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949B1 -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949B1
KR100881949B1 KR1020070102558A KR20070102558A KR100881949B1 KR 100881949 B1 KR100881949 B1 KR 100881949B1 KR 1020070102558 A KR1020070102558 A KR 1020070102558A KR 20070102558 A KR20070102558 A KR 20070102558A KR 100881949 B1 KR100881949 B1 KR 10088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th
spicy
sauce
pepper
seasoning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현
Original Assignee
송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현 filed Critical 송주현
Priority to KR102007010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28kg을 120℃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다시마 120g~160g, 멸치 270~310g, 무우 1,550~1,950g, 대파 600g~1,000g, 청량고추 110g~150g, 통마늘 130g~170g, 양파 1,250g~1,650g, 명태 100g~300g, 어묵 0.8kg~1.2kg을 넣어 20~40분간 가열하여 끓인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의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우려낸 육수물 8kg와 청양고추가루 2.3kg을 기준으로 사이다 700g~900g, 미숫가루 900g~1100g, 소고기 분말가루 1.7kg~1.9kg, 백설탕 2.9kg~3.1kg, 흑설탕 1.9kg~2.1kg, 흑물엿 2.4kg~2.6kg, 후추 140~160g, 고추장 1kg~1.2kg, 캡사이신 350g~450g, 마늘즙 300g~400g, 생강즙 200g~300g, 양파즙 1.2kg~1.4kg, 바나나 0.9kg~1.1kg, 천연색소 5g을 넣어 혼합 교반하여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spices sauce for making a hot soup}
본 발명은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육수를 이용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여 매운 맛과 부드러운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육수를 이용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는 공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매운 양념의 제조의 경우 고추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배합된 양념을 수일 간 숙성을 통해 양념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매운 맛을 조절하기 위해 고춧가루의 양에 따라 양념의 매운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등록특허 제453769호에서는 월계수 잎 등을 이용한 양념소스 제조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의 경우에는 월계수 잎 등의 향을 통해 식미감을 돋을 수 있으나 영양 성분 공급 및 매운 맛 등을 선호하는 일반인에게는 소스로서의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451998호에서는 과일과 야채엑기스를 이용한 양념소스 제조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의 경우에 역시 매운 맛 등을 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며, 별도의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없이 직접 제조하기에 소스 또는 국물에서 우려낸 맛을 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명태 등이 혼합되어 단백질이 풍부하고 청량고추가 혼합되어 매운 맛이 나는 육수물을 제조하고 나아가 캡사이신 등과 바나나의 영양 성분의 상호 조화에 의한 매운 맛 및 부드러운 맛의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명태 등이 혼합되어 단백질이 풍부하고 청량고추가 혼합되어 매운 맛이 나는 육수물 제조를 통해 식미감이 좋은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 소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된 육수물을 통해 미숫가루 등의 양념을 통한 영양분을 제공하기 위한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사이신 등과 바나나의 영양 성분의 상호 조화에 의한 매운 맛 및 부드러운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조방법은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육수를 이용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매운 맛과 부드러운 맛을 동시에 낼 수 있는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물 28kg을 120℃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다시마 120g~160g, 멸치 270~310g, 무우 1,550~1,950g, 대파 600g~1,000g, 청량고추 110g~150g, 통마늘 130g~170g, 양파 1,250g~1,650g, 명태 100g~300g, 어묵 0.8kg~1.2kg을 넣어 20~40분간 가열하여 끓인 육수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의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우려낸 육수물 8kg와 청양고추가루 2.3kg을 기준으로 사이다 700g~900g, 미숫가루 900g~1100g, 소고기 분말가루 1.7kg~1.9kg, 백설탕 2.9kg~3.1kg, 흑설탕 1.9kg~2.1kg, 흑물엿 2.4kg~2.6kg, 후추 140~160g, 고추장 1kg~1.2kg, 캡사이신 350g~450g, 마늘즙 300g~400g, 생강즙 200g~300g, 양파즙 1.2kg~1.4kg, 바나나 0.9kg~1.1kg, 천연색소 5g을 넣어 혼합 교반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육수를 이용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을 통해 종래 양념소스에서 느낄 수 없었던 매운 맛과 부드러운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육수를 이용하여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공하는 공정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물 28kg을 120℃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다시마 120g~160g, 멸치 270~310g, 무우 1,550~1,950g, 대파 600g~1,000g, 청량고추 110g~150g, 통마늘 130g~170g, 양파 1,250g~1,650g, 명태 100g~300g, 어묵 0.8kg~1.2kg을 넣어 20~40분간 가열하여 끓인 육수를 제조한다.
