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855A -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 Google Patents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855A
KR20140125855A KR1020147025506A KR20147025506A KR20140125855A KR 20140125855 A KR20140125855 A KR 20140125855A KR 1020147025506 A KR1020147025506 A KR 1020147025506A KR 20147025506 A KR20147025506 A KR 20147025506A KR 20140125855 A KR20140125855 A KR 2014012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e
electric wire
insulating lay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하루 나가하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4Concen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배색(配索) 경로의 자유도를 높이고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배색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는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外裝)부재붙이 전선을 제공한다. 전선(10)과 외장부재(20)를 구비한 외장부재붙이 전선(1)에 있어서, 전선(10)이 복수의 단선(單線)(W)을 합친 내측 도체(導體)(11)와, 내측 도체(11)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12)과, 내측 절연층(12)의 외주(外周)를 따르는 복수의 단선(W)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도체(13)와, 외측 도체(13)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14)을 구비하는 것으로, 전선(10)의 직경 치수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전선(10)의 휨 방향에 관한 이방성(異方性)을 억제할 수 있고, 외장부재붙이 전선(1)이 어느 방향으로도 휘기 쉬워지고, 또한 필요로 하는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배색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ELECTRICAL WIRE ROUTING STRUCTURE, AND ELECTRICAL WIRE WITH EXTERNAL CLADDING MEMBER}
본 발명은, 전선의 배색(配索) 구조 및 외장(外裝)부재붙이 전선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 등의 차량의 내부나 외부(플로어 아래) 등에 설치되는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다종다양한 전자 기기가 탑재되고, 전자 기기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 등을 전하기 위하여, 와이어 하니스(전선)가 배색되어 있다. 또한, 근년,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이 구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도 일반적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구동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류를 인버터에 의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이 교류 전류에 의하여 모터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와 인버터를 접속하여 직류 전류를 전송하는 전력선으로서는, 정부(正負)의 이극(二極)에 대응한 이심(二芯)의 전선이 이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선(케이블)(10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선(單線)이나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지는 도체(導體)(101)를 절연체(102)로 피복한 2개의 절연선심(103)과, 이들의 절연선심(103)의 주위에 설치된 개재물(介在物)(104)과, 2개의 절연선심(103) 및 개재물(104)의 주위에 돌려 감은 압권(押卷) 테이프(105)와, 압권 테이프(105)의 외주(外周)를 덮는 시스(sheath)(10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전선(100)에서는, 개재물(104)의 성분을 적의(適宜)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전선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환경에 배려한 전선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42521호
그렇지만 종래의 전선(100)과 같이, 도체(101) 및 절연체(102)로 이루어지는 절연선심(103)이 2개 병렬된 전선에서는, 그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이방향(二方向) 중, 절연선심(103)의 병렬 방향(도 5의 X 방향)을 축으로 하면 전선이 비교적 용이하게 휘어지지만, 병렬 직교 방향(도 5의 Y 방향)을 축으로 한 경우에는, 전선이 휘어지기 어려워져 버린다. 이 때문에, 전선의 휘어지기 쉬움(휘어지기 어려움)에 방향성(이방성(異方性))이 나와 버리는 것으로부터, 차량 등에 전선을 배색할 때에 가능한 방향으로 전선을 휠 수 없고, 배색 경로가 제약을 받아 배색 거리(전선 길이)가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나아가, 종래의 전선에서는, 병렬된 2개의 절연선심(103)을 덮어 압권 테이프(105) 및 시스(106)가 설치되는 것으로부터, 시스(106)의 직경이 절연선심(103)의 직경의 2배를 넘어, 시스(106) 내에 쓸데없는 공간(개재물(104))이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이 전선을 내장(內藏)한 시스가 대경화(大徑化)하는 것으로부터, 배색을 위하여 큰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배색 경로가 한층 더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배색 경로의 자유도를 높이고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배색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는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복수의 단선을 합친 내측 도체와, 상기 내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과,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르는 복수의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도체와, 상기 외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을 구비한 전선의 외주를, 그 긴쪽 방향을 따라 외장부재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과,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은, 동일 