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596B1 -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596B1
KR100892596B1 KR1020070014548A KR20070014548A KR100892596B1 KR 100892596 B1 KR100892596 B1 KR 100892596B1 KR 1020070014548 A KR1020070014548 A KR 1020070014548A KR 20070014548 A KR20070014548 A KR 20070014548A KR 100892596 B1 KR100892596 B1 KR 10089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
enylphenyl
active ingredient
present
biphenyl d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403A (ko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596B1/ko
Priority to PCT/KR2007/003680 priority patent/WO2008099994A1/en
Publication of KR2008007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07C51/35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3/33Polycyc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3/33Polycyclic acids
    • C07C63/331Polycyclic acids with all carboxyl groups bound to non-condensed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다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보다 개선된 물리적 특성, 특히 개선된 친수성 또는 친유성을 나타내며, 또한 원물질보다 크게 개선된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어 다양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으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바이페닐 다이올,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호노키올, 마그놀올, 난용성

Description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Biphenyl Diol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페놀 다이올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생리 생화학적인 활성을 가진 바이페놀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모든 분야에서 천연유래의 물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에서 얻어진 대부분의 물질은 기존 유기합성으로 얻어진 물질들보다 대체로 색이나 향이 좋지 않고 불안정하며 물질 자체도 불안정하여 장기보관이 어려워 상업화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천연성분 중 일부는 의약, 농약, 생활용품 및 화장품 등으로 적용 시 물이나 적정용매에 잘 녹지 않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침전되거나 녹았을 때 활성을 잃어버리는 실활성 문제 때문에 상업화하기 어려웠다.
목련류(Magnolia spp.)의 줄기에서 얻어진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불안 완화(Yuji Maruyama et al., J. Natural Product, 61:135-138(1998)), 항염증(Chem . Pharm . Bu., 49(6):716-720(2001)), 항암효과(Hisamitsu Nagase et al., Planta Medica, 69:33-37(2006), 항균 효과(Beom Seok Chang et al. Planta Medica , 64: 367-369(1998)) 및 항혈소판 작용(Arch Pharm . Res . vol 25, No 3:325-328(2002))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세균과 곰팡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품으로써 상업화 된 경우는 없다.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세균과 곰팡이(Kyu Ho Bang et al., Arch . Pharm . Res . vol 23, No. 1:46-49(2000) 및 Kun-Yen Ho et al.,Phytotheraphy Research 15: 139-141(2001))에 대한 유효성 확인 시험은 모두 in vitro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로써 대부분 DMSO(Dimethylsulfoxide), 알코올 및 Tween 80(계면활성제) 등의 용해력이 우수한 용매나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시험액으로 시험한 것이다. 특히 Yuji Maruyama et al.등이 발표한 J. Natural Product, 61;135-138(1998)에 따르면 0.1% Tween 80에 용해하여 시험품을 만든 것으로 발표되어 있으나, 실제 이 과정을 재현할 경우 0.1%의 시험품의 농도에서도 곧 바로 침전이 발생된다. 또한 이 상태로 항균력을 시험할 경우 항균력이 80% 이상 실활성됨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위 발표에서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이 불안 해소 효과가 나타난 것은 완전히 실활성 되지 않고 계면활성제에 용해되어 있는 일부 함량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경우는 DMSO에 용해하여 0.3%의 처리농도를 사용한 in vitro 시험에서 완전히 사멸 한 잔디 팻취병에 대한 포장시험에서 DMSO 대신에 Tween 80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효과가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고 일부 효과가 나타나는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DMSO에 녹인 원액을 물로 희석하여 0.3%가 되도록 최종농도로 맞춰서 처리하면 효과가 완전히 소실된다.
대부분의 농약, 생활용품 및 화장품 등은 비용적 측면이나 사용상의 편의 때문에 물과 같은 저렴한 용매를 주 용매로 사용한다. 따라서 유효성분이 물에 잘 녹으면 제품화가 가장 쉽다. 또한 기름에 녹는 경우도 가용화방법을 사용하면 큰 어려움 없이 제형의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화가 쉬운 편이다. 반면에, 물에 완전히 녹지 않더라도 계면활성제나 여러 가지 용매 등의 화합물을 적당히 부가하여 강제로 물에 녹이거나 현탁시킬 수 있어도 상업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물이나 기름에 전혀 녹지 않으며 폴리올류에도 완전히 녹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0.1% 이상의 농도에서 충분한 양의 계면활성제나 용매를 사용한 에멀젼이나 기타 현탁액에서도 시간이 지나면서 침전이 발생하고 가용화된 액상제형(의약,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소독제, 농약)에서도 단 기간 내에 침전이 발생된다. 침전이 발생하면 어떠한 경우에도 활성이 소실된다.
따라서 용해도가 우수한 용매를 사용한 시험관 시험에서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지만 대량 생산 시에는 난용성으로 인하여 상업화가 불가능한 대표적인 물질이,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이다. 따라서 이 두 물질의 난용성을 개선하여 물 또는 기름에 잘 녹으면서 동시에 활성을 잃지 않도록 제조할 수 있다면 충분한 상업적 사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바이페닐 다이올계 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이 생리, 생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물리적 특성인 물과 기름에 녹지 않는 난용성을 개선시키면서도 그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효과가 더욱 증대한 신규한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바이페닐 다이올 계열 물질을 유기합성법에 의해 신규한 유도체로 제조하면, 그 물리적 특성의 변경과 강화된 효능으로 화장료, 식품, 사료첨가제, 비료, 방부제, 소독제, 농약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산화, 항염증, 불안완화, 항암, 항알러지, 항비만,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방제용 농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식어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자들은 바이페닐 다이올계 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이 생리, 생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물리적 특성인 물과 기름에 녹지 않는 난용성을 개선시키면서도 그 생리, 생화학적 효과가 더욱 증대한 신규한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바이페닐 다이올 계열 물질을 유기합성법에 의해 신규한 유도체를 제조하면 그 물리적 특성의 변경과 강화된 효능으로 화장료, 식품, 사료첨가제, 비료, 방부제, 소독제, 농약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H, C2 -10 알킬, C2 -10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상기 R2는 H, C2 -10 알킬, C2 -10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며; 그리고 상기 R1 및 R2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H, C2 -10 알킬, C2 -10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상기 R3 H, C2 -10 알킬, C2 -10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며; 그리고 상기 R1 및 R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은 직쇄 또는 분쇄 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및 t-부틸을 포함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 카르복실산”은 직쇄 또는 분쇄 포화 탄화수소의 말단에 카르복실산(-COOH)이 결합된 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산, 카르로산, 에타트산 및 카프르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카르복실산은 C2 -5 알킬 카르복실산이다.
상기 R 그룹이 알킬 카르복실산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염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로요오다이드와 같은 무기산,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설파메이트, 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2-히드록시에탄설페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염은 무기산이 결합된 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결합하여 형성된 염산염이다.
본 명세서에 용어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 둘 모두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글라이신, 알라닌, 발린, 루이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트립토판,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라이신, 알기닌 및 히스티딘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R 그룹에 결합하는 아미노산은 글라이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타이로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라이신 및 알기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라이신이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의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목련류(Magnolia spp.)의 줄기에서 분리한 바이페닐 다이올 계열의 물질이다. 호노키올의 IUPAC 명은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놀, 마그놀올의 IUPAC 명은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놀이다.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불안완화, 항염증, 항암, 항균 및 항혈소판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용매에 대한 난용성 때문에 제품으로써 상품화된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4의 호노키올 또는 화학식 5의 마그놀올에 여러 가지 화학적 잔기를 유기화학공정으로 결합시켜 물성이 개선된 신규물질을 제 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결합되는 잔기에 따라 친수성과 친유성으로 변경되며, 이는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또한, 신규한 유도체를 그 물리적 성질에 따라 적정 용매에 용해시켜 다양한 생리 생화학적인 효능검정을 해 본 결과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에 비하여 그 효능이 증가하였음이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5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은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상기 R2는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며; 상기 R3는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그리고 상기 R1, R2 및 R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 R2 및 R3 중에서 하나의 그룹만 H이다.
