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364B1 -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364B1
KR101313364B1 KR1020117015484A KR20117015484A KR101313364B1 KR 101313364 B1 KR101313364 B1 KR 101313364B1 KR 1020117015484 A KR1020117015484 A KR 1020117015484A KR 20117015484 A KR20117015484 A KR 20117015484A KR 101313364 B1 KR101313364 B1 KR 10131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nection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569A (ko
Inventor
노리시게 에모토
가즈히로 이가
후미아키 에우라
마사히코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각 차량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 접지된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와; 양단부에, 상기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의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와 각각 감합 가능한 접속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접속 커넥터가 각각 장착되고, 그 제1, 제2 접속 커넥터의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및 그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를 쉴드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 커넥터 각각의 접속 접지 단자의 일방에만 접속된 쉴드층을 가지는 차량 접속 케이블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열차에 탑재된 각종 전기품(電機品)을 감시, 제어 및 검사하기 위해서, 각종 정보를 제어함과 아울러, 편성(編成) 열차 내에서 차량간에 걸쳐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류 전원으로부터 반도체 전력 변환기를 통하여 전기 기기에 급전(給電)하는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전력 변환기로의 배선에는 도전재와 제1 절연재와 박판(薄板) 형상의 정전 쉴드재와 제2 절연재와 박판 형상의 자기(磁氣) 실드재를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선을 이용하여, 상기 도전재에는 주전류를 통전시키고, 상기 정전 쉴드재의 일단(一端)은 상기 반도체 전력 변환기의 접지 전위에 접속하고, 상기 자기 실드재의 일단은 그 반도체 전력 변환기의 케이스에 접속한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전기 시스템의 쉴드는 일측에서 접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051403호 공보(도 1)
철도 차량은 모터나 인버터 등의 노이즈를 발생하는 기기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간 정보의 고속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내노이즈성을 가지는 전송로를 마련해야 한다. 내노이즈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송로에는 노이즈의 차폐(遮蔽)를 목적으로 하는 쉴드층(차폐층) 장착의 케이블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쉴드층은 케이블의 양단의 2개소(箇所)에서 접지시키는 것에 의해 차폐 효과가 높아진다. 그렇지만 철도 차량에 있어서는 차체 어스의 전위가 일정하지 않고, 장소나 시간이 다르면 전위가 다르므로, 쉴드를 양단의 2개소에서 차체에 접지하면, 쉴드에 대량의 전류가 흘러 소실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일측 1개소에서만 접지를 행한다. 특히, 차량이 다르면, 전위차가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상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쉴드층을 일측 1개소에서만 접지하고 있지만, 자동차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열차와 같이 연결된 차량끼리의 정보 전송로에 적용할 수 없다.
철도 차량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차량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차량 접속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다. 차량 접속 케이블에는 복수 종류의 전선을 묶은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다. 또, 차량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 대비하여, 다른 타입의 다른 편성으로도 열차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필요 최저한의 신호선이나 전력선을 접속하는 구원용 점퍼 케이블도 있다.
