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24B1 -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24B1
KR101305524B1 KR1020110007831A KR20110007831A KR101305524B1 KR 101305524 B1 KR101305524 B1 KR 101305524B1 KR 1020110007831 A KR1020110007831 A KR 1020110007831A KR 20110007831 A KR20110007831 A KR 20110007831A KR 101305524 B1 KR101305524 B1 KR 10130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mmol
added
beta
amyl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531A (ko
Inventor
한상배
정재경
곽영신
서승용
이기호
송석길
홍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1000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2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619 priority patent/WO2012102562A2/ko
Publication of KR2012008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hree-membered rings, e.g. oxirane, fumagil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21,2,3-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7/06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4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4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4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5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4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71/5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acylated on ring nitrogen atoms by 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07D295/182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295/192Radicals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from aromatic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1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 C07D303/1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oxygen atoms by etherified hydroxyl radicals
    • C07D303/20Ethers with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no oxirane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응집 억제 효과,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 활성 억제 효과,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발되는 치매 질환의 치료제 및 기능성 식품의 활성성분으로 개발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Dementia Comprising 4-O-Methylhonokiol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4-O-메틸호노키올은 3′,5-디알릴-4′-메톡시비페닐-2-올의 일반명칭으로, 최근 목련종(Magnolia species)로부터 분리되었고, 고리형 산소화 효소를 억제하여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며, 뿐만 아니라 기억력 장애 개선 작용이 보고된 매우 유용한 물질이다(1, 2).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93296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94916호, 한국공개특허 2008-104760호에는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의 줄기 및 잎으로부터 추출한 4-O-메틸호노키올이 아밀로이드 관련성 질환의 치료, 탈모 방지 및 모발의 생장의 촉진,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현재까지 목련 종의 뿌리 및 줄기의 수피가 다양한 질환의 치료용도의 전통 의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목련 속에 속하는 주요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은 호노키올(honokiol), 매그노롤(magnolol) 및 오보바톨(obovatol)과 같은 비페닐-네오리그난 계열의 화합물들이다(2). 흥미롭게도 4-O-메틸호노키올은 호노키올이나 다른 다양한 호노키올 유사체보다도 항-염증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COX-2에 대한 IC50 값이 0.06 μM이었다(3). 또한, 4-O-메틸호노키올은 최근에 신경친화성 및 기억력 향상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 4-O-메틸호노키올의 화학 구조상의 특징은 A환의 C2 위치의 히드록실기와 B환의 C4 위치에서의 메톡시기를 갖는 비대칭성의 5, 3′-디알릴-비페닐이다. 그러나, 4-O-메틸호노키올의 흥미로운 생물학적 활성에도 불구하고, 동질체, 호노키올 및 오보바톨의 합성은 보고되어 있는 반면, 이 화합물의 유도체의 합성은 당업계에서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으며(3, 5), 유도체의 다양한 활성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없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및 항치매 효능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메틸호노키올(methylhonokiol) 화합물의 보다 개선된 활성을 갖는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신규한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하였고, 합성한 유도체들이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응집과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을 저해함으로써, 항치매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C1-C7 알킬, C2-C7 알케닐, -CO(CH2)nCH3, 또는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2
이고,
R2는 H, 또는 할로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7 알킬, C2-C7 알케닐, C1-C7 히드록시알킬, 또는 C3-C8 시클로알킬, C3-C8 헤테로시클로알킬, (C3-C8 헤테로시클로알킬)C1-C7 알킬이고;
상기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6-C10 아릴, C6-C10 할로아릴, (C6-C10 아릴)C1-C7 알킬, -CH2CO2CH3, -CH2CONH2, 또는 서로 연결되어 C3-C8 헤테로시클로알킬을 형성하고, 상기 n은 0-4의 정수이다;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1-C7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할로이고; R2는 C1-C7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C1-C7 히드록시알킬이다;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4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C1-C7 알킬, 또는 C2-C7 알케닐이고; R2는 C1-C7 알킬, C2-C7 알케닐, C3-C8 시클로알킬, 또는 (C3-C8 시클로알킬)C1-C7 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H, C1-C5 알킬, C2-C5 알케닐, -COCH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5
,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6
,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7
,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8
,
Figure 112011006426688-pat00009
,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0
, 또는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1
이고; R2는 H, Br 또는 Cl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 알킬, C2-C5 알케닐,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2
, 또는 C1-C5 히드록시알킬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1-C7 알킬, C2-C7 알케닐, 또는 Br이고; R2는 C1-C7 알킬, 또는 C1-C7 히드록시알킬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C1-C7 알킬이고; R2는 C2-C7 알케닐, 또는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2 및 3에서 용어 "알킬"은 지정된 탄소수의 직쇄 또는 가지쇄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C3 알킬"은 직쇄형 n-프로필기 뿐만 아니라 가지쇄형의 이소프로필기를 포함하며, "C1-C4 알킬"은 n-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히드록시알킬"은 상기 정의된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알케닐”은 최소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정된 탄소수의 직쇄 또는 가지쇄의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테닐,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t-부테닐, n-펜테닐 및 n-헥세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할로"는 플루오로(F), 클로로(Cl), 브로모(Br) 또는 요오도(I)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시클로알킬"은 지정된 개수의 고리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 포화 모노시클릭, 융합된 바이시클릭 또는 가교된 폴리시클릭의 고리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C3-C6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시클로알킬 알킬"은 상기 정의된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상기 정의된 시클로알킬이되, 지정된 고리 탄소원자 중의 하나 이상이 -O-, -N=, -NR-, -C(O)-, -S-, -S(O)- 또는 -S(O)2- (여기서, R은 수소, C1-C4알킬 또는 질소 보호기임)의 잔기로 대체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 알킬"은 상기 정의된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아릴"은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6-C10 아릴"기는 페닐, α-나프틸, β-나프틸, 비페닐 및 테트라히드로나프틸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할로아릴"은 상기 아릴기의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이 할로기로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 "아릴 알킬"은 알킬기의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정의된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6-C14 아릴)C1-C4 알킬은 벤질, 1-페닐에틸, 2-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하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응집을 억제하고,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의 활성을 억제하며,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해 유발되는 치매(dementia)의 치료, 예방 및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mg/kg (체중)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 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 (예컨 대, 덱스트린,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신규한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응집을 억제하고,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의 활성을 억제하며,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다.
(ⅱ)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해 유발되는 치매(dementia)의 치료, 예방 및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응집 억제 효과,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 활성 억제 효과,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는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발되는 치매 질환의 치료제 및 치매의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활성성분으로 개발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유도체 1의 제조
[반응식 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4
메틸호노키올(Methylhonokiol)의 에탄올 용액에 Pd/C을 넣고 감압하였다. 감압 후 H2기류 하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한 후 셀라이트 여과(celite filter)하였다. 감압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EtOAc : Hexane = 1 : 13)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98%, 30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27 (dd, 1H, J = 8.3, 2.3 Hz, Ar-H), 7.23 (ds, 1H, J = 2.2 Hz, Ar-H), 7.05-7.03 (m, 2H, Ar-H), 6.95 (d, 1H, J = 8.3 Hz, Ar-H), 6.89(d, 1H, J = 7.9 Hz, Ar-H), 5.16 (s, 1H, Ar-OH), 3.87 (s, 3H, Ar-OCH3), 2.64 (t, 2H, J = 7.5 Hz, Ar-CH2CH2CH3), 2.55 (t, 2H, J = 7.5 Hz, Ar-CH2CH2CH3), 1.68-1.61 (m, 4H, Ar-CH2CH2CH3), 0.99-0.94 (m, 6H, Ar-CH2CH2CH3).