본 발명의 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다음 화합물을 포함한다: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4-아미노프로파노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이염산염;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3-({4-[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2-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2-아미노에타노일-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또는 3-({2-[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중에서,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2-(2- 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또는 2-(2-아미노에타노일-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바람직하게는,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또는 2-(2-아미노에타노일-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은, 출발물질인 호노키올 또는 마그노올과 비교하여 활성 및 친수성이 증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 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소판 효과를 가지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불안완화, 항암, 항알러지, 항비만,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강력한 항산화능과 항염증 효능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유도체는 특정 용매에 용해성이 개선되어 있으며 더욱 강력한 항산화능과 항염증 효능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친수성 유도체(예컨대,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를 물에 용해시킨 경우 호노키올 또는 마그놀올 보다 항산화능과 항염증 효능이 강해졌으며, 본 발명의 친유성 유도체(예컨대, 3-({4-[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2-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경우 호노키올과 마그놀올 보다 항산화능과 항염증 효능이 강해졌음이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호노키올 또는 마그놀올 유도체는 원물질인 호노키올 또는 마그놀올 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자외선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하기의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호노키올 또는 마그놀올 유도체는 원물질에 비해 보다 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형성의 방지 및 형성된 주름의 제거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피부에 적용 시 피부의 표면 및 피부의 외층인 각질층에 강한 친화성을 보이고 그들의 구조를 조밀하게 하여 수분유지기능을 증가시키며, 동시에 각질층의 교대를 촉진시켜 건조피부를 개선하거나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유효 활성 물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노화 방지 및 습윤성, 유연성 및 탄력성 부여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이는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또 다른 용어 양모 또는 발모 촉진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체는 원물질에 비해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져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유도체는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불안완화, 항암, 항알러지, 항비만,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에 비해 개선된 식품 및 의약분야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식중독, 농가진, 봉와직염 등 각종 염증, 폐렴, 임질, 수막염, 탄저병, 파상풍, 디프테리아, 화상환자 염증, 방광염, 장염, 패혈증, 콜레 라 식중독, 소화성 궤양 및 랩토스피라병 등을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분류학적으로 아래에 나열하는 속(genus) 및 종(species)에 포함되는 식품 및 의약분야 병원균에 대하여 원물질에 비해 개선된 항균력을 갖는다. 상기 병원균은, 스태파이로커스 spp.(Staphylococcus spp.), 스트렙토코커스 spp.(Streptococcus spp.),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에(Streptococcus pneumoniae), 클로스트리디윰 테타니(Clostridium tetan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프로테우스 spp.(Proteus spp.), 살모넬라 spp.(Salmonella spp.), 비브리오시아(Vibriocea),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ocobacter pylori) 및 렙토스피라(Loptospira) 등이 포함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 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 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바이페닐다이올 유도체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에모딘 및 알프로겐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방제용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벼 도열병 방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에 비해 개선된 농업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효과를 가지며, 약해가 없어서 농업용 살균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벼, 밀, 보리 등의 곡류, 사과, 배, 감귤, 포도, 바나나, 복숭아 등의 과수, 커피, 차나무, 감자, 고추, 피망, 토마토, 오이, 수박, 참외, 상추, 배추, 샐러리, 유채, 땅콩, 양배추, 파, 마늘, 생강, 양파 등의 채소류, 잔디, 임업용 및 관상용 묘목, 카네이션, 백합, 장미, 국화 등의 화훼류의 지상부 및 지하부에 발생하는 병해 그리고 농산물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병해를 방제하거나 병해 피해를 줄일 목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표시하면,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분류학적으로 아래에 나열하는 속 및 종에 포함되는 식물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 방제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식물 병원균에는 올터네리아 올터네타(Alternaria alternata),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피토프토라 캡시키(Phytophthroa capsici), 콜레토트리큠 글로에오스포리오이디스(Colletotrichum gloeosproioides), 올터네리어 브라시캐(Alternaria brassicae), 아파노미시스 라파니(Aphanomyces raphani), 피티윰 율티뮴(Pythium ultimum), 세르코스포렐라 알보마큐란스(Cercosporella albomaculans), 유로시스티스 세퓨래(Urocystis cepulae), 푸치니아 알리(Puccinia allii), 니디멜라 브료리애(Nidymella bryoriae), 콜레토트리큠 라제네리윰(Colletotrichum lagenarium), 플라스모디오포라 브라시캐(Plasmodiophora brassicae), 스파에로세카 푸리지내(Sphaerotheca fuliginea), 피리큐라리아 오리재(Pyricularia oryzae), 마르쏘니아 말리(Marssonia mali), 풀비아(Fulvia), 포도스패라 류코트리카(Podosphaera leucotricha), 벤튜리아 피리나(Venturina pyrina), 보티리요스페리아 도티디아(Botryospheria dothidea) 및 디아포르테 시트리(Diaporthe citri)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체는 검은 곰팡이병, 모잘록병, 역병, 탄저병, 뿌리마름병, 도열병, 노균병, 잎집무늬마름병, 갈색무늬병, 부란병 및 흰가루병 등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물방제용 농약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적당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가스상 담체, 계면활성제, 분산제 및/또는 기타 제제용 보조제와 혼합하여, 유화제, 액제, 수화제, 분말제, 입자, 오일 용액, 에어로졸 또는 플로어블제(flowables) 등의 임의의 적합한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고체 담체에는 탈크,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올린, 규조토, 질석, 화이트 카본 및 탄산칼슘 등이 포함된다. 액체 담체에는 메탄올, n-헥산올 및 에탄올 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및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n-헥산, 케로신 및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 및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부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산 아미드류; 두유 및 면실유 등의 식물유류디메틸술폭사이드; 및 물이 포함된다. 가스상 담체에는, LPG, 공기, 질소, 이산화탄소 및 디메틸에테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물방제용 농약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의 함량은 제제, 사용 방법 및 사용 환경과 기타 조건들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농약제 조성물이 유화제인 경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기는 5 내지 30 중량%이고; 조성물이 분말인 경우, 일반적으로 0.3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기는 1 내지 3중량%; 조성물이 수화제인 경우, 일반적으로 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기는 5 내지 50 중량%; 조성물이 입자인 경우, 일반적으로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는 2 내지 3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그대로 또는 희석 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의 사용 방법으로는 식물 자체에 적용(줄기 및 잎에 적용), 육묘 상자로의 적용(식물이 벼인 경우), 토양으로의 적용(토양과 혼화 또는 덧거름), 현장용수로의 적용 및 종자로의 적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양식어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가 보다 강화된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활성을 가져 사료첨가제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그대로 혹은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 형상에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육상 또는 수상동물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에는 분말사료, 고형사료, 모이스트 펠릿사료, 드라이 펠릿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료첨가제, 방부제 또는 소독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료첨가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존의 비료(예를 들어, 질산, 인산, 칼륨을 함유하는 비료)에 첨가되거나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비료 등과 혼합제로 제제화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부제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생활용품, 생활재, 건축재 또는 의약품등의 보존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가축우리, 병원, 생산설비, 아파트 또는 학교등의 인구밀집지역 소독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신규한 다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보다 물리적 특성, 특히 친수성 또는 친유성이 개선된다.
(ⅱ) 본 발명의 신규한 다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과 비교하여 증가된 용해성을 나타낸다.
(ⅲ) 본 발명의 신규한 다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다양한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 작용 또는 활성, 예컨대, 피부 미백, 콜라겐 생성 촉진, 주름 개선, 피부 자극완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 항혈소판 효능, 항산화, 항염증, 불안완화, 항암, 항알러지, 항비만, 항균, 항바이러스 및 식물 방제 효능이 원물질과 비교하여 우수하다.
