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62B1 -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62B1
KR101073862B1 KR1020110041984A KR20110041984A KR101073862B1 KR 101073862 B1 KR101073862 B1 KR 101073862B1 KR 1020110041984 A KR1020110041984 A KR 1020110041984A KR 20110041984 A KR20110041984 A KR 20110041984A KR 101073862 B1 KR101073862 B1 KR 10107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ed
spherical
cover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봉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4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은 일단의 경첩(16)에 의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상하부 한 쌍의 커버(11,12)와, 상기 커버(11,12)들 내에서 다양한 내경으로 상향 또는 하향 만곡지게 케이블 가이드홈(130,140)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서 한 쌍의 고압케이블(50)을 스프링 탄성에 의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상하부 가압 플레이트(13,14)로서 이루어지는 케이블 고정부(10)와; 평판의 판면이 복수 개의 앵커볼트(21)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40)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부(20)와; 구형상의 각 일단은 각각 상기 케이블 고정부(10)의 상부커버(11)의 상부면과 상기 고정판부(20)의 하부면 중심으로부터 각각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 구면 고정구(22, 112)에 이탈은 방지되면서 입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각 타단은 관형상인 일측의 내부로 봉형상인 타측이 삽입되면서 수평으로 핀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30)로서 이루어지면서 한 쌍의 고압케이블(50)을 스프링 탄력에 의해 항상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면서 좀더 다양한 외경의 고압케이블(50)을 적절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압케이블(50)의 배선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과 높이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of fix type for an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의 경첩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커버 사이에 고압케이블이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고압케이블의 배선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안전하면서 견고하고 간편한 고압케이블 배선을 제공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주택을 시공하면서 그 건물의 내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상이나 지하 등에 다수의 전선을 배선 연결하게 되며, 이 과정에 지상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그대로 방치하게 될 경우 미관을 해치게 되는 동시에 전선을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을 시공하면서 전선은 각종 케이블 트레이나 덕트, 파이프 등의 전선배관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므로서 배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배선 처리는 건물 내의 물기나 습기 등에 대해서도 전선이나 전선배관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전의 배선을 위한 케이블트레이는 고압케이블의 고정을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서 수행되게 하거나 고압케이블을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고 단순히 안치부에 얹혀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비되도록 하므로서 고압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있어서 작업 효율이 낮은 불편함이 있으며, 배선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배선 위치 및 높이 조정이 제한되므로서 배선 시공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을 스프링 탄력에 의해서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을 지지하는 부위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케이블 배선 방향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안전한 케이블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에 대해서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는, 일단이 경첩에 의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상하부 한 쌍의 커버와 상기 커버들 내에서 다양한 내경으로 상향 또는 하향 만곡지게 케이블가이드홈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서 한 쌍의 고압케이블을 스프링 탄성에 의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상하부 가압 플레이트로서 이루어지는 케이블 고정부와; 평판의 판면이 복수 개의 앵커볼트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에 밀착되는 고정판부와; 구형상의 각 일단은 각각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상부커버의 상부면과 상기 고정판부의 하부면 중심으로부터 각각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 구면 고정구에 이탈은 방지되면서 입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각 타단은 관형상인 일측의 내부로 봉형상인 타측이 삽입되면서 수평으로 핀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는 케이블 고정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고압케이블을 스프링 탄력에 의해 항상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면서 좀더 다양한 외경의 고압케이블을 적절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과 높이로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주요 구성들로 분리시킨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분해시킨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 가압플레이트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건축물 천정에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구성에 고압케이블을 배선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고압케이블을 배선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의한 각도 조절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의한 높이 조절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주요 구성들로 분리시킨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분해시킨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는 크게 케이블 고정부(10)와 고정판부(20)와 연결부(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 중 케이블 고정부(10)는 다시 크게 상부와 하부로 구비되는 한 쌍의 커버(11)(12)와 이들 커버(11)(12)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와 하부의 가압 플레이트(13)(14) 및 복수의 스프링(15)들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서, 상부커버(11)는 하향 개방되고, 하부커버(12)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간 각각 밀착되도록 하면서 일단은 경첩(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에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간을 결속되도록 하는 고정구(17)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 가압플레이트간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플레이트(14)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내부에서 상부 가압플레이트(13)는 상부커버(11)에 일정 높이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볼트체결되고, 하부 가압플레이트(14)는 하부커버(12)에 일정 높이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볼트체결된다.