제조예 2: 유도체 2의 제조
[반응식 2]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5
질소 기류 하에서 메틸호노키올(1.0 eq)를 무수 DMF에 녹인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potassium carbonate)(3.0 eq)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30분 후 메틸요오드(3.0 eq)를 적가한 후 3 시간 반응시켰다. 1N HCl로 1 회 세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8)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98%, 51 mg이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37 (dd, 1H, J = 8.3, 2.2 Hz, Ar-H), 7.31 (ds, 1H, J = 2.2 Hz, Ar-H), 7.12 (ds, 1H, J = 2.1 Hz, Ar-H), 7.10 (dd, 1H, J = 8.2, 2.3 Hz, Ar-H), 6.90 (d, 2H, J = 8.3 Hz, Ar-H), 6.08-5.93 (m, 2H, Ar-CH2CHCH2), 5.12-5.02 (m, 4H, Ar-CH2CHCH2), 3.86 (s, 3H, Ar-OCH3), 3.79 (s, 3H, Ar-OCH3), 3.43 (d, 2H, J = 6.6 Hz, Ar-CH2CHCH2), 3.37 (d, 2H, J = 6.7 Hz, Ar-CH2CHCH2).
제조예 3: 유도체 3의 제조
[반응식 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6
질소 기류 하에서 메틸호노키올(1.0 eq)를 무수 DMF에 녹인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3.0 eq)를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30분 후 2-브로모프로판(1.5 eq)를 적가한 후 4시간 반응시켰다. 1N HCl로 1회 세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감압 농축한 후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25)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60%, 21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40 (ds, 1H, J = 2.2 Hz, Ar-H), 7.37 (dd, 1H, J = 8.4, 2.3 Hz, Ar-H), 7.13 (ds, 1H, J = 2.3 Hz, Ar-H), 7.04 (dd, 1H, J = 8.3, 2.3 Hz, Ar-H), 6.89 (d, 1H, J = 8.3 Hz, Ar-H), 6.88 (d, 1H, J = 8.4 Hz, Ar-H), 6.07-5.94 (m, 2H, Ar-CH2CHCH2), 5.11-5.03 (m, 4H, Ar-CH2CHCH2), 4.41-4.33 (m, 1H, Ar-OCH(CH3)2), 3.86 (s, 3H, Ar-OCH3), 3.42 (d, 2H, J = 6.7 Hz, Ar-CH2CHCH2), 3.36 (d, 2H, J = 6.7 Hz, Ar-CH2CHCH2), 1.23 (d, 6H, J = 6 Hz, Ar-OCH(CH3)2).
제조예 4: 유도체 4의 제조
[반응식 4]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7
메틸호노키올(1.0 eq)의 메틸렌디클로라이드(methylene dichloride) 용액에 디메틸아미노피리딘(dimethyl amino pyridine)(0.2 eq), 트리에틸아민(5.0 eq), 아세트산무수물(1.2 eq)를 넣고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20분 간 교반한 후 반응을 종료시키고, 소디엄바이카보네이트(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켰다.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EtOAc : Hexane = 1 : 10)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93%, 54 mg이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24 (dd, 1H, J = 8.3, 2.2 Hz, Ar-H), 7.21 (ds, 1H, J = 2.2 Hz, Ar-H), 7.20 (ds, 1H, J = 2.1 Hz, Ar-H), 7.14 (dd, 1H, J = 8.2, 2.2 Hz, Ar-H), 7.02 (d, 1H, J = 8.2 Hz, Ar-H), 6.89 (d, 1H, J = 8.3 Hz, Ar-H), 6.06-5.93 (m, 2H, Ar-CH2CHCH2), 5.14-5.02 (m, 4H, Ar-CH2CHCH2), 3.86 (s, 3H, Ar-OCH3), 3.42-3.39 (m, 4H, Ar-CH2CH2CH3), 2.09 (s, 3H, Ar-OCOCH3).
제조예 5: 유도체 5의 제조
[반응식 5]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8
질소 기류하에서 메틸호노키올(1.0 eq)을 무수 THF에 녹인 후, 이소프로필 마그네슘 클로라이드(isopropyl magnesium chloride)(디에틸에테르내 2.0 M 용액, 1.2 eq)을 -78℃에서 가하였다. -78℃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 가량 더 교반하였다. 10분 교반한 후 DBDMH(0.8 eq)을 가한 후에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한 후 수용성 NH4Cl로 세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 후 감압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15)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64%, 41 mg이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34 (dd, 1H, J = 8.4, 2.3 Hz, Ar-H), 7.28 (ds, 1H, J = 2.2 Hz, Ar-H), 7.26 (ds, 1H, J = 2.1 Hz, Ar-H), 7.02 (ds, 1H, J = 2.0 Hz, Ar-H), 6.93 (d, 1H, J = 8.4 Hz, Ar-H), 6.07-5.89 (m, 2H, Ar-CH2CHCH2), 5.55 (s, 1H, Ar-OH), 5.13-5.03 (m, 4H, Ar-CH2CHCH2), 3.87 (s, 3H, Ar-OCH3), 3.43 (d, 2H, J = 6.6 Hz, Ar-CH2CHCH2), 3.32 (d, 2H, J = 6.8 Hz, Ar-CH2CHCH2).
제조예 6: 유도체 6의 제조
[반응식 6]
Figure 112011006426688-pat00019
메틸호노키올(1.0 eq)을 무수 메틸렌디클로라이드(methylene dichloride)에 녹인 용액에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인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3 eq)와 NaHCO3(5.0 eq)을 넣은 후 상온에서 1일간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 후 감압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2)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53%, 30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33 (dd, 1H, J = 8.3, 2.2 Hz, Ar-H), 7.30 (ds, 1H, J = 2.2 Hz, Ar-H), 7.12-7.09 (m, 2H, Ar-H), 6.97 (d, 1H, J = 8.4 Hz, Ar-H), 6.91 (d, 1H, J = 8.0 Hz, Ar-H).
