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777B1 -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777B1
KR100884777B1 KR1020080113086A KR20080113086A KR100884777B1 KR 100884777 B1 KR100884777 B1 KR 100884777B1 KR 1020080113086 A KR1020080113086 A KR 1020080113086A KR 20080113086 A KR20080113086 A KR 20080113086A KR 100884777 B1 KR100884777 B1 KR 100884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adjusting
ceiling
cabl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11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Abstract

천정 고정판의 하부에 각도 조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와, 각도 조절부의 하부에 회전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케이블들이 관통 고정되는 하부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각도 조정수단을 통해 천정 고정판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 둘레에 구비된 볼트축들을 포함하는 상부판과, 둘레에 상기 볼트축이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볼트축들에 체결되어 상,하부판을 상호 밀착되게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부는, 회전수단을 통해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체와, 상부체의 하부에 연결부를 통해 밀착 구비되고 상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 조정수단은, 천정 고정판의 하부 중앙에 돌출 구비되고 양 수평홀이 구비된 전후방 개방 함몰홈을 가지는 돌출부와, 상기 상부판의 상부 중앙에 전후방 개방 함몰홈에 삽입되게 돌출 구비되고 수평홀이 구비된 상부 구형 돌출축과, 상기 돌출부와 상부 구형 돌출축에 구비된 수평홀에 관통 체결되는 수평볼트와 너트와, 천정 고정판과 상부판의 둘레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상,하부판 함몰홈과, 상기 하부판 함몰홈에 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하부판의 둘레 양측에 형성된 둘레 원호홀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양측 둘레 원호홈과, 상기 상부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홀과 상,하부판 함몰홈에 장착되는 중심축부와, 상기 상부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둘레 원호홀과 둘레 원호홈에 장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케이블, 트레이, 공동주택

Description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of th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케이블의 경사 각도와 관계없이 경사 케이블을 경사진 상태에서 천정에 고정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이나 변전실 등의 천정 하면에는, 각 가정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배설되는 전기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전기케이블 트레이는 천정에 고정되어 전선을 지지하는 다수의 브라켓이 널리 사용된다.
즉, 상기 브라켓은, 천정에 앵커볼트로 상부가 고정되어 있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선의 둘레를 감싸 전선을 천정에 고정하는 수평 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브라켓 형태의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경사진 케이블을 천정에 고정할 경우에는 수평 클램프를 통해 경사 케이블을 강제적으로 고정해야 함으로써, 경사 케이블을 굴곡 시킴에 따라 피복이 손상되거나 단선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경사 케이블을 수평 클램프를 통해 강제적으로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력이 약해짐에 따라 케이블이 추락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케이블의 경사 각도와 관계없이 경사 케이블을 경사진 상태에서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 케이블을 좀 더 견고하게 천정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정 고정판의 하부에 각도 조정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와, 각도 조절부의 하부에 회전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케이블들이 관통 고정되는 하부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각도 조정수단을 통해 천정 고정판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 둘레에 구비된 볼트축들을 포함하는 상부판과, 둘레에 상기 볼트축이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볼트축들에 체결되어 상,하부판을 상호 밀착되게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부는, 회전수단을 통해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체와, 상부체의 하부에 연결부를 통해 밀착 구비되고 상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체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 조정수단은, 천정 고정판의 하부 중앙에 돌출 구비되고 양 수평홀이 구비된 전후방 개방 함몰홈을 가지는 돌출부와, 상기 상부판의 상부 중앙에 전후방 개방 함몰홈에 삽입되게 돌출 구비되고 수평홀이 구비된 상부 구형 돌출축과, 상기 돌출 부와 상부 구형 돌출축에 구비된 수평홀에 관통 체결되는 수평볼트와 너트와, 천정 고정판과 상부판의 둘레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상,하부판 함몰홈과, 상기 하부판 함몰홈에 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하부판의 둘레 양측에 형성된 둘레 원호홀과, 상기 상부판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양측 둘레 원호홈과, 상기 상부체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홀과 상,하부판 함몰홈에 장착되는 중심축부와, 상기 상부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둘레 원호홀과 둘레 원호홈에 장착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 케이블의 경사 각도와 관계없이 경사 케이블을 경사진 상태에서 천정에 고정함으로써, 경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 케이블을 좀 더 견고하게 천정에 고정함으로써, 전기케이블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가지는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이는, 천정(10)에 앵커볼트(12)를 통해 고정되는 천정 고정판(1)과, 천정 고정판(1)의 하부에 각도 조정수단(3)을 통해 연결되어 각도가 조정되는 각도 조절부(2)와, 각도 조절부(2)의 하부에 회전수단(5)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고 케이블(20)들이 관통 고정되는 하부 회전부(4)를 포함한다.