소재 또한 동일 선경(線徑)의 단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내측 도체보다도 개수가 많은 복수의 단선을 가져 당해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가, 1개의 심선, 당해 심선을 둘러싸는 6개의 중간선, 및 당해 중간선을 둘러싸는 12개의 외주선의 삼단으로 이루어지는 19개의 상기 단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도체가,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른 일단(一段)으로 이루어지는 20개의 상기 단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과,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은, 서로 이소재(異素材)의 단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내측 도체보다도 도전율이 높은 단선을 가져 당해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이 나선상(螺旋狀)으로 트위스트되는 것과 함께,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이 나선상으로 트위스트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도체보다도 큰 트위스트 피치(pitch)를 가져 상기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선의 배색 구조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의 배터리와 인버터를 접속하는 전력선에 이용되고,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외장부재붙이 전선은, 복수의 단선을 합친 내측 도체와, 상기 내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과,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르는 복수의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도체와, 상기 외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과, 상기 외측 절연층의 외주를 긴쪽 방향을 따라 덮는 외장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선이 내측 도체와, 내측 절연층과, 외측 도체와, 외측 절연층을 구비한 동축(同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직교한 방향으로의 휘기 쉬움의 이방성을 배제할 수 있다. 나아가, 동등 단면의 이심의 전선과 비교한 경우, 내측 도체 및 내측 절연층의 직경은 이심의 전선의 각각과 동일한 정도로 구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그 외주의 둘레 길이가 길어지는 것으로부터 외측 도체는, 그 외경(外徑) 치수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선은, 이심을 병렬한 전선보다도 휨 강성의 증가를 억제하고, 또한 직경 치수의 확대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을 덮는 외장부재의 내경 및 외경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선에 있어서의 휘기 쉬움의 이방성이 배제되고, 휨 강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차량 등에 배색할 때의 배색 경로의 자유도를 높이고, 또한 배색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배색 작업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여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외장부재까지 포함한 배색체의 전(全) 직경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한층 더 촉진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 도체보다도 외측 도체의 단선의 개수를 많게 하는 것으로, 외측 도체 전선의 단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전선의 단위 길이당 단선의 길이로서 외측 도체 쪽이 길어진 경우여도, 내외의 도체간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값의 차분을 용이하게 조정하여 균등화할 수 있다. 이때, 내측 도체는, 복수의 단선을 합쳐(하나로 합쳐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개수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외측 도체는,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개수를 늘린 경우에서도 외경 치수의 확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 도체가 1개, 6개, 12개의 삼단, 19개의 단선으로 구성되고, 외측 도체가 일단, 20개의 단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조합한 내측 도체의 직경 치수를 최소화하는 것과 함께, 일단의 단선에 의하여 외측 도체의 외경 치수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선의 직경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필요로 되는 도체의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 도체보다도 외측 도체의 단선의 도전율을 높게 하는 것으로, 외측 도체의 단선을 가늘게 하여 전선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전선의 단위 길이당 단선의 길이로서 외측 도체가 길어진 경우여도, 내외의 도체간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값의 차분을 조정하여 균등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내측 도체의 단선으로서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한 알루미늄선을 이용하고, 외측 도체의 단선으로서 동(銅), 동합금(同合金)을 소재로 한 동선(銅線)을 이용하는 등, 내측 도체와 외측 도체로 적의하게 단선의 소재를 선택하면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단선을 나선상으로 트위스트하여 내측 도체 및 외측 도체를 각각 구성하는 것과 함께, 외측 도체의 트위스트 피치를 내측 도체보다도 크게 하는 것으로, 전선의 단위 길이당 외측 도체의 단선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감기는(트위스트되는) 외측 도체는, 그 감기의 둘레 길이가 내측 도체보다도 길기 때문에, 동일 피치로 트위스트한 경우에는, 내측 도체보다도 외측 도체의 단선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것에 의하여 외측 도체의 전기 저항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외측 도체의 트위스트 피치를 내측 도체보다도 크게 하는 것으로, 즉 단위 길이당 감기 횟수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내측 도체에 대한 외측 도체의 단선의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전기 저항값의 균등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의 배터리와 인버터를 접속하는 