제조예 7: 유도체 7의 제조
[반응식 7]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0
질소 기류하에서 메틸호노키올(1.0 eq)을 무수 THF에 녹인 후 이소프로필 마그네슘클로라이드(디에틸에테르내의 2.0 M 용액, 1.2 eq)를 -78℃에서 가하였다. -78℃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 가량 더 교반하였다. 10분간 교반한 후에 DCDMH(0.8 eq)을 가한 후에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료한 후 수용성 NH4Cl로 세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 후 감압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10)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0%, 17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36 (dd, 1H, J = 8.4, 2.3 Hz, Ar-H), 7.29 (ds, 1H, J = 2.3 Hz, Ar-H), 7.11 (ds, 1H, J = 2.1 Hz, Ar-H), 6.99 (ds, 1H, J = 2.1 Hz, Ar-H), 6.93 (d, 1H, J = 8.5 Hz, Ar-H), 6.05-5.89 (m, 2H, Ar-CH2CHCH2), 5.56 (s, 1H, Ar-OH), 5.12-5.03 (m, 4H, Ar-CH2CHCH2), 3.87 (s, 3H, Ar-OCH3), 3.42 (d, 2H, J = 6.6 Hz, Ar-CH2CHCH2), 3.32 (d, 2H, J = 6.7 Hz, Ar-CH2CHCH2).
제조예 8: 유도체 8의 제조
[반응식 8]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1
무수 THF에 BH3-THF(15 eq)을 얼음수조(ice bath)상에서 적가한 후 THF에 녹인 메틸호노키올을 5분여에 걸쳐 천천히 주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2시간 교반 하였다. 교반한 후 10℃에서 3N NaOH와 H2O2를 과량 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에테르(ether)로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 그래피(EtOAc : Hexane = 1 : 1)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6%, 77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29-7.27 (m, 2H, Ar-H), 7.24 (ds, 1H, J = 2.2 Hz, Ar-H), 7.22 (ds, 1H, J = 2.3 Hz, Ar-H), 7.06-7.02 (m, 4H, Ar-H), 6.95 (d, 2H, J = 8.3 Hz, Ar-H), 6.91-6.88 (m, 2H, Ar-H), 6.04-5.93 (m, 2H, Ar-CH2CHCH2), 5.18 (s, 2H, Ar-OH), 5.11-5.03 (m, 4H, Ar-CH2CHCH2), 3.88 (s, 3H, Ar-OCH3), 3.87 (s, 3H, Ar-OCH3), 3.69 (t, 2H, J = 6.5 Hz, Ar-CH2CH2CH2OH), 3.64 (t, 2H, J = 6.2 Hz, Ar-CH2CH2CH2OH), 3.42 (d, 2H, J = 6.7 Hz, Ar-CH2CHCH2), 3.35 (d, 2H, J = 6.8 Hz, Ar-CH2CHCH2), 2.76 (t, 2H, J = 7.3 Hz, Ar-CH2CH2CH2OH), 2.66 (t, 2H, J = 7.5 Hz, Ar-CH2CH2CH2OH), 1.91-1.85 (m, 4H, Ar-CH2CH2CH2OH).
제조예 9: 유도체 9의 제조
[반응식 9]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2
무수 THF에 BH3-THF(15.0 eq)을 얼음수조(ice bath)상에서 적가한 후 THF에 녹인 메틸호노키올을 5분여에 걸쳐 천천히 주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교반한 후 10℃에서 3N NaOH와 H2O2를 과량 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에테르(ether)로 3회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플래쉬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1)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45%, 103 mg이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28 (dd, 1H, J = 8.3, 2.3 Hz, Ar-H), 7.24 (ds, 1H, J = 2.2 Hz, Ar-H), 7.06-7.04 (m, 2H, Ar-H), 6.95 (d, 1H, J = 8.3 Hz, Ar-H), 6.88 (d, 1H, J = 8.2 Hz, Ar-H), 3.88 (s, 3H, Ar-OCH3), 3.69 (t, 2H, J = 6.4 Hz, Ar-CH2CH2CH2OH), 3.64 (t, 2H, J = 6.2 Hz, Ar-CH2CH2CH2OH), 2.77 (t, 2H, J = 7.3 Hz, Ar-CH2CH2CH2OH), 2.67 (t, 2H, J = 7.4 Hz, Ar-CH2CH2CH2OH), 1.92-1.84 (m, 4H, Ar-CH2CH2CH2OH).
제조예 10: 유도체 10의 제조
[반응식 10]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3
질소기류하에서 메틸호노키올(1.0 eq)을 무수 DMF에 녹인 후 포타슘카보네이트(potassium carbonate)(3.0 eq)을 넣고 30분간 교반하였다. 30분간 교반한 후, 알릴브로마이드(allylbromide)(3.0 eq)를 적가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N HCl로 세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플래쉬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 : Hexane = 1 : 20)로 정제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98%, 56 mg이었다. 1H NMR (CDCl3, 500 MHz) δ 7.39 (dd, 1H, J = 8.3, 2.3 Hz, Ar-H), 7.37 (ds, 1H, J = 2.0 Hz, Ar-H), 7.13 (ds, 1H, J = 2.3 Hz, Ar-H), 7.06 (dd, 1H, J = 8.2, 2.2 Hz, Ar-H), 6.89 (d, 1H, J = 8.3 Hz, Ar-H), 6.88 (d, 1H, J = 8.3 Hz, Ar-H), 6.06-5.93 (m, 3H, Ar-CHCH2), 5.35-5.30 (m, 1H, Ar-OCH2CHCH2), 5.20-5.17 (m, 1H, Ar-OCH2CHCH2), 5.10-5.01 (m, 4H, Ar-CH2CHCH2), 4.51-4.49 (m, 2H, Ar-OCH2CHCH2), 3.86 (s, 3H, Ar-OCH3), 3.42 (d, 2H, J = 6.7 Hz, Ar-CH2CHCH2), 3.36 (d, 2H, J = 6.7 Hz, Ar-CH2CHCH2).
제조예 11: 유도체 11의 제조
[반응식 1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4
메틸호노키올(56 mg, 0.20 mmol)의 아세톤 용액(1 mL)에 K2CO3 (55 mg, 0.40 mmol) 및 3,3-디메틸알릴브로마이드(47 mg, 0.32 mmol)을 넣었다. 5시간 동안 환류하였고,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10)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60 mg, 86% 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0 (m, 2H), 7.15 (d, 1H, J = 2.4 Hz), 7.09 (dd, 1H, J = 8.3 and 2.4 Hz), 6.93 (m, 2H), 6.05 (m, 2H), 5.45 (t, 1H, J = 2.3 Hz), 5.08 (m, 4H), 4.50 (d, 2H, J = 2.3 Hz), 3.87 (s, 3H), 3.44 (d, 2H, J = 6.3), 3.39 (d, 2H, J = 6.8), 1.81 (s, 3H), 1.75 (s, 3H); 13C-NMR (100 MHz, CDCl3) δ 156.2, 154.1, 137.8, 137.0, 136.6, 132.3, 131.1 130.88, 130.84, 130.7, 128.1, 127.77, 127.72, 120.3, 115.4, 115.2, 113.3, 109.8, 65.7, 55.4, 39.4, 34.2, 25.6, 18.1.