(ⅳ)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어 다양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으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Boc-Gly:(2-{[1-(1,1-디메틸에틸옥시)에테닐]아미노}에탄노익산)(1.74 g, 10 mmol, Sigma)을 무수 클로로포름 50 ml와 디옥산 50 ml 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DCC(1,3-diaza-1,3-dicyclohexylpropa -1,2-diene)(Sigma)을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1-올 2.93 g(0.01 M)과 TEA(트리에틸아민) 1.26 ml (0.09 M)을 반응용액에 서서히 가하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반응을 완결하기 위해 4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 여액을 1 N HCl, 5% NaHCO3 수용액과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무수탄산칼슘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증류 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HCl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버블링하여 주었다. 이어, 농축하여 남은 잔 유물을 에테르/석유에테르로 재결정하여 하기 화학식 6의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1.51 g (수율 43%)을 제조하였다(제조된 시료명을 “1”로 칭한다): NMR(δ, ppm D2O+DMSO): 8.4 (2H,b), 7.0-7.2(6H,m), 5.9(2H,m), 5.1(4H,d), 3.9(2H,s), 3.4(4H,q); IR(㎝-1 ; C=O) 1630, 1625; 13C(ppm ; C=O) 171, 172
화학식 6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6
실시예 2: 2-(4-아미노프로파노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이염산염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Boc-Ala:(2-{[1-(1,1-디메틸에틸옥시)에테닐]아미노}프로판노익산)(1.88 g, 10 mmol, Sigma)을 무수 클로로포름 50 ml와 디옥산 50 ml 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DCC(1,3-diaza-1,3-dicyclohexylpropa -1,2-diene)(Sigma)을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1-올 2.93 g(0.01 M)과 TEA(트리에틸아민) 1.26 ml (0.09 M)을 반응용액에 서서히 가하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반응을 완결하기 위해 4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여과한 후 여액을 1 N HCl, 5% NaHCO3 수용액과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무수탄산칼슘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증류 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HCl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버블링하여 주었다. 이어, 농축하여 남은 잔유물을 에테르/석유에테르로 재결정하여 하기 화학식 7의 2-(4-아미노프로파노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이염산염 1.68 g (수율 45%)을 제조하였다: NMR(δ, ppm D2O+DMSO): 8.4 (2H,b), 7.0-7.3(6H,m), 5.9(2H,m), 5.1(4H,q), 3.9(1H,d), 3.4(2H,d), 1.3(3H,d) ; IR(㎝-1 ; C=O) 1630, 1625; 13C(ppm ; C=O) 171, 172
화학식 7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7
실시예 3: 3-({4-[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2-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1-올(Sigma) 2.93 g(0.01 M)을 200 ml 피리딘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3,4-디하이드로퓨란-2,5-디온)(Sigma) 4 g(0.04M)을 첨가하여 2일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5% NaHCO3 100 ml에 용해시킨 다음 에틸에세테이트 50 ml씩 두 번 추출하여 미 반응물을 제거하고 0℃로 만들었다. 이어 10% 시트르산 200 ml을 첨가하여 산으로 만든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를 넣고 2번 추출하였다. 추출 후 물로 2번 세척하고 무수탄산칼슘으로 수분을 제거한 다음 감압증류 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8의 3-({4-[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2-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5g, 수율 53%)을 제조하였다(제조된 시료명을 “2”로 칭한다): NMR(δ, ppm CDCl3)): 7.0-7.3(6H,m), 5.9(2H,m), 5.1(4H,q), 4.1(1H,md), 3.4(4H,d), 2.9(4H,md), 2.6(4H,md); IR(㎝-1 ; C=O) 1765, 1770; 13C(ppm ; C=O) 171, 172
화학식 8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8
실시예 4: 2-(2-아미노에타노일-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Boc-Gly:(2-{[1-(1,1-디메틸에틸옥시)에테닐]아미노}에탄노익산)(1.74 g, 10 mmol, Sigma)을 무수 클로로포름 50 ml와 디옥산 50 ml 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킨 다음 DCC (1,3-diaza-1,3-dicyclohexylpropa -1,2-diene)(Sigma)을 첨가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1-올 2.93 g(0.01 M)과 TEA(트리에틸아민) 1.26 ml(0.09 M)을 반응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반응을 완결하기 위해 4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1 N HCl, 5% NaHCO3수용액과 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무수탄산칼슘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증류 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HCl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버블링하여 주었다. 이어, 농축하여 남은 잔유물을 에테르/석유에테르로 재결정하여 하기 화학식 9의 2-(2-아미노에타노일- 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1.40 g (수율 40%)을 제조하였다(제조된 시료명을 “3”으로 칭한다): NMR(δ, ppm D2O+DMSO): 8.4 (2H,b), 7.0-7.2(6H,m), 5.9(2H,m), 5.1(4H,d), 3.9(2H,s), 3.4(4H,q); IR(㎝-1 ; C=O) 1630, 1625; 13C(ppm ; C=O) 171, 172
화학식 9
Figure 112007012912433-pat00009
실시예 5: 3-({2-[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1-올 2.93 g(0.01 M)을 200 ml 피리딘에 50℃에서 용해시키고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3,4-디하이드로퓨란-2,5-디온) 4 g(0.04 M)을 첨가하고 2일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의 완결을 확인하고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 한 다음 5% NaHCO3 100 ml에 용해시키고 에틸에세테이트 50 ml씩 두 번 추출하여 미 반응물을 제거하고 0℃로 만들었다. 10% 시트르산 200 ml 을 첨가하여 산으로 만든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를 첨가하고 2번 추출하였다. 이어 물로 2번 세척하고 무수탄산칼슘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증류 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10의 3-({2-[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36 g, 수율 53%)을 제조하였다(제조된 시료명을 “4”로 칭한다): NMR(δ, ppm CDCl3)): 7.0-7.3(6H,m), 5.9(2H,m), 5.1(4H,q), 4.1(1H,md), 3.4(4H,d), 2.9(4H,md), 2.6(4H,md); IR(㎝-1 ; C=O) 1630, 1625; 13C(ppm ; C=O) 171, 172:
화학식 10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0
실시예 6: 항산화 효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SOD)는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을 H2O2와 O2로 전환시키는 항산효소로 알려져 있다. 이 실험은 잔틴 옥시다 제(Xanthine oxidase)에 의해 발생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이 시료에 의해서 제거된 비율을 관찰함으로써, 시료의 항산화능을 평가한다. 시험은 Dojindo(일본)에서 구입한 키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은 판매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료는 DMSO, Tween 80(0.1% 용액), 물 또는 올리브오일(Refined oil)에 용해시켜서 사용하였다. Tween 80 처리 시에는 최종 Tween 80이 0.1% 함유토록 하고 pH를 최종 5.0으로 조정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Tween 80 용액은 같은 농도 및 같은 pH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물에 용해시킬 경우 역시 pH를 5.0 정도로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하 발명에서도 같은 pH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일부 시험에서는 배지나 완충액(Sodium acetate buffer)이 용매로 사용되었는데 이 경우도 같은 pH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의 제거율을 관찰함으로써, 항산화 기능의 유무를 판단하였고, 결과는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용매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DMSO - ++ ++ +++ +++ +++ +++
Tween 80 (0.1% 사용, pH 5.0으로 조정) - + + +++ ++ +++ ++
물 (pH 5.0으로 조정) - - - +++ + +++ +
올리브오일 - - - - ++ - ++
-: 항산화능 없음, +: 1-10% 항산화능, ++: 11-20% 항산화능, +++: 20-30% 항산화능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은 강력한 항산화능을 갖고 있으며, 두 물질의 유도체인 물질 1, 2, 3 및 4는 더욱 강력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2번과 4번 유도체는 이를 물에 용해시킨 경우에 그의 불용성 특징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1번과 3번의 경우는 역으로 기름에 녹지 않기 때문에 기름에 혼합한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각각의 개선된 물성을 참조하여 처리하면, 즉 1번과 3번을 물에 녹여서 시험한 결과 원 물질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강력한 항산화효능이 나타났으며 그 효능은 원 물질이 DMSO에 녹인 경우보다 강하게 나타나 본 물질의 물성 개선으로 그 효능도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물질들을 의약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특히 주사제인 경우에 1번과 3번 물질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매우 유용하다. 대부분의 주사제가 수상이기 때문에 수상의 1번과 3번 물질은 다른 공정이나 처리 없이도 주사제로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2번과 4번을 기름에 녹인 경우는 원 물질에 없는 효능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으나 DMSO나 1번과 3번을 물에 용해시킨 경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름에 녹여서 시험할 경우 in vitro 상에서 시험 시 반응액상에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는 반응이 완전치 못하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개선된 유도체가 갖고 있는 활성을 100% 나타내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 물질보다는 상당히 개선된 효능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Tween 80 액에서는 처리시간 동안 미세한 침전이 발생되어 불활성화되는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의 특성 때문에 일부 효과만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유도체 4종 모두에서는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기름에 녹는 2번과 4번은 그 효능이 물에 녹는 1번과 3번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사용된 Tween 80의 농도가 이 물질들을 완전히 가용화하기에는 그 양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2번과 4번 유도체는 완전 가용화 상태가 아닌 일부가용화 상태로 시험에 사용된다. 본 시험결과는, 불완전하게 가용화된 2번과 4번 유도체가 그 효능이 완전히 녹아있는 DMSO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원 물질에 비하여 활성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볼 수 있다. 반면에 DMSO에 완전히 녹아있는 4 종류의 유도체에서는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원 물질에 비하여 활성이 더욱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항산화제를 제약, 식품,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인체나 동물에 대하여 적용하게 되는데 인체나 동물에 적용 시 다양한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다. 피부에 적용되는 연고류 같은 경우는 수중유(oil in water)형의 에멀젼이나 기름성분들로 이뤄진 페트로라텀 연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에멀젼에는 수상타입의 유도체인 1번과 3번 유도체를 사용하면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며 페트로라텀과 같은 유상타입의 연고류에는 2번과 4번 같이 유상타입의 유도체를 사용하면 우수한 제형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식품, 의약품, 소독제 및 사료첨가제인 경우도 제품의 제형과 유형에 따라 수상물질 또는 유상물질로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물과 기름에 녹지 않고 폴리올과 같은 유기용매에도 완전히 녹지 않는 난용성의 물질은 제품화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의 개선을 위한 제형개발과 실제 생산에 공정이 추가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발된 유상과 수상의 유도체들은 이러한 난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난용성의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상업적 이용을 가능케 한다.