이러한 점퍼 케이블로, 쉴드된 전선을 이용하면, 쉴드층의 접속처가 1개소로 되도록 점퍼 케이블의 방향을 고려하고, 또한 차량의 방향을 바꾸지 않게 차량을 편성해야 하므로, 운용면에서 불편했다. 이 때문에, 쉴드층을 어디에도 접속하지 않고(접지하지 않고) 이용하는 일이 많아서, 쉴드층의 차폐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의 편성, 운용을 제약하는 일 없이, 외부 노이즈가 큰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고, 차량 접속 케이블용의 점퍼 케이블을 새로 개발하는 일 없이, 종래보다 고속의 정보 전송이 가능한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탑재되고, 서로 연휴(連携)하여 열차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송수신 장치와; 상기 각 차량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 접지된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 각각의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와 상기 정보 송수신 장치를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로, 및 상기 차량에 접지되어 그 복수의 신호 전송로를 쉴드하는 쉴드층을 가지는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과; 양단부에, 상기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의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와 각각 감합(嵌合) 가능한 접속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접속 커넥터가 각각 장착되고, 그 제1, 제2 접속 커넥터의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및 그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전체를 둘러싸서 쉴드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 커넥터 각각의 접속 접지 단자의 어느 일방에만 접속된 단일의 쉴드층을 가지는 차량 접속 케이블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일방의 차량의 상기 제1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차량 접속 케이블의 제1 접속 커넥터를 접속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타방의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차량 접속 케이블의 제2 접속 커넥터를 접속하여 인접 차량간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차량의 운용을 제약하는 일 없이, 외부 노이즈가 큰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고, 차량 접속 케이블용의 점퍼 케이블을 새로 개발하는 일 없이, 종래보다 고속의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인접 차량간에 전위차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특수한 케이블을 이용하는 일 없이 통상의 쉴드 케이블을 이용한 점퍼 케이블로, 접속하는 방향을 의식하지 않아도 쉴드 효과가 얻어져서, 전위차에 의한 전류가 쉴드에 흘러서 소절(燒切)되는 일도 없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대표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송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차량 접속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비쉴드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쉴드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twist pair)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대표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전송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송수신 장치(10)가 열차(200)의 각 차량(201)에 탑재되고, 근방의 차량(201, 201)에 탑재된 정보 송수신 장치(10)끼리가 전송로(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로(11)는 제1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제1 차량측 커넥터(21a), 제1 접속 커넥터(61), 차량 접속 케이블(60), 제2 접속 커넥터(62), 제2 차량측 커넥터(22a),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2)을 접속한 것이다.
정보 송수신 장치(10)는 제1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제1 차량측 커넥터(21a), 제1 접속 커넥터(61), 차량 접속 케이블(60), 제2 접속 커넥터(62), 제2 차량측 커넥터(22a) 및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2)을 경유하여 연결되어 근방의 차량에 탑재된 정보 송수신 장치(10)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차량측 커넥터(21a)는 차량의 전측 단부에 설치되고, 제2 차량측 커넥터(22a)는 후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 중 어느 일방이 제1 차량측 커넥터(21a)에 감합되고, 타방이 제2 차량측 커넥터(22a)에 감합되고, 제1 차량내 배선 케이블(21)과 차량 접속 케이블(60)과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2)이 접속된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단면도이다. 차량 접속 케이블(60)에는 복수 종류의 케이블을 묶은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다. 차량 접속 케이블(60)은 복수 개의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80), 복수 개의 쉴드 전선(33) 및 복수 개의 비쉴드 전선(32)을 트위스트시킨 다발을 시스(sheath, 보호 피복; 34)로 피복한 것이다.
차량 접속 케이블의 전선 수, 전선의 배치 및 선경(線徑)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본 발명의 차량 접속 케이블은 실시 형태의 차량 접속 케이블(6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비쉴드 전선의 단면도이다. 비쉴드 전선(32)은 전선(35)을 통 형상의 절연층(37)으로 피복한 것이다.
도 5는 쉴드 전선의 단면도이다. 쉴드 전선(33)은 전선(35)을 통 형상의 절연층(38)으로 피복하고, 절연층(38)을, 동선(銅線) 등을 통 형상으로 편성한 쉴드층(차폐층; 36)으로 피복하고, 쉴드층(36)을 추가로 통 형상의 절연층(39)으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은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의 단면도이다.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은 접속 신호 전송로로서의 전선(85, 85)을 통 형상의 절연층(87, 87)으로 피복한 2개의 절연 전선을 트위스트시키고, 그 주위를 쉴드층(86)으로 덮고, 그 주위를 시스(보호 피복; 84)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차량간을 직접 접속하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에 이용되는 점퍼 케이블에는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므로, 점퍼 케이블 내의 전선(35, 85)의 중심에는 경동선(硬銅線)이 넣어져 있고, 그 주위에 연동선(軟銅線)이 트위스트되어 전선(35, 85)을 구성하고 있다.
도 7은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22)로서 이용되는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전선(25, 25)의 주위에 통 형상의 절연층(27, 27)을 피복한 2개의 절연 전선을 트위스트시키고, 그 주위를 쉴드층(26)으로 덮고, 그 주위를 시스(보호 피복; 24)로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쉴드된 케이블은 외부 노이즈에 강하다. 한편, 열차에는 여러 가지 고압 또는 고주파를 취급하는 전기 기기가 탑재되어 있고, 항상 노이즈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쉴드된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22)을 차량 내의 전송로로서 이용한다. 또, 차량간을 접속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을 구성하는 전선 중에서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을 선택하여 전송로로서 이용한다.
