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366B1 -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366B1
KR100895366B1 KR1020077009113A KR20077009113A KR100895366B1 KR 100895366 B1 KR100895366 B1 KR 100895366B1 KR 1020077009113 A KR1020077009113 A KR 1020077009113A KR 20077009113 A KR20077009113 A KR 20077009113A KR 100895366 B1 KR100895366 B1 KR 10089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ble
vehicle
wire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752A (ko
Inventor
노리시게 에모토
카즈히로 이가
후미아키 에우라
요이치 마스부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비용의 증가를 피하면서, 외래 노이즈가 큰 환경에서도 실현할 수 있고, 차량간 이동용의 점퍼 케이블을 새롭게 개발하는 일 없이,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간의 고속 전송을 실시할 수 있는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얻는다.
열차를 구성하는 각 차량에 탑재되고,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처리를 실시하는 송수신 장치(10)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로가 차량내에 배선된 차량내 배선 케이블(20)과 차량 사이를 걸쳐서 배선된 점퍼 케이블로 구성되고, 점퍼 케이블은 도체(35)가 쉴드(36)에 의하여 피복된 쉴드 전선(33)을 내부에 복수 가지고, 쉴드 전선(33)의 2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전송로를 구성하고, 이 한 쌍의 쉴드 전선(33)의 쉴드(36)끼리를 쉴드 전선(33)의 양단에서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서로 접속된 쉴드(36)를 쉴드 전선(33)의 일단에서 접지했다.

Description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TRAIN-MOUNTED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열차에 탑재되는 각종 전기품을 감시, 제어, 검사하기 위하여 각종 정보를 제어하는 동시에, 열차 편성(編成)내에서 차량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음향 케이블 또는 영상 케이블로서 사용되는 쉴드(shield)선의 접속 방법에 대해 말한 것이며, 쉴드된 2 개의 케이블이 신호의 송수신 경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의 1 개는 기준선으로서 접지되고, 각각의 케이블의 쉴드는 서로 케이블의 반대측에서 접지된다. 또는 1 개의 쉴드선을 케이블의 한 쪽에서 접지하고, 반대측에서는 쉴드선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7-30561호 공보(제 3~4 페이지, 도 1)
특허 문헌 1은 쉴드선의 접속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음향 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 접속 방법을 외래 노이즈가 큰 열차 탑재 기기에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
음향 기기에서는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고, 한 종류의 케이블만으로 기기 사이의 접속이 완료되지만, 열차 탑재 기기와 같이, 접속하 고자 하는 기기끼리가 각각 다른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차량내 배선용 케이블과, 차량 사이를 이동하는 전송에 이용되는 특수한 케이블인 점퍼(jumper) 케이블을 경유할 필요가 있으며, 차량내 배선용 케이블과 점퍼 케이블이 합하여 두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접속 및 접지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외래 노이즈가 큰 환경에서도 실현할 수 있고, 차량간 이동용의 점퍼 케이블을 새롭게 개발하는 일 없이,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 사이의 고속 전송이 행해지는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탑재되고,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처리를 실시하는 복수의 송수신 장치, 및 인접하는 차량의 송수신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로를 구비하고, 전송로는 차량내에 배선된 차량내 배선 케이블과 차량 사이를 걸쳐서 배선된 점퍼 케이블로 구성되고, 점퍼 케이블은 도체가 쉴드에 의하여 피복된 쉴드 전선을 내부에 복수 가지고, 쉴드 전선의 2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전송로를 구성하고, 한 쌍의 쉴드 전선의 쉴드끼리를 쉴드 전선의 양단에서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서로 접속된 쉴드를 쉴드 전선의 일단(一端)에서 접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간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비쉴드선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3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쉴드선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내 배선 케이블로서 이용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twisted pair cable)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의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간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차량
10 송수신 장치
11 전송로
20 차량내 배선 케이블
24 시스(sheath)(보호 피복)
25 도체
26 쉴드(차폐층)
27 절연체
30 점퍼 케이블
31 접속 단자대
32 비쉴드선
33 쉴드선
34 시스(보호 피복)
35 도체
36 쉴드(차폐층)
37 절연체
38 절연체
39 절연체
