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26B1 - 지엽류 분리 기구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26B1
KR100877126B1 KR1020070074596A KR20070074596A KR100877126B1 KR 100877126 B1 KR100877126 B1 KR 100877126B1 KR 1020070074596 A KR1020070074596 A KR 1020070074596A KR 20070074596 A KR20070074596 A KR 20070074596A KR 100877126 B1 KR100877126 B1 KR 10087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roller
paper sheet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597A (ko
Inventor
히데토 네이
노부유키 쇼지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과제) 사이즈가 상이한 지엽류가 혼재되어 투입된 경우, 픽업 롤러에 맞닿은 2 장의 지엽류가 동시에 조출 (繰出) 되어 지엽류가 잼이나 분리 불량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 수단) 픽업 롤러 (1) 와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로서, 지엽류 (10) 의 반송 방향 A 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우측, 중앙, 좌측의 3 개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반송 방향 A 에 복수열 설치하고,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7)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8)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지엽류를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지엽류 (10) 를 지엽류 투입구 (9) 에 되돌리도록 하였다.
지엽류 분리, 픽업 롤러, 현금 자동 거래

Description

지엽류 분리 기구{PAPER SHEET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 현금 정리기 등에 탑재되는 지엽류 분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등에서는, 지엽류, 예를 들어, 지폐가 장치