상기 제조시 다시마 140g, 멸치 290g, 무우 1,750g, 대파 800g, 청량고추 130g, 통마늘 150g, 양파 1,450g, 명태 200g, 어묵 1kg을 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분간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육수의 맛을 내기위해 명태를 이용하게 되는데 명태의 경우 단백질이 우수한 식품으로 성장과 생식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우리 인체에 있어서 체액, 혈액의 중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비타민 A와 나이아신이 풍부하여 인체의 피부와 점막에 중요한 식품이며, 특히 레티놀은 고운피부 및 주름방제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이러한 명태 성분이 물 28kg 대비 300g을 초과하는 경우 육수에 있어 비린 맛이 날수 있으며, 50g 미만인 경우 육수에 있어 명태 성분 및 미감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육수에 있어서 청량고추를 이용하게 되는데 청량고추의 경우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고추의 매운 맛을 내게 되며, 미네랄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 상기와 같은 청량고추의 경우 물28kg 대비 110g 미만인 경우 일반 고추를 사용 하는 경우와 동일한 매운 맛이 나게 되며 150g 초과의 경우 너무 매운 맛으로 인해 식미감에 있어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어묵 1kg을 육수 제조시에 넣음으로써 신체 내의 칼슘을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2.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 제조공정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를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우려낸 육수물 8kg와 청양고추가루 2.3kg을 기준으로 사이다 700g~900g, 미숫가루 900g~1100g, 소고기 분말가루 1.7kg~1.9kg, 백설탕 2.9kg~3.1kg, 흑설탕 1.9kg~2.1kg, 흑물엿 2.4kg~2.6kg, 후추 140~160g, 고추장 1kg~1.2kg, 캡사이신 350g~450g, 마늘즙 300g~400g, 생강즙 200g~300g, 양파즙 1.2kg~1.4kg, 바나나 0.9kg~1.1kg, 천연색소 5g을 넣어 혼합 교반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조시 사이다 800g, 미숫가루 1000g, 소고기 분말가루 1.8kg, 백설탕 3kg, 흑설탕 2kg, 흑물엿 2.5kg, 후추 150g, 고추장 1.1kg, 캡사이신 400g, 마늘즙 350g, 생강즙 250g, 양파즙 1.3kg, 바나나 1kg, 천연색소 5g을 넣어 혼합 교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념소스 제조에 있어 미숫가루가 첨가되게 되는데 1g당 4kcal로의 열량을 가지고 있어 탄수화물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20g 첨가시에 한끼 식사량에 버금가는 열량을 제공함으로써 양념을 통해 활동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미숫가루는 15g 미만인 경우 미숫가루의 맛을 느끼지 못하 며, 30g 초과인 경우 고 열량으로 신체의 비만을 형성할 수 있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청양고추와 더불어 캡사이신의 첨가로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기초대사량을 늘리고 특히 지방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조시에 캡사이신이 450g을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발한작용을 일으켜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으며, 350g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분해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나나를 1kg 소스에 제공함으로써 바나나의 성분인 식물성 섬유의 일종이 펙틴을 통해 장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변비에도 좋은 효과를 내며, 열을 내려주고 장을 촉촉하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상기 캡사이신의 발한작용과 상호 작용하여 열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 첫맛은 매운 맛 끝맛은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1kg 초과한 바나나가 함유되는 경우에는 매운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되며, 1kg 미만의 바나나가 함유되는 경우 매운 맛에 대한 상호 보완작용을 하지 못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공정을 통해 생성된 양념소스에 어묵을 넣고 100℃ 이상으로 끓여 고온에서 살균 처리하여 매운 국물 맛이 나는 어묵 국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양념소스를 이용하여 각종 육류, 어류, 해산물, 떡 등에도 응용하여 매운 맛을 내는 양념소스로서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물 28kg을 120℃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다시마 120g~160g, 멸치 270~310g, 무우 1,550~1,950g, 대파 600g~1,000g, 청량고추 110g~150g, 통마늘 130g~170g, 양파 1,250g~1,650g, 명태 100g~300g, 어묵 0.8kg~1.2kg을 넣어 20~40분간 가열하여 끓인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의 육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우려낸 육수물 8kg와 청양고추가루 2.3kg을 기준으로 사이다 700g~900g, 미숫가루 900g~1100g, 소고기 분말가루 1.7kg~1.9kg, 백설탕 2.9kg~3.1kg, 흑설탕 1.9kg~2.1kg, 흑물엿 2.4kg~2.6kg, 후추 140~160g, 고추장 1kg~1.2kg, 캡사이신 350g~450g, 마늘즙 300g~400g, 생강즙 200g~300g, 양파즙 1.2kg~1.4kg, 바나나 0.9kg~1.1kg, 천연색소 5g을 넣어 혼합 교반하여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 제조방법.