40 전기 연결기
41 컨택트
100 쉴드 접지선
101 쉴드 접속선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송수신 장치(10)는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1)의 각각 탑재되고,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처리를 실시한다. 인접하는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끼리는 전송로(11)로 접속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간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복수의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 중에서 인접하는 2 대를 취하여, 그 차량간 연결 부분의 점퍼 케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1, 10, 11은 도 1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전송로(11)는 차량내 배선 케이블(20)과 차량 사이를 이동하는 점퍼 케이블(30)을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송수신 장치(10)는 차량내 배선 케이블(20) 및 차량 사이를 이동하는 점퍼 케이블(30)과 차량내 배선 케이블(20)을 경유하여, 인접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와 접속되어 있다. 차량내 배선 케이블(20)과 점퍼 케이블(30)은 접속 단자대(3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점퍼 케이블(30)은 복수의 쉴드선(33) 및 비쉴드선(32)이 트위스트된 다발이 시스(34)(보호 피복)에 덮이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의 수, 배치, 직경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본 발명은 도 3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비쉴드선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점퍼 케이블(30)을 구성하는 비쉴드선(32)는 도체(35)가 절연체(37)로 피복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쉴드선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점퍼 케이블(30)을 구성하는 쉴드선(33)은 도체(35)가 절연 체(38)로 피복되고, 그 외측을 추가로 구리선 등으로 통 형상으로 편성한 쉴드(36)(차폐층)가 피복하고, 그 외측을 추가로 절연체(39)가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차량 사이를 직접 이동하는 점퍼 케이블(30)에는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점퍼 케이블(30)내의 도체(35)의 중심에는 단단한 구리선이 들어가 있고, 그 주위에 부드러운 구리선이 트위스트되어서 도체를 구성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내 배선 케이블로서 이용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나타내는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차량내 배선 케이블(20)로서 이용되는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이후 STP 라고 함) 케이블은 도체(25)의 주위에 절연체(27)를 피복한 절연 전선을 2 개 트위스트하고, 그 주위를 쉴드(26)로 덮고, 추가로 그 주위를 시스(24)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인접된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끼리를 접속하는 전송로(11)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도 8에 있어서, 10, 20, 31은 도 2에 있어서의 것과, 25, 26은 도 6에 있어서의 것과, 33, 35, 36은 도 5에 있어서의 것과 각각 동일한 것이다. 점퍼 케이블(30)의 2 개의 쉴드선(33)은 일단에서 쉴드선 사이를 쉴드 접속선(101)으로 접속되고,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10)는 다른 쪽의 인접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와도 접속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점퍼 케이블의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에 대응하고 있다.
도 9,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인접된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끼리를 접속하는 전송로(11)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의 본 발명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9, 도 10에 있어서, 10, 20, 31은 도 2에 있어서의 것과, 25, 26은 도 6에 있어서의 것과, 33, 35, 36은 도 5에 있어서의 것과 각각 동일한 것이다. 점퍼 케이블(30)의 2 개의 쉴드선(33)은 양단에서 쉴드선 사이를 쉴드 접속선(101)으로 접속되고,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10)는 다른 쪽의 인접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와도 접속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전송로(11)내의 접속 방법에 대한 것이며, 특히 도 2의 차 량 사이에 배치되는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의 접지에 대한 것이다.
차량내 배선 케이블의 구조 및 점퍼 케이블의 구조는 각각 도 6 및 도 3 ~ 도 5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쉴드된 케이블은 외래 노이즈에 강하다. 한편, 열차에는 각종 고압 또는 고주파를 취급하는 전기 기기가 탑재되어 있고, 이 때문에 항상 노이즈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STP 케이블을 차량내의 전송로로서 사용한다. 또, 차량 사이를 이동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점퍼 케이블(30)을 구성하는 전선중에서 2 개의 쉴드선(33)을 선택하여, 이것을 전송로로서 사용한다.
