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693A -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693A
KR20100077693A KR1020080135715A KR20080135715A KR20100077693A KR 20100077693 A KR20100077693 A KR 20100077693A KR 1020080135715 A KR1020080135715 A KR 1020080135715A KR 20080135715 A KR20080135715 A KR 20080135715A KR 20100077693 A KR20100077693 A KR 2010007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bamboo
glyceryl caprylate
grapefrui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13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693A/ko
Publication of KR2010007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학방부제 대신에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조성함으로써 우수한 방부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피부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고 제형의 안정성이 뛰어나 안전한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방부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Description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eryl Caprylate and the Extract from Citrus Grapefruit seed, Bambusa vulgaris and Pinus palustris leaf as Preservatives}
본 발명은 천연 방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제품은 오랫동안 동일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방부제의 사용이 필수인데, 사용기간이 다른 제품에 비해 긴 화장품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방부제(Preservatives)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제품의 변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와 이미다졸린계 방부제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부제로서 가장 안전하다고 알려진 이러한 원료들도 피부 알러지와 환경호르몬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천연 방부제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지만 보고된 천연 항균성 물질의 대부분은 색취, 안전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제형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편백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 목련추출물인 메그노놀(Megnonol), 자몽추출물인 DF-100 등 일부만 여러 가지 제약을 감안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품에 첨가하는 화학방부제의 피부자극 유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에 혼합 조성할 경우 충분한 방부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으며 제형의 안정성이 뛰어나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첨가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방부제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4 내지 0.7중량%의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0.1 내지 0.2중량%의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4:1 내지 2: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추출물을 2:1의 중량비로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또는 린스의 헤어용 화장료; 및 바디워시의 바디용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방부제 대신에 소량으로도 방부효과를 나타내고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화장료에 비해 피부자극이 매우 완화되며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며, 항균 효과도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방부력과 피부자극 완화 효과 및 제형의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모든 종류의 화장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 트(glyceryl caprylate)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Citrus Grandis(Grapefruit) seed extract / Bambusa vulgaris Extract / Pinus palustris leaf Extract)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통상 에몰리언트제의 하나로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충분한 방부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화학 방부제의 배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로 알려져 있지만, 다량 사용시 제형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방부제에 사용 가능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drstraetmans사의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Cat No. 412011)를 사용하나, 반드시 상기 제조사에서 제조된 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 중에서 자몽종자추출물은 자몽의 씨와 펄프로부터 유래하며 최종산물은 산화와 노화를 방지해 주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와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와 미생물저해작용이 있다. 또한 악취를 제거하고 좋은 냄새를 회복시키는 훌륭한 탈취제(방향제)로 사용되며 수의학적으로 이용 시에는 사료에 의한 곰팡이독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질병으로 인한 가축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대나무는 외떡잎 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을 의미하며, 선조부터 식품을 오래가게 하는 순 천연의 보존제로서 이용하였다. 대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규산이나 엽면에서 발산되는 테르펜이라 불리는 물질과 함께 항균성과 항산화성이 탁월한 성분인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솔잎은 예부터 우리나라에서 송편을 찔 때 송편을 오래 보관하기 위하여 솔잎을 한 줄씩 깔아서 쪄냈다. 솔잎에 있는 테르펜이라는 성분이 살균과 방부력이 강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체내의 독성물질과 노폐물을 배출시켜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임업연구원에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밥을 공기 중에 그냥 놓았을 경우에는 하루가 지나면 부패하기 시작하나, 테르펜을 첨가하면 일주일이 지나도 부패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은 화장품의 선도 및 유통기간 연장을 가능하게 하며 항바이러스, 항 곰팡이 작용을 가지고 있고 무독성이며 항균 및 항산화 작용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pH 안정성과 열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 적용시 피부 항균, 피부찰과상, 피부염, 건선, 습진, 두드러기, 벌레물린 곳, 피부 진균 등에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중 ‘자몽종자 추출물’은 자몽의 과육을 제거한 후 분리된 종자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고, ‘대나무 추출물’은 대나무의 잎 또는 잎과 줄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대나무의 생엽 또는 건조엽, 바람직하게는 건조엽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이다. 마지막으로 ‘솔잎 추출물’은 소나무의 잎, 즉 솔잎을 건조하여 추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린 등),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또는 (f)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바람직한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액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에탄올 수용액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의 건조 중량의 3 내지 1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 내지 1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의 함량은 0.4 내지 0.7 중량%이고,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0.1 내지 0.2중량%이다.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항균 효과, 특히 방부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을 유발하여 화장료 조성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4:1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2:1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각각 0.4 중량% 및 0.2 중량%로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 조성된다.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이 각각 0.4 중량% 및 0.2 중량%로 혼합 조성될 경우의 피부자극이 가장 미약하여 방부제로서의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유용한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된다.