도 8 ~ 도 12는 일반적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는 차량(201, 201)의 차체(101, 101)에 쉴드 접지선(100, 100)을 통하여 접지된 각각의 접지 단자(21b, 22b), 및 각각 2개(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를 가지고 있다.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22)은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각각의 2개(복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와 정보 송수신 장치(10)를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로(전선; 25, 25), 및 차량(201, 201)의 차체(101, 101)에 접지되고, 복수의 신호 전송로(25, 25)를 쉴드하는 쉴드층(26, 26)을 가지고 있다.
차량 접속 케이블(60a)은 양단부에,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의 접지 단자(21b, 22b)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와 각각 감합 가능한 접속 접지 단자(61b, 62b)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61c, 62c)를 가지는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가 각각 장착되고,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의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61c, 62c)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85, 85),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85, 85)를 쉴드하여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의 양쪽에 접속된 쉴드층(86)을 가지는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a)의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의 양단 2개소에 있어서, 쉴드층(86)이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의 접속 접지 단자(61b, 62b),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의 접지 단자(21b, 22b) 및 쉴드 접지선(100, 100)을 경유하여 차체(101, 101)에 접지되어 있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 차체의 전위가 장소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철도 차량에 있어서는 쉴드층(86)에 다량의 전류가 흘러 단선될 우려가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의 일측 1개소에서만, 쉴드층(86)이 제1 접속 커넥터(61)의 접속 접지 단자(61b), 제1 차량측 커넥터(21a)의 접지 단자(21b) 및 쉴드 접지선(100)을 경유하여 차체(101)에 접지되어 있다.
도 10은 차량 접속 케이블(60)을, 도 9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와 역방향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쉴드층(86)은 어느 측에 있어서도 차체(101)에 접지되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에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쉴드층(86)이 접지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노이즈의 차폐 효과가 적다. 도 9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차량(201)의 방향이 바뀌면, 도 11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로 되어, 도 11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도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와 동일하게, 외부 노이즈의 차폐 효과가 적다.
도 9에 나타내는 접지상태를 확보하고, 충분한 외부 노이즈 차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방향뿐만 아니라, 차량(201)의 방향을 고려하여 차량(201)의 연결을 행할 필요가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접속 케이블(60b)의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의 쉴드층(86)을 차체에 접지하고 있지 않다. 차량 접속 케이블(60b)의 방향이나 차량(201)의 방향이 바뀌어도 동일한 접속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열차(200)의 연결 운용 시에, 차량 접속 케이블(60b)이나 차량(201)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충분한 외부 노이즈 차폐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와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20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차량(201, 2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는 차량(201, 201)의 차체(101, 101)에 쉴드 접지선(100, 100)을 통하여 접지된 각각의 접지 단자(21b, 22b) 및 각각 2개(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를 가지고 있다.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21, 22)은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각각의 2개(복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와 정보 송수신 장치(10)를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로(25, 25), 및 차량(201, 201)의 차체(101, 101)에 접지되어 복수의 신호 전송로(25, 25)를 쉴드하는 쉴드층(26, 26)을 가지고 있다.
차량 접속 케이블(60)은 양단부에,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의 접지 단자(21b, 22b)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21c, 22c)와 각각 감합 가능한 접속 접지 단자(61b, 62b),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61c, 62c)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가 각각 장착되고, 또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의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61c, 62c)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85, 85),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85, 85)를 쉴드하여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의 각 접속 접지 단자(61b, 62b)의 일방에만 접속된 쉴드층(86)을 가지는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205)은 트위스트 페어 전선(80)의 쉴드층(86)을,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일방(제1)의 접속 커넥터(61)의 접속 접지 단자(61b)에 접속하고, 타방(제2)의 접속 커넥터(62)의 접속 접지 단자(62b)에는 접속하고 있지 않다.
한편, 차량(201, 201)측에서는 차체(101, 101)에 접지된 쉴드 접지선(100, 100)이 각각 차량측 커넥터(21a, 22a)의 접지 단자(21b, 22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로,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제1, 제2 접속 커넥터(61, 62)를 각각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21a, 22a)에 접속하면, 쉴드층(86)은 일측의 차체(101)에만 접속된다.