제조예 12: 유도체 12의 제조
[반응식 12]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5
메틸호노키올(28 mg, 0.1 mmol), 2-메틸-2-부텐(1.2 mL), 디클로로메탄(0.5 mL)가 담긴 밀봉된 튜브에 2nd 그럽스 촉매(Grubbs catalyst)(4 mg, mmol)을 넣었다. 24 시간 동안 환류하며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였고,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9)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2 mg, 95%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1 (m, 2H), 7.19 (m, 2H), 7.10 (d, 1H, J = 8.2 Hz), 7.04 (d, 1H, J = 7.8 Hz), 5.49 (m, 2H), 4.02 (s, 3H), 3.51 (d, 2H, J = 7.3 Hz), 3.45 (d, 2H, J = 7.3 Hz), 1.88 (m, 12H); 13C-NMR (100 MHz, CDCl3) δ 157.0, 150.5, 133.8, 132.9, 132.2, 131.1, 129.9, 129.8, 128.9, 128.3, 127.8, 127.4, 123.5, 121.9, 115.3, 110.7, 55.4, 33.4, 28.4, 25.8, 25.7, 17.7.
제조예 13: 유도체 13의 제조
[반응식 1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6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pyridine)(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알릴아민(allylamine)(20 mg, 0.35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6) 조건에서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5 mg, 65%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22 (m, 2H), 7.13 (S, 1H), 7.07 (m, 2H), 6.85 (d, 1H, J = 8.7 Hz), 6.01 (m, 2H), 5.77 (m, 1H), 5.09 (m, 6H), 4.87 (b, 1H), 3.81 (S, 3H), 3.74 (t, 2H, J = 5.8) 3.37 (d, 4H, J = 6.3).
제조예 14: 유도체 14의 제조
[반응식 14]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7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8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pyridine) (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N-벤질메틸아민(N-benzylmethylamine)(36 mg, 0.3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과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에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에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3)을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8 mg, 59%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23 (m, 5H), 7.13 (m, 3H), 7.00 (m, 2H), 6.80 (m, 1H), 5.99 (m, 2H), 5.09 (m, 4H), 4.41 및 4.35 (S6, 2H), (S6, 2H), 3.82 (S, 3H), 3.38 (m, 4H), 2.79 (S, 3H).
제조예 15: 유도체 15의 제조
[반응식 15]
Figure 112011006426688-pat00029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0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pyridine)(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모르폴린(morpholine)(26 mg, 0.3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에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2)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40 mg, 68% 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0 (m, 5H), 7.04 (d, 1H, J = 8.2), 6.20 (m, 2H), 5.28 (m, 4H), 4.01 (S, 3H), 3.76 (m, 4H), 3.59 (m, 4H), 3.56 (d, 4H, J = 6.3).
제조예 16: 유도체 16의 제조
[반응식 16]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2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벤질아민(benzylamine)(32 mg, 0.3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에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4)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50 mg, 81%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30 (m, 6H), 7.13 (S, 1H), 7.11 (m, 4H), 6.80 (d, 1H, J = 8.2), 5.98 (m, 2H), 5.12 (m, 4H), 4.29 (d, 2H, J = 6.3), 3.81 (S, 3H), 3.37(d, 2H, J = 6.8), 3.33 (d, 2H, J = 6.3).
제조예 17: 유도체 17의 제조
[반응식 17]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4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80 mg, 1 mmol)의 디클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글리신 메틸에스테르(glycine methyl ester)(14 mg, 3.0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2)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26 mg, 44%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23 - 7.06 (m, 5H), 6.85 (d, 1H, J = 8.7 Hz), 5.99 - (m, 2H), 5.35 (bt, 1H, J = 5.2), 5.09 (m, 4H), 3.91 (d, 2H, J = 5.3), 3.8 (S, 3H), 3.70 (S, 3H), 3.36 (d, 4H, J = 6.3).
제조예 18: 유도체 18의 제조
[반응식 18]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5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6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트리포스겐(triphosgene)(89 mg, 0.3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글리신아미드(glycinamide)(22 mg, 0.3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에,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에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2)을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2 mg, 57% 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22 (m, 5H), 6.91 (d, 1H, J = 8.3), 6.03 (m, 2H), 5.19 (t, 1H, J = 5.5), 5.14 - 5.03 (m, 4H), 4.08 d, 2H, J = 5.8 Hz), 3.85 (S, 3H), 3.42 (d, 4H, J = 5.8).
제조예 19: 유도체 19의 제조
[반응식 19]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7
메틸호노키올(42 mg, 0.15 mmol) 및 피리딘(80 mg, 1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0℃에서 4-플루오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4-fluorophenyl chloroformate)(52 mg, 0.3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포화 NH4Cl와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감압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5)을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은 35 mg, 59%이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37 (m, 5H), 7.09 (m, 2H), 6.99 (d, 1H, J = 8.3) 6.95 (bS, 1H), 6.14 (m, 2H), 5.25 (m, 4H), 3.93 (S, 3H), 3.53 (d, 2H, J = 6.3), 3.49 (d, 2H, J = 6.8).
제조예 20: 유도체 20의 제조
[반응식 20]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8
Figure 112011006426688-pat00039
단계 1: 알독심(aldoxime) 화합물의 생성
5-브로모-2-아니스알데히드(5-bromo-2-anisaldehyde)(2.15 g, 10 mmol)의 피리딘(pyridine)(5 mL) 및 디클로로메탄 용액(50 mL)에 히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xylamine hydrochloride)(764 mg, 11 mmol)를 넣었다. 12시간 동안 환류한 후에 실온에서 냉각하고 약간의 용매를 절반 정도로 감압 농축하였다. 얼음물에 붓고 생긴 고체를 필터하여 노란색 고체로 얻었다.
단계 2: 이속사졸(isoxazole) 화합물의 생성
[방법 A]
알독심(aldoxime)(92 mg, 0.4 mmol)의 클로로포름 용액(1 mL)에 NCS(58 mg, 0.44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이 진행됨을 확인한 후, 펜틴(pentyne)(40 mg, 0.6 mmol) 및 트리에틸아민(0.11 mL, 0.8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0℃ 까지 서서히 가열해주고 12시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한 후 감압증류 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 ethyl acetate : n-Hexane = 1 : 10)를 행하여 이속사졸(isoxazole) 화합물의 생성물을 75 mg, 63%의 수율로 얻었다.
[방법 B]
알독심(aldoxime)(92 mg, 0.4 mmol)의 클로로포름 용액 (1 mL)에 NCS(58 mg, 0.44 mmol)을 0℃에서 넣었다.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이 진행됨을 확인한 후에 얼음물에 반응액을 부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기 위해 플라스크에 넣었고, 펜틴(pentyne)(40 mg, 0.6 mmol) 및 트리에틸아민(0.11 mL, 0.8 mmol)을 넣었다. 실온에서 50℃까지로 서서히 가열해주고 12시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0)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97 (d, 1H, J = 2.4), 7.44 (dd, 1H, J = 8.8 and 2.9), 8.83 (d, 1H, J = 8.8), 6.43 (S, 1H), 3.84 (S, 3H), 2.75 (t, 2H, J = 7.8), 1.79 (m, 2H), 1.00 (t, 3H, J = 7.8).