상기 혼합추출물에는 자몽종자 추출물 50~60 중량%, 대나무 추출물 20~30 중량%, 솔잎추출물 10~20중량% 포함되며, 이들의 중량 비율로서 4:2:1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방부제로서 상기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는 노화방지 성분, 주름개선 성분, 미백 성분, 보습 성분 및 항균 성분 등이 있으며, 특정 성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또는 린스의 헤어용 화장료; 및 바디워시 등의 바디용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방부효과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증가하는 특징을 갖는다. 기존의 화장료에서 외부로부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제품의 변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방부제, 대표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와 이미다졸린계 화학방부제는 피부알러지와 환경호르몬 가능성 및 내성균 유발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화학방부제 대신에 소량으로도 방부효과를 나타내고 피부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화장료에 비해 피부자극이 매우 완화되며 제형의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방부력과 피부자극 완화 효과 및 제형의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모든 종류의 화장료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자몽종자 추출물의 제조
자몽종자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몽종자의 과육을 제거하여 종자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종자를 수세하였고, 그 후 60∼70℃의 온도에서 30∼60분간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된 종자를 5℃이하의 조건하에서, 80∼320 mesh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 후, 분말 건조된 종자의 중량 대비 5배 부피의 글리세린을 첨가 및 혼합한다. 이후 추출하였고, 0.40㎛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균여과액을 얻었다. 이 제균여과액을 추출물로 자몽종자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대나무 잎, 즉 건조엽 100g을 생약 분쇄기로 10 내지 200 mesh 크기로 분쇄한 후, 80%(v/v) 에탄올 수용액 500ml를 가하여 초음파 진동에 넣었다. 그 후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세포막내의 것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에탄올 속에 추출되게 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냉침시켰다. 이후, 0.40㎛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균여과하였다. 이 여과된 추출물을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대나무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솔잎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솔잎 100g을 생약 분쇄기로 10 내지 200 mesh 크기로 분쇄한 후, 80%(v/v) 에탄올 수용액 500ml를 가하여 초음파 진동기에 넣었다. 그 후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세포막 내의 것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에탄올 속에 추출되게 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냉침시켰다. 냉침된 추출물을 0.40㎛ 여과지를 이용하여 제균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었고, 이 농축액을 솔잎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의 혼합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된 실시예의 자몽종자 추출물(실시예 1), 대나무 추출물(실시예 2), 솔잎 추출물(실시예 3) 각각에 대해 세균과 진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시험법으로 동일 농도에서 최적의 활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즉, 멸균된 액체배양배지에 1x107 CFU/mL농도의 대장균(Escherichia coil)과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배양액을 각각 접종하고, 자몽종자 추출물(실시예 1), 대나무 추출물(실시예 2), 솔잎 추출물(실시예 3)을 미생물이 접종된 배양배지 전체 용량에 대해 0.25%, 0.5%, 1%, 2%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대장균 배양조건(30~32℃, 150 rpm, 20 hr)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의 배양조건(25℃, 150 rpm, 20 hr)에 따라 배양한 후, 흡광도, 균수 등을 측정함으로써 세균의 증식억제여부를 결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항균력은 대장균이나 아스퍼질러스 나이거가 50%이상 증식이 억제된 것을 ‘-’, 그렇지 않은 것을 ‘+’라고 하여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0.25% 0.5% 1% 2%
실시예 1 + - - -
실시예 2 + - - -
실시예 3 + - - -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0.25% 0.5% 1% 2%
실시예 1 + + + -
실시예 2 + + - -
실시예 3 + - - -
상기 실험결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낸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인 경우 모든 추출물 모두 0.5%이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의 경우 자몽종자 추출물(실시예 1)은 2%,, 대나무 추출물(실시예 2)은 1%, 솔잎 추출물(실시예 3)은 0.5% 였다.
