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704B1 - 조립접이식 피뢰침 - Google Patents

조립접이식 피뢰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704B1
KR100539704B1 KR1020050085662A KR20050085662A KR100539704B1 KR 100539704 B1 KR100539704 B1 KR 100539704B1 KR 1020050085662 A KR1020050085662 A KR 1020050085662A KR 20050085662 A KR20050085662 A KR 20050085662A KR 100539704 B1 KR100539704 B1 KR 10053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ghtning rod
lightning
coupl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호
Original Assignee
미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테크(주) filed Critical 미래테크(주)
Priority to KR102005008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4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각각의 구성부들이 조립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품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쉽게 설치가 가능한 피뢰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① 블럭거치판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힌지체가 상부에 힌지 형태로 결합되고, 장방형 구조의 본체기저판 상부에 수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본체기주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힌지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핀체들을 중앙부분에 구비하여 다져진 기초위에 세워지는 지지본체와, ② 외부둘레에는 로프걸이편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앙이 뚫린 장축형 통관 형태의 모양으로, 서로 대응되는 이웃 구성부에 삽입·결합시킬수 있도록 삽입주들의 지름(φ)이인 삽입홈들의 지름(φ)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의 최하부가 상기 파이프힌지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체들에 의한 파이프조립합체와, ③ 모서리에 각각 봉침을 세워놓은 역삼각뿔체의 모양으로 상기 파이프조립합체의 최상부에 결합되는 금속성의 피뢰극체와, ④ 상기 피뢰극체로부터의 접지용 전선과 지면으로부터의 접지용전선을 상호연결시키므로써 낙뢰의 통과로를 설정하는 접지반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구성부들이 조립체로 형성되어 부품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조립합체되는 각각의 구성부들을 고정용 로프로 고정시켜 야전설치에 따른 기상악화, 강풍 등에도 견딜 수 있는 내성을 갖춤으로써, 일반 장치설비나 대형기계 뿐만 아니라 국방용 발사무기체, 레이다 같은 설비들까지도 낙뢰나 번개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접이식 피뢰침{Lightening rod capable of assembled and leaned}
본 발명은 피뢰침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일반시설물이나 설비장치 뿐만 아니라 국방용 발사무기체, 레이다 등을 낙뢰나 번개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조립접이식 피뢰침을 제시한 것이다.
피뢰침은 낙뢰나 번개 등을 도통시킨 다음 그 전기(전류)를 지하로 접지하여 흘려보냄으로써 낙뢰나 번개의 피해로부터 일반시설물이나 설비장치를 보호하는 금속제 막대나 또는 그러한 시설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피뢰침은 전류의 방향을 보호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부도체 부위로부터 전환시킨 다음, 저항이 작은 경로를 따라 전류가 피뢰침 그 자체와 전류를 흘리는 전선을 피해 없이 통과시키기 때문에, 피뢰침 주위 일정 부근의 시설물들을 보호하게 된다.
주위의 건물을 보면 높은 위치에 하늘을 향해 솟아있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제 구조물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시설물이 피뢰침의 일종이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낙뢰나 번개는 인근의 가장 높은 물체에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피뢰침은 구조물의 정점에 위치하게 되고, 저항이 작은 전선을 통해 접지부와 연결된다. 빌딩의 경우 땅이 접지부로 이용되고, 선박의 경우에는 물이 이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뢰침이나 그 시설은 고정적인데 반해, 이동형태의 시설물이나 장치설비, 즉 대형의 장치나 기계 등의 보호를 위해서도 피뢰침이 필요한 때가 많다.
즉 기계나 장치설비 들이 이곳저곳으로 옮겨가면서 운용해야 할 경우가 많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군부대의 야전포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동이 많으면서도 중요도가 높은 기계나 장치설비 들을 보호하기 위해 피뢰침이 요구된다.