이하, 도 7 ~ 도 10에 따라, 실시 형태 1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도 8에서는 STP 케이블의 쉴드(26) 및 점퍼 케이블(30)내의 쉴드선(33)의 쉴드(36)는 케이블의 한 측에서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한다. 이것은 열차에 있어서는 차체의 전위가 항상 변동하고 있기 때문에, 쉴드선(33)을 양단에서 차체에 접지하면 쉴드선에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일단에서 접지하는 것이다.
STP 케이블의 쉴드는 도 7에서는 송수신 장치(10)측에서, 도 8에서는 점퍼 케이블과의 접속 단자대(31)측에서 쉴드 접지선(100)을 이용하여 접지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한 쪽의 차량내에 배선된 STP 케이블의 쉴드(26)는 송수신 장치(10)측에서, 다른 쪽의 차량내에 배선된 STP 케이블의 쉴드(26)는 접속 단자대(31)측에서 차체에 접지해도 된다.
점퍼 케이블(30)내에서는 2 개의 쉴드선(33)을 한 쌍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 기 때문에, 접지할 때에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쉴드 접속선(101)을 이용하여 2 개의 쉴드(36)끼리를 쉴드선(33)의 일단에서 접속하고 나서, 1 개의 쉴드 접지선(100)을 이용하여 차체에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쉴드선의 접지방법을 나타내는 도 9 및 도 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은 점퍼 케이블(30)내의 쉴드선(33)의 쉴드(36)의 접속 방법이 도 7 및 도 8 과는 다르다. 즉, 상술한 이유에 의해, 쉴드선(33)의 쉴드(36)는 한 측에 있어서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하지만,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쉴드 접속선(101)을 이용하여 2 개의 쉴드선(33)의 쉴드(36)끼리를 접지하는 측에서 접속하고 나서 한 측에서 차체에 접속하고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는 쉴드선(33)의 양단에 있어서, 쉴드(36)끼리를 쉴드 접속선(101)으로 접속하고 나서, 한 측에서 차체에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접속한다.
발명자 등이 행한 평가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접속 방법보다, 도 9 및 도 10의 접속 방법이 보다 높은 전송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전송 품질은 전송로(11)를 흐르는 신호의 반사나 감쇠의 영향으로 열화하지만, 이 반사나 감쇠는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의 불연속점에서 발생한다. STP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안정되어 있으나, 점퍼 케이블(30)내의 특성 임피던스는 전송로(11)로서 선택한 쉴드선(33)의 배치 조합이나, 주파수에 의해 크게 변화한다. 그 결과, STP 케이블과 점퍼 케이블(30)의 경계에 있어서, 신호의 반사나 감쇠가 발생하여, 전송 품질이 열화한다.
또한, 점퍼 케이블내에 STP 케이블을 넣는 것이 가능하면, 전송 품질의 열화를 막을 수 있으나, 그러한 점퍼 케이블은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비용이 증가되게 된다.
발명자 등이 행한 평가에 의하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접속 방법을 이용하면 점퍼 케이블(30) 부분의 특성 임피던스가 전송로로서 선택한 쉴드선(33)의 배치 조합이나, 주파수에 의하지 않고 안정적이면서, STP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와 동일한 정도로 되었다. 이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평형 전송의 경우, 2 개의 케이블을 한 쌍으로 하고, 이 한 쌍의 케이블을 전송로로서 사용한다. 이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는 (L/C)의 평방근으로 근사할 수 있다. L은 케이블의 인덕턴스이며, 케이블 사이의 정전 용량 C는 쌍으로 된 케이블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반비례한다).
쌍의 케이블이 단선 쉴드 케이블끼리인 경우는
C=1/((1/C1)+(1/C2)+(1/C3))
C1 : 한 쪽의 쉴드 케이블의 (도선-쉴드) 사이의 정전 용량
C2 : 다른 쪽의 쉴드 케이블의 (도선-쉴드) 사이의 정전 용량
C3 :(한 쪽의 쉴드 - 다른 쪽의 쉴드) 사이의 정전 용량
으로 나타내지만, C1, C2는 쉴드선의 내부 구조 및 그 소재에 의존하기 때문에 안정되어 있다.