실시예 7: 항염증 효능 평가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단핵구 세포인 THP-1 세포(한국세포주은행)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COX(cyclooxygenase) 활성억제능 실험을 시행하였다. COX 활성 측정은 F. J. Van de Ouderaaa and Muytenhek가 발표한 Methods in Enzymology 43:9(1994)에 따라 실시하였다. THP-1 세포주를 배양한 다음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웰당 반응 부피를 500 ㎕로 맞추고 리포폴리사카리드(1 ㎍/ml)(Sigma)와 하기 표 2에 표기된 용매에 각각 용해시킨 시료 화합물 2 ㎕를 첨가한 다음 24-48시간 동안 동일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4-48시간 후 각 웰에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 Sigma)와〔1-14C〕아라키돈산 1 ㎕(in EtOH, 0.1 μCi/ml, Sigma)를 첨가한 다음 동일 조건으로 1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pH를 3.5로 맞추어 흔들어 준 다음 각 배양액 500 ㎕를 취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 튜브에 분주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700 ㎕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진탕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500 ㎕ 취하여 스피드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농축한 다음 농축된 잔여부분 20 ㎕를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인 다음 TLC 플레이트에 어센틱 스탠다드(authentic standard)와 함께 적용하였다. 방사능 밴드는 어센틱 이오코사노이드 스탠다드(authentic eicosanoid standards)로 확인하였고, 확인된 밴드의 방사능은 BAS 2000 바이오-이메이징 어넬라이저(bio-imaging analyzer)(Fuji,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효소의 억제효과는 DMSO의 값을 대조군으로 하고 대조군에 상대적인 %를 이용하여 COX 활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용매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DMSO - ++ ++ +++ +++ +++ +++
Tween 80 - + + ++ + ++ +
배지 - - - +++ + +++ +
올리브오일 - - - - ++ - ++
-: COX 억제능 없음, +: 1-10% 억제능, ++: 11-20% 억제능, +++: 20-30% 억제능
상기 표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은 강력한 COX 억제능, 즉 항염증능을 갖고 있으며 두 물질의 유도체들인 물질 1, 2, 3 및 4는 더욱 강력한 항염증력을 나타내었다. 다만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 유도체는 배지를 용매로 사용한 경우 배지에 녹지 않은 불용성 때문에 항염증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1번과 3번 유도체의 경우는 역으로 기름에 녹지 않기 때문에 기름에 녹인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각각의 개선된 물성을 참조하여 처리하면, 즉 1번과 3번 유도체를 배지(수상)에 녹여서 시험한 결과 원 물질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강력한 항염증효능이 나타났으며 그 효능은 원 물질이 DMSO에 녹인 경우보다 강하게 나타나 본 물질의 물성 개선으로 그 효능도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번과 3번의 시험물질은 배지에 녹인 경우 원 물질과 유도체들 간에 활성이 완전히 다르게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원 물질은 배지에 전혀 녹지 않고 침전된 상태로 사용되는데 반하여 유도체는 완전히 녹아있기 때문에 활성이 완전히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유도체는 DMSO에 녹은 경우보다도 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배지가 DMSO에 비하여 세포에 아무런 네가티브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원 물질들은 원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적정용매(예, DMSO)를 사용한 경우에 활성이 나타나지만, 녹지 않는 용매를 사용한 경우 활성이 일부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배지에서는 원물질의 효능이 완전히 소실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번과 4번 유도체를 기름에 녹인 경우는 원 물질에 없는 효능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으나 DMSO나 1번과 3번 유도체가 배지에 녹은 경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름에 녹여서 시험할 경우 in vitro상에서 시험 시 반응액상에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는 반응이 완전치 못하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개선된 유도체가 갖고 있는 활성을 100%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그럼에도 원 물질보다는 상당히 개선된 효능을 나타냄을 볼 수 있었다.
Tween 80 액에서는 처리시간 동안 미세한 침전이 발생되어 불활성화되는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의 특성 때문에 일부 효과만 나타났다. 반면에 4종 모두에서는 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기름에 녹는 2번과 4번은 그 효능이 배지나 물에 녹는 1번과 3번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사용된 Tween 80의 농도가 이 물질들을 완전히 가용화하기에는 사용량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2번과 4번은 완전 가용화 상태가 아닌 일부가용화 상태로 시험에 사용되었다. 본 시험결과는 불완전하게 가용화된 2번과 4번 물질은 그 효능이 완전히 녹아있는 DMSO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DMSO에 완전히 녹아있는 4종류의 유도체에서는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원 물질에 비하여 활성이 더욱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면역 억제능 평가
본 발명에 사용된 시료들이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반응을 억제하는지의 여부를 NF-κB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활성실험을 통해 다시 조사하였다. NF-κB 프로모터는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되어있다. NF-κB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간 단핵구세포인 THP-1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6 웰에 각각 1 x 106개로 분주하고 수퍼펙트 트란스펙션 리에전트(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In vitrogen)를 이용하여 NF-κB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DNA(NF-κB luciferase reporter plasmid DNA)(Stratagene)를 형질감염 시켰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100 ng/ml)를 처리하여 THP-1 세포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시료를 0.1%가 되도록 0.1% Tween 80 액, 배지용액 또는 DMSO에 용해하여 농도를 조정하고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수집하여 루미노미터(luminometer)(Berthold Technologies GmbH&Co.KG, 독일)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용매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DMSO - ++ ++ +++ +++ +++ +++
Tween 80 - + + ++ + ++ +
배지 - - - +++ + +++ +
올리브오일 - - - - ++ - ++
-: NF-κB 프로모터 억제능 없음, +: 1-10% 억제능, ++: 11-20% 억제능, +++: 20-30% 억제능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이 면역억제능을 갖고 있으며 두 물질의 유도체인 물질 1, 2, 3 및 4는 더욱 강력한 면역억제능을 나타내었다. DMSO에 녹인 시료를 처리한 경우 원 물질과 시험된 시료 4종에서 모두 효과가 나타났지만 유도체 4종에서 효능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인 Tween 80이 0.1% 사용된 경우 원 물질에서는 약한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원 물질은 0.1%의 Tween 80액에서도 완전히 가용화 되지 않고 녹지도 않는다. 따라서 0.1%의 Tween 80에 의하여 가용화된 부분이 일정수준 활성에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배지용액에서는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효능이 완전히 불활성화되는데 반하여 1번과 3번 유도체에서 매우 강력한 억제능이 나타났다. 반면에 2번과 4번은 배지에 녹지 않고 분산되기 때문에 효능이 미약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올리브오일에 녹여서 처리한 경우 2번과 4번에서 효능이 강하게 나타났다. 1번과 3번은 기름에 전혀 녹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름에 녹는 특성을 이용했음에도 2번과 4번이 DMSO에 녹인 경우보다 낮게 활성이 나타난 것은 오일 상에 녹인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상층부로 분리되기 때문에 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9: 미백효과 측정
사람과 유사하게 자외선에 의해 색소침착이 발생한다고 알려진 갈색 기니아 피그(Tortoiseshell guinea pigs; Brown guinea pigs)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사용된 시료들에 의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갈색 기니아 피그에서 자외선(UV)에 의한 색소침착을 유발하기 위하여, 갈색 기니아 피그의 배 위의 털을 제거한 피부에 3 x 3 cm2의 정방형 창문이 뚫린 차광용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킨 후, SE 램프(파장 290-320 nm, 도시바)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총 조사 에너지량 = 1350 mJ/cm2). 자외선 조사 후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내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를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2-3일 후에 색소침착이 나타났으며, 약 2주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이 때부터 각 시료를 도포하였다.
도포회수는 1일 1회 또는 2회이었으면 50일간 계속하였다. 시료는 하기 표4에 표기된 특정한 용매를 사용하여 용해 및 희석하였으며, 면봉으로 도포하고, 다른 부위에 반드시 용매를 도포하는 대조부위를 마련하였다. 효과 판정과 함께 누적자극성 여부도 관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물, DMSO 또는 Tween 80액(0.1% Tween 80 함유)은 도포 시 너무 흐르기 때문에 적량의 점증제를 사용하여 젤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하였다. 점증제로는 잔탄 검(Xanthan Gum)이 0.5% 사용되었다.