보호해야 할 기계나 장치설비 들 자체에도 피뢰설비를 갖출수 있으나, 해당 장비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작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비보다 적어도 2~3배 이상 높게 설치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해당 장비에서 자체적으로 갖추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구성부들을 조립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일반 장치설비나 대형기계 뿐만 아니라 국방용 발사무기체, 레이다 같은 설비들까지도 낙뢰나 번개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조립거치식 피뢰침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지면에 가까이 설치되어 중심을 이루는 지지본체(100), 복수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에 의한 파이프조립합체(200), 이 파이프조립합체(200)의 끝단에 조립되는 피뢰극체(300), 마지막으로 피뢰극체(300)로부터 이끌어낸 접지용 전선에 연결조립되는 접지반체(400)가 구성의 핵심이 되며, 여기에 이러한 조립거치식 피뢰침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로서 앙카판체(500)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거치식 피뢰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조립거치식 피뢰침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거치식 피뢰침은, 지면의 하부에 앙카판체(500)를 매설하여 피뢰침의 하단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토대로 이용하게 되며, 이후 이 앙카판체(500)의 상부에 지지본체(100)를 조립결합함으로써, 본 피뢰침의 조립과 설치를 준비하게 된다.
도 3은 도 1 조립거치식 피뢰침의 지지본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지지본체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피뢰침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본체(100)는, 2개의 본체기주(121, 1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정사각 형태의 본체기저판(11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두 본체기주(121, 122) 상단에는 힌지홈(130h)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힌지체(130)가 이 힌지홈(130h)에 힌지 결합되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파이프힌지체(130)는 본체기주(121, 122) 상부의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되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파이프힌지체(130)는 본체기주(121, 122) 상부의 힌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두 본체기주(121, 122) 중간 부근에는 고정핀홈(140h)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체(140)를 사용하여 파이프힌지체(130)를 고정시키므로써 파이프힌지체(130)는 요동을 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핀체(140)로 파이프힌지체(130)를 고정시키거나 풀어줌으로써, 이 파이프힌지체(130)에 결합되는 파이프조립합체(200)를 수직설치(세움)하거나 수평거치(누임)할 수 있게 된다.
즉, 두 고정핀체(140)를 본체기주(121, 122)로부터 풀면 파이프힌지체(130)가 자유스럽게 회전운동이 가능하므로, 결국 이 파이프힌지체(130)와 결합되는 파이프조립합체(200)를 회전시켜 수평거치시킬 수 된다. 반대로 파이프조립합체(200)를 회전시켜 지지본체(100)에 수직설치한 후 두 고정핀체(140)를 끼워 파이프힌지체(130)를 고정시킴으로써, 결국 파이프조립합체(20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수직설치 및 수평거치를 위해서는 후술하는 균형블럭(150)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작동과정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파이프힌지체(130) 하단에는 블럭거치판(135)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블럭거치판(135)은 조립된 파이프조립합체(200)와 무게중심을 맞추는데 필요한 수만큼의 균형블럭(150)을 쌓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수직설치 및 수평거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균형블럭(150)은 일측단면이 오목하게 패여 있는 흙벽돌(고벽돌) 모양으로, 중앙에는 쌓게되는 균형블럭(150)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블럭홈(150h)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파이프조립합체(200) 및 피뢰극체(3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파이프조립합체(200)는 제1파이프체(210)의 단부에 제2파이프체(220)를, 제2파이프체(220)의 단부에 제3파이프체(230)를 각각 삽입한 다음 나사로 고정시켜 결합한다.
각각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은 중앙이 뚫린 두꺼운 관형태의 모양으로, 중심이 되는 파이프바디(211, 221, 231) 일측단부 부근에는 각각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로프걸이편(212, 222, 232)이 형성되어 있다.
