(211)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커버(212)는 단순히 상기 하부 바디(211)를 덮을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커버(212)와 하부 바디(211)의 위치가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바디(21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211a)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내벽(211b)과 외벽(211c)을 구비한다. 즉, 상기 바닥면(211a), 내벽(211b) 및 외벽(211c)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부품들이 구비되며, 상기 내벽(211b) 및 외벽(211c)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부품들로는 후술하는 회로기판(230), 자기부재(245) 및 인터페이스부(2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전기(200)가 후술하듯이 제2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212)가 제2 디스플레이부(251)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윈도우(251a) 및 엘시디 모듈(25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4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4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터리(220)는 상기 바디(2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대략 링 형상을 가지나,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21)에 상기 회로기판(230)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인터페이스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배터리(220)는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인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기판(230), 인터페이스부(240) 등은 상기 내부 배터리(220)와 층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로기판(230), 인터페이스부(240)가 상기 내부 배터리(2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전기(200)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배터리(220)의 일부 영역에 개구부(22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221)에 상기 내부 배터리(220)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회로기판(230), 인터페이스부(240) 등이 배치된다. 한편, 후술하는 제2 자기부재(245)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230)이 상기 개구부(221)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2 자기부재(245) 및 인터페이스부(240)가 상기 회로기판(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충전하는데, 상기 충전 방식으로는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방식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단말기(100)에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200)는 상기 단말기(100)에 끼워져야 한다. 즉, 유선 충전을 위해서는 상기 충전기(200)와 단말기(100) 사이에 충전 단자들(131a,131b,161,1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무선 충전을 하는 경우에도 제1 코일(133)과 제2 코일(233)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제1 및 제2 코일(133,233)이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기(200)와 단말기(10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기(200)는 원 형상의 단말기(100)의 외곽에 밀착되도록 원형의 링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충전기(200)와 단말기(100)의 고정 접점을 단말기(100)의 버튼(130,crown)으로 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의 외주면에는 버튼(13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은 원을 이루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130)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와 충전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인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벽(211b)에서부터 상기 바디(210)의 내부 공간으로는 단말기(100)의 버튼(130)(또는 용두)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의 외곽에는 버튼(130)이 노출되고, 상기 바디(210)에는 일부 영역에 상기 버튼(130)이 삽입 및 이동가능한 가이드(2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13)는 홈(groove)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213)는 상기 바디(21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210)의 폭의 일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213)는 상기 버튼(130)이 삽입되도록 하부면에서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버튼(130)의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부(213a)와, 상기 삽입부(213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튼(130)이 이동가능한 이동부(3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3a) 및 이동부(313b)는 상기 버튼(130)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213)의 깊이는 상기 내벽(211b)으로부터 외벽(211c)을 향하여 상기 버튼(130)의 두께만큼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버튼(130)의 두께는 상기 버튼(130)이 그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13)의 폭은 상기 버튼(13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213)는 'L'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의 본체의 외주면이 상기 내벽(211b)을 마주보도록 삽입된다. 상기 단말기(1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기(200)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상기 충전기(200)를 단말기(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부(213a)는 상기 바디(210)의 하부로부터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내벽(211b)은 상기 버튼(130)이 상기 삽입부(213a) 및 이동부(313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211c)을 향하여 리세스(recessed)된다. 즉, 상기 가이드(213)는 내벽(211b)의 일부 영역이 외벽(211c)을 향하여 이동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되는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213)는 바디(210) 내부의 부품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213)는 상기 내벽(211b)에서 외벽(211c)을 향하여 일정 거리만큼 'L' 형상으로 리세스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기(200)를 상기 단말기(100)에 보다 정확하게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자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자기부재는 상기 단말기(100)와 충전기(200) 모두에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기부재를 제1 자기부재(145)라 칭하고, 상기 바디(21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자기 결합하는 자기부재를 제2 자기부재(245)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는 막대자석(magnet)일 수 있으며, 상기 바디(210)가 원형이므로 상기 제2 자기부재(245)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나,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제1 자기부재(145)는 상기 제2 자기부재(245)와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 자기부재(245)도 원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제2 