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985B1 -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 Google Patents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985B1
KR101144985B1 KR1020120025196A KR20120025196A KR101144985B1 KR 101144985 B1 KR101144985 B1 KR 101144985B1 KR 1020120025196 A KR1020120025196 A KR 1020120025196A KR 20120025196 A KR20120025196 A KR 20120025196A KR 101144985 B1 KR101144985 B1 KR 10114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derground
distribution box
fix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덕
Original Assignee
(주)삼덕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덕기술단 filed Critical (주)삼덕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2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받침대(110)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되, 내부 저면이 지중전선보호관(200)과 상호 연통되어 지중전선보호관(200)을 통해 인입된 지중전선(L1)이 전선연결체(500)를 매개로 배전선(L2)과 상호 연결되고, 배전선(L2)이 내측에 배선연결되며, 배선연결된 배전선(L2)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배전함본체(100): 일단부가 지중에 매립되고, 타단부가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와 상호 연통되며, 양단에는 플랜지(211)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본체(210)와; 관본체(210)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내주면과 관본체(210)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는 럭비공형상의 탄성재질을 갖는 보호튜브(220)와; 플랜지(211)를 감싸 고정 및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연결고무링(230)과; 반원형을 이루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형성되며, 연결고무링(230)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링(240)과; 체결링(240)의 볼트에 결합되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판(250)으로 구성된 지중전선보호관(200): 지중전선보호관(200)과 상호 연통되는 설치공(310)을 갖추고서,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300): 받침대(110)와 지지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30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진동감쇄부재(400): 일측으로 개구되는 수용부(511a,512a)와, 수용부(511a,512a)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암부재이동공(511b,512b)과, 수용부(511a,512a)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수부재지지공(511c,512c)을 갖추고서, 결합홈(511d)과 결합돌기(512d)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본체부(511,512)로 구성된 부도체재질의 하우징(510)과; 일단에 배전선(L2)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521a-1)를 갖추고서, 일측이 하우징(510)의 수용부(511a,5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암부재이동공(511b,512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521a)와, 반원홈(521b-1)을 갖추고서, 이동체(521a)의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도체(521b)로 구성된 암부재(521)와; 일단에 지중전선(L1)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522a-1)를 갖추고서, 수부재지지공(511c,512c)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암부재(521)의 반원홈(521b-1)에 삽입되는 회전체(522a)와, 회전체(522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반원홈(521b-1)의 내면과 전기적으로 상호 면 접촉되는 도체(522b)로 구성된 수부재(522)를 갖춘 접속구(520)와; 하우징(510)에 내설되어 암부재(521)의 이동체(521a)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탄성체(530)로 구성된 전선연결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Description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The High Voltage Underground Electroic Line Of Distributing Wire Box}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토록 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으며, 이러한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어 고압전선을 매개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고압의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지만, 이를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연결한 경우 각종 외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사고를 일어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됨으로써,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어 내부에 배선된 지중전선이 일시에 전부 전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연결한 경우 지진이 발생되면 지면이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로 진동되는 지진에 의해 배전함에 연결된 전선의 배선부위에 고정상태가 해제되거나 또는 반복적인 진동에 따른 전선의 자중에 의해 전선이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전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된 전선을 인출하여 배선연결하기가 상당히 힘들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을 마땅히 고정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전함에 직접 연결할 경우 자중을 이기지 못한 지중전선이 지중관의 내부로 낙하되어 연결상태(고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 전기를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력으로부터 관과 지중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배전연결을 매우 쉽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받침대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되, 내부 저면이 지중전선보호관과 상호 연통되어 지중전선보호관을 통해 인입된 지중전선이 전선연결체를 매개로 배전선과 상호 연결되고, 배전선이 내측에 배선연결되며, 배선연결된 배전선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배전함본체:
일단부가 지중에 매립되고, 타단부가 배전함본체의 받침대와 상호 연통되며,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본체와; 관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내주면과 관본체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는 럭비공형상의 탄성재질을 갖는 보호튜브와; 플랜지를 감싸 고정 및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연결고무링과; 반원형을 이루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형성되며, 연결고무링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링과; 체결링의 볼트에 결합되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된 지중전선보호관:
지중전선보호관과 상호 연통되는 설치공을 갖추고서, 배전함본체의 받침대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받침대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진동감쇄부재:
일측으로 개구되는 수용부와, 수용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암부재이동공과, 수용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수부재지지공 갖추고서,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본체부로 구성된 부도체재질의 하우징과; 일단에 배전선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를 갖추고서, 일측이 하우징의 수용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암부재이동공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반원홈을 갖추고서, 이동체의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도체로 구성된 암부재와; 일단에 지중전선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를 갖추고서, 수부재지지공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암부재의 반원홈에 삽입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반원홈의 내면과 전기적으로 상호 면 접촉되는 도체로 구성된 수부재를 갖춘 접속구와; 하우징에 내설되어 암부재의 이동체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탄성체로 구성된 전선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관본체에 보호튜브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관본체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이를 보호튜브 및 보호튜브의 내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공기층을 통해 충격을 흡수하여 관본체가 외력에 의해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발생으로 인한 상하진동시 받침대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진동감쇄부재를 통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이 분산 및 상쇄되므로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 즉 지중전선의 단선 및 화재와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함본체에 설치되는 전선연결체를 통해 지중전선과 배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에서 지중전선보호관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에서 전선연결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결합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은, 배전함본체(100), 전선보호관(200), 지지플레이트(300), 진동감쇄부재(400), 전선연결체(500)로 구성된다.