  2. 제1항에 의해 제조된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
  3. 제2항에 의해 제조된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가 포함된 매운 어묵 국물.
KR1020070102558A 2007-10-11 2007-10-11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KR10088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58A KR100881949B1 (ko) 2007-10-11 2007-10-11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58A KR100881949B1 (ko) 2007-10-11 2007-10-11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949B1 true KR100881949B1 (ko) 2009-02-04

Family

ID=4068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58A KR100881949B1 (ko) 2007-10-11 2007-10-11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98B1 (ko) * 2010-02-08 2011-02-14 이강운 우동국물에 첨가되는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620682B1 (ko) 2023-03-30 2024-01-03 조신철 우신탕 소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신탕 소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529A (ko) * 1996-10-30 1998-07-25 김태수 고춧가루 및 고추장을 이용한 핫소스의 제조방법
KR100438316B1 (ko) 2001-10-24 2004-07-02 유영숙 황태, 생선 또는 육류 조리용 양념
KR100692297B1 (ko) 2005-10-05 2007-03-09 홍진경 노가리 육수를 이용한 김치 제조 방법 및 그 김치
KR20070095464A (ko) * 2005-06-07 2007-10-01 정규화 만능요리양념장 1호(고추다대기),만능요리양념장 2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529A (ko) * 1996-10-30 1998-07-25 김태수 고춧가루 및 고추장을 이용한 핫소스의 제조방법
KR100438316B1 (ko) 2001-10-24 2004-07-02 유영숙 황태, 생선 또는 육류 조리용 양념
KR20070095464A (ko) * 2005-06-07 2007-10-01 정규화 만능요리양념장 1호(고추다대기),만능요리양념장 2호
KR100692297B1 (ko) 2005-10-05 2007-03-09 홍진경 노가리 육수를 이용한 김치 제조 방법 및 그 김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798B1 (ko) * 2010-02-08 2011-02-14 이강운 우동국물에 첨가되는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620682B1 (ko) 2023-03-30 2024-01-03 조신철 우신탕 소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신탕 소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225B1 (ko) 생선조리용 소스 제조방법
CN102972773B (zh) 一种营养罐头及其生产方法
CN105495302A (zh) 一种营养滋补粥
CN104799332A (zh) 一种香菇营养降火香肠及其制备方法
KR101914977B1 (ko) 뼈해장국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뼈해장국
CN105433112A (zh) 一种芥末酱油制作方法
CN104305110A (zh) 老郴州鱼粉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2108609B1 (ko) 떡볶이용 소스의 제조 방법
KR102144299B1 (ko) 떡볶이 소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1949B1 (ko) 매운 국물을 내기 위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KR101414322B1 (ko) 칠리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8173A (ko) 벌꿀을 함유하는 황태양념구이의 제조방법 및 황태양념구이
KR20190134553A (ko)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KR20090037104A (ko) 떡볶이 양념의 제조방법
KR20200074451A (ko) 식이섬유가 함유된 양념 및 그 제조 방법
CN109566952A (zh) 一种火锅麻酱蘸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31367A (ko) 찌게 육수 제조방법
KR20210071665A (ko) 매운 국물용 양념소스 제조방법
KR102329397B1 (ko) 미네랄이 풍부한 순대전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순대전골
CN104286984A (zh) 一种板栗酱料
KR101843887B1 (ko) 헛개나무 열매를 이용한 건강식 면류용 육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1252A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3714B1 (ko) 흰찰쌀보리를 이용한 강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강된장 소스
CN104000110A (zh) 一种香辣青豆锅巴及其加工方法
CN109566950A (zh) 一种预包装火锅麻酱蘸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