이 때, 쉴드의 양단끼리를 접속하면, 쉴드선 사이의 정전 용량 C3은 없게 되 기 때문에,
C=1/((1/C1)+(1/C2))
로 되고, C는 안정된 값으로 된다. 따라서, 점퍼 케이블안의 어느 쉴드 케이블을 쌍으로 사용해도, 쉴드의 양단을 접속하는 것으로 거의 동일한 특성 임피던스로 된다.
이것에 대해, 한 측단에 있어서만 쉴드끼리를 접속하면, 케이블의 쉴드를 접속하고 있지 않는 측과, 접속하고 있는 측에서 C3의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가 안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점퍼 케이블의 2 개의 쉴드선을 양단에서 쉴드선 사이를 쉴드 접속선으로 접속하고, 이것을 쉴드 접지선에 의해 차체에 접지함으로써, 제조가 곤란하고 비용이 높은 점퍼 케이블을 새롭게 개발하지 않고 일반적인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 사이의 전송이 지금까지 보다 고속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 형태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차량간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복수의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 중에서, 인접하는 2 대를 취하여, 차량간 연결 부분에 배치된 전기 연결기를 명시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도 1)과 동일하다.
도 11에 있어서, 1, 10, 20, 30, 31은 도 2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각각의 차량의 양단에는 전기 연결기(40)가 구비되고, 인접 차량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전기 연결기(40)를 통하여 행해진다.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연결부에는 컨택트(41)가 구비되고, 인접 차량에 탑재된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컨택트(41)와 접속된다.
또, 전기 연결기(40) 내부에 배선되는 케이블에는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점퍼 케이블(30)이 이용된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의 일반적인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의 일반적인 접속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도 13에 있어서, 10, 20, 31, 41은 도 11에 있어서의 것과, 25, 26은 도 6에 있어서의 것과, 33, 35, 36은 도 5에 있어서의 것과 각각 동일한 것이다.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2 개의 쉴드선(33)은 일단에서 쉴드선 사이를 쉴드 접속선(101)으로 접속되고,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10)는 다른 쪽의 인접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와도 접속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 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에 대응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다른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에 대응하고 있다.
도 14, 도 15는 도 11에 나타낸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의 본 발명의 접속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 도 15에 있어서, 10, 20, 31은 도 11에 있어서의 것과, 25, 26은 도 6에 있어서의 것과, 33, 35, 36은 도 5에 있어서의 것과 각각 동일한 것이다.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2 개의 쉴드선(33)은 양단에서 쉴드선 사이를 쉴드 접속선(101)으로 접속되고,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10)는 다른 쪽의 인접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10)와도 접속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 차량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전기 연결기(40)를 통하여 실시하는 경우의 쉴드선의 접속 방법에 대한 것이며,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2 및 도 13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도 7 및 도 8과의 차이점을 말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송수신 장치(10) 사이는 다음에 나타내는 차례로 접속된다. 차량내 배선 케이블(20), 접속 단자대(31), 한 쌍의 쉴드선(33), 전기 연결기의 컨택트(41), 한 쌍의 쉴드선(33), 접속 단자대(31), 그리고 차량내 배선 케이블(20)의 순서이다. 쉴드선(33)의 쉴드는 접속 단자대(31)측에서 차체에 접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2, 도 13에서는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은 쉴드선(33)의 일단에서 쉴드선 사이가 쉴드 접속선(101)에 의해 접속되고, 또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전기 연결기(40) 내부의 점퍼 케이블(30)의 쉴드선(33)은 쉴드선(33)의 양단에서 쉴드선 사이가 쉴드 접속선(101)에 의해 접속되고, 또 쉴드 접지선(100)에 의해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연결기 내부의 쉴드선의 접속 방법에 의해, 전기 연결기에 의해 차량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경우에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전기 연결기 내부의 점퍼 케이블의 쉴드선을 쉴드선의 양단에서 쉴드선 사이가 쉴드 접속선에 의해 접속하고, 또 쉴드 접지선에 의해 차체에 접지함으로써, 차량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전기 연결기로 행해지는 열차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 탑재되고,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처리를 실시하는 복수의 송수신 장치, 및 인접하는 차량의 송수신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로를 구비하고, 전송로는 차량내에 배선된 차량내 배선 케이블과 차량 사이를 걸쳐서 배선된 점퍼 케이블로 구성되고, 점퍼 케이블은 도체가 쉴드에 의하여 피복된 