상기 천정 고정판(1)의 둘레에는 상기 앵커볼트(12)들이 관통되는 다수의 탭홀(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부(2)는, 각도 조정수단(3)을 통해 천정 고정판(1)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 둘레에 다수로 돌출되어 있는 볼트축(211)을 포함하는 상부판(21)과, 둘레에는 상기 볼트축(211)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상부판(21)의 하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하부판(22)과, 상기 다수의 볼트축(211)에 체결되어 상,하부판(21)(22)을 상호 밀착되게 고정하는 너트(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회전부(4)는 회전수단(5)을 통해 각도 조절부(2)와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는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44)이 형성된 상부체(41)와, 상부체(41)의 하부에 연결부(43)를 통해 밀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기 전선 삽입홈(44)과 상응되는 위치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44)이 형성된 하부체(42)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상부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정수단(3)은, 상기 천정 고정판(1)의 하부 중앙에 돌출 구비되고 양 수평홀(312)이 구비된 전후방 개방 함몰홈(311)을 가지는 돌출부(31)와, 상기 각도 조절부(2)를 구성하는 상부판(2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전후방 개방 함몰홈(311)에 삽입되게 돌출 구비되고 수평홀(321)이 구비된 상부 구형 돌출축(32)과, 상기 돌출부(31)와 상부 구형 돌출축(32)에 구비된 수평홀(312)(321)에 관통 장착되어 체결되는 수평볼트(33)와 너트(34)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도 조정수단(3)은, 천정 고정판(1)과 상부판(21)의 둘레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수의 고리(35)와, 각각이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수 쌍들에 고리(35)들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프링(36)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36)은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천정 고정판(1)과 상부판(21)의 둘레를 상호 당겨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하부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의 상측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수단(5)은, 각도 조절부(2)의 상,하부판(21)(22)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상,하부판 함몰홈(52)(53)과, 상기 하부판 함몰홈(53)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51)과, 상기 하부판(22)의 둘레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둘레 원호홀(54)과, 상기 상부판(21)의 하부 둘레에 상기 둘레 원호홀(54)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양측 둘레 원호홈(5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5)은, 상기 하부 회전부(4)를 구성하는 상부체(4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홀(51)과 상,하부판 함몰홈(52)(53)에 장착되는 중심축부(56)와, 상기 상부체(4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둘레 원호홀(54)과 둘레 원호홈(55)에 장착되는 회전축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부(56)는, 상부체(41)의 상부 중앙에 돌출 구비되고 상부 조립홈(562)을 가지는 중앙 돌출브라켓(561)과, 상부 조립홈(562)에 고정부(563)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중앙홀(51)에 관통되는 수직축(565)을 포함하고 수직축(56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부판 함몰홈(52)(53)에 삽입되는 원형판(566)을 포함하는 중심축(56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63)는 수직축(565)의 하부와 중앙 돌출브라켓(561)의 양측에 구비된 수평 관통홀(563A)과 수평 관통홀(563A)에 관통 체결되는 볼트(563B)와 너트(563C)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57)는, 상부체(41)의 둘레 양측에 돌출 구비되고 상부 조립홈(572)을 가지는 측 돌출브라켓(571)과, 상부 조립홈(572)에 고정부(573)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둘레 원호홀(54)에 관통되는 수직축(575)을 포함하고 수직축(57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둘레 원호홈(55)에 삽입되는 원형판 머리(576)를 포함하는 회전축(57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73)는 회전축(574)의 하부와 측 돌출브라켓(571)의 양측에 구비된 수평 관통홀(573A)과 수평 관통홀(573A)에 관통 체결되는 볼트(573B)와 너트(573C)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의 하측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서,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회전부(4)의 상,하부체(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43)는, 하부체(42)에 다수로 구비된 조립홀(431)과 상부체(41)의 하부에 상기 조립홀(431)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된 탭홈(432), 및 상기 조립홀(431)과 탭홈(432)에 관통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433)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하부 회전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레이를 통해 케이블(20)를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천정 고정판(1)과 각도 조절부(2) 및 하부 회전부(4)의 상부체(41)까지를 지면에서 조립한다.