각 파이프체(210, 220, 230)들의 삽입주(211x, 221x, 231x)는 서로 대응되는 이웃 구성부의 파이프힌지체(130)나 삽입홈(211y, 221y, 231y)에 삽입한 후 결합시켜 파이프조립합체(200)를 형성하게 되므로, 수(♂)형인 삽입주(211x, 221x, 231x)의 지름(φ)은 암(♀)형인 삽입홈(211y, 221y, 231y)의 지름(φ)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다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거치식 피뢰침에 있어서, 제1파이프체(210)는 삽입주(211x) 근처에 로프걸이편(212)이 형성된 모양이고, 제2파이프체(220)와 제3파이프체(230)는 삽입홈(221y, 231y) 근처에 로프걸이편(222, 232)이 형성된 모양이나, 그 형성위치는 크게 구속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각 파이프체(210, 220, 230)들의 결합과정을 보면, 먼저 제1파이프체(210)의 삽입홈(211y)에 제2파이프체(220)의 삽입주(221x)가, 제2파이프체(220)의 삽입홈(221y)에 제3파이프체(230)의 삽입주(231x)가 각각 삽입고정됨으로써 파이프조립합체(200)가 형성된다.
피뢰극체(300)는 떨어지는 번개나 낙뢰를 잘 흘려보낼수 있도록 금속성 재료로 형성된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그 모양이 역삼각뿔체의 모서리에 각각 봉침(300b)들이 세워져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봉침(300b)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피뢰극체(300)의 하부에 그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본체(100)를 세운 후에는 피뢰침의 상부 구성부들을 준비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단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의 각 단부를 한쪽 방향에서부터 서로 삽입,결합하여 파이프조립합체(200)를 조립형성하고, 마지막 파이프체(230)의 최고 단부로 접지용 전선을 삽입하여 제3파이프체(230) 끝단의 피뢰극체(300) 연결한 후 피뢰극체(300)를 끼워 단단하게 결합고정시키게 준비하게 된다.
이후 이렇게 결합된 파이프조립합체(200)의 하단을 다시 지지본체(100)의 파이프힌지체(130) 상단에 결합시키고, 피뢰극체(300)까지 연결했던 접지용 전선을 지지본체(100)의 측면에 가설한 접지반체(400)에 연결하므로써 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거치식 피뢰침의 전체적인 형태를 조립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파이프조립합체(200)는 각각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의 중심부가 뚫려 있으므로 중앙은 관을 이루게 되며, 이 중심부분의 관을 통해 접지반선(400s)이 제3파이프체(230)의 삽입홈(231y)으로 인출되고, 다시 제3파이프체(230)의 삽입홈(231y)에 삽입고정되는 피뢰극체(300)까지 연결된다.
본 조립거치식 피뢰침에서는 파이프조립합체(200)를 형성하는 각각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을 합체후에 로프(200s)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각각의 파이프체(210, 220, 230)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파이프체(210)의 로프걸이편(212)에 로프(200s)를 고정시킨 다음, 제2파이프체(220)의 로프걸이편(222)과 제3파이프체(230)의 로프걸이편(232)들에 각각 걸어 당긴후 고정시키므로써, 본 조립거치식 피뢰침을 수직설치하여 가동시킬 시 강한 바람이나 기상악천 후에도 이상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본 로프(200s)의 설치는 제3파이프체(230)의 로프걸이편(232)에서 시작하여 제1파이프체(210)의 방향으로 이뤄져도 좋으며, 접지반선(400s) 설치를 완료한 후에 설치하여도 상관없다.
지지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접지반체(400)를 형성한다. 이 접지반체(400)는 지면에 접지되는 또다른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어 본 조립거치식 피뢰침 최상부의 피뢰극체(300)와 지면으로 통하는 낙뢰통과로를 설정하고 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 달리, 이러한 접지반체(400) 역시 본 피뢰침에서의 접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지지본체(100)의 측면이 아닌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후, 이렇게 피뢰극체(300)까지 연결조립된 파이프조립합체(200)를 다시 파이프힌지체(130) 상부에 삽입하여 조립결합하고, 접지반체(400)에 접지반선(400s)까지 연결시키면, 조립거치식 피뢰침 자체의 기본적인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도 6은 본 조립거치식 피뢰침의 설치에 이용하기 위한 앙카판체(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조로도 피뢰침으로 기능할 수 있지만, 후술할 앙카판체(500)로 기초를 다지고 이 기초위에 견고하게 가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굳이 본 실시예의 앙카판체(500)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기초가 견고한 상태로 준비된다면 그 상부에 가설되는 것도 무방하다.