쉴드 전선을 내부에 복수 가지고, 쉴드 전선의 2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전송로를 구성하고, 한 쌍의 쉴드 전선의 쉴드끼리를 쉴드 전선의 양단에서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서로 접속된 쉴드를 쉴드 전선의 일단에서 접지하였으므로 차량에 탑재된 송수신 장치끼리가 열차 정보를 전송할 때에, 점퍼 케이블을 새롭게 개발하는 일 없이, 일반적인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보다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탑재되고, 서로 연계하여 열차 정보의 처리를 실시하는 복수의 송수신 장치, 및 인접하는 차량의 상기 송수신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전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로는 상기 차량내에 배선된 차량내 배선 케이블과 차량 사이를 걸쳐서 배선된 점퍼(jumper)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내 배선 케이블은 쉴드(shield)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STP 케이블)로 구성되고, 그 쉴드의 일단(一端)이 접지됨과 동시에,
    상기 점퍼 케이블은 도체가 쉴드에 의하여 피복된 쉴드 전선을 내부에 복수 가지고, 상기 쉴드 전선의 2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상기 차량내 배선 케이블을 구성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과 접속하여 상기 전송로를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쉴드 전선의 쉴드끼리를, 상기 쉴드 전선의 양단에서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서로 접속된 쉴드를 상기 쉴드 전선의 일단에서 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량의 양단에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부를 서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차량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전기 연결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연결기의 내부에는 상기 점퍼 케이블이 배선되고, 인접하는 차량의 상기 전기 연결기에 배선된 상기 점퍼 케이블끼리가 상기 전기 연결기의 연결부에 의해 서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20077009113A 2005-07-12 2006-06-08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0895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3110 2005-07-12
JPJP-P-2005-00203110 200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752A KR20070083752A (ko) 2007-08-24
KR100895366B1 true KR100895366B1 (ko) 2009-04-29

Family

ID=3763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113A KR100895366B1 (ko) 2005-07-12 2006-06-08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53720B2 (ko)
EP (1) EP1902893B1 (ko)
JP (1) JP4712032B2 (ko)
KR (1) KR100895366B1 (ko)
CN (1) CN101061018B (ko)
CA (1) CA2581820C (ko)
ES (1) ES2385254T3 (ko)
HK (1) HK1109886A1 (ko)
TW (1) TWI320016B (ko)
WO (1) WO2007007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487B2 (ja) * 2007-07-13 201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情報送受信システム
EP2263905B2 (en) 2008-04-07 2023-11-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relay device for train and communication relay method for train
CN102067597B (zh) * 2008-06-23 2013-07-17 三菱电机株式会社 列车内监控系统及列车内监控方法
JP5242283B2 (ja) * 2008-08-05 2013-07-24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内情報ネットワーク装置
JP4780170B2 (ja) 2008-09-30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
CA2749224C (en) * 2009-01-09 201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ES2655413T3 (es) * 2010-07-26 2018-02-20 Noris Automation Gmbh Cable de señalización y vehículo, en particular un vehículo sobre railes con un cable de señalización de este tipo
WO2012070150A1 (ja) 2010-11-26 2012-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列車情報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5885387B2 (ja) * 2011-01-14 2016-03-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高圧機器システム及び鉄道車両
JP5174989B1 (ja) * 2011-10-18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ジャンパ連結器
US8408944B1 (en) * 2011-10-31 2013-04-02 Lear Corporation Scalable connection system for parallel wiring circuits
US9073560B2 (en) 2013-08-23 2015-07-07 Electro-Motive Die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paths in a trainline communication network
US9270335B2 (en) 2013-08-23 2016-02-23 Electro-Motive Diesel, Inc. Receive attenuation system for train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9260123B2 (en) 2013-08-23 2016-02-16 Electro-Motive Die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omotive position in a consist