또한 최소저해농도가 설정된 각 추출물을 혼합했을 경우의 세균과 진균 저해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혼합 추출물의 최종 중량을 모두 3.5%로 동일하게 하면서, 자몽종자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의 중량비를 2:1로 혼합한 실시예 4, 자몽종자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중량비를 4:1로 혼합한 실시예 5, 대나무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중량비를 2:1로 혼합한 실시예 6, 자몽종자추출물, 대나무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중량비를 4:2:1로 혼합한 실시예 7(본 발명)의 대장균과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에 대한 저해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 4, 5, 6 및 7을 포함하는 멸균된 액체배양배지에 1x107 CFU/mL농도의 대장균과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배양액을 각각 접종하고, 대장균의 경우 30-32℃,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의 경우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생균수 및 변취 유무와 배지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박테리아 (cfu/ml) 곰팡이*
초기균수 1일차 7일차 14일차 28일차
실시예 4 1x107 5x106 1x104 6x103 <102 ++
실시예 5 1x107 5x106 7x104 5x103 <102 +
실시예 6 1x107 2x106 6x104 3x103 <102 +
실시예 7 1x107 1x106 3x103 1x102 1 -
곰팡이*
- : 4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추출물은 약 28일이 경과한 후에는 각 추출물을 2종으로 혼합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경우보다 더 낮은 균수가 측정되었고, 곰팡이의 발생도 관찰되지 않아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을 모두 혼합했을 경우에 가장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의 항균력 실험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의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다양한 함량비로 함유하는 제조예 1-4의 화장료,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대신에 방부제로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함유하는 비교제조예 2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화장료 제조에 사용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drstraetmans사의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Cat No. 412011)이다.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비교제조예1 비교제조예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4.00 4.00 4.00 4.00 4.00 4.00
부틸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프로필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밀납 4.00 4.00 4.00 4.00 4.00 4.00
마카데미아넛 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스쿠알란 3.00 3.00 3.00 3.00 3.00 3.00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40 0.60 0.80 1.00 - -
메칠파라벤 - - - - - 0.2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 - - - - 0.20
먼저, 박테리아의 경우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및 제조예 4의 화장료 및 비교제조예 1(방부제 무첨가군) 및 비교제조예 2(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의 화장료 20-30g에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9027) 및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의 혼합 균액을 시료당 초기 농도가 107 cfu/g 되도록 첨가 혼합하였다. 이들을 30-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1, 7, 14, 21 및 28일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 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의 표 5와 같다.
다음으로 곰팡이의 경우에는,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TCC10231), 페니실리움 씨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KCTC2123)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107cfu/g이 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8주간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 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박테리아 (cfu/g) 곰팡이*
초기균수 1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제조예 1 1x107 2100000 500000 10000 <1000 <1000 -
제조예 2 1x107 700000 30000 5000 <1000 <100 -
제조예 3 1x107 <1000 <100 <100 <100 <100 -
제조예 4 1x107 <1000 <100 <100 <100 <100 -
비교예 1 1x107 54000000 30000000 >1x108 >1x108 >1x108 +++
비교예 2 1x107 40000 300 <100 <100 <100 -
곰팡이*
- : 4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 28일이 경과한 후에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0.6-1.0%의 함량으로 사용했을 때 기존의 방부제와 유사하거나 기존의 방부제보다 더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되었고, 배양일 전체로 판단했을때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를 0.8% 및 1.0% 함량으로 사용했을 때 기존의 방부제에 비해 훨씬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항균력 실험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몽종자 추출물 57 중량%, 대나무 추출물 28 중량% 및 솔잎추출물 1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10% 희석액을 다양한 함량비로 함유하는 제조예 5-8의 화장료,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 및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 대신에 방부제로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탄을 함유하는 비교제조예 2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비교제조예
5 6 7 8 1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4.00 4.00 4.00 4.00 4.00 4.00
부틸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프로필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밀납 4.00 4.00 4.00 4.00 4.00 4.00
마카데미아넛 오일 5.00 5.00 5.00 5.00 5.00 5.00
스쿠알란 3.00 3.00 3.00 3.00 3.00 3.00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추출물 10% 희석액 2.00 3.00 4.00 5.00 - -
메칠파라벤 - - - - - 0.2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 - - - - 0.20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측정결과는 하기의 표 7과 같다.