전력선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배색 경로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플로어 아래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배색 작업이 하기 어려운 플로어 아래여도 양호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전선의 배색 구조와 마찬가지로, 배색 경로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배색 작업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여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의 단면 형상이 원형(圓形)으로 되기 때문에, 외장부재와의 극간(隙間)이 필요 최소한이 되도록 외장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와 같은 이심의 전선과 비교하여, 전선과 외장부재의 밀접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전(通電)에 의하여 발열한 전선으로부터의 열을 외장부재로 전달하고, 이 외장부재로부터 방열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배색 구조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배색 구조를 구성하는 외장부재붙이 전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외장부재붙이 전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배색 구조에 이용하는 전선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관련되는 전선을 도시하는 단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전선의 배색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선의 배색 구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2)에 설치되는 외장부재붙이 전선(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자동차(2)는, 엔진(3)과 모터로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이고, 이 자동차(2)에는, 모터의 구동의 제어 및 모터의 전력 회생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버터(4)와, 엔진(3) 및 모터의 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엔진(3)의 동력을 분할하여 발전기에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 액슬(trans axel)(5)과, 전력을 충전하거나 인버터(4)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하기 위한 배터리(6)가 탑재되어 있다. 외장부재붙이 전선(1)은, 자동차(2)의 플로어 아래를 경유하여 인버터(4)와 배터리(6)를 접속하는 것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10)과, 이 전선(10)의 긴쪽 방향을 따라 당해 전선(10)의 외주를 덮는 외장부재(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선(10)은, 배터리(6)로부터의 전력을 인버터(4)에 전송하거나 또는 발전된 전력을 인버터(4)로부터 배터리(6)로 전송하는 것이고, 정부 각각의 직류 전류를 통전시키는 전력선으로서 이용된다. 이 전선(10)은,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정(正)의 전류를 전송하는 내측 도체(11)와, 이 내측 도체(11)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12)과, 예를 들어 부(負)의 전류를 전송하는 외측 도체(13)와, 이 외측 도체(13)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14)을 구비한다.
외장부재(2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고 주름관 형상부와 스트레이트부를 가져 성형된 코루게이트 튜브나, 금속제의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장부재(20)는, 전선(1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전선(10)이 유삽(遊揷) 가능하며, 전선(10)의 외형과 마찬가지의 원통(圓筒) 단면을 가진 것이고, 전선(10)을 보호하는 것과 함께, 자동차(2)의 플로어 등에 굴곡 상태로 배색되어 적의한 고정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장부재(20)는, 도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것과 함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 실드(shield)층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외장부재(20)로서 수지제의 코루게이트 튜브를 사용한 경우는, 코루게이트 튜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실드층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내측 도체(11)는, 복수의 단선(W)을 합쳐 나선상으로 트위스트된 연선이고, 단선(W)의 개수로서는, 1개의 심선(11A)과, 이 심선(11A)을 둘러싸는 6개의 중간선(11B)과, 이 중간선(11B)을 둘러싸는 12개의 외주선(11C)과의 삼단으로 이루어지는 19개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도체(13)는, 내측 절연층(12)의 외주를 따라 나선상으로 트위스트된 복수의 단선(W)으로 이루어지고, 단선(W)의 개수로서는, 일단으로 이루어지는 20개로 구성되고, 즉, 내측 도체(11)보다도 외측 도체(13) 쪽이 단선(W)의 개수(단면적)가 5% 정도만큼 많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W)은, 동일 소재 또한 동일 선경의 것이고, 예를 들어, 동, 동합금을 소재로 한 연동선(軟銅線), 주석 도금 동선 또는 니켈 도금 동선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한 알루미늄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선(W)은, 선경이 1mm의 일종으로 통일되어 있다.
내측 절연층(12) 및 외측 절연층(14)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고,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서는, 여러가지의 종류의 것이 공지가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고분자 재료로부터 적의 선택된다. 또한, 수지 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소재(可塑材)가 첨가된 것이나(폴리염화비닐 수지), 가교(架橋) 처리가 행하여진 것(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이 이용된다. 그리고 내측 절연층(12)은, 내측 도체(11)와 함께 압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一體)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측 도체(11)와 일체화한 내측 절연층(12)의 외주에 외측 도체(13)를 감은 것을, 통상(筒狀)으로 성형한 외측 절연층(14)에 압입(壓入) 압출하는 것에 의하여, 전선(10)이 제조된다.