앙카판체(500)가 설치되는 장소, 즉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이 설치되는 장소는 단순히 설치장소 자체의 문제만이 아니고,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을 이용해 보호하기 위한 장치나 설비의 운용에 해를 주지 않도록 좋은 설치장소를 물색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예로 군의 야전포 보호를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야전포의 포각 운용이 용이할 수 있는 근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을 위한 앙카판체(500)는 지하에 묻혀 힘을 지탱하기 위한 다수의 앙카(510)들과, 이 앙카(510)들에 지탱되는 판형모양의 앙카판(520)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앙카(510)들은 앙카판(52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면서 지탱할 수 있는 다수의 앙카(51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직육면체와 같은 구조로 매설된다. 그리고 이러한 앙카(510)들의 상부에 앙카판(520)이 결합되며, 이 앙카판(520)이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을 세우기 위한 기단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7은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수평거치시 받치기 위한 받침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의 피뢰침은 수직설치와 수평거치가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받침대(600)는 수평으로 거치시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중간부분을 받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받침대(600)의 설치장소는 앙카판체(500)의 설치장소와 유기적인 관계에 놓이게 된다. 즉 본 받침대(600)는 지지본체(10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한 상태로 설치되며, 파이프조립합체(200)를 수평거치시키려는 방향으로,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중심부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받쳐질 수 있는 지점이 설치장소가 된다.
이러한 본 받침대(6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주(610), 받침기저판(620) 그리고 받침앙카(630)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받침앙카(630)가 지하에 매설되고, 이 상부에 받침대(600)가 조립된다. 이 받침대(600)는 받침주(610)를 조립하기 위한 기단으로 이용되는 판형의 받침기저판(620)과 이 상부에 장형의 받침기둥인 받침주(610)와 받침주(610) 상부에 오목한 받침용 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조립접이식 피뢰침이 얹혀 수평 거치된다.
도 8은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수평거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각 구성부들을 조립결합하여 완전합체의 피뢰침으로 형성한 다음 피뢰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면에 수직으로 세우게 된다. 물론 합체된 형상이 누인 상태가 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일단 수직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8 (a)와 같이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을 최초 지면에 수직인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한 후, 사용완료 후 혹은 사용 중 필요한 경우에는 도 8 (b)와 같이 누여 수평거치시키게 된다.
이 때는 지지본체(100)의 고정핀체(140)를 푼 후, 수평 거치 상태로 누일수 있도록 파이프힌지체(130)를 위로 당기거나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상부를 누르면, 무게중심의 원리에 의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회전되면서 수평을 유지하여 파이프조립합체(200)가 받침대(600)에 자연스럽게 거치된다. 이후 받침대(600)에서 본 피뢰침의 파이프조립합체(200)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써 수평거치상태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수평거치된 상태에서 다시 본 피뢰침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서는 받침대(600)에서 풀고, 파이프조립합체(200)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수평거치시와 반대 방향으로 파이프힌지체(130)나 파이프조립합체(200)를 누르거나 혹은 잡아당기게 되면, 역시 무게중심의 원리에 의해 본 피뢰침은 자연스럽게 세워지게 되고, 어느 정도 세워진 상태가 되면 고정핀체(140)로 파이프힌지체(130)를 고정시켜 수직설치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무게중심 원리에 의한 본 피뢰침을 수직설치와 수평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은 다른 구성부들의 개발 이상으로 수고로운 연구의 결과이다.