이때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상부커버(11)를 연결하는 볼트(18)의 외주면과 하부 가압플레이트(14)와 하부커버(12)를 연결하는 볼트(18)의 외주면에는 각각 스프링(19)이 탄설되게 하므로서 상부커버(11)로부터 상부 가압플레이트(13)는 최대한 밀어 내리고, 하부커버(12)로부터 하부 가압플레이트(14)는 최대한 밀어 올리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통과홀(110)(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가 면간 밀착되게 하므로서 케이블 통과홀(110)(120)은 원형을 이루도록 한다.
특히 외주면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110)(120)은 직경의 중심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양측에 2개의 홀이 반대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평행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사이에서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 플레이트(14)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내경보다는 미세하게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내부에서 일정 높이를 승강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플레이트(14)에는 판면에 각각 상향 또는 하향으로 만곡지도록 하는 케이블 가이드홈(130)(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부 가압플레이트(13)에서의 케이블 가이드홈(130)은 판면을 상향 만곡지도록 하는 형상이고, 하부 가압플레이트(14)에서의 케이블 가이드홈(140)은 하향 만곡지도록 하는 형상이다.
케이블 가이드홈(130)(140)은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110)(120)과 동일 수평선상에 동일한 내경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플레이트의 각 케이블 가이드홈(130)(140) 사이에는 그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마주보는 상부커버(11)의 저면과 하부커버(12)의 상면에는 판면에는 각각 스프링(15)을 축지지하는 가이드 돌기(111,121,131,14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판부(2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고정판부(20)는 상부면이 건축물의 천정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앵커볼트(21)를 이용하여 저부로부터 체결시켜 천정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부(10)와 고정판부(20)간은 한 쌍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30)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30)는 일단이 각각 구형상이고, 타측으로 봉형상이거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연결봉(31,3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런 연결부(30)의 각 연결봉(31,32)은 각각 구형단부(310,320)와 봉 또는 관형상의 축부(311,321)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들 연결봉(31,32)들을 케이블 고정구(10)와 고정판부(20)에 각각 이탈방지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블 고정구(10)의 상부커버(11)측 상부면과 고정판부(20)의 하부면 중심에는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도록 하는 구면 고정구(112,22)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의 구면 고정구(112,22)는 상부커버(11) 또는 고정판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 본체(1120,220)와 이 고정구 본체(1120,220)에 볼트 결합되는 캡(1121,221)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구 본체(1120,220)에는 단면에 연결부(30)의 구형상 단부의 직경보다는 작지 않은 직경으로 반구형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캡(1121,221)에는 고정구 본체(1120,220)와 밀착되는 면으로는 반구형 홈의 선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그와 반대되는 면으로는 점차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판면이 관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연결봉(31,32)은 고정구 본체(1120,220)의 반구형 홈으로 구형단부(310,320)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타측의 축부(311,321) 단부로부터는 캡(1121,221)이 끼워져 고정구 본체(1120,220)와 밀착되면서 볼트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각 연결봉(31,32)의 봉 또는 관형상의 축부(311,321)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축부(311,321)를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핀홀(312,3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핀홀(312,322)간은 핀(33)이 삽입되도록 한다.
다만 봉형상의 축부(311)에는 핀홀(312)이 하단부에 한 곳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 양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를 건축물 천정에 적용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성에 고압케이블을 배선한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고압케이블을 배선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40)으로는 고정판부(20)를 복수의 앵커볼트(21)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 고정판부(20)와 케이블 고정부(10)에 각각의 연결봉(31,32)을 연결한 상태에서 각 연결봉(31,32)의 축부(311,321)간을 연결하여 핀(3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 고정부(10)와 고정판부(20)에는 각각 연결봉(31,32)이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봉(31,32)은 각각 고정구 본체(1120,220)로부터 캡(1121,221)을 분리한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1120,220)에 연결봉(31,32)의 구형단부(310,320)가 삽입되도록 하고, 축부(311,321)의 단부로부터 분리시킨 캡(1121,221)을 삽입시켜 고정구 본체(1120,220)에 밀착되도록 한 후 볼트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연결봉(31,32)을 케이블 고정부(10)와 고정판부(20)에서 입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부(10)의 상부커버(11)로부터 하부커버(12)를 경첩(16)을 축으로 타단이 분리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 사이에 축고정되도록 한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플레이트(14)의 사이에 지지하고자 하는 적정한 직경의 고압케이블(50)이 배설되도록 한다.