화장료 박테리아 (cfu/g) 곰팡이*
초기균수 1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제조예 5 1x107 7000000 200000 10000 <1000 <1000 -
제조예 6 1x107 500000 10000 <1000 <1000 <100 -
제조예 7 1x107 20000 <1000 <100 <100 <100 -
제조예 8 1x107 <1000 <100 <100 <100 <100 -
비교예 1 1x107 54000000 30000000 >1x108 >1x108 >1x108 +++
비교예 2 1x107 40000 300 <100 <100 <100 -
* - : 4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약 28일이 경과한 후에는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10배 희석액을 3.0-5.0%의 함량으로 사용했을 때 기존의 방부제와 유사하거나 기존의 방부제보다 더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되었고, 배양일 전체로 판단했을 때는 제조예 8과 같이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10배 희석액을 5.0%의 함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기존의 방부제보다 훨씬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혼합물의 항균력 실험
상기 제조예들의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과 동일한 처방으로 하고,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 중량 비율을 하기 표 8과 같이 다르게 하여 제조예 9 내지 3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실험예 1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였다. 그 실험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예 1에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가 0.8%에서 방부력이 확보되었으므로 본 실험예 3에서는 카프릴레이트의 함량을 0.7% 이하로 낮추어 실험하였다.
화장료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추출물의 희석액 (10%) 박테리아에서의
방부력*
곰팡이에서의
방부력**
제조예 9 0.7 1.0 적합 -
제조예 10 2.0 적합 -
제조예 11 3.0 적합 -
제조예 12 4.0 적합 -
제조예 13 5.0 적합 -
제조예 14 6.0 적합 -
제조예 15 7.0 적합 -
제조예 16 0.6 1.0 적합 -
제조예 17 2.0 적합 -
제조예 18 3.0 적합 -
제조예 19 4.0 적합 -
제조예 20 5.0 적합 -
제조예 21 6.0 적합 -
제조예 22 7.0 적합 -
제조예 23 0.5 1.0 부적합 -
제조예 24 2.0 적합 -
제조예 25 3.0 적합 -
제조예 26 4.0 적합 -
제조예 27 5.0 적합 -
제조예 28 6.0 적합 -
제조예 29 7.0 적합 -
제조예 30 0.4 1.0 적합 -
제조예 31 2.0 적합 -
제조예 32 3.0 적합 -
제조예 33 4.0 적합 -
제조예 34 5.0 적합 -
제조예 35 6.0 적합 -
제조예 36 7.0 적합 -
제조예 37 0.3 1.0 부적합 -
제조예 38 2.0 부적합 -
제조예 39 3.0 적합 -
제조예 40 4.0 적합 -
제조예 41 0.2 1.0 부적합 -
제조예 42 2.0 부적합 -
제조예 43 3.0 부적합 -
제조예 44 4.0 적합 -
제조예 45 0.1 1.0 부적합 +
제조예 46 2.0 부적합 +
제조예 47 3.0 부적합 -
제조예 48 4.0 부적합 -
방부력*
적합 : 박테리아 수치가 7일차, 14일차, 21일차 및 28일차 모두에서 <100cfu/g인 경우
부적합 : 위의 적합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
방부력**
- : 4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표 8에서 방부력 결과가 “적합”으로 나온 제조예들 중에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의 함량이 일정할 때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의 함량이 최소인 제조예만 굵게 표시하였다. 방부제의 경우 최소량 이상을 첨가한 경우에는 모두 방부력 적합판정이 나오므로 방부력 실험에서는 최소량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방부력이 적합한 많은 제조예들 중에서 자극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제조예를 선별하여야 하는데, 방부제 함량이 많아지면, 자극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동일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양에서는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의 혼합 추출물이 최소로 함유된 한 가지 제형예만을 선별하기 위해 최소량을 표시하였다.