단계 3: 알릴(allyl) 화합물의 제조
단계 2에서 얻은 이속사졸(isoxazole) 화합물(46 mg, 0.16 mmol) 및 알릴트리부틸틴(allyltributyltin)(103 mg, 0.31 mmol)의 DMF 용액(1 mL)에 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0)(10 mg, 7.8 μmol)을 첨가하였다. 5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염수(brine)으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0)를 행하여 생성물을 30 mg, 71%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70 (d, 1H, J = 2.6), 7.22 (dd, 1H, J = 2.4 and 8.2), 6,93 (d, 1H, J = 8.8), 6.47 (S, 1H), 6.01 (m, 1H), 5.10 (m, 2H), 3.87 (S, 3H), 3.37 (d, 2H, J = 6.3), 2.78 (t, 2H, J = 7.3), 1.82(m, 2H), 1.04 (t, 3H, J = 7.3).
단계 5: 유도체 1 화합물의 제조
단계 4에서 얻은 알릴 화합물(70 mg, 0.27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 mL)에 트리브롬화 붕소산(boron tribromide)(디클로로메탄내의 1.0 M 용액, 680 μL, 0.68 mmol)을 -78℃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천천히 실온으로 온도를 상승시켰다. 메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결하였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5)를 행하여 최종 생성물을 40 mg, 61%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9.47 (bS, 1H), 7.27 (d, 1H, J = 1.9), 7.16 (dd, 1H, J = 8.3 and 2.4), 7.01 (d, 1H, J = 8.3), 6.4 (S, 1H), 6.01 (m, 1H), 5.10 (m, 2H), 3.37 (d, 2H, J = 6.8) 2.81 (t, 2H, J = 7.3) 1.84 (m, 2H), 1.05 (t, 3H, J = 7.3).
제조예 21: 유도체 21의 제조
[반응식 2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0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2
상기 제조예 2의 단계 2에 의해 얻은 이속사졸 브로마이드 화합물(30 mg, 0.10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 mL)에 트리브롬화 붕소산(boron tribromide)(디클로로메탄내의 1.0 M 용액, 30 μL, 0.30 mmol)을 -78℃에서 천천히 넣었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천천히 실온으로 온도를 상승시켰다. 메탄올을 넣어 반응을 종결하였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5)을 행하여 생성물을 18 mg, 64%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9.63 (S, 1H), 7.58 (d, 1H, J = 2.4), 7.41 (dd, 1H, J = 2.4 and 8.7), 6.97 (d, 1H, J = 8.8), 6.37 (S, 3H), 2.82 (t, 2H, J = 7.8), 1.8 (m, 2H), 1.05 (t, 3H, J = 7.3).
제조예 22: 유도체 22의 제조
[반응식 22]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3
단계 1: 이속사졸 ( isoxazole ) 화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0의 단계 1의 생성물 알독심(aldoxime)화합물(164 mg, 0.76 mmol)의 클로로포름 용액(2 mL)에 NCS(120 mg, 0.9 mmol)을 0℃에서 넣었다.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에 반응이 진행됨을 확인한 후에 얼음물에 반응액을 부었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하여 클로로옥심(chlorooxime)을 얻었다. 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기 위해 클로로옥심을 플라스크에 넣었고, 프로파길 알코올(propargyl alcohol)(84 mg, 1.5 mmol) 및 트리에틸아민(264 μL, 1.9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0℃로 서서히 가열해주고 12 시간 교반한 후에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2)를 행하여 생성물을 90 mg, 44% 수율로 얻었다.
단계 2: 알릴(allyl) 화합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이속사졸(isoxazole) 화합물(80 mg, 0.3 mmol) 및 알릴트리부틸틴(allyltributyltin)(148 mg, 0.45 mmol)의 DMF 용액 (1 mL)에 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0) (17 mg, 15 μmol)을 첨가하혔다. 5시간 동안 90℃에서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n-Hexane = 1 : 2)를 행하여 생성물을 60 mg, 82%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69 (d, 1H, J = 1.9 Hz), 7.24 (dd, 1H, J = 8.8 and 2.4 Hz), 6.94 (d, 1H, J = 8.8 Hz), 6.75 (s, 1H), 6.00 (m, 1H), 5.10 (m, 2H), 4.81 (bs, 2H), 3.81 (s, 3H), 3.37 (d, 2H, J = 6.3 Hz).
단계 3: 유도체 22 화합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알릴(allyl)화합물(55 mg, 0.22 mmol)의 디클로로메탄 용액(2 mL)에 트리브롬화붕소산(boron tribromide)(디클로로메탄내의 1.0M 용액, 88 μL, 0.88 mmol)을 -78℃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천천히 실온으로 온도를 상승시켰다. 메탄올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2)를 행하여 최종생성물 35 mg, 69%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9.32 (s, 1H), 7.27 (d, 1H, J = 1.9 Hz), 7.18 (dd, 1H, J = 8.8 and 2.4 Hz), 7.01 (d, 1H, J = 8.3 Hz), 6.66 (s, 1H), 6.00 (m, 1H), 5.10 (m, 2H), 4.84 (s, 2H), 3.36 (d, 2H, J = 6.8 Hz), 2.37 (bs, 1H).
제조예 23: 유도체 23의 제조
[반응식 2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4
단계 1: 중간화합물 (a)의 제조
단계 1-1:
4-프로필페놀(1.36 g, 10 mmol)의 클로로포름 용액(13 mL)에 상온에서 브롬(10 mg, 7.8 μmol)을 천천히 가하였다. 1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후에 NaHSO3 수용액을 넣어서 반응을 종결하였다. 에테르로 추출하고 물과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단계 1-2:
2-브로모-4-프로필페놀(ca 2.15 g, 10 mmol)의 디클로로메탄(20 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2.8 mL, 20 mmol) 및 아세트산무수물(1.4 mL, 15 mmol)을 0℃에서 주가하였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디클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2)을 행하여 중간화합물 (a)를 얻었다 (2.2 g, 2 단계에 대해 86%).
단계 2: 중간화합물 (b) 및 (c)의 제조
단계 2-1: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중간화합물 (a) (1.26 g, 4.9 mmol) 및 에티닐트리메틸실란(ethynyltrimethylsilane)(727 mg, 7.4 mmol)의 트리에틸아민 용액(12 mL)에 bis(triphenylphosphine)palladium(II) dichloride (172 mg, 0.25 mmol) 및 CuI (48 mg, 0.25 mmol)을 넣었다. 5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한 후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감압 증류한 후에 잔류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diethylether : n-Hexane = 1 : 15)를 행하여 생성물을 얻었다(1.09 g, 81%). 1H-NMR (400 MHz, CDCl3) δ 7.31 (d, 1H, J = 1.9 Hz), 7.14 (m, 1H), 7.02 (d, 1H, J = 8.3 Hz), 2.57 (dd, 2H, J = 15 and 7.8 Hz), 2.31 (s, 3H), 1.65 (m, 2H), 0.96 (dd, 3H, J = 15 and 6.8 Hz), 0.23 (s, 9H).
단계 2-2:
상기 단계 2-1 에서 얻은 생성물(506 mg, 1.85 mmol)의 아세토니트릴 용액 (5 mL)에 Cs2CO3 (60 mg, 0.18 mmol)의 수용액(1 m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고,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diethyl ether : n-Hexane = 1 : 10)을 행하여 중간화합물 (b)(220 mg, 59%)와, 중간화합물 (c)(74 mg, 25%)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1 (d, 1H, J = 1.9 Hz), 7.12 (dd, 1H, J = 4.4 and 1.9 Hz), 6.97 (d, 1H, J = 8.2 Hz), 2.57 (dd, 2H, J = 15 and 7.8 Hz), 2.34 (s, 3H), 1.63 (m, 2H), 0.96 (dd, 3H, J = 15 and 6.8 Hz).