색차계(CR2002 chromameter, 미놀타, 일본)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색을 표시하는 데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L*값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L*값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색소침착을 균등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 (△L*)를 구하고 이 값으로 효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 = 도포 00일 후의 L*값 - 도포개시 일의 L*
△L* 값을 시료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에 대해서 구한 후 비교하면 미백물질의 효과를 알 수 있다.
용매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DMSO + 점증제 - +++ ++ +++ +++ +++ +++
Tween 80 + 점증제 - + + +++ ++ +++ ++
물+점증제 - - - +++ - +++ -
페트로라텀 - + + + +++ + +++
-: 미백효능 없음, +: 1-10% 미백효능, ++: 11-20% 미백효능, +++: 20-30% 미백효능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이 미백효능을 갖고 있으며 두 물질의 유도체인 물질 1, 2, 3 및 4는 더욱 강력한 미백능을 나타내었다. DMSO에 녹인 경우 무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강력한 미백효능을 나타내었다. 6종 내에서는 마그놀올을 제외한 나머지 5종에서 비슷한 효능을 나타냈다. Tween 80이 사용된 경우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이 일부 가용화되어 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처리된 4종은 미백효능이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물에 잘 녹는 1번과 3번에서는 가장 강한 미백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은 Tween 80에 의해서 가용화된 부분만 효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물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효능이 완전히 불활성화되는데 반하여 유도체 1번과 3번에서는 강력한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페트로라텀의 경우에는 오일에 녹지 않는 경우에도 비교적 잘 분산되는 성상을 나타낸다. 처리 시 녹지는 않으나 잘 분산된 원 물질과 오일에 잘 녹지 않는 1번과 3번 유도체에서 효능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오일에 완전히 녹는 2번과 4번 유도체에서 강력한 효능이 나타났다. 물의 경우에는 물에 녹지 않는 성분이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과는 달리 오일에 녹지 않는 물질을 페트로라텀에 분산한 경우에는 효과가 일정부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페트로라텀에 의해서 일부 성분이 흡수되어 효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하이드로젤에서는 물질이 전혀 흡수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실시예 10: 주름개선 효과 측정
주름개선효과는 통상 콜라겐 생합성능과 콜라게네이즈 분해 억제능 및 사람에 대한 이상시험으로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사람의 정상 섬유 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 (주)태평양)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적정용액에 0.1% 농도가 되도록 녹인 시료를 처리하며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교토,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였다. 전체적인 시험은 판매회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하였다. 타입 I 콜라게네이즈 어세이 키트(Amersham Biosciences, RPN2629)를 이용하였으며, ELISA 판독기(Bio-Tek ELx808™ Series Ultra Microplate Reader, 영국)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표준치는 평균+표준편차의 형태로 표시하였고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6가지 물질을 함유한 피부용 조성물의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크림의 제조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oil in Water type)의 일반적인 크림으로 제조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30명(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시료인 영양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Courage+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조사 항목 및 용매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피부탄력도 1.76 1.69 1.77 5.21 4.39 5.22 4.88
콜라겐 합성 증가율 완충액 0 0 0 21 1 19 0
DMSO 0 11 10 12 11 11 11
Tween 80 0 4 3 10 4 9 4
콜라게네이즈 억제율 완충액 0 0 0 11 2 9 0
DMSO 0 8 7 10 8 9 9
Tween 80 0 2 1 5 3 6 3
상기 표 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확보된 유도체들은 피부탄력도를 측정한 동물시험에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3-4배 더 좋게 나타났다. 콜라겐 합성증가율에서는 완충액을 사용한 경우 원물질의 효능이 무처리군과 동일하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하여 4종의 유도체 중 1번과 3번에 있어서 무처리군에 비하여 약 20배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은 거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DMSO에 녹인 경우 무처리군을 제외한 6가지 시료 모두에서 강하게 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10배에서 12배 정도 강하게 활성이 나타났다. Tween 80을 사용한 경우에는 물에 잘 녹는 1번과 3번 유도체에서는 가장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원 물질과 2번 및 4번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활성이 나타났다. 콜라게네이즈 억제능 시험에서도 전체적인 효능이 콜라겐 생합성능과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 시험에서도 다른 세포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 1번 시료와 3번 시료에서 DMSO와 Tween 80액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 배지를 용매로 사용한 경우보다 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두 용매의 미약한 세포독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1: 불안 완화 효과
J Natural Product, 61:135-138(1998)에 기재된 시험방법에 따라 쥐에게 시료를 경구투여하여 항불안 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논문에 사용된 Saiboku-to를 사용하였다.
용매 Saiboku-to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Tween 80 100 111 109 220 201 209 205
70 15 11 215 21 207 19
올리브오일 30 14 13 20 230 17 221
Tween 80을 용매로 해서 Saiboku-to에 대한 항불안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100 으로 정의한 후, 다른 시료들의 항불안 효과를 Saiboku-to에 대한 상대값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물에 녹여서 먹인 경우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은 난용성 때문에 대조구(Saiboku-to)나 시험구보다 항불안 효과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물에 대한 용해도가 해결된 유도체 1번과 3번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대략 약 3배 정도의 효과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물에 녹지 않고 기름에 녹도록 디자인된 2번과 4번은 물에 녹여서 시험한 결과 원 물질과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대조군인 Saiboku-to에서는 물로 끓인 것임에도 원물질과 비교하여 6배에서 7배 정도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Saiboku-to의 성분이 원 물질 2가지 외에도 여러 가지 성분들이 끓이는 동안 추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오일에 녹인 후 시험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물에 끓여서 얻은 추출물을 물에 분산된 혼합 상태로 복용시킨 결과(복용 전 잘 혼합하여 분산된 상태로 식이섭취) 그 효능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2번과 4번에서 강력한 불안완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물에 녹인 경우의 1번과 3번보다도 더 강하게 효능이 나타났다. 이는 소장점막을 통하여 유상부로 전환된 2번과 4번이 더 흡수가 잘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2: 항혈소판 효과
Arch Pharm Res. Vol 25, No. 3: 325-328(2002)에 발표된 공지의 시험법에 따라 항혈소판 효과를 살펴보았다. 2.2%의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완충액 0.1 ml을 함유하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쥐의 심장에서 피를 회수하였다. 이어 10분 동안 200 g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소판만을 수득하였다. 상기 혈소판을 400-450 x 1,000,000 개/ml가 되도록 식염수로 희석시켰다. 혈소판의 응집정도는 혈소판 어그리고메터(platelet aggregometer)(Model 500VS, Chrono-Log Corp.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혈소판 응집을 위하여 콜라겐을 사용하였고 2-5 ㎍/ml를 처리하였다.
용매 IC50(μM)
ASA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식염수 420 >200 >200 103 >1000 105 >1000
ASA: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sylic acid)
시험결과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ASA에 비하여 2배 정도의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물에 전혀 녹지 않는 2번과 4번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물에 녹도록 제조된 유도체 1과 3에서 ASA대비 4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혈소판 효과는 피를 잘 흐르게 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제약에서는 심혈관계 질환의 개선 및 치료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3: 항암 효과
아세틸글리오톡신의 각종 암 세포에 대한 세포 상해 활성 측정, 세포사의 판정 및 아세틸글리오톡신의 각종 암 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 측정을 MTT(Microculture Tetrazolium)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RPMI 1640 배지(GIBCO), 10% 우태아 혈청으로 이루어지는 배지(이하, 배지 A라 한다)에서 4.0× 104 개/ml로 조정한 각종 암 세포를 0.1 ml씩 96 웰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분주하였다. 해당 플레이트를 탄산가스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20시간 동안 배양 하고 이에 배지에 의해 적절히 희석한 검체(시험 화합물) 0.025 ml씩을 가한 다음 탄산가스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에 둘베코 PBS(-)(닛스이)에서 5 mg/ml로 조제한 MTT 용액을 0.01 ml씩 가하고 37℃, 3시간 동안 탄산가스 인큐베이터 내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0.01 N 염산/20% SDS를 0.05 ml씩 가하여 생성된 결정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에 의해 57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 처리 세포와 기지(旣知)농도의 검체로 처리한 세포의 흡광도를 비교함으로써, 세포의 증식을 50% 저해하는 검체 농도(IC50)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세포사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 해당 플레이트를 탄산가스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20시간 동안 배양 하고 이에 배지 A에 의해 적절히 희석한 검체(시험 화합물) 0.025 ml씩을 가한 다음 탄산가스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핵 염색 형광 색소 DAPI(4,6-디아미노디노-2-페닐인돌)(Sigma)를 각 웰에 0.5 ng/ml가 되도록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방치 한 다음 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염색체 응집을 확인하였다.