자기부재(245)는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야 하고, 각각 단말기(100)와 충전기(200)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것이 자력 결합에 유리하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b는 제1 상태에서의 버튼(13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제2 상태에서의 버튼(130)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의 충전기(200)와 단말기(10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자기부재(145) 및 제2 자기부재(245)는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상기 충전기(200)가 회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버튼(130)이 상기 삽입부(213a)로 삽입되고 아직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제1 상태(도 12b 참조)라고 하고, 상기 버튼(130)이 상기 이동부(313b)를 따라 이동한 상태를 제2 상태(도 13b 참조)라고 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제2 자기부재(245)가 정위치에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위치는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제2 자기부재(245)가 최적의 자력 결합을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는 각각 N극과 S극을 갖는데, 제1 상태에서는 도 13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의 N극과 S극의 위치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는 상기 충전기(200)가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제2 자기부재(245)의 위치를 어긋나게 배치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는 상기 버튼(130)이 가이드(213)를 따라 이동하여 정위치에서 자기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만약, 상기 제1 상태에서 버튼(130)을 삽입부(213a)의 가장 내측까지 삽입하면 상기 제1 자기부재(145)와 제2 자기부재(245)는 자력(인력)에 의해 서로 이끌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기(200)가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충전기(200)를 자동으로 회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유선 충전 방식에 의한 충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무선 충전 방식에 의한 충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바디(210)의 내측 사시도로, 가이드(213)가 형성된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213)에는 바디(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213)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전극(131a,13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161,162)가 구비된다. 즉, 상기 버튼(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2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2 이상의 접촉단자들(261,262)이 구비된다.
이때,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130)을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버튼(130)의 정면도이다.
상기 버튼(130)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전극(131a)과, 상기 제1 전극(131a)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전극(131b)과, 상기 제1 전극(131a)과 제2 전극(131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1a,131b)을 절연시키는 절연체(1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131a) 및 제2 전극(131b)이 상기 접촉단자들과 접촉되어 상기 단말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전극(131a)은 외부에 노출되는 면이 접촉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가 자력 결합을 위한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버튼(130)(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131a,131b))이 상기 접촉단자(261,262)와의 접촉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상태가 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홀 센서(Hall Sensor,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 자기부재(245)에 의한 자성 변화를 감지하여 제2 상태가 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에서의 버튼(130)과 충전기(2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3a의 DD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313b)의 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전극(131a)과 접촉되는 제1 접촉단자(261)가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전극(131b)과 접촉되는 제2 접촉단자(26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2)는 각각 상기 제1 전극(131a) 및 제2 전극(131b)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전극(131a)은 (+)극이고, 제2 전극(131b)은 (-)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31a)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전극(131b)은 상기 절연체(132)를 감싸는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제1 전극(131a)를 가압함으로써 원터치(one-touch)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131b)를 회전시킴으로써 조그스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들과 접촉단자들의 접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31a)은 상기 바디(210)의 내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접촉단자(261)와 접촉되고, 제2 전극(131b)은 상기 바디(210)의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213)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접촉단자(262)와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1,262)는 반드시 하나씩일 필요는 없으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1,262,263)가 다수개인 경우에는 접촉핀(contact pin)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접촉단자(261,262,263) 중 두 개는 충전용 단자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는 단말기(100)와 충전기(200)의 데이터 통신 또는 접지를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접촉단자(261,262,263)를 다수개로 함으로써 입출력 포트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접촉단자(261,262,263)는 상기 가이드(213)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210)의 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단자의 하부에 탄성부재(265)가 구비되어 상기 버튼(130)이 삽입되면 상기 버튼(13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무선 충전 방식으로 단말기(100)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접촉단자(261,262)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기능을 하지 않고, 단순히 상기 버튼(130)을 고정시키는 기능만 할 수 있고, 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단자를 생략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와 충전기(200)는 정위치까지 이동하여 멈추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의 형성 위치와 상기 가이드(213)의 형성 위치는 대략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측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145,245)에 