도 14는 차량 접속 케이블(60)을, 도 13에 나타내는 접속 상태와 역방향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도 쉴드층(86)은 일측의 차체(101)에만 접속된다. 이와 같이, 차량 접속 케이블(60) 및 차량(201, 201)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쉴드층(86)을, 일측의 차체(101)에만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접속 신호 전송로로서는 트위스트 페어 전선(80) 대신에, 쉴드 전선(33)을 복수 개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 형태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205)에 의하면, 다른 차량(201, 201)에 탑재된 정보 송수신 장치(10, 10)끼리가, 차량 접속 케이블(60)을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차량 접속 케이블(60)의 방향이나, 차량(201, 201)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충분한 외부 노이즈 차폐 효과를 확보하여, 종래보다 고속의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차량 편성이 바뀌는 열차의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으로서 유용하다.
10 정보 송수신 장치
11 전송로
21 제1 차량내 배선 케이블(트위스트 페어 전선을 포함)
21a 제1 차량측 커넥터
21b 접지 단자
21c 신호 전송로 단자
22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트위스트 페어 전선을 포함)
22a 제2 차량측 커넥터
22b 접지 단자
22c 신호 전송로 단자
24, 39, 84 시스(보호 피복)
25, 35, 85 전선
26, 36, 86 쉴드층(차폐층)
27, 37, 38, 87 절연층
32 비쉴드 전선
33 쉴드 전선
60 차량 접속 케이블
61 제1 접속 커넥터
61b 접속 접지 단자
61c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
62 제2 접속 커넥터
62b 접속 접지 단자
62c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
80 쉴드된 트위스트 페어 전선
100 쉴드 접지선
101 차체
200 열차
201 차량
205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Claims (3)

1 열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의 각각에 탑재되고, 서로 연휴(連携)하여 열차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송수신 장치와,
상기 각 차량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 접지된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 각각의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와 상기 정보 송수신 장치를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신호 전송로, 및 상기 차량에 접지되어 그 복수의 신호 전송로를 쉴드하는 쉴드층을 가지는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과,
양단부에, 상기 제1, 제2 차량측 커넥터의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신호 전송로 단자와 각각 감합(嵌合) 가능한 접속 접지 단자 및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를 각각 가지는 제1, 제2 접속 커넥터가 각각 장착되고, 그 제1, 제2 접속 커넥터의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단자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및 그 복수의 접속 신호 전송로 전체를 둘러싸서 쉴드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 커넥터 각각의 접속 접지 단자의 어느 일방에만 접속된 단일의 쉴드층을 가지는 차량 접속 케이블을 구비하고,
인접하는 일방의 차량의 상기 제1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차량 접속 케이블의 제1 접속 커넥터를 접속함과 아울러, 인접하는 타방의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 커넥터와 상기 차량 접속 케이블의 제2 접속 커넥터를 접속하여 인접 차량간의 전송로를 구성하고,
상기 차량 접속 케이블의 방향 또는 상기 차량의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단일의 쉴드층을 상기 차량측 커넥터 및 상기 접속 커넥터를 통하여 앞뒤 차량의 한쪽의 차체에만 접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차량내 배선 케이블 및 차량 접속 케이블은 신호 전송로로서 트위스트 페어(twist pair) 전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삭제
KR1020117015484A 2009-01-09 2009-01-09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1313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0240 WO2010079618A1 (ja) 2009-01-09 2009-01-09 列車情報送受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69A KR20110096569A (ko) 2011-08-30
KR101313364B1 true KR101313364B1 (ko) 2013-10-01

Family

ID=4231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484A KR101313364B1 (ko) 2009-01-09 2009-01-09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84767B2 (ko)
EP (1) EP2377714B1 (ko)
KR (1) KR101313364B1 (ko)
CN (1) CN102271960B (ko)
CA (1) CA2749224C (ko)
HK (1) HK1163028A1 (ko)
SG (1) SG172864A1 (ko)
WO (1) WO2010079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0170B2 (ja) * 2008-09-30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
EP2645510B1 (en) * 2010-11-26 2018-07-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JP6089288B2 (ja) * 2011-05-19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
FR2985487B1 (fr) * 2012-01-11 2015-09-04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de protection electromagnetique d'une connexion de communication de donnees pour un vehicule ferroviaire et systeme de communication d'un vehicule ferroviaire