다음 천정 고정판(1)을 천정에 고정하고, 각도 조정수단(3)의 수평 볼트(33) 와 너트(34)의 풀고 조임을 통해 각도 조절부(2)의 각도를 조정하며, 하부 회전부(4)를 회전시켜 회전수단(5)의 회전축부(57)가 중심축부(56)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과정을 통해, 경사진 다수의 케이블(20)을 하부 회전부(4)의 상부체(41) 하부에 형성된 전선 삽입홈(44)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경사진 케이블(20)이 끼워진 상기 상부체(41)의 하부에 하부체(42)를 연결부(43)의 조립을 통해 밀착 연결함으로써, 경사진 케이블(20)을 천정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정수단(3)을 통해 각도 조절부(2)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고, 회전수단(5)을 통해 하부 회전부(4)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경사 케이블(20)의 경사 각도와 관계없이 경사 케이블(20)을 경사진 상태에서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 케이블(20)을 굴곡되지 않게 경사진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경사 케이블(20)의 피복 손상이나 단선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경사 케이블(20)을 굴곡시키지 않고 경사진 상태에서, 상,하부체(41)(42)의 조립만를 통해 천정(10)에 고정함으로써, 경사 케이블(20)을 좀 더 견고하게 천정에 고정함에 따라 케이블(20)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상부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부의 하부판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의 상측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회전부의 하측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부의 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 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구성하는 하부 회전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 고정판 2 : 각도 조절부
3 : 각도 조정수단 4 : 하부 회전부
5 : 회전수단 10 : 천정
11 : 탭홀 12 : 앵커볼트
20 : 케이블 21 : 상부판
22 : 하부판 31 : 돌출부
32 : 상부 구형 돌출축 33 : 수평볼트
34 : 너트 35 : 고리
36 : 스프링 41 : 상부체
42 : 하부체 43 : 연결부
44 : 전선 삽입홈 51 : 중앙홀
52 : 상부판 함몰홈 53 : 하부판 함몰홈
54 : 둘레 원호홀 55 : 둘레 원호홈
56 : 중심축부 57 : 회전축부
211 : 볼트축 221 : 관통홀
222 : 너트 311 : 전후방 개방 함몰홈
312 : 수평홀 321 : 수평홀
431 : 조립홀 432 : 탭홈
433 : 볼트 561 : 중앙 돌출브라켓
562 : 상부 조립홈 563 : 고정부
563A : 수평 관통홀 563B : 볼트
563C : 너트 564 : 중심축
565 : 수직축 566 : 원형판
571 : 측 돌출브라켓 572 : 상부 조립홈
573 : 고정부 573A : 수평 관통홀
573B : 볼트 573C : 너트
574 : 회전축 575 : 수직축
576 : 원형판 머리

Claims (1)

  1. 천정 고정판(1)의 하부에 각도 조정수단(3)을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부(2)와, 각도 조절부(2)의 하부에 회전수단(5)을 통해 연결되고 케이블(20)들이 관통 고정되는 하부 회전부(4)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2)는, 각도 조정수단(3)을 통해 천정 고정판(1)과 연결되어 있고 하부 둘레에 구비된 볼트축(211)들을 포함하는 상부판(21)과, 둘레에 상기 볼트축(211)이 관통되는 관통홀(221)들이 형성된 하부판(22)과, 상기 볼트축(211)들에 체결되어 상,하부판(21)(22)을 상호 밀착되게 고정하는 너트(22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부(4)는, 회전수단(5)을 통해 각도 조절부(2)와 연결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44)이 형성된 상부체(41)와, 상부체(41)의 하부에 연결부(43)를 통해 밀착 구비되고 상부에 반원형의 다수의 전선 삽입홈(44)이 형성된 하부체(42)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 조정수단(3)은, 천정 고정판(1)의 하부 중앙에 돌출 구비되고 양 수평홀(312)이 구비된 전후방 개방 함몰홈(311)을 가지는 돌출부(31)와, 상기 상부판(21)의 상부 중앙에 전후방 개방 함몰홈(311)에 삽입되게 돌출 구비되고 수평홀(321)이 구비된 상부 구형 돌출축(32)과, 상기 돌출부(31)와 상부 구형 돌출축(32)에 구비된 수평홀(312)(321)에 관통 체결되는 수평볼트(33)와 너트(34)와, 천정 고정판(1)과 상부판(21)의 둘레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의 스 프링(36)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수단(5)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상,하부판 함몰홈(52)(53)과, 상기 하부판 함몰홈(53)에 형성된 중앙홀(51)과, 상기 하부판(22)의 둘레 양측에 형성된 둘레 원호홀(54)과, 상기 상부판(2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 양측 둘레 원호홈(55)과, 상기 상부체(4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중앙홀(51)과 상,하부판 함몰홈(52)(53)에 장착되는 중심축부(56)와, 상기 상부체(41)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측 둘레 원호홀(54)과 둘레 원호홈(55)에 장착되는 회전축부(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0080113086A 2008-11-14 2008-11-14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088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6A KR100884777B1 (ko) 2008-11-14 2008-11-14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086A KR100884777B1 (ko) 2008-11-14 2008-11-14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777B1 true KR100884777B1 (ko) 2009-02-23

Family

ID=4068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086A KR100884777B1 (ko) 2008-11-14 2008-11-14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77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62B1 (ko) * 2011-05-03 2011-10-14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KR101168271B1 (ko) 2011-05-18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글랜드 장치
KR101485906B1 (ko) * 2014-07-15 2015-01-27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20160069669A (ko) * 2014-12-09 2016-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WO2019165402A1 (en) * 2018-02-26 2019-08-29 Corning Incorporated Support apparatus for electrical cables