의한 자력 결합에 의해, 타측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 결합에 의해 상기 충전기(200)와 단말기(100)가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충전기에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기의 내부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도록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10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므로 단말기(100)를 우선적으로 충전하고, 단말기(100)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200)의 내부 배터리(220)를 충전한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충전기(200)의 내부 배터리(220)를 충전하고, 추후에 단말기(100)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예비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일 경우이므로, 우선적으로 충전기(200)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기(200)를 충전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보조 배터리 형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충전 방식만 상이할 뿐, 상기 단말기(100)와 충전기(200)를 체결하는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구성은 특별히 저촉되지 않는 이상 제2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200)로 단말기(100)의 메인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코일에 의한 상호 작용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는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코일(133)과, 상기 바디(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코일(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코일(133,233)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배터리(220)가 단말기(100)를 충전한다. 상기 제1 코일(133)과 제2 코일(2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 코일(133)과 제2 코일(233)의 중심은 동일해야 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코일(133,233)은 동심원을 갖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 코일(133)은 수신 코일부(133)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 코일(233)은 상기 제1 코일(133)에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 코일부(233)로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 코일부(133)는 단말기(100)의 본체 내의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 코일부(233)는 상기 바디(210) 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송신 코일부(233)와 수신 코일부(133)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송신 코일부(233) 및/또는 수신 코일부(133)는 평판 나선형태(Planar Spiral typ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송신 코일부(233) 및/또는 수신 코일부(133)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코일부(233) 및 수신 코일부(133)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태의 코일로 이루어지거나, 하나 이상의 솔레노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송신 코일부(233) 및 수신 코일부(133)의 중심은 일치되어야 충전 효율이 높아진다.
이때, 상기 충전기(200)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일 수 있으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전력 수신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충전기(200)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이다.
상기 충전기(2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로, 상기 충전기(200)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필요한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 전력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상기 충전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22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기(200)는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상호간 접촉이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기(2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전자기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호간 접촉이 없다는 것은 유선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충전기(200)와 와치 타입 단말기(100)의 물리적인 접촉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제1 코일(133) 및 제2 코일(233)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하나의 코일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상기 충전기(200)에서 전송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상기 충전기(200)로부터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의 단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즉, 상기 충전기(20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와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1 디스플레이부(151)로 명명하고, 상기 충전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2 디스플레이부(251)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충전기(200)에서도 화면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210)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윈도우(251a)와, 상기 윈도우(25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엘시디 모듈(251b)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25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에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의 구조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조와 유사하며, 최상측에는 윈도우(251a)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25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엘시디 모듈(251b)에 의해 상기 윈도우(251a)를 통하여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하나의 화면정보를 출력하거나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에는 상기 단말기(100)에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호신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300)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이 이루어지고, 제2 디스플레이부(251)에서는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시침(138)과 분침(139)이 표시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호신호가 수신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또는 호신호와 관련된 간략한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1)가 제1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동일한 화면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100)에서의 출력되는 화면정보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130: 버튼(130), 131a, 131b: 전극, 132: 절연체(132), 133: 제1 코일(133), 145: 제1 자기부재(145), 151: 제1 디스플레이부(151), 200: 충전기(200), 210: 바디(210), 211:하부 바디(211), 211a: 바닥면(211a), 211b:내벽(211b), 211c:외벽(211c), 212: 커버(212), 213: 가이드(213), 213a: 삽입부(213a), 213b: 이동부(313b), 220: 내부 배터리(220), 221: 개구부(221), 230: 회로기판, 233: 제2 코일(233), 240: 인터페이스부(240), 245: 제2 자기부재(245), 251a: 윈도우(251a), 251b: 엘시디 모듈(251b), 251: 제2 디스플레이부(251), 261: 제1 접촉단자(261), 262: 제2 접촉단자(262), 300: 어셈블리, 310: usb 케이블(310),