이상의 전선(10)에 있어서,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의 각 단선(W)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트위스트 피치(L1, L2)로 트위스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내측 도체(11)에 있어서의 단선(W)의 트위스트 피치(L1)는, 58mm로 설정되고,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트위스트 피치(L2)는, 65mm로 설정되고, 즉, 내측 도체(11)보다도 12% 정도만큼 큰 트위스트 피치(L1<L2)를 가져 외측 도체(13)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위스트 피치(L1, L2)와, 상기 단선(W)의 개수(단면적)는,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의 전기 저항값을 균등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위스트 피치(L1, L2)를 작게 하면, 단선(W)의 감기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전선(10)의 단위 길이당 단선(W)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져 전기 저항이 증가하고, 반대로, 트위스트 피치(L1, L2)를 크게 하면, 단선(W)의 감기 횟수가 줄어 드는 것으로부터, 전선(10)의 단위 길이당 단선(W)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전기 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내측 도체(11)보다도 외측 도체(13) 쪽이 직경 치수가 큰 것으로부터, 각각의 트위스트 피치(L1, L2)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고 하여도, 내측 도체(11)보다도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길이가 길어져 전기 저항이 커진다. 또한, 트위스트 피치(L1, L2)를 작게 하면, 전기 저항이 증가하지만, 전선(10)의 유연성이 높아져 휘어지기 쉬워진다고 하는 특성도 가지고, 이와 같이 전선(10)의 유연성을 높이는 것으로 배색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의 각 단면적은, 각각의 단선(W)의 개수에 의하여 설정되고, 단선(W)의 개수를 늘리는 것으로 전기 저항이 감소하고, 단선(W)의 개수를 줄이는 것으로 전기 저항이 증가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전선(10)에서는, 내측 도체(11)에 있어서의 단선(W)의 트위스트 피치(L1)보다도,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트위스트 피치(L2)를 크게 설정하는 것과 함께, 내측 도체(11)에 있어서의 단선(W)의 개수보다도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개수를 많게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내측 도체(11)와 외측 도체(13)의 전기 저항값을 균등화하고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외측 도체(13)에 있어서, 한층 더 단선(W)의 개수를 늘려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그 감소분에 따라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트위스트 피치(L2)를 작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트위스트 피치(L2)를 작게 하는 것으로, 전선(10)의 유연성을 높이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 도체(11)와 외측 도체(13)를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배치하여 전선(10)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10)의 직경 치수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이 전선(10)의 휨 방향에 관한 이방성을 없애거나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선(10)이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전선(10)을 덮는 외장부재(20)의 내경 및 외경도 필요 최소한의 치수로 하여, 전선(10)과의 극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장부재붙이 전선(1)을 소경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장부재붙이 전선(1)이 어느 방향으로도 휘기 쉬워지고, 또한 필요로 하는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2)의 플로어 아래 공간의 좁은 간극(間隙)을 통하여 외장부재붙이 전선(1)을 효율 좋게 배색할 수 있다. 또한, 외장부재붙이 전선(1)의 유연성이 높여져 있기 때문에, 배색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에 있어서의 단선(W)의 개수와 트위스트 피치(L1, L2)를 적의하게 설정하는 것으로, 서로의 전기 저항값을 균등화하는 것과 함께, 전선(10)의 휘기 쉬움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10)의 접속 대상이나 설치 개소에 따라 소망의 특성을 가진 전선(10)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를 구동하거나 배터리(6)를 충전하거나 하기 위한 직류 전류의 전송 로스(loss)를 억제하고, 이것에 의하여 기기의 동작을 안정시키는 것과 함께, 배색 경로의 자유도를 높이고 또한 배색 스페이스의 축소화를 도모하고, 한층 더 배색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전선(10)과 외장부재(20)의 밀접 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전에 의하여 발열한 전선(10)으로부터의 열을 외장부재(20)로 전달하고, 이 외장부재(20)로부터 방열하는 것에 의하여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외장부재붙이 전선(1)에서는, 외장부재(20)의 내부에 전선(10)이 극간을 통하여 유삽된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전선(10)과 외장부재(20)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그들의 극간에 실드층이나 접착층, 완충층, 방수층 등의 적의한 부재가 개삽(介揷)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2)에 있어서의 인버터(4)와 배터리(6)를 접속하는 전력선으로서 전선(10)을 이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외장부재붙이 전선(1)은, 인버터(4)와 배터리(6)를 접속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나아가 전력선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기기끼리를 접속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동차(2)의 플로어 아래에 외장부재붙이 전선(1)을 배색한 배색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배색 구조는, 플로어 아래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아가 자동차에 이용되는 것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배색 구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측 도체(11) 및 외측 도체(13)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W)을 동일 소재 또한 동일 선경의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 도체(11)와 외측 도체(13)로 이소재 또한 이경의 단선을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그 경우에는, 내측 도체(11)보다도 외측 도체(13) 쪽이 도전율이 높은 단선(W)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외장부재붙이 전선