실험예 4: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 혼합물의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상기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방부력이 확보된 처방인 제조예 3, 8, 12, 15, 16, 18, 21, 24, 27, 31, 33, 39 및 44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 및 비교예로서 비교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제품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여 3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에 5×20 cm 부위에 각 시료를 일정량(약 0.1g)으로 첩포하였다. 첩포된지 24시간이 경과 후 이를 제거하고 1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의 공식에 따라 피부자극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Figure 112008089960149-PAT00001
화장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제조예 3 30 0 1 2 27 4.4
제조예 8 30 0 0 2 28 2.2
제조예 12 30 0 1 2 27 4.2
제조예 15 30 0 0 2 28 2.2
제조예 16 30 0 0 3 27 3.3
제조예 18 30 0 1 2 27 4.4
제조예 21 30 0 1 2 27 4.4
제조예 24 30 0 0 1 29 1.1
제조예 27 30 0 0 2 28 2.2
제조예 31 30 0 0 0 30 0
제조예 33 30 0 0 2 28 2.2
제조예 39 30 0 1 2 27 4.4
제조예 44 30 0 1 2 27 4.4
비교제조예 2 30 0 1 4 25 6.7
상기 표 9의 피부 자극성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 조성한 화장료들의 자극정도가 일반적인 방부제를 사용한 비교제조예 2의 화장료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자극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의 10% 희석액을 0.5:2.0%(2.5:1) 및 0.4:2.0%(2:1)로 혼합 처방한 제조예 24 및 제조예 31의 화장료는 이들을 다른 중량 비율로 사용했을 때보다 피부자극 안전성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의 10% 희석액을 0.4:2.0%(2:1)로 혼합 처방한 제조예 31의 화장료는 피부 자극성 개선에 가장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5: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제조예 3, 4, 7, 8의 화장료,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10배 희석액을 0.4:1.0(중량%) 함유한 제조예 30 및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10배 희석액을 0.4:2.0(중량%) 함유한 제조예 31의 화장료, 상기 성분을 모두 함유하지 않는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 및 방부제로서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함유한 비교제조예 2의 화장료를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 표 10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온도 실험물질 변색 정도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30
제조예
31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45℃ 3 4 2 3 0 0 0 0
4℃ 0 0 1 2 0 0 0 0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조예 30 및 31의 화장료는 변색이 거의 되지 않아 기존의 방부제로서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함유한 비교제조예 2의 화장료와 같이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화장료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의 경우는 많은 양이 첨가될수록 점도가 떨어져서 고온에서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어 제조예 3 및 4가 45℃에서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으며, 자몽종자, 대나무, 솔잎 혼합 추출물이 과량으로 함유된 제조예 7 및 8이 변색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과량으로 첨가시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소량으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는 0.4 내지 0.7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0.1 내지 0.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4:1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몽종자, 대나무 및 솔잎의 혼합 추출물은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클렌징크림 및 폼클렌징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 데이션, 마스카라, 아이쉐도우 및 아이라이너로부터 선택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또는 린스의 헤어용 화장료; 및 바디워시의 바디용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35715A 2008-12-29 2008-12-29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15A KR20100077693A (ko) 2008-12-29 2008-12-29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715A KR20100077693A (ko) 2008-12-29 2008-12-29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93A true KR20100077693A (ko) 2010-07-08

Family

ID=4263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15A KR20100077693A (ko) 2008-12-29 2008-12-29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6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7139A (zh) * 2014-12-23 2016-06-29 株式会社韩国人参公社 天然防腐组合物
KR20160122485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CN109453086A (zh) * 2018-12-26 2019-03-12 株洲千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复方抑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2318361B1 (ko) * 2021-05-13 2021-10-2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63451A (zh) * 2022-06-06 2022-12-13 木由子(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柚子叶提取物的提取工艺及柚子叶提取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7139A (zh) * 2014-12-23 2016-06-29 株式会社韩国人参公社 天然防腐组合物
KR20160076816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천연 방부 조성물
CN105707139B (zh) * 2014-12-23 2019-01-04 株式会社韩国人参公社 天然防腐组合物
KR20160122485A (ko) * 2015-04-14 2016-10-2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CN109453086A (zh) * 2018-12-26 2019-03-12 株洲千金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复方抑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2318361B1 (ko) * 2021-05-13 2021-10-2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63451A (zh) * 2022-06-06 2022-12-13 木由子(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柚子叶提取物的提取工艺及柚子叶提取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862229B1 (ko)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US8629180B2 (en) Antiseptic agent composition
KR20100077693A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와, 자몽종자, 대나무 및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945987B1 (ko) 티로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448555B1 (ko)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22673B1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고삼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1133B1 (ko) 방부활성과 항염 활성을 가지는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과 노간주나무 추출물 부추 추출물과 산들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2674B1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맹죽엽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JP5013765B2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医薬品又は食品
JP2007161654A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又は医薬品、及び防腐殺菌方法
EP3988079A1 (en) Preservative for externally-applied dermal prepara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each comprising same
KR101442181B1 (ko)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342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포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KR102465358B1 (ko) 마그놀올, 호노키올,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7751B1 (ko) 오미자, 백리향 및 꽃향유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대체제 및 이의 용도
KR102062006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2660B1 (ko) 방부제 대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6276B1 (ko)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587124B1 (ko) 보습성 및 롤링성이 향상된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JP3534181B2 (ja) ローズマリーエキス、ローズマリーエキス抽出方法、及びローズマリーエキスを用いた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