세포 상해 활성 측정에 사용하고 있는 세포로서 사람 백혈병 세포(K562), 사람 대장암 세포(HCT-15, HCT-116, SW946), 사람 백혈병 세포(U937), 사람 폐암 세포(LX-1), 마우스 백혈병 세포(P388) 및 마우스 대장암 세포(colon-26)를 서울대학교 세포주 은행 및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입수하였다.
세포 IC50(ng/ml)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HCT-15(사람 대장암) 300 403 39 104 25 200
HCT-116(사람 대장암) 1200 1408 181 1208 178 1301
SW948(사람 대장암) 1278 1457 179 1132 167 1238
LX-1(사람 폐암) - - 76 1892 82 1988
U937(사람 백혈병) 300 431 18 240 19 289
P388(마우스 백혈병) 680 892 6.7 572 8 572
colon-26 (마우스 대장병) 1200 1230 77 1003 78 1108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경우 여러 암세포에 대하여 항암효과를 갖고 있으나 사람의 폐암에 대하여는 효능이 없다. 반면에 용해도가 개선된 유도체 1번과 3번의 경우 IC50값이 원 물질에 비하여 10배에서 15배 정도 낮은 농도에서도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물성이 개선된 4가지 유도체 모두에서 사람의 폐암 세포주에 대해서도 효능이 나타났다.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의 경우에도 원 물질에 비하여 효능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4가지 유도체들은 원 물질에 비하여 개선된 항암효과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14: 항알레르기 효과
먼저 ICR 마우스 각 15 마리씩에 6가지 시료만을 0.50 mg/g체중 투여한 군에서는 치사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아니하였으나, 비반세포 스티뮬레이터(Compound 48/80; N-methyl-p-methoxyphenylethylamine)(Sigma)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ICR 마우스 15 마리에 비반세포 스티뮬레이터를 투여하기 1시간 전, 하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여러 용매에 녹은 시료들을 투여하여 전신성 아나필락시 쇽 유발실험을 실시한 결과 치사율은 용량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적어도 1.0 mg/g체중이 되었을 때 치사율 0%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비교실험은 비반세포막의 안정화 작용으로 화학적 매개물질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DSCG(disodium cromoglycate)(Merck)를 이용하였으며, 스티뮬레이터는 마우스의 복강 내에 8 mg/kg 체중 만큼 주사했다.
용매 비반세포 스티뮬레이터만 처리 DSCG (mg/g 체중)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0.5 1.0
치사율(%) 100 83 0 100 100 0 88 0 91
Tween 80 100 80 0 95 92 0 75 0 69
리포좀제형 100 80 0 90 94 0 0 0 0
상기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반세포 스티뮬레이터가 처리된 처리군에서는 모두 치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항알레르기 물질인 DSCG 처리군에서는 0.5 mg/g체중만큼 투여할 때는 20% 내외의 항알레르기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1.0 mg/g체중만큼 투여 시 치사율이 0%으로 나타났다. 원 물질에서는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물에 녹여서 경구 투여한 경우는 전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계면활성제인 Tween 80 처리군이나 리포좀 제형에서는 어느 정도 녹이거나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서 10% 내외의 효과를 나타냈다. 유도체 1과 3에서는 물에서 완벽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 100%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다른 두 조건에서도 완전한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은 물에 녹여서 투여한 경우 10% 내외의 미약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냈으며 Tween 80 처리군에서는 25%에서 30% 정도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오일상을 포접한 리포좀 제형에서는 생존율이 100% 나타났다.
실시예 15: 항비만 효과
비만억제시험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동물을 이용한 하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비만억제활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Crj : 생후 7주된 ICR 계 수컷 마우스(챨스리버, 일본)를 1주일 동안 예비사육하고 1군 7마리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은 온도 23± 1℃, 습도 55± 5%, 조명시간 12시간/일(day)로 설정된 항온항실에서 사육하고, 라보MR스톡크 (일본농산공업 제조)의 사료를 사용하며 물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6가지 시료는 0.1%가 되도록 물에 녹인 것과 리포좀 제형(레시틴 5%에 녹인 것)으로 제조하였다. 각 시료 용액은 마우스 10g 당 0.1 ml 투여되도록 농도를 조정하여, 투여량을 1.5 g/kg, 1 g/kg으로 하였다. 또한, 대조군은 물과 5% 레시틴 에멀젼으로 하였다. 마우스는 투여하기 전날부터 절식(絶食)상태로 하여 다음 날 강제로 단회(單回) 투여하였다. 시험기간은 2주일로 하고 체중 및 일반증상을 측정 및 관찰하였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 시험된 시료 6종 중 유도체 4종에서 비만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원 물질은 물에 녹인 경우와 리포좀 제형 모두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유도체 1번과 3번은 물과 리포좀 모두에서 효과가 나타났으며 2번과 4번은 물에 녹인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리포좀일 경우는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 일수 체중(g)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5 24 23 23 22 23 23 23
10 27 26 25 24 26 25 26
15 34 35 33 26 34 27 26
리포좀제형 5 24 24 23 22 22 23 21
10 28 27 25 24 24 25 23
15 34 35 34 26 25 27 25
2) 일반증상: 시험된 시료 6종 모두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별히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안전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6: 탈모방지 및 육모효과
탈모방지와 육모효과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방부제와 점증제만 함유한 하이드로젤 베이스와 콩에서 유래한 레시틴을 3% 함유한 리포좀 제형으로 만들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조한 발모촉진용 외용액제를 이용하여 약화 또는 방사능노출에 따른 탈모 환자 10명의 탈모부위에 1일 2회 각각 3㏄씩 6개월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탈모 환자 8명에게서 새로운 모근이 발생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구로서 한미약품에서 판매 중인 목시딜을 사용하였다.
목시딜 제형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 하이드로젤 - - +++ + +++ -
리포좀 + + +++ +++ +++ +++
상기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탈모방지와 육모에 대한 시료들의 효능을 살펴보면 하이드로젤의 제형에서는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불용성으로 인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물에 녹지 않는 2번과 4번 유도체에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리포좀에서는 수상과 유상이 모두 포접 가능한 특성 때문에 4가지 유도체 모두에서 강력한 탈모방지 효능과 육모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발된 4가지 유도체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제품으로 상업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17: 농업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유도체를 사용하여 농업분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시험 및 항바이러스시험을 실시하였다. 항균 및 항바이러스 시험은 호노키올, 마그놀올 및 그 유도체 4종을 대상으로 농업분야에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미생물 및 바이러스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법으로는 페이퍼디스크-한천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균주 및 바이러스는 주요 병에 대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방법은 용액 중 항균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여러 개의 원반에 기지농도의 항균물질 용액을 묻혀 시험균주가 도포된 고체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한 후 원반 주변의 투명대(growth inhibition halo)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한천확산법의 하나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Kirby-Bauer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항균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4종의 화합물이 높은 항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항균시험 농도는 1000 ppm(0.1%)으로 한정해서 수행을 하였다. 시료물질은 모두 DMSO에 녹여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1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2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3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4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5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6
+: 약함(weak)(투명대크기: 2 mm 미만), ++: 강함(strong)(투명대크기: 2~5 mm 미만), +++: 매우 강함(very strong)(투명대크기: 5 mm 이상)
상기 표 1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유도체들(1, 2, 3, 4번 물질)은 원물질보다 항균력이 증가함을 볼 수 있으며 특히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유도체는 기존 원물질보다 항균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도체들은 시험된 모든 미생물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시험되지 않은 다른 대부분의 미생물에서도 항균효과가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실시예 18: 벼 도열병에 대한 포장시험
시험하고자 하는 시료 6종을 각 10 중량부, 소듐 도데실 벤젠 술폰산 4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2 중량부 및 점토 84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충격식 분쇄기로 3회 분쇄하고, 다시 균일하게 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3~4엽기의 벼묘(품종: 농림 20호)에 상기 수화제의 유효성분으로서 0.1% 또는 0.3%를 함유하는 희석액을 1포기당 10 ml씩 살포하고, 공기 건조 후 도열병균(pyricularia oryzae)의 포자 현탁액을 산포 잡종하여, 온도 20~22℃ 습도 100%의 실내에 4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 온도 24-26℃의 온실에 옮기고 3일후에 시험식물의 상위 2잎에 대해서 병반수(病班數)를 조사했다. 1구 3회 반복하여 그의 평균치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용매 함량 1엽당 병반수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0.1% 29.4 23 28 0.5 25 0.7 23
0.3% 29 26 25 0 24 0.2 24
Tween 80 (1%용액) 0.1% 29 27 27 0.2 0 0 0.1
0.3% 28 26 28 0 0.1 0 0
상기 표 1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원 물질은 도열병에 대한 병반수가 무처리군에 비하여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반면에 4가지 유도체 중 1번과 3번은 100%에 가까운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도열병에 대한 농약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물을 용매로 한 경우에는 물에 녹지 않는 원 물질과 2번 및 4번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강제로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가용화한 경우 원 물질은 여전히 효과가 없는데 반하여 2번과 4번 물질에서는 강력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농약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9: 잔디에 대한 포장시험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J 골프장에 있는 그린과 필드 3곳에 대하여 1평씩 구분하여 무처리군, 호노키올 처리군, 마그놀올 처리군 및 유도체 처리군으로 나누고 발병률을 살펴보았다. 무처리군은 1% Tween 80이 함유된 물을, 호노키올과 마그놀올 및 유도체들은 모두 tween 80 1%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사용된 시료의 농도는 모두 최종농도가 0.5%로 되도록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구획된 시험포장에 잔디의 주요 병원미생물인 4가지 균주를 각각 처리하여 1달 간 생장시켰다. 생장 후 같은 포장에 무처리군용 시료액을 포함한 시료액을 3주 간격으로 3달간 살포하고 최종 발병된 면적을 계산하고 처리군의 초기면적인 1평에 대한 백분율로 발병률을 조사하였다.