고압케이블(50)을 상부 가압플레이트(13)에 형성한 케이블 가이드홈(130)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하부커버(12)를 상부커버(11)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구(17)를 이용하여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가 결속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간을 결속시키게 되면 고압케이블(50)에 의해서 상부 가압플레이트(13)와 하부 가압플레이트(14)를 각각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측으로 미세하게 밀면서 상부커버(11)와 상부 가압플레이트(13) 및 하부커버(12)와 하부 가압플레이트(14)간으로 탄설시킨 스프링(15)들에 의해서 고압케이블(50)들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에 의한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케이블(50)을 배선하면서 배선 방향에 따라 케이블 고정부(10)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안정되게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부의 연결봉(31)과 하부의 연결봉(32)간 축부(311,321)를 연결하는 핀홀(312,322)간 위치 및 핀(33)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선 높이와 배선 방향을 최적의 조건으로 형성하면서 안정되게 배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케이블 고정부 11 : 상부커버
110 : 케이블 통과홀 111 : 가이드 돌기
112 : 구면 고정구 1120 : 고정구 본체
1121 : 캡 12 : 하부커버
120 : 케이블 통과홀 121 : 가이드 돌기
13 : 상부 가압플레이트 130 : 케이블 가이드홈
131 : 가이드 돌기 14 : 하부 가압플레이트
140 : 케이블 가이드홈 141 : 가이드 돌기
15 : 스프링 16 : 경첩
17 : 고정구 18 : 볼트
19 : 스프링 20 : 고정판부
21 : 앵커볼트 22 : 구면 고정구
220 : 고정구 본체 221 : 캡
30 : 연결부 31, 32 : 연결봉
310, 320 : 구형단부 311, 321 : 축부
312, 322 : 핀홀 33 : 핀
40 : 천정 50 : 고압케이블

Claims (5)

  1. 일단의 경첩(16)에 의해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상하부 한 쌍의 커버(11,12)와, 상기 커버(11,12)들 내에서 다양한 내경으로 상호 마주보게 상향 또는 하향 만곡지는 케이블 가이드홈(130,140)을 형성하는 상하부 가압 플레이트(13,14)와, 상기 각 커버(11,12)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13,14)간으로는 케이블 가이드홈(130,140)들 사이에 삽입된 고압케이블(50)이 탄성에 의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스프링(15)이 구비되도록 하는 케이블 고정부(10)와;
    평판의 판면이 복수 개의 앵커볼트(21)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40)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부(20)와;
    구형상의 각 일단은 각각 상기 케이블 고정부(10)의 상부커버(11)의 상부면과 상기 고정판부(20)의 하부면 중심으로부터 각각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 구면 고정구(22, 112)에 이탈은 방지되면서 입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각 타단은 관형상인 일측의 내부로 봉형상인 타측이 삽입되면서 수평으로 핀결합되도록 하여 핀결합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3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는 하향 개방되고, 상기 하부커버(12)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경첩(16)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상기 상부커버(11)와 상기 하부커버(12)간을 결속시키는 고정구(17)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커버(11)와 상기 하부커버(1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통과홀(110)(120)이 형성되도록 하되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면간 밀착에 의해서 케이블 통과홀(110)(120)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며, 케이블 통과홀(110)(120)은 직경의 중심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양측에 2개의 홀이 반대측 주면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평행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와 상기 하부커버(12)의 결합에 의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110)(120)은 한 쌍씩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는 한 쌍의 연결봉(31,32)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봉(31,32)은 봉 또는 관형상의 축부(311,321)에 각 일단으로 구형단부(310,320)가 형성되도록 한 형상이고, 상기 연결봉(31,32)들을 상기 케이블 고정구(10)와 상기 고정판부(20)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고정구(10)의 상기 상부커버(11)측 상부면과 상기 고정판부(20)의 하부면 중심에는 상기 구형단부(310,320)들이 각각 이탈방지되게 결합되도록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향 또는 하향 돌출되는 구면 고정구(112,22)가 형성되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구면 고정구(112,22)는 상기 상부커버(11)와 상기 고정판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구 본체(1120,220)와 상기 고정구 본체(1120,220)에 볼트 결합되는 캡(1121,2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 본체(1120,220)에는 단면에 구형단부(310,320)의 직경보다는 작지 않은 직경으로 반구형 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캡(1121,221)에는 상기 고정구 본체(1120,220)와 밀착되는 면으로는 반구형 홈의 선단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그와 반대되는 면으로는 점차 작은 직경으로 판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KR1020110041984A 2011-05-03 2011-05-03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KR10107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984A KR101073862B1 (ko) 2011-05-03 2011-05-03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984A KR101073862B1 (ko) 2011-05-03 2011-05-03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62B1 true KR101073862B1 (ko) 2011-10-14