물론 추가적인 동력이나 장치를 사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술한 수직설치와 수평거치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무게중심 원리를 이용하면 본 피뢰침의 수직설치나 수평거치를 위해 또다른 동력이 필요없으며 사람의 힘만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수직설치와 수평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각 구성부들을 조립합체시킴으로써 원하는 길이만큼의 피뢰침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견고한 고정을 위해 각각의 파이프체에 로프(200s)로 고정시키게 되는 로프걸이편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조립시킨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수직설치 및 수평거치 역시 본 실시예의 무게방식 뿐만아니라 회전구륜 방식까지도 이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변경할 수 있는 등, 본원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주요 효과를 제공한다.
-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와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분리조립의 특징을 갖춤과 동시에 조립합체되는 각각의 구성부들을 고정용 로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야전설치에 따른 기상악화, 강풍 등에도 견딜 수 있는 내성을 갖춤은 물론, 조립식구조에 의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 또한 본 피뢰침의 수직설치 및 수평거치의 변환작동은 균형추에 의한 무게중심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일반 보편적인 회전구륜 등의 채택에 따른 동력추가의 문제, 인력을 이용한 수동 구동의 어려움, 동력과 에너지의 낭비 등 예상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 큰 에너지 동력원 없이 작은 인력으로도 쉽게 피뢰침을 수직설치하고 수평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 다양한 길이의 파이프체를 사용할 수 있어, 높이변화가 용이하고 관리가 편리하다.
따라서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은 일반 사회뿐만 아니라 군부대와 같은 특수한 작전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어 장비운용자들로부터 많은 호응이 기대된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사시도.
도 2 ; 도 1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정면도.
도 3 ; 도 1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지지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4 ; 도 3 지지본체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 ; 도 1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파이프조립합체 및 피뢰극체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설치에 이용하기 위한 앙카판체를 나타낸 도면.
도 7 ;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운용에 이용하기 위한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
도 8 ; 본 조립접이식 피뢰침의 회전접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본체
110 : 본체기저판
121, 122 : 본체기주
130 : 파이프힌지체 130h : 힌지홈
135 : 블럭거치판
140 : 고정핀체
150 : 균형블럭 150h : 블럭홈
200 : 파이프조립합체 200s : 로프
210, 220, 230 : 파이프체
211, 221, 231 : 파이프바디
211x, 221x, 231x : 삽입주 211y, 221y, 231y : 삽입홈
212, 222, 232 : 로프걸이편
300 : 피뢰극체 300b : 봉침
400 : 접지반체 400s : 접지반선
500 : 앙카판체
510 : 앙카 520 : 앙카판
600 : 받침대
610 : 받침주 620 : 받침기저판
630 : 받침앙카

Claims (4)

  1. 낙뢰로부터의 보호에 있어서,
    블럭거치판(135)이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힌지체(130)가 상부에 힌지 형태로 결합되고, 장방형 구조의 본체기저판(110) 상부에 수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본체기주(121, 122)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힌지체(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핀체(140)들을 중앙부분에 구비하여 다져진 기초위에 세워지는 지지본체(100)와;
    외부둘레에는 로프걸이편을 형성하고 있으며 중앙이 뚫린 장축형 통관 형태의 모양으로, 서로 대응되는 이웃 구성부에 삽입·결합시킬수 있도록 삽입주(211x, 221x, 231x)들의 지름(φ)이 삽입홈(211y, 221y, 231y)들의 지름(φ)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결합된 상태의 최하부가 상기 파이프힌지체(13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파이프체들에 의한 파이프조립합체(200)와;
    모서리에 각각 봉침(300b)을 세워놓은 역삼각뿔체의 모양으로 상기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최상부에 결합되는 금속성의 피뢰극체(300)와;
    상기 피뢰극체(300)로부터의 접지용 전선과 지면으로부터의 접지용전선을 상호연결시키므로써 낙뢰의 통과로를 설정하는 접지반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접이식 피뢰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침의 무게를 분산시키도록 지하에 직육면체와 같은 부피구조의 모서리부분과 그 중간중간에 위치되어 묻히는 다수의 앙카(510)들과, 상기 다수의 앙카(510)들 상부에 조립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본체(100)가 결합되는 판형모양의 앙카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앙카판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접이식 피뢰침.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으로 누이는 상기 파이프조립합체(200)의 중심부가 받쳐질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며, 지하에 매설된 받침앙카(630) 상부에 판형의 받침기저판(620)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부가 오목한 받침용 홈을 형성하고 있는 장형기둥의 받침주(6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받침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접이식 피뢰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조립합체(200)는
    상기 로프(200s)을 이용하여 일측 파이프체의 로프걸이편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립결합되는 각각의 파이프체(들)를 연이어 고정시켜 반대측의 끝단 파이프체까지 고정시키므로써, 강한 지지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접이식 피뢰침.