KR102031861B1 (ko) * 2019-06-12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전선 보호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244122B1 (ko) * 2020-11-12 2021-04-23 (주)미래이앤지 전선배선받침
KR102349302B1 (ko) * 2021-05-06 2022-01-11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102421188B1 (ko) 2021-10-15 2022-07-15 (주)하영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KR102421189B1 (ko) 2021-10-14 2022-07-15 (주)하영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배전선 트레이
KR102421191B1 (ko) 2021-10-20 2022-07-15 (주)하영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KR102421229B1 (ko) 2021-10-18 2022-07-15 (주)하영 감전사고 방지용 공동주택의 배전선 행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0102B1 (en) 2002-01-10 2003-07-29 Wen-Chang Wu Wire connection device of ceiling lamp capable of being assembled by users
JP2006174520A (ja) 2004-12-10 2006-06-2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建物内光伝送路
KR20080089849A (ko) * 2007-04-02 2008-10-08 주식회사 제일이엔씨 공동주택용 천장전기 단자함
KR20080097724A (ko) * 2007-05-03 2008-11-0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분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0102B1 (en) 2002-01-10 2003-07-29 Wen-Chang Wu Wire connection device of ceiling lamp capable of being assembled by users
JP2006174520A (ja) 2004-12-10 2006-06-2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建物内光伝送路
KR20080089849A (ko) * 2007-04-02 2008-10-08 주식회사 제일이엔씨 공동주택용 천장전기 단자함
KR20080097724A (ko) * 2007-05-03 2008-11-06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전선분배함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62B1 (ko) * 2011-05-03 2011-10-14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KR101168271B1 (ko) 2011-05-18 2012-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케이블 글랜드 장치
KR101485906B1 (ko) * 2014-07-15 2015-01-27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20160069669A (ko) * 2014-12-09 2016-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101689655B1 (ko) * 2014-12-09 2016-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 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CN111902373A (zh) * 2018-02-26 2020-11-06 康宁公司 用于电缆线的支撑设备
WO2019165402A1 (en) * 2018-02-26 2019-08-29 Corning Incorporated Support apparatus for electrical cables
JP2021513957A (ja) * 2018-02-26 2021-06-0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線の支持装置
CN111902373B (zh) * 2018-02-26 2022-07-15 康宁公司 用于电缆线的支撑设备
JP7246403B2 (ja) 2018-02-26 2023-03-27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線の支持装置
KR102031861B1 (ko) * 2019-06-12 2019-10-15 금정엔지니어링(주) 전선 보호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KR102244122B1 (ko) * 2020-11-12 2021-04-23 (주)미래이앤지 전선배선받침
KR102349302B1 (ko) * 2021-05-06 2022-01-11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화재 확산 방지장치
KR102421189B1 (ko) 2021-10-14 2022-07-15 (주)하영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배전선 트레이
KR102421188B1 (ko) 2021-10-15 2022-07-15 (주)하영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KR102421229B1 (ko) 2021-10-18 2022-07-15 (주)하영 감전사고 방지용 공동주택의 배전선 행거기구
KR102421191B1 (ko) 2021-10-20 2022-07-15 (주)하영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777B1 (ko)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US5725190A (en) Sloped ceiling adaptor
US6503099B2 (en)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
CA2545799C (en) Electrical ceiling box for fixture support
CA2814976C (en) System for mounting an electrical fixture to an electrical junction box
WO2011036950A1 (ja) 機器接続用コネクタ
JP5953104B2 (ja) 電気接続箱
CN111201686B (zh) 具有加强件的防风雨电气外壳
US6528913B1 (en) Electric device grounding system
GB2417367A (en) Electrical earthing nut
JP2014108040A (ja) 電気接続箱
JP2024505360A (ja) モジュール出力極構造
JP5560698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US5528722A (en) Rotatable housing for screen plug immersion heater
US6220901B1 (en) Electric motor terminal board assembly
US10246034B2 (en) Power distribution center mounting assembly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2004103346A (ja) 配線ダクト用アース端子接続装置
JP3678569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CN219096525U (zh) 立柱和充电站
JP3164427U (ja) コンセント
CN216016362U (zh) 一种电机接线盒
JPH10322954A (ja) 突極形回転子のコイルの変形防止装置
JP6421309B2 (ja) 端子台
JP2021087314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