상기 배전함본체(100)는 받침대(110)를 매개로 지상에 설치되는 공지의 배전반으로서, 내부 저면이 지중전선보호관(200)과 상호 연통되고, 지중전선보호관(200)을 통해 인입된 지중전선(L1)은 전선연결체(500)를 매개로 배전선(L2)과 상호 연결되며, 배전선(L2)은 내측에 배선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전함본체(100)는 배전선(L2)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보호관(200)은 관본체(210)와 보호튜브(220), 연결고무링(230), 체결링(240) 및 고정판(250)으로 구성되며 지중에 매설되어 내측으로 삽입된 지중전선(L1)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본체(210)는 양단에 플랜지(211)가 구비된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재질을 갖는 공지의 중공관(中空管)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타단이 배전함본체(100)의 저면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관본체(210)의 내부는 받침대(110)와 상호 연통되어 있어 내측으로 삽입된 지중전선(L1)이 관본체(210)의 일단을 통해 배전함본체(100)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호튜브(220)는 럭비공형상의 탄성재질을 갖는 공지의 탄성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본체(210)의 둘레에 삽입되며, 보호튜브(220)의 내면과 관본체(210)의 외면 사이에는 공기층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공기층에 대한 설명은 이후에 상세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고무링(23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11)를 감싸서 고정 및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한 쌍의 체결링(240)은 반원형을 이루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형성되며 연결고무링(230)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고정판(250)은 체결링(240)의 볼트에 결합되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어 하나 이상의 관본체(210)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연결고무링(230)은 관본체(210) 사이의 플랜지(211)를 감싸듯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체결링(240) 및 고정판(250)은 연결고무링(230)의 둘레를 감싸 관본체(210)를 견실하게 고정하여 한 쌍의 관본체(210)가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굴착장비, 포크레인의 버킷 등과 같은 외력이 관본체(210)의 외면을 강타할 경우, 이를 보호튜브(220)가 1차적으로 완충하고, 그 다음은 관본체(210)와 보호튜브(220)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던 공기층(미도시)이 충격을 2차적으로 완충하여 관본체(210)가 상기와 같은 외력에 의해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내부에 설치된 지중전선(L1)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관본체(210)는 지중에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관본체(210)이 설치(도 1 참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두 관본체(210)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211)를 각각 맞대어 주고, 상호 맞대진 플랜지(211)의 외주면을 연결고무링(230)을 매개로 1차 고정하며, 1차 고정한 이후에는 한 쌍의 체결링(240)을 이용하여 연결고무링(230)의 외주면을 감싸주되, 체결링(24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링(240)의 볼트에 고정판(250)을 끼운 상태에서 너트를 채워 강하게 고정함으로서, 그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중앙에 설치공(310)이 형성된 공지의 지지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 상에 진동감쇄부재(300)를 매개로 설치되며, 지지플레이트(300)의 상면에는 전선연결체(500)가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진동감쇄부재(400)은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받침대(110)와 지지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30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한 상하 진동시 전선연결체(500)를 매개로 지지플레이트(300)에 설치된 지중전선(L1)의 인장력을 진동감쇄부재(400)가 상하로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상쇄 및 감쇄시켜 주므로 지중전선(L1)이 지진으로 인해 단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연결체(500)는 하우징(510)과 접속구(520) 및 탄성체(530)로 구성되어 지중전선(L1)과 배전선(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우징(51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공지의 합성수지재질(절연)의 박스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본체부(511)와 제2본체부(512)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구(52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본체부(511)는 중앙에는 접속구(520)의 암부재(52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511a)가 형성되고, 수용부(511a)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암부재(521)의 전선고정부(521a-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부재이동공(511b)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부(511a)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접속구(520)의 수부재(52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부재지지공(511c)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본체부(511)에는‘ㄷ’자 형상의 결합홈(511d)이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결합홈(511d)은 이후에 설명될 제2본체부(512)의 결합돌기(512d)와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2본체부(512)는 중앙에는 접속구(520)의 암부재(52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512a)가 형성되고, 수용부(512a)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암부재(521)의 전선고정부(521a-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암부재이동공(512b)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부(512a)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접속구(520)의 수부재(522)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부재지지공(512c)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본체부(512)에는 제1본체부(511)의 결합홈(511d)과 상호 결합되는‘ㄷ’자 형상의 결합돌기(512d)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520)는 피봇타입(Pivot Type)의 접속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부재(521)와 수부재(522)로 구성되어 양단으로 압입고정되는 지중전선(L1)과 배전선(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암부재(521)는 이동체(521a)와 도체(521b)로 구성되어 하우징(510)의 수용부(511a,5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체(521a)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이고, 도체(521b)는 전기가 흐르는 금속이다.