KR1020050085662A 2005-09-14 2005-09-14 조립접이식 피뢰침 KR10053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62A KR100539704B1 (ko) 2005-09-14 2005-09-14 조립접이식 피뢰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62A KR100539704B1 (ko) 2005-09-14 2005-09-14 조립접이식 피뢰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9704B1 true KR100539704B1 (ko) 2005-12-28

Family

ID=3730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662A KR100539704B1 (ko) 2005-09-14 2005-09-14 조립접이식 피뢰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7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80B1 (ko) 2009-04-06 2011-09-20 허성환 이동식 낙뢰보호 시스템
WO2017143196A1 (en) * 2016-02-19 2017-08-24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847961B2 (en) 2016-02-19 2020-11-24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10157584A (ko) * 2020-06-22 2021-12-29 광동지엘씨(주) 삼각뿔 형상 피뢰침
KR102344960B1 (ko) * 2020-07-06 2021-12-31 광동지엘씨(주) 조립형 피뢰침 지지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80B1 (ko) 2009-04-06 2011-09-20 허성환 이동식 낙뢰보호 시스템
WO2017143196A1 (en) * 2016-02-19 2017-08-24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63657B2 (en) 2016-02-19 2020-09-01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847961B2 (en) 2016-02-19 2020-11-24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16928B2 (en) 2016-02-19 2021-02-09 Lba Group, Inc.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10157584A (ko) * 2020-06-22 2021-12-29 광동지엘씨(주) 삼각뿔 형상 피뢰침
KR102346375B1 (ko) * 2020-06-22 2022-01-04 광동지엘씨(주) 삼각뿔 형상 피뢰침
KR102344960B1 (ko) * 2020-07-06 2021-12-31 광동지엘씨(주) 조립형 피뢰침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877B2 (en) Modular monopole tower foundation
US7765770B2 (en) Service line distribution base
KR100539704B1 (ko) 조립접이식 피뢰침
US20160017630A1 (en) Adjustable Monopole Support Structure
US20180051915A1 (en) Support device for solar modules, photovoltaic setup having multiple support devices and method for setting up such a support device
US20070159836A1 (en) Solar photo-voltaic panel and light structure
US6557312B2 (en) Prefabricated-building tower foundation
US9083172B2 (en) Portable lightning protection system
DK2128433T3 (en) Foundation comprising a fixture to position the wind turbine equipment on the foundation
BR112017010873B1 (pt) Dispositivo para reforçar um monopolo
US6446398B2 (en) Universal direction post and wall panel adapter
JP4079280B2 (ja) 街路灯の中空基礎
KR100658213B1 (ko) 공동주택 단지에 설치되는 전기시설물의 접지장치
KR20120132713A (ko) 송전철탑의 분리형 콘크리트 기초대 구조
ES2578272T3 (es) Torre para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la erección de la misma
CN213806886U (zh) 一种可快速安装的分段式钢质组合柱
CN106285029B (zh)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KR101670472B1 (ko)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
CN205231733U (zh) 一种用于应急救援帐篷的低压配电集成装备
KR101668056B1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N205777822U (zh) 便携式组合拉线盘
CN110984834A (zh) 一种地桩式杆上作业平台
CN114575655B (zh) 一种供电线路支撑架
CN214280589U (zh) 一种箱式变电站移动多功能稳固基础
CN216121742U (zh) 用于机电工程线缆防护的地面线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