120: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130: 버튼(130), 131a, 131b: 전극, 132: 절연체(132), 133: 제1 코일(133), 145: 제1 자기부재(145), 151: 제1 디스플레이부(151), 200: 충전기(200), 210: 바디(210), 211:하부 바디(211), 211a: 바닥면(211a), 211b:내벽(211b), 211c:외벽(211c), 212: 커버(212), 213: 가이드(213), 213a: 삽입부(213a), 213b: 이동부(313b), 220: 내부 배터리(220), 221: 개구부(221), 230: 회로기판, 233: 제2 코일(233), 240: 인터페이스부(240), 245: 제2 자기부재(245), 251a: 윈도우(251a), 251b: 엘시디 모듈(251b), 251: 제2 디스플레이부(251), 261: 제1 접촉단자(261), 262: 제2 접촉단자(262), 300: 어셈블리, 310: usb 케이블(310),
Claims (20)
- 제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단말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곽에는 충전용 전극을 구비하는 버튼이 노출되고,
상기 충전기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부 영역에 상기 버튼이 삽입 및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홈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되는 것을 ㅌ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바디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배터리; 및
상기 내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터리는 일부 영역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회로기판 및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이 삽입되도록 하부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개방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버튼이 이동가능하도록 개방 형성되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자기부재;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자기부재와 자기 결합하는 제2 자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자기부재는 상기 버튼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정위치에서 자기 결합하도록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절연시키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접촉되는 제1 접촉단자; 및
상기 이동부의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 전극과 접촉되는 제2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코일;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 배터리가 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구비되는 엘시디 모듈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제1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하나의 화면정보를 출력하거나 제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제1 화면정보와 다른 제2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단말기에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호신호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가이드를 향하도록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단자 또는 제2 접촉단자는 적어도 하나가 다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절연체를 감싸는 실린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홀 센서(Hall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자기부재에 의한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깊이는 상기 버튼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의 폭은 상기 버튼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의 메인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단말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기의 내부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45A KR20170033162A (ko) | 2015-09-16 | 2015-09-16 |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1145A KR20170033162A (ko) | 2015-09-16 | 2015-09-16 |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3162A true KR20170033162A (ko) | 2017-03-24 |
Family
ID=5850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1145A KR20170033162A (ko) | 2015-09-16 | 2015-09-16 |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3316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63986A1 (ko) * | 2021-02-01 | 2022-08-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EP4277077A1 (en) * | 2023-03-23 | 2023-11-15 | Withings | An electrical charg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of a wearable device |
-
2015
- 2015-09-16 KR KR1020150131145A patent/KR20170033162A/ko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63986A1 (ko) * | 2021-02-01 | 2022-08-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EP4277077A1 (en) * | 2023-03-23 | 2023-11-15 | Withings | An electrical charg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of a wearab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79426B2 (en) |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 |
KR101570425B1 (ko) | 이동 단말기의 충전 어셈블리 | |
US10553931B2 (en) | Mobile terminal | |
KR102451371B1 (ko) |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 |
KR102497528B1 (ko) | 와치타입 단말기 | |
KR102129799B1 (ko) | 이동 단말기 | |
US10682094B2 (en) | Watch type terminal | |
US10665926B2 (en) | Mobile terminal | |
US9854077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60129336A (ko) | 이동 단말기 | |
US11606452B2 (en) | Mobile terminal | |
US9483074B2 (en) |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 |
US9894191B2 (en) | Mobile terminal | |
KR20150108236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70033162A (ko) | 와치 타입 단말기 어셈블리 | |
US10804047B2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01621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4648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
US20200091586A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27513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130821A (ko) | 이동단말기 | |
US20180316782A1 (en) | Mobile terminal | |
KR20170124750A (ko) | 접속부재 및 이동 단말기 | |
KR20170072724A (ko) |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