시료 병원균 무처리구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피티움마름병 100 85 90 0 65 0 72
브라운패취 100 90 85 0 67 0 69
엘로우패취 100 89 91 0 76 0 71
탄저병 100 82 89 0 62 0 73
상기 표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이 1% Tween 80이 함유된 현탁액 상태에서 사용될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10% 정도의 방제효과 밖에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얻어진 유도체 4종 중 물에 잘 녹는 1번과 3번은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항균력이 강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오일에 녹도록 개선된 2번과 4번은 약 30% 정도의 방제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효능이 증가되는 현상은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의 용해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은 물이나 기름 등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녹게끔 물성을 바꿀 수 있다면 그 효능을 강화시킬 수 있어 잔디를 비롯한 농작물에 비료첨가제, 농약 등의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20: 기타 작물에 대한 포장시험
포장시험은 각 계절별로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으며 각 작물에 대한 대표시험균주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얻어진 유도체들이 실제로 방제효과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시험은 실시예 18 및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각 계절별로 포장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시료 병원균 대표균주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배추 Pseudocercosporella capsellae 100 85 90 0 69 3 77
Erwinia carotovora subsp.carotovora 100 90 85 0 71 0 62
상추 Bremia lactucae 100 89 91 0 69 0 67
고추 Phytophthora capsici 100 82 89 0 67 0 66
양파 Sclerotium cepi 100 78 84 0 64 0 62
호박 Phytophthora capsici 100 88 89 0 70 0 55
수박 Nidymella bryoriae 100 92 88 0 70 0 71
Diaporthe citri 100 88 88 0 59 3 69
토마토 Phytophthora infestans 100 89 90 0 72 0 58
포도 Uncinula necator 100 91 92 0 70 0 61
Alternaria alternata f. sp. Kikuchiana 100 79 87 0 63 0 60
사과 100 81 89 0 70 0 62
상기 표 1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시험에 사용된 모든 농작물에서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10% 내외의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무처리군에서는 모든 작물에서 100% 병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유도체 4종 중에 1번과 3번에서는 모두 100%에 가까운 방제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2번과 4번에서는 원 물질보다는 방제력이 강화되었으나 1번과 3번에 비하여는 약하게 나타났으며 무처리군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약 30%의 방제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식품 및 의약분야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유도체를 사용하여 의약분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여러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항균시험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항균시험법 중 페이퍼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였다. 즉, 시험코자 하는 균주를 그 균주의 적정배양온도에서 배양한 후 배양균주를 한천배지에 100 ㎕씩 도말하였다. 그 위에 미리 살균한 거름종이 원판(Paper disc, 지름 8 ㎜)을 놓고, 다시 6가지 시료를 물에 녹인 후 0.3% 함유하도록 투여한 후 다시 적정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곰팡이는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에 균이 사멸하여 투명하게 된 지름(clear zone, 원판지름을 뺀 것)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7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8
Figure 112007012912433-pat00019
-: 효과 없음, +: 약함(weak)(투명대크기: 2 mm 미만), ++: 강함(strong)(투명대크기: 2~5 mm 미만), +++: 매우 강함(very strong) (투명대크기: 5 mm 이상)
시험결과 원물질인 마그놀올과 호노키올은 물에 불용인 상태에서는 물만을 처리한 무처리군과 마찬가지로 전혀 항균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반면에 4가지 물질 중 1번과 3번 유도체에서는 강력한 항균력이 나타나 시험된 모든 균종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반면에 2번과 4번 물질은 물에 녹지 않으나 잘 분산되는 특성 때문에 일부 항균력이 나타난 것으로 보여지며 두 물질 모두 원물질보다 증가된 항균력을 나타내어 본 발명에서 얻어진 4가지 물질은 모두 원 물질보다 항균력이 개선되었다.
실시예 22: 사료첨가제로서의 효과
본 발명의 화합물이 뛰어난 항염증효능과 항균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동물의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시험을 행하였다. 하기 표 17은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은 기존사료와 6가지 비교물질을 0.3%(중량비)를 혼합한 사료를 자돈에 50일간 급여하여 증체량의 효과를 측정한 시험결과이다.
시험항목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두수 12 12 12 12 12 12 12
총증체량 35kg 37kg 38kg 42kg 40kg 41kg 40kg
설사빈도 6회 3회 3회 0회 0회 0회 0회
상기 표 1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무처리군에서는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배합사료를 식이로 하였을 경우 체중이 35kg 증량되었다. 반면에 4종의 각 유도체를 함유한 시료에서는 모두 40kg 이상의 체중이 증가하여 4종 유도체가 사료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원 물질은 4가지 유도체보다 못하지만 무처리군에 비해서는 체중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양식어용 사료첨가제로서의 효과
야외의 시험연못을 물 흐름에 따라서 판으로 구분하고, 각 열에 1 m x 0.8 m(깊이)의 망생책(망눈 5 mm)을, 반복구를 포함하여 2개씩, 약 0.5 m 간격으로 고정하였다. 이 연못에 용수(수온을 14.5℃에서 15℃로 조절)를 1/300의 비율로 흘리고, 수심을 약 0.6 m로 조절하였다. 부화 후 약 7개월인 동일 배의 옥새송어를 무작위로 6군(1군 30마리)으로 나눠 시험에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시험방법은 특허공고 제90-003014호에 따라 실시하였다. 2달간 식이 후 평균체중으로 첨가효능을 판정하였다. 식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어류사료에 시험에 사용된 6가지 시료를 0.1%가 되도록 혼합하여 조제한 후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식이용 주정, 물 또는 Tween 80 0.1% 에 녹인 후 사료조제에 첨가하였다.