US9132843B2 (en) * 2013-05-28 2015-09-15 Electro-Motive Diesel,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train consist
DE102015222527A1 (de) * 2015-11-16 2017-05-18 Voith Patent Gmbh Elektrokontaktkupplung
DE102016205586A1 (de) * 2016-04-05 2017-10-05 Voith Patent Gmbh Datenbusstecker für hohe Datenraten
ES2908731T3 (es) * 2016-04-22 2022-05-03 Tecnikabel S P A Sistema de cableado mejorado, en particular para la conexión entre vagones de un vehículo ferroviario
DE102017110956A1 (de) * 2017-05-19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Energie und Information über ein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FR3066987B1 (fr) * 2017-05-31 2019-07-26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un reseau de distribution d'electricite optimise
JP7272907B2 (ja) * 2019-08-30 2023-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
KR102275650B1 (ko) * 2021-01-29 2021-07-12 유진기공산업주식회사 저항제어 전동차용 구원운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327A (ja) * 1992-12-25 1994-09-02 Fuji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JP2005168126A (ja) * 2003-12-01 2005-06-23 Toshiba Corp 鉄道車両用伝送装置
WO2007007495A1 (ja) * 2005-07-12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列車搭載情報送受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828A (en) * 1899-05-30 Cable-coupling
US4386814A (en) * 1981-08-17 1983-06-07 Amp Incorporated Kit for converting a panel opening to a shielded pin receptacle
US4571012A (en) * 1984-12-21 1986-02-18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653825A (en) * 1985-09-06 1987-03-31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1997009754A1 (en) * 1995-09-08 1997-03-13 The Whitaker Corporation Pivo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452456B2 (ja) * 1997-01-30 2003-09-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間の接続方法と接続ケーブル
JP2002051403A (ja) 2000-07-28 2002-02-15 Fuji Electric Co Ltd 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US6581791B2 (en) * 2001-08-22 2003-06-24 New York Air Brake Mounting block assembly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rail cars
JP3835759B2 (ja) * 2003-04-08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装置及び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システム並びに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装置を用いた通信方法
JP2005012925A (ja) * 2003-06-19 2005-0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相超電導ケーブルの相分岐構造
EP1899208A1 (en) * 2005-07-07 2008-03-19 Geofocus LLC Contactless data communications coupling
CN101221834A (zh) * 2007-12-14 2008-07-16 吴江市盛信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岔道横向连接电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327A (ja) * 1992-12-25 1994-09-02 Fuji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JP2005168126A (ja) * 2003-12-01 2005-06-23 Toshiba Corp 鉄道車両用伝送装置
WO2007007495A1 (ja) * 2005-07-12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列車搭載情報送受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9618A1 (ja) 2010-07-15
CA2749224A1 (en) 2010-07-15
EP2377714B1 (en) 2018-05-02
CN102271960A (zh) 2011-12-07
HK1163028A1 (en) 2012-09-07
EP2377714A1 (en) 2011-10-19
CN102271960B (zh) 2014-02-26
SG172864A1 (en) 2011-08-29
US8684767B2 (en) 2014-04-01
US20110248473A1 (en) 2011-10-13
CA2749224C (en) 2014-11-04
KR20110096569A (ko) 2011-08-30
EP2377714A4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364B1 (ko) 열차 정보 송수신 시스템
KR100895366B1 (ko) 열차 탑재 정보 송수신 시스템
WO2014014096A1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140125855A (ko)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EP2645510B1 (en) Electric connector, train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JP4744487B2 (ja) 列車情報送受信システム
JP2008181818A (ja) 信号伝送ケーブル接続構造
JP5488891B2 (ja) ケーブル接続確認装置
US20200139905A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CN104952518B (zh) 屏蔽线
TWI344428B (ko)
CN212113310U (zh) 一种线束以及车载系统
JP7044578B2 (ja) 信号伝送路、信号伝送路の製造方法
WO2023095621A1 (ja) 配線システム
JP7439490B2 (ja) ノイズ対策回路
JPS58206009A (ja) 複合ケ−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