US9463816B2 (en) 2013-08-23 2016-10-11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lin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point including filter
US9688295B2 (en) 2013-08-23 2017-06-27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line network access point for parallel communication
US9560139B2 (en) 2014-04-11 2017-01-31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 communication network
US9744979B2 (en) 2014-04-11 2017-08-29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 communication network
DE102015222527A1 (de) * 2015-11-16 2017-05-18 Voith Patent Gmbh Elektrokontaktkupplung
FR3044866B1 (fr) * 2015-12-03 2018-01-12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Dispositif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d'une liaison de communication de donnees pour un vehicule ferroviaire, cable de communication et systeme de communication associes
DE102017110956A1 (de) * 2017-05-19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Energie und Information über ein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EP3569426B1 (de) * 2018-05-17 2021-03-10 Hübner GmbH & Co. KG System zur führung von leitungen in einem fahrzeug,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mit beweglich miteinander verbundenen fahrzeugteil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097A (ja) * 1995-06-05 1996-12-13 Kokusai Electric Co Ltd 車両間空間伝送システム
JP2005012925A (ja) * 2003-06-19 2005-0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相超電導ケーブルの相分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7113A (ja) * 1984-03-21 1985-10-05 株式会社ユタカ製作所 電気連結器
JPS61196172A (ja) * 1985-02-26 1986-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ヨツパ型比較器
JPS61196172U (ko) * 1985-05-30 1986-12-06
US4954101A (en) * 1989-07-06 1990-09-04 Neal Nelson Improved cable for coupling between data terminals and data sets
JPH0730561A (ja) 1993-07-12 1995-01-31 Ibiden Co Ltd 画像データ受信端末装置
US6201853B1 (en) * 1999-07-13 2001-03-13 Communications Manufacturing Company Telephone technician's remote assist apparatus and method
JP2004146354A (ja) * 2002-08-27 2004-05-20 Canon Inc シールド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097A (ja) * 1995-06-05 1996-12-13 Kokusai Electric Co Ltd 車両間空間伝送システム
JP2005012925A (ja) * 2003-06-19 2005-0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相超電導ケーブルの相分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2893A1 (en) 2008-03-26
TW200710880A (en) 2007-03-16
CN101061018B (zh) 2012-04-11
HK1109886A1 (en) 2008-06-27
US20090042436A1 (en) 2009-02-12
CA2581820C (en) 2013-06-25
EP1902893B1 (en) 2012-04-11
CA2581820A1 (en) 2007-01-18
CN101061018A (zh) 2007-10-24
ES2385254T3 (es) 2012-07-20
JPWO2007007495A1 (ja) 2009-01-29
TWI320016B (en) 2010-02-01
JP4712032B2 (ja) 2011-06-29
EP1902893A4 (en) 2010-10-27
KR20070083752A (ko) 2007-08-24
US7753720B2 (en) 2010-07-13
WO2007007495A1 (ja)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366B1 (ko)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US9443646B2 (en) Data cable
US4599483A (en) Signal cable
US6448500B1 (en) Balanced transmission shielded cable
KR101313364B1 (ko)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US9728904B2 (en) Method for connecting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electric device
CN101099301A (zh) 通信系统中减少串扰的导线以及触点配置
CN103534764A (zh) 具有屏蔽件的星绞线缆
US10121572B2 (en) Data cabl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a data cable
JP2008181818A (ja) 信号伝送ケーブル接続構造
CN109428232B (zh) 连接器装置
JP6777341B2 (ja) アダプター及びアダプター付きケーブル
JP2005285738A (ja) インターフェースケーブル
JP4744487B2 (ja) 列車情報送受信システム
JP7305329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104952518A (zh) 屏蔽线
CN112154716A (zh) 导体装置和制造方法
JP7044578B2 (ja) 信号伝送路、信号伝送路の製造方法
JP2015204164A (ja) ハーネス及び通信システム
JPH05258620A (ja) 信号ケーブル
TW201026537A (en) 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JP2007110195A (ja) 信号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