상기 이동체(521a)는 전체적으로 피스톤과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일단에는 지중전선(L1)이 압입고정될 수 전선고정부(521a-1)가 일체로 형성되되, 둘레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압입된 지중전선(L1)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521a)의 전선고정부(521a-1)에 압입된 지중전선(L1)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T) 즉, 공지의 타이밴드를 매개로 2차 고정된다.
따라서, 한번 고정된 지중전선(L1)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지게 된다.
상기 도체(521b)는 이동체(521a)에 내설되어 전선고정부(521a-1)에 압입고정된 지중전선(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도체(521b)의 일단에는 반원홈(521b-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홈(521b-1)으로 이후에 설명될 수부재(522)의 도체(522b)가 회전가능하게 면 접촉된다.
참고로, 상기 이동체(521a)와 도체(521b)를 제조하는 방식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것을 상호 결합하거나 또는 이동체(521a)와 도체(521b)를 인서트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부재(522)는 회전체(522a)와 도체(522b)로 구성되며, 하우징(510)의 수부재지지공(511c,512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암부재(52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지중전선(L1)과 배전선(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522a)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합성수지이고, 도체(522b)는 전기가 흐르는 금속이다.
상기 회전체(522a)는 전체적으로 공지의 막대 사탕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일단에는 배전선(L2)이 압입고정될 수 있도록 전선고정부(522a-1)가 일체로 형성되되, 둘레에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압입된 배전선(L2)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522a)의 전선고정부(522a-1)에 압입된 배전선(L2)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T) 즉, 공지의 타이밴드를 매개로 2차 고정된다.
따라서, 한번 고정된 배전선(L2)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지게 된다.
상기 도체(522b)는 회전체(522a)에 내설되어 전선고정부(522a-1)에 압입고정된 배전선(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도체(522b)의 일단은 반구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암부재(521)의 반원홈(521b-1)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면 접촉된다.
참고로, 상기 회전체(522a)와 도체(522b)를 제조하는 방식은 개별적으로 제조된 것을 상호 결합하거나 또는 회전체(522a)와 도체(522b)를 인서트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30)는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510)의 수용부(511a,512a)에 내설되어 암부재(521)의 이동체(521a)를 수부재(522)를 향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중전선(L1)과 배전선(L2)을 전선연결체(500)에 설치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지지플레이트(100) 상에 고정된 전선연결체(500)를 구성하는 암부재(521)의 전선고정부(521a-1)에는 지중전선(L1)을 압입시켜 준 상태에서 결속부재(T)를 매개로 단단하게 2차 고정시켜 주고, 수부재(522)의 전선고정부(522a-1)에는 배전선(L2)을 압입시켜 준 상태에서 결속부재(T)을 매개로 단단하게 2차 고정시켜 주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굴착장비, 포크레인의 버킷 등과 같은 외력이 지중전선보호관(200)의 외면을 강타할 경우, 보호튜브(220)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내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기층(미도시)은 압축됨과 동시에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압축된 보호튜브(220)는 신속하게 복원되면서 외력을 그대로 밀어내어 지중전선보호관(200)이 상기와 같은 외력에 의해 균열 및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그 결과 내부에 설치된 지중전선(L1)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상황을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면이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심하게 흔들리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면이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전선연결체(500)에 설치된 지중전선(L1) 역시 상하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진발생으로 인한 상하 진동으로 인해 지중전선(L1)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이를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와 지지플레이트(300) 사이에 배치된 진동감쇄부재(400)가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지중전선(L1)에 가해지던 힘은 진동감쇄부재(400)에 의해 힘이 상쇄 또는 감쇄되어 반복적인 상하진동으로 인해 지중전선(L1)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일련의 상황을 도 5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배전함본체 110: 받침대 200: 지중전선보호관
210: 관본체 220: 보호튜브 230: 연결고무링
240: 체결링 250: 고정판 300: 지지플레이트
310: 설치공 400: 진동감쇄부재 500: 전선연결체
510: 하우징 520: 접속구 530: 탄성체

Claims (1)

  1. 내부에 받침대(110)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되, 내부 저면이 지중전선보호관(200)과 상호 연통되어 지중전선보호관(200)을 통해 인입된 지중전선(L1)이 전선연결체(500)를 매개로 배전선(L2)과 상호 연결되고, 배전선(L2)이 내측에 배선연결되며, 배선연결된 배전선(L2)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배전함본체(100):