2: 자동차
4: 인버터
6: 배터리
10: 전선
11: 내측 도체
11A: 심선
11B: 중간선
11C: 외주선
12: 내측 절연층
13: 외측 도체
14: 외측 절연층
20: 외장부재
L1, L2: 트위스트 피치
W: 단선

Claims (7)

  1. 복수의 단선(單線)을 합친 내측 도체(導體)와,
    상기 내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과,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外周)를 따르는 복수의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도체와,
    상기 외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을
    구비한 전선의 외주를, 그 긴쪽 방향을 따라 외장(外裝)부재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配索)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과,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은, 동일 소재 또한 동일 선경(線徑)의 단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내측 도체보다도 개수가 많은 복수의 단선을 가져 당해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가, 1개의 심선, 당해 심선을 둘러싸는 6개의 중간선, 및 당해 중간선을 둘러싸는 12개의 외주선의 삼단으로 이루어지는 19개의 상기 단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 도체가,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른 일단(一段)으로 이루어지는 20개의 상기 단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과,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단선은, 서로 이소재(異素材)의 단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내측 도체보다도 도전율이 높은 단선을 가져 당해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이 나선상(螺旋狀)으로 트위스트되는 것과 함께, 상기 외측 도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이 나선상으로 트위스트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도체보다도 큰 트위스트 피치(pitch)를 가져 상기 외측 도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의 배터리와 인버터를 접속하는 전력선에 이용되고, 차량의 플로어 아래에 배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배색 구조.
  7. 복수의 단선을 합친 내측 도체와,
    상기 내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내측 절연층과,
    상기 내측 절연층의 외주를 따르는 복수의 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도체와,,
    상기 외측 도체의 주위를 덮는 외측 절연층과,
    상기 외측 절연층의 외주를 긴쪽 방향을 따라 덮는 외장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부재붙이 전선.
KR1020147025506A 2012-02-24 2013-02-22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KR20140125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8867 2012-02-24
JP2012038867A JP2013176212A (ja) 2012-02-24 2012-02-24 電線の配索構造、及び外装部材付き電線
PCT/JP2013/054501 WO2013125679A1 (ja) 2012-02-24 2013-02-22 電線の配索構造、及び外装部材付き電線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855A true KR20140125855A (ko) 2014-10-29

Family

ID=4900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06A KR20140125855A (ko) 2012-02-24 2013-02-22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45904A1 (ko)
EP (1) EP2819256A4 (ko)
JP (1) JP2013176212A (ko)
KR (1) KR20140125855A (ko)
CN (1) CN104137362A (ko)
AU (1) AU2013223099B2 (ko)
WO (1) WO2013125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0815B2 (en) * 2013-08-14 2016-05-03 Apple Inc. Cable structures with insulating tap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5870980B2 (ja) * 2013-10-03 2016-03-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ケーブル
SE538433C2 (en) * 2014-08-05 2016-06-21 Mee Invest Scandinavia Ab Electrical wire
JP2017099205A (ja) * 2015-11-27 2017-06-0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外装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EP3440308A4 (en) 2016-04-13 2019-02-13 Accelewa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LECTROMAGNETIC HEATING OF CARBON STOCKS
JP6911334B2 (ja) * 2016-11-25 2021-07-28 日立金属株式会社 複合ケーブル
CN106356119A (zh) * 2016-11-28 2017-01-25 江苏亨通电子线缆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用充电桩电缆
CN108227631B (zh) 2016-12-12 2020-12-15 发那科株式会社 数值控制装置以及数据结构
CH713982A2 (de) * 2017-07-14 2019-01-15 Studer Aeronautical Ag Elektrokabel für die Stromversorgung von Flugzeugen, Fahrzeugen, Schiffen oder anderen Einrichtungen.