Family

ID=4503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984A KR101073862B1 (ko) 2011-05-03 2011-05-03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86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1144985B1 (ko) 2012-03-12 2012-05-11 (주)삼덕기술단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KR101144209B1 (ko) 2012-02-15 2012-05-14 (주)준영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배전라인 연결용 접속자
KR101149579B1 (ko) * 2012-02-15 2012-05-29 (주)준영이엔씨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프레임
KR101180275B1 (ko) 2012-02-15 2012-09-06 (주)준영이엔씨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101381349B1 (ko)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위치고정 브래킷
KR101514056B1 (ko) * 2014-10-31 2015-04-2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CN106654807A (zh) * 2016-12-30 2017-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密市供电公司 电缆线芯理线装置
GB2500747B (en) * 2012-02-21 2017-07-26 Costigan Mark A cable clip
KR102047358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77B1 (ko) *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0867219B1 (ko) 2008-06-20 2008-11-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절연성 지중배전선로 연결대
KR100884777B1 (ko) * 2008-11-14 2009-02-2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77B1 (ko) *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0867219B1 (ko) 2008-06-20 2008-11-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절연성 지중배전선로 연결대
KR100884777B1 (ko) * 2008-11-14 2009-02-2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상하좌우 작동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09B1 (ko) 2012-02-15 2012-05-14 (주)준영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배전라인 연결용 접속자
KR101149579B1 (ko) * 2012-02-15 2012-05-29 (주)준영이엔씨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프레임
KR101180275B1 (ko) 2012-02-15 2012-09-06 (주)준영이엔씨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GB2500747B (en) * 2012-02-21 2017-07-26 Costigan Mark A cable clip
KR101144985B1 (ko) 2012-03-12 2012-05-11 (주)삼덕기술단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KR101381349B1 (ko)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위치고정 브래킷
KR101514056B1 (ko) * 2014-10-31 2015-04-21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CN106654807A (zh) * 2016-12-30 2017-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密市供电公司 电缆线芯理线装置
CN106654807B (zh) * 2016-12-30 2022-07-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高密市供电公司 电缆线芯理线装置
KR102047358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커넥터
KR102047357B1 (ko) * 2019-07-01 2019-11-21 주식회사 부창전기 이상확인기능을 갖춘 지중배전라인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862B1 (ko)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KR100972468B1 (ko) 공동주택용 천정 전기분전함
US9109745B2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CN103382787B (zh) 折叠帐篷顶部收折机构
JP6234897B2 (ja) 室外機用の据付台
KR101367430B1 (ko) 회전과 복원력을 갖는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배열장치
CN103187826A (zh) 吊扇电机适配件
KR101263769B1 (ko) 와이어 연결장치
KR20090068517A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20100112243A (ko) 파이프용 행거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0539704B1 (ko) 조립접이식 피뢰침
CN104566006B (zh) 灯具的减振底座及采用该减振底座的投光灯
KR101045105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KR101091497B1 (ko) 다자유도 경사펜스
CN109539198B (zh) 一种灯具连接器及条形灯连接系统
KR102076801B1 (ko)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한 특고압 배전선로
KR102173158B1 (ko) 공장용 전등에 적용되는 높이 조절식 지주대
KR102123364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59957Y1 (ko) 십자가 조형물
CN214958606U (zh) 一种输电线路铁塔用便于改变角度的电线走向定位装置
KR100945943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N111288052B (zh) 一种内藏式连接装置
CN106532338B (zh) 模块化插座
KR101346116B1 (ko) 플러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