    일단부가 지중에 매립되고, 타단부가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와 상호 연통되며, 양단에는 플랜지(211)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본체(210)와; 관본체(210)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내주면과 관본체(210)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되는 럭비공형상의 탄성재질을 갖는 보호튜브(220)와; 플랜지(211)를 감싸 고정 및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연결고무링(230)과; 반원형을 이루고, 외면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형성되며, 연결고무링(230)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링(240)과; 체결링(240)의 볼트에 결합되어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고정판(250)으로 구성된 지중전선보호관(200):
    지중전선보호관(200)과 상호 연통되는 설치공(310)을 갖추고서, 배전함본체(100)의 받침대(110)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300):
    받침대(110)와 지지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30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진동감쇄부재(400):
    일측으로 개구되는 수용부(511a,512a)와, 수용부(511a,512a)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암부재이동공(511b,512b)과, 수용부(511a,512a)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호 연통되는 수부재지지공(511c,512c)을 갖추고서, 결합홈(511d)과 결합돌기(512d)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본체부(511,512)로 구성된 부도체재질의 하우징(510)과; 일단에 배전선(L2)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521a-1)를 갖추고서, 일측이 하우징(510)의 수용부(511a,5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이 암부재이동공(511b,512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521a)와, 반원홈(521b-1)을 갖추고서, 이동체(521a)의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도체(521b)로 구성된 암부재(521)와; 일단에 지중전선(L1)이 압입고정되는 전선고정부(522a-1)를 갖추고서, 수부재지지공(511c,512c)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암부재(521)의 반원홈(521b-1)에 삽입되는 회전체(522a)와, 회전체(522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반원홈(521b-1)의 내면과 전기적으로 상호 면 접촉되는 도체(522b)로 구성된 수부재(522)를 갖춘 접속구(520)와; 하우징(510)에 내설되어 암부재(521)의 이동체(521a)를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탄성체(530)로 구성된 전선연결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KR1020120025196A 2012-03-12 2012-03-12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KR10114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96A KR101144985B1 (ko) 2012-03-12 2012-03-12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196A KR101144985B1 (ko) 2012-03-12 2012-03-12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985B1 true KR101144985B1 (ko) 2012-05-11

Family

ID=4627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196A KR101144985B1 (ko) 2012-03-12 2012-03-12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778A (zh) * 2015-09-24 2015-12-16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高压试验区防人员误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56U (ko) * 1998-09-25 2000-04-25 윤순동 벽체 매입용 전기박스의 배선관 콘넥터
KR101008280B1 (ko) 2010-05-13 2011-01-13 김동자 매설방식의 지중배전선 고정용 절연관
KR101073862B1 (ko) 2011-05-03 2011-10-14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056U (ko) * 1998-09-25 2000-04-25 윤순동 벽체 매입용 전기박스의 배선관 콘넥터
KR101008280B1 (ko) 2010-05-13 2011-01-13 김동자 매설방식의 지중배전선 고정용 절연관
KR101073862B1 (ko) 2011-05-03 2011-10-14 (주)케이제이종합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고정식 케이블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778A (zh) * 2015-09-24 2015-12-16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高压试验区防人员误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216B1 (ko) 지중전선 보호용 배전반
KR102176140B1 (ko)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CN210053196U (zh) 一种电缆保护器用电缆连接扣
KR101470567B1 (ko)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123909B1 (ko)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KR20100055196A (ko) 접지장치 및 접지블록
CN103151630A (zh) 一种快速插拔电缆连接装置
RU24845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частями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204333317U (zh) 绝缘验电接地环
KR101144985B1 (ko) 특고압 지중전선 설치용 배전함
US20180269615A1 (en) Single Pole Connector
KR101149579B1 (ko)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프레임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0769715B1 (ko)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CN109473245B (zh) 一种20kV支柱式避雷器
CN205693283U (zh) 带电电缆安全防护装置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201266823Y (zh) 地下安装式电缆多分支接头盒
CN203689966U (zh) 电缆护套
KR101915084B1 (ko) 송전선로의 역섬락 예방시스템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N203660491U (zh) 电缆中间接头的防水护套
KR101008280B1 (ko) 매설방식의 지중배전선 고정용 절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