CA3083827A1 (en) * 2017-12-21 2019-06-27 Accelewar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a coaxial line
WO2020010439A1 (en) 2018-07-09 2020-01-16 Accelewar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sections of a coaxial line
JP7261204B6 (ja) * 2020-07-29 2023-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1848546B2 (en) * 2021-02-01 2023-12-19 Magna Powertrain Of America, Inc. High voltage wire protec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11859370B2 (en) 2021-11-24 2024-01-02 Caterpillar Inc. Multi-tiered interface between conductor rod and work machine
US11881653B2 (en) 2021-11-24 2024-01-23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conductive rod powering a work machine
US11923632B2 (en) 2021-11-24 2024-03-05 Caterpillar Inc. Terminal assembly for conductor rod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US11688973B2 (en) 2021-11-24 2023-06-27 Caterpillar Inc. Connector assembly for conductor rod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US11855379B2 (en) 2021-11-24 2023-12-26 Caterpillar Inc. Slidable nested conductors
US11894631B2 (en) 2021-11-24 2024-02-06 Caterpillar Inc. Concentric conductor
CN115519544B (zh) * 2022-10-10 2023-12-15 深圳进化动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生鲜分拣机器人抓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3991Y2 (ko) * 1973-08-28 1977-12-07
JPH0727527Y2 (ja) * 1988-04-13 1995-06-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
US5558794A (en) * 1991-08-02 1996-09-24 Jansens; Peter J. Coaxial heating cable with ground shield
JPH1040745A (ja) * 1996-07-26 1998-02-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ッツ線を用いた同芯ケーブル
JPH11120839A (ja) * 1997-10-15 1999-04-30 Hitachi Cable Ltd Sz撚りケーブル
JP2001148205A (ja) * 1999-11-19 2001-05-29 Hitachi Cable Ltd 超極細銅合金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941304B2 (ja) * 1999-11-19 2007-07-04 日立電線株式会社 超極細銅合金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線
US20030051897A1 (en) * 2001-09-17 2003-03-20 Nordx/Cdt, Inc. Mini coaxial cable for digital network
CN1571075A (zh) * 2003-07-23 2005-01-26 新疆特变电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装置用双绕组电缆
JP2006019080A (ja) * 2004-06-30 2006-01-19 Hitachi Cable Ltd 差動信号伝送ケーブル
JP2007042521A (ja) 2005-08-05 2007-02-15 Yazaki Corp 電線・ケーブル
JP2007168500A (ja) * 2005-12-19 2007-07-05 Sumitomo Electric Ind Ltd 自動車用ケーブル
KR100842985B1 (ko) * 2006-07-21 2008-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극세동축케이블
KR100842986B1 (ko) * 2006-07-21 2008-07-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극세동축케이블
KR100820498B1 (ko) * 2007-02-07 2008-04-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굽힘 특성이 우수한 미세 동축 케이블
JP2009143326A (ja) * 2007-12-12 2009-07-02 Sumitomo Wiring Syst Ltd 三次元姿勢のワイヤハーネスの形成方法、該方法で形成された三次元姿勢の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保護材および該外装保護材の製造方法
CN101221834A (zh) * 2007-12-14 2008-07-16 吴江市盛信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岔道横向连接电缆
CN201477930U (zh) * 2009-07-16 2010-05-19 安徽国电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同心导体式电缆
JP2011228298A (ja) * 2010-04-02 2011-1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心ケーブル
WO2012105142A1 (ja) * 2011-01-31 2012-08-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信号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23099A1 (en) 2014-09-18
US20140345904A1 (en) 2014-11-27
EP2819256A1 (en) 2014-12-31
JP2013176212A (ja) 2013-09-05
CN104137362A (zh) 2014-11-05
AU2013223099B2 (en) 2016-03-31
WO2013125679A1 (ja) 2013-08-29
EP2819256A4 (en)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5855A (ko) 전선의 배색 구조, 및 외장부재붙이 전선
JP5986812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9663046B2 (en) Electric wire and wire harness
JP5984440B2 (ja) 同軸電線の製造方法
JP600298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中間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2157770A1 (ja) 高圧電線、及び高圧電線の製造方法
WO2014024895A1 (ja) 多層同軸電線
US20140284100A1 (en) Wire harness
US9643545B2 (en) Wire harness
US9873391B2 (en) Wire harness
WO2013015333A1 (ja) 高圧導電路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195071A (ja) キャブタイヤ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ケーブル
JP2015012768A (ja) ワイヤハーネス
JP4821983B2 (ja) 電気ケーブル
JP2012198996A (ja) 平型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4209487A (ja) 電線及び電線の配索構造
JP2021002508A (ja) 複合ケーブル
WO2015002244A1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21026883A (ja) 複合ケーブル、ワイヤハーネス及び複合ケーブ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