단계 3: 중간화합물 (d)의 제조
알릴브로마이드(allyl bromide)(145 mg, 1.2 mmol) 및 소디엄아지드(sodium azide)(78 mg, 1.2 mmol)의 DMSO(2 mL) 용액을 밀봉 튜브에 넣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아스코르브산나트륨(Na ascorbate)(25 mg, 0.1 mmol), 황산구리(CuSO4)(16 mg, 0.05 mmol)의 수용액 (0.5 mL) 및 상기 중간화합물 (b)(200 mg, 1 mmol)를 넣고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고, 12 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종결하기 위해 반응액을 차가운 1N-NH4OH 수용액에 부었다(잔류 CuN3의 건조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2)를 행하여 중간화합물 (d)를 얻었다(148 mg, 62%). 1H-NMR (400 MHz, CDCl3) δ 7.88 (d, 1H, J = 1.9 Hz), 7.73 (s, 1H), 7.18 (dd, 1H, J = 8.2 and 2.4 Hz), 7.07 (d, 1H, J = 8.3 Hz), 6.09 (m, 1H), 5.39 (d, 1H, J = 10.2 Hz), 5.35 (d, 1H, J = 17.0 Hz), 5.03 (d, 2H, J = 6.3 Hz), 2.64 (t, 2H, J = 7.8 Hz), 2.3 (s, 3H), 1.72 (m, 2H), 0.97 (t, 3H, J = 7.3 Hz).
단계 4: 유도체 23 화합물의 제조
중간화합물 (d)(18 mg, 0.06 mmol)의 메탄올 용액(1 mL)에 K2CO3 (20 mg, 0.15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고,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를 행하여 최종 생성물을 10 mg, 68%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6 (bs, 1H), 7.84 (s, 1H), 7.20 (d, 1H, J = 2.0 Hz), 7.06 (dd, 1H, J = 2.4 and 8.3 Hz), 6.98 (d, 1H, J = 8.3 Hz), 6.12 (m, 1H), 5.44-5.36 (m, 2H), 5.06-5.04 (m, 2H), 2.54 (t, 2H, J = 7.8 Hz), 1.66-1.57 (m, 2H), 0.95 (t, 3H, J = 7.3 Hz). 13C-NMR (100 MHz, CDCl3) δ 142.8, 137.1, 122.5, 119.7, 118.9, 114.4, 109.7, 107.5, 106.4, 102.4, 42.0, 26.1, 13.7, 27.3.
제조예 24: 유도체 24의 제조
[반응식 24]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5
(브로모메틸)시클로부탄((Bromomethyl)cyclobutane)(90 mg, 0.6 mmol) 및 소디엄아지드(sodium azide)(40 mg, 0.6 mmol)의 DMSO(1 mL) 용액을 밀봉 튜브에 넣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아스코르브산나트륨(Na ascorbate)(13 mg, 0.05 mmol), 황산구리(CuSO4)(8 mg, 0.03 mmol)의 수용액 (0.5 mL) 및 알킨(alkyne) 화합물 (100 mg, 0.5 mmol)를 넣고 1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고, 12 시간 동안 7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종결하기 위해 반응액을 차가운 1N-NH4OH 수용액에 부었다(잔류 CuN3의 건조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기 위해 플라스크에 넣었고, 메탄올(1 mL)와 K2CO3 (15 mg, 0.1 mmol)을 넣었다. 2시간 동안 50℃에서 교반하였고,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염수로 세척한 후 MgSO4로 건조하고 필터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1)를 행하여 최종 생성물을 90 mg, 67%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10.6 (bs, 1H), 7.78 (s, 1H), 7.20 (d, 1H, J = 2.4 Hz), 7.05 (dd, 1H, J = 2.4 and 8.3 Hz), 6.97 (d, 1H, J = 8.3 Hz), 4.44 (d, 2H, J = 7.8 Hz), 2.93 (m, 1H), 2.55 (m, 2H), 2.17-2.10 (m, 2H), 2.04-1.81 (m, 4H), 1.66-1.56 (m, 2H), 0.95 (t, 3H, J = 7.3 Hz).
제조예 25: 유도체 25의 제조
[반응식 25]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6
알릴(allyl)화합물(35 mg, 0.15 mmol) 및 팔라듐 카본(10% Pd/C)(15mg)의 메탄올 용액(2 mL)을 감압 후에 수소 가스를 치환하였다. 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세라이트(celite)로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였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hyl acetate : n-Hexane = 1 : 2)를 행하여 최종생성물 30 mg, 85%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9.27 (s, 1H), 7.25 (s,1H), 7.16 (m, 1H), 6.99 (d, 1H, J = 8.2 Hz), 6.66 (s, 1H), 4.83 (s, 2H), 2.57 (m, 2H), 2.32 (bs, 1H), 1.64 (m, 2H), 0.95 (t, 3H, J = 7.3 Hz).