용매 평균체중(g)
무처리군 호노키올 마그놀올 1 2 3 4
주정알콜 59 63.1 62.4 69 67.6 65.4 67.2
Tween 80(0.1%) 61.2 63 62.7 67 68 68 66
60 62.8 62.1 68.7 62.1 68 62
올리브오일 61.1 62.1 63.1 63 68.2 61.8 66.7
상기 표 18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호노키올과 마그놀올은 4가지 용매 조건에서 모두 체중증가효과가 나타났으며, 유도체 1번과 3번은 물에 용해시킨 후 사료에 첨가한 경우에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으며 특히 원 물질 2종보다 더 좋게 나타났다. 반면에 2번과 4번 화합물에서는 기름에 녹는 특성 때문에 올리브기름에 녹인 후 사료에 첨가한 경우에 효과가 좋게 나타났으며 물에 녹인 경우는 녹지 않는 특성으로 사료에 첨가 시 그 효능이 원 물질과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도체 4종의 효능은 그 물질의 물리 화학적인 용해 특성에 따라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원 물질은 물과 기름에 녹지 않음에도 무처리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사료의 제형이 액상이 아닌 고체상의 펠릿(pellet) 형태로서 반복조합에 의한 분산 제형으로 다른 물질들이 흡수될 때 같이 흡수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비슷하게 물과 기름에 녹지 않는 유도체의 경우도 각각의 효과는 원 물질과 비슷하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 얻어진 4종의 물질은 물리 화학적 특성에 맞도록 녹인 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어류의 체중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물질임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4: 자극완화 효과
SDS (0.01%)로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조직을 손상시킨 후, 마그놀올, 호노키올, 시료1번, 시료2번, 시료3번, 시료4번을 각각을 0.1% 함유한 크림을 윗팔뚝 부위에 첩포하여 피부조직이 개선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건강한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를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평균반응도=[[(반응지수 × 반응도)/ 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100] ÷ 검사회수(9회)
이 때,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시험물질 반응도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대조군 (스쿠알렌) 0.12 0.15 0.15 0.14
SDS(0.01 %) 4.3 4.3 4.4 4.33
마그놀올 (0.1 %)함유 크림 [시험군 1] 3.5 2.3 1.4 2.40
호노키올(0.1%)함유 크림 [시험군 2] 3.4 2.1 1.2 2.23
시료1번(0.1%)함유 크림 [시험군 3] 2.46 1.75 0.57 1.59
시료2번(0.1%)함유크림 [시험군 4] 3.3 2.7 1.45 2.48
시료2번(0.1%)함유크림 [시험군 5] 2.77 1.83 0.76 1.79
시료2번(0.1%)함유크림 [시험군 6] 3.1 2.5 1.49 2.36
상기 표 19와 같이, SDS (0.01%)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평균 반응도가 4.33이 되어 피부가 심하게 손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시험군 1, 2, 3, 4, 5 및 6을 각각 도포하였을 경우, 피부자극에 대한 완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시료1번과 시료 3번의 경우, 시료2번과 시료4번에 비해 피부완화효과가 좋았다. 또한, 시료1번, 2번, 3번 및 4번은 모두 마그놀롤과 호노키올보다 높은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해 시료1번, 2번, 3번 및 4번 모두 피부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규한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다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원물질인 호노키올과 마그놀올보다 개선된 물리적 특성, 특히 개선된 친수성 또는 친유성을 나타내며, 또한 원물질보다 크게 개선된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물리적 특성이 변경되어 다양한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으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 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삭제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화학식 2
    Figure 112008061901997-pat0002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상기 R2는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며; 그리고 상기 R1 및 R2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3.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화학식 3
    Figure 112008061901997-pat00022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고; 상기 R3는 H, C2-5 알킬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이며; 그리고 상기 R1 및 R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H가 아니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는 다음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4-하이드록시-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4-아미노에탄오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2-(4-아미노프로파노일-3-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프로판노에이트 이염산염; 3-(4-[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2-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2-(2-하이드록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염산염; 2-(2-아미노에타노일-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2-아미노에탄노에이트 이염산염; 또는 3-(2-[2-(3-카르복시프로판오일옥시)-5-프로프-2-에닐페닐]-4-프로프-2-에닐페닐옥시카르보닐)프로피오닉산.
  5.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9.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소판 효과를 가지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불안완화, 항암, 항알러지, 항비만,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방제용 농약제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벼 도열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제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어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19.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료첨가제 조성물.
  20.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
  21.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의 상기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KR1020070014548A 2007-02-12 2007-02-12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KR100892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48A KR100892596B1 (ko) 2007-02-12 2007-02-12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PCT/KR2007/003680 WO2008099994A1 (en) 2007-02-12 2007-07-31 Biphenyl diol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548A KR100892596B1 (ko) 2007-02-12 2007-02-12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03A KR20080075403A (ko) 2008-08-18
KR100892596B1 true KR100892596B1 (ko) 2009-04-09

Family

ID=3969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548A KR100892596B1 (ko) 2007-02-12 2007-02-12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2596B1 (ko)
WO (1) WO2008099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044A1 (de) * 2009-10-02 2011-04-21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Magnolol oder Honokiol als antibakterielle, antimycotische, antiparasitäre oder antivirale Wirkstoffe
AT509581B1 (de) * 2010-04-15 2011-10-15 Neufeld Klaus Lignocellulose-hältiger tierfutterzusatz
DE102010015792A1 (de) * 2010-04-20 2011-10-20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Magnolienrindenextrakt und oberflächenaktiven Agentien
DE102010015791A1 (de) * 2010-04-20 2011-10-20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Magnolienrindenextrakt und polyethoxylierten Verbindungen
EP2423181A1 (en) 2010-07-28 2012-02-29 Prous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S.A. Multitarget substituted biphenyl diol derivatives
KR101305524B1 (ko) * 2011-01-26 2013-09-0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CN103113264B (zh) * 2013-01-22 2015-01-14 北京红惠新医药科技有限公司 厚朴酚衍生物以及和厚朴酚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364957B1 (en) 2015-10-23 2020-12-09 Colgate-Palmolive Company Improved synthesis of honokiol
CN107811998B (zh) * 2017-11-24 2020-06-19 海南大学 和厚朴酚在制备抑杀鱼类体外寄生纤毛虫药物中的应用
KR102452586B1 (ko) * 2019-03-08 2022-10-11 (주)아모레퍼시픽 노화세포 회춘용 조성물
CN110423198B (zh) * 2019-07-29 2022-03-25 南京师范大学 一种苯氧基乙酸酯衍生物的酸催化合成方法及应用
CN112592367A (zh) * 2019-09-17 2021-04-02 成都贝诺科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厚朴酚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10615742B (zh) * 2019-09-20 2021-11-19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厚朴酚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845350B (zh) * 2019-09-20 2021-11-19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和厚朴酚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321452B (zh) * 2020-09-11 2022-11-29 北京红惠新医药科技有限公司 厚朴酚衍生物、和厚朴酚衍生物及其盐酸盐、制备方法及应用
CN112125805B (zh) * 2020-09-11 2022-10-18 北京红惠新医药科技有限公司 水溶性厚朴酚衍生物及和厚朴酚衍生物和其中间体的制备方法、和相关的单羟基保护中间体
CN115252589A (zh) * 2020-09-27 2022-11-01 成都金瑞基业生物科技有限公司 和厚朴酚的医药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166A (ko) * 1997-05-12 1998-12-05 김상춘 사료용 방부제 및 그를 포함한 사료조성물
WO1999036380A1 (fr) 1998-01-14 1999-07-22 Tsumura & Co. Agents anxiolytiques contenant des derives de biphenyle comme ingredient actif
US20040105906A1 (en) 2002-03-22 2004-06-03 Arbiser Jack L. Antiagionecic, antitumor, chemopreventative agents
KR100521777B1 (ko) 1998-10-02 200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2875A (ko) * 1989-02-08 1990-09-03 오스카 아끼히꼬 비페닐 유도체, 신경세포 변성수복 또는 보호제 및 여기에 사용되는 폐닐유도체의 제조방법
JP2872800B2 (ja) * 1990-10-29 1999-03-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ビフェニル誘導体及び光学分割方法
ATE247097T1 (de) * 1998-05-04 2003-08-15 Univ Connecticut Analgetische und immunomodulierende cannabinoiden
US6943266B1 (en) * 1999-10-18 2005-09-13 University Of Connecticut Bicyclic cannabinoid agonists for the cannabinoid receptor
DE10044793A1 (de) * 2000-09-11 2002-04-04 Bayer Ag Diphosp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166A (ko) * 1997-05-12 1998-12-05 김상춘 사료용 방부제 및 그를 포함한 사료조성물
WO1999036380A1 (fr) 1998-01-14 1999-07-22 Tsumura & Co. Agents anxiolytiques contenant des derives de biphenyle comme ingredient actif
KR100521777B1 (ko) 1998-10-02 200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조성물
US20040105906A1 (en) 2002-03-22 2004-06-03 Arbiser Jack L. Antiagionecic, antitumor, chemopreventative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03A (ko) 2008-08-18
WO2008099994A1 (en)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596B1 (ko)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KR1017499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8987B1 (ko) 차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10085758A (ko)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75609B1 (ko) 억새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95272B1 (ko) 3-도데카노일옥시-2-이소부티릴옥시-4-메틸펜타노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393008B1 (ko) 관중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방부활성을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33562A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1787600B1 (ko)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7693A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76618B1 (ko)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011583A (ko) 대두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8307A (ko) 비수리의 초음파 추출물 및 이의 추출방법
JP2006076923A (ja) 抗菌剤組成物
KR20200134657A (ko) 유자 유래 항염증 화합물 및 이의 분리방법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40145257A (ko) 황두견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