상기 제조예에서 합성한 본 발명 유도체 화합물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7

유도체 R1 R2 R3 R4
1 -H -H -CH2CH2CH3 -CH2CH2CH3
2 -CH3 -H -CH2CH=CH2 -CH2CH=CH2
3 -CH(CH3)2 -H -CH2CH=CH2 -CH2CH=CH2
4 -COCH3 -H -CH2CH=CH2 -CH2CH=CH2
5 -H -Br -CH2CH=CH2 -CH2CH=CH2
6 -H -H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8
Figure 112011006426688-pat00049
7 -H -Cl -CH2CH=CH2 -CH2CH=CH2
8 -H -H -CH2CH=CH2;-CH2CH2CH2OH -CH2CH2CH2OH; -CH2CH=CH2
9 -H -H -CH2CH2CH2OH -CH2CH2CH2OH
10 -CH2CH=CH2 -H -CH2CH=CH2 -CH2CH=CH2
11 -CH2CH=C(CH3)2 -H -CH2CH=CH2 -CH2CH=CH2
12 -H -H -CH2CH=C(CH3)2 -CH2CH=C(CH3)2
1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0
-H -CH2CH=CH2 -CH2CH=CH2
14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1
-H -CH2CH=CH2 -CH2CH=CH2
15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2
-H -CH2CH=CH2 -CH2CH=CH2
16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3
-H -CH2CH=CH2 -CH2CH=CH2
17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4
-H -CH2CH=CH2 -CH2CH=CH2
18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5
-H -CH2CH=CH2 -CH2CH=CH2
19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6
-H -CH2CH=CH2 -CH2CH=CH2
[화학식 2]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7
유도체 R1 R2
20 -CH2CH=CH2 -CH2CH2CH3
21 -Br -CH2CH2CH3
22 -CH2CH=CH2 -CH2OH
25 -CH2CH2CH3 -CH2OH
[화학식 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8
유도체 R1 R2
23 -CH2CH2CH3 -CH2CH=CH2
24 -CH2CH2CH3
Figure 112011006426688-pat00059
실험예 1: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응집 억제 효과
Black 96-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PBS를 45 ㎕를 넣고 250 mM의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용액 5 ㎕를 첨가한 다음, 2 ㎕의 시험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50 mM 글리신(glycine)(pH 8.5)에 5 mM가 되도록 용해시킨 150 ㎕의 Thioflavine T를 첨가하여 형광분광계 (Ex: 450 nm. EmL 480 nm)를 이용하여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Thioflavin T는 기본적으로 황색 색소로서 피브릴화된 베타-아밀로이드와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내게 되며, 이에 의해 베타-아밀로이드의 피브릴화 수치가 높을수록 강한 형광을 발현시킨다. 메틸호노키올(5 μM)은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을 43% 억제하였으며, 유도체 1은 41%, 유도체 4는 40%, 유도체 7은 29%, 유도체 8은 44%, 유도체 12는 30%, 유도체 13은 39%, 유도체 14는 24%, 유도체 17은 42%, 유도체 20은 16%, 유도체 21은 48% 억제하였다. 각 유도체들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효과는 아래의 표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시료 화합물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대조군 100
메틸호노키올 57
유도체 1 59
유도체 2 ND
유도체 3 ND
유도체 4 60
유도체 5 ND
유도체 6 ND
유도체 7 71
유도체 8 56
유도체 11 ND
유도체 12 70
유도체 13 61
유도체 14 76
유도체 15 ND
유도체 16 ND
유도체 17 58
유도체 18 ND
유도체 19 ND
유도체 20 84
유도체 21 52
실험예 2: 베타- 세크리타제 (β- secretase ) 활성 억제 효과
합성한 메틸호노키올 유도체 화합물의 베타-세크리타제(β-secret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생쥐(mouse)뇌의 대뇌피질(cortex)과 해마(hippocampus)에서 베타-세크리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베타-세크리타제 활성 측정 키트(R&D systems, Wiesbaden, Germany)를 사용하였다. Black 96-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50 ㎕의 조직 샘플 용해물(lysate)를 넣고 50 ㎕의 반응 완충액(reaction buffer)와 섞은 후, 리포터(reporter)로써 EDANS/DABCYL가 접합된 기질 5 ㎕를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섞어준 후 37℃에서 1시간 반응 시켰다. 리포터(reporter)인 EDANS/DABCYL은 베타-세크리타제에 의해 잘려지면 형광을 나타내게 되므로, 형광분광계를 이용하여 Ex/Em 355/510 nm 파장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베타-세크리타제 활성도는 형광반응(fluorometric reaction)으로 형광 유닛(fluorescence unit) 단위를 사용하여 단백질 1 mg 당으로 나타냈다. 메틸호노키올(5 μM)은 베타-세크레타제 활성을 43% 억제하였으며, 유도체 1은 37%, 유도체 4는 35%, 유도체 7은 29%, 유도체 8은 64%, 유도체 12는 46%, 유도체 13은 52%, 유도체 14는 36%, 유도체 17은 54%, 유도체 20은 62%, 유도체 21은 58% 억제하였다. 각 유도체들의 베타-세크리타제 활성 억제 효과는 아래의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시료 화합물 베타-세크레타제 억제(%)
 대조군 100
메틸호노키올 57
유도체 1 63
유도체 2 ND
유도체 3 ND
유도체 4 65
유도체 5 ND
유도체 6 ND
유도체 7 71
유도체 8 64
유도체 11 ND
유도체 12 54
유도체 13 48
유도체 14 64
유도체 15 ND
유도체 16 ND
유도체 17 54
유도체 18 ND
유도체 19 ND
유도체 20 62
유도체 21 58
실험예 3: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사 억제 효과
합성한 메틸호노키올 유도체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컨플루언시(confluency)가 70-80% 이상이 되면 96-웰 플레이트에 1 X 104의 세포를 200 ㎕씩 분주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담겨있는 배지를 버리고, 200 μM H2O2 또는 10 μM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의 형태를 광학현미경(OLYMPUS)으로 관찰하거나 LDH(Lactate dehydrogenase)방출 분석으로 세포사를 측정하였다. 세포괴사시에 방출된 LDH에 테트라졸륨염(tetrazolium salt)을 넣으면 환원된 형태의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하는데, 이를 4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2O2는 신경세포를 51% 사멸시켰으며, H2O2와 메틸호노키올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세포사멸은 30% 발생하여, 메틸호노키올은 21%의 신경세포사 보호효과가 있었다. 유도체 1은 10%, 유도체 2는 2%, 유도체 3은 17%, 유도체 4는 10%, 유도체 7은 13%, 유도체 8은 8%, 유도체 12는 8%, 유도체 13은 14%의 보호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유도체 5, 유도체 6, 유도체 11, 유도체 15, 및 유도체 16-21는 보호효과가 없었다. 베타-아밀로이드를 처리한 경우 신경세포를 57% 사멸시켰으며, 베타-아밀로이드와 메틸호노키올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세포사멸은 40% 발생하여, 메틸호노키올은 약 17%의 신경세포사 보호효과가 있었다.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한 결과 유도체 1은 18%, 유도체 3은 6%, 유도체 4는 15%, 유도체 7은 11%, 유도체 8은 9%, 유도체 12는 8%, 유도체 13은 4%, 유도체 14는 16%, 유도체 17은 5%, 유도체 20은 16%, 유도체 21은 19%의 보호효과가 있었다. 각 유도체들의 세포보호 효과는 아래의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시료 화합물 H2O2 처리실험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 (생존율 %)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 (생존율 %)
대조군 100 100
H2O2 처리군: 49 베타아밀로이드 처리군: 43
메틸호노키올 70 60
유도체 1 59 61
유도체 2 51 ND
유도체 3 66 49
유도체 4 59 58
유도체 5 37 ND
유도체 6 32 ND
유도체 7 62 54
유도체 8 57 52
유도체 11 48 ND
유도체 12 57 51
유도체 13 63 47
유도체 14 66 59
유도체 15 28 ND
유도체 16 31 ND
유도체 17 49 48
유도체 18 35 ND
유도체 19 34 ND
유도체 20 51 59
유도체 21 49 6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Rao, K. V.; Davis T. L. Plant Med. 1982, 45, 57-59.
2. (a) Lee, Y. K.; Yuk, D. Y.; Kim, T. I.; Kim, Y. H.;Kim, K. T.; Kim, K. H.; Lee, B. J.; Nam,S.-Y.; Hong, J. T. J. Nat. Med. 2009, 63, 274-282. (b) Schㆌhly, W.; Khan, S. I.; Fischer, N. H. Inflammopharmacology 2009, 17, 106-110. (c) Oh, J. H.; Kang, L. L.; Ban, J. O.; Kim, Y. H.; Kim, K. H.; Han, S. B.; Hong, J. T. Chem. Biol. Interact. 2009, 180, 506-514. (d) Lee, Y. K.; Choi, I. S.; Kim, Y. H.; Kim, K. H.; Nam, S. Y.; Yun, Y. W.; Lee, M. S.; Oh, K. W.; Hong, J. T. Neurochem. Res. 2009, 34, 2251-2260. (e) Lee, J. W.; Lee, Y. K.; Lee, B. J.; Nam, S. Y.; Lee, S. I.; Kim, Y. H.; Kim, K. H.; Oh, K. W.; Hong, J. T. Pharmacol. Biochem. Behav. 2010, 95, 31-40. (f) Lee, Y. K.; Choi, I. S.; Ban, J. O.; Lee, H. J.; Lee, U. S.; Han, S. B.; Jung, J.-K.; Kim, Y. H.; Kim, K. H.; Oh, K. W.; Hong, J. T. J. Nutr. Biochem. 2010, 21, in press.
3. (a) Maruyama, Y.; Kuribara, H. CNS Drug Rev. 2000, 6, 35-44. (b) Fukuyama, Y.; Otoshi, Y.; Miyoshi, K.; Nakamura, K.; Kodama, M.; Nagasawa, M.; Hasegawa, T.; Okazaki, H.; Sugawara, H. Tetrahedron 1992, 48, 377-392. (c) Chen, C.M.; Liu, Y.C. Tetrahedron Lett. 2009, 50, 1151-1152 and references cited therein.
4. Schㆌhly, W.; Hㆌfner, A.; Pferschy-Wenzig, E.M.; Prettner, E.; Adams, M.; Bodensieck, A.; Kunert, O.; Oluwemimo, A.; Haslinger, E.; Bauer, R. Bioorg. Med. Chem. 2009, 17, 4459.
5. (a) Tekeya, T.; Okubo, T.; Tobinaga, S. Chem. Pharm. Bull. 1986, 34, 2066-2070. (b) Kwak, J.-H.; In, J.-K.; Lee, M.-S.; Choi, E.-H.; Lee, H.; Hong, J. T.; Yun, Y. P.; Lee, S. J.; Seo, S.-Y.; Suh, Y.-G.; Jung, J.-K. Arch. Pharm. Res. 2008, 31, 1559-1563.

Claims (3)

  1.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56259847-pat0006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1-C5 알킬, C2-C5 알케닐, 또는 할로이고; R2는 C1-C5 알킬, 또는 C1-C5 히드록시알킬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56259847-pat0006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C1-C5 알킬이고; R2는 C2-C5 알케닐, C3-C8 시클로알킬, 또는 (C3-C8 시클로알킬)C1-C5 알킬이다.
  2.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56259847-pat00066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1-C5 알킬, C2-C5 알케닐, 또는 할로이고; R2는 C1-C5 알킬, 또는 C1-C5 히드록시알킬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56259847-pat00067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C1-C5 알킬이고; R2는 C2-C5 알케닐, C3-C8 시클로알킬, 또는 (C3-C8 시클로알킬)C1-C5 알킬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C1-C3 알킬, C2-C3 알케닐, 또는 Br이고; R2는 C1-C3 알킬, 또는 C1-C3 히드록시알킬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C1-C3 알킬이고; R2는 C2-C3 알케닐, 또는
    Figure 112013056259847-pat0007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10007831A 2011-01-26 2011-01-26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31A KR101305524B1 (ko) 2011-01-26 2011-01-26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PCT/KR2012/000619 WO2012102562A2 (ko) 2011-01-26 2012-01-26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31A KR101305524B1 (ko) 2011-01-26 2011-01-26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592A Division KR20130083879A (ko) 2013-06-24 2013-06-24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531A KR20120086531A (ko) 2012-08-03
KR101305524B1 true KR101305524B1 (ko) 2013-09-06

Family

ID=465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831A KR101305524B1 (ko) 2011-01-26 2011-01-26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5524B1 (ko)
WO (1) WO20121025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6587B1 (en) 2013-04-17 2023-11-22 Sharon Anavi-Goffer Cb2 receptor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66B1 (ko) * 2008-09-25 2009-11-13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KR100932962B1 (ko) * 2008-09-25 2009-12-2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056B2 (ja) * 1989-02-08 1995-11-08 大塚製薬株式会社 神経細胞変性修復又は保護剤
KR20020087724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100892596B1 (ko) * 2007-02-12 2009-04-0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바이페닐 다이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조성물
CN101801924A (zh) * 2007-06-08 2010-08-11 艾尼纳制药公司 (r)-1-{2-[4’-(3-甲氧基-丙烷-1-磺酰基)-联苯-4-基]-乙基}-2-甲基-吡咯烷的结晶形式及与其相关的组合物和方法
JP2011502122A (ja) * 2007-10-30 2011-01-20 アリーナ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スタミンh3関連障害の治療のために有用なヒスタミンh3−レセプターの調節因子としてのビフェニル誘導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66B1 (ko) * 2008-09-25 2009-11-13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KR100932962B1 (ko) * 2008-09-25 2009-12-2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562A2 (ko) 2012-08-02
KR20120086531A (ko) 2012-08-03
WO2012102562A3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23498A1 (fr) Nouveaux composes enantiomeres derives d'amino-ac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RU2587668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циннамамида,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FR2896245A1 (fr) Nouveaux derives de chalcone, a activite antimitotique
JPH0210128B2 (ko)
EP2720539A1 (en) Opsin-binding liga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R2548666A1 (fr) Nouveaux derives du nor-tropane et du granata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KR101305524B1 (ko)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KR101386068B1 (ko)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치료용 조성물
CH627648A5 (fr) Nouveaux derives de 20,21-dinoreburnamenine,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KR20130083879A (ko)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치료용 조성물
JPWO2016103450A1 (ja) p21活性化キナーゼ阻害剤
CA1228354A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4-alkyl 2-hydroxy 3-methyl 2-phenyl morpholine et les derives ainsi obtenus
RU2414465C2 (ru) Новое производное фенилуксусной кислоты
ITMI20111463A1 (it) 1,4-diaril-2-azetidinoni ad attivita' antitumorale
KR101466144B1 (ko) 신규한 4-o-메틸호노키올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치료용 조성물
EP0061406B1 (fr) Dérivés d'acide benzamido-alkyl-hydroxamique,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composition thérapeutique
EP0082040B1 (fr) Dérivés de diaza-3,7a cyclohepta(j,k)fluorènes, leur pré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érapeutique
AU2019218153A1 (en) Therapeutic drug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and application thereof
EP0347305B1 (fr) [(Aryl-4-pipérazinyl-1)-2 éthoxy]-3 p-cymène, les dérivés ortho, méta, para monosubstitués ou disubstitués sur le noyau phényle dudit produit, le procédé de préparation desdits dérivés, et les médicaments contenant lesdits composés comme principe actif
CH633774A5 (en) Phloroglucinol derivatives, their proces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rapeutics
FR2483407A1 (fr) Nouvelles alcoxy-acyl-carnit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KR101740915B1 (ko) 오론 화합물 합성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N103483291B (zh) 4,5-二芳基-1,3-硒唑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05044253A1 (fr) Derives phenylpropanoiques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stimulant de la libido et de ses mecanismes physiologiques associes
CH649549A5 (fr) Derives de naphtyridine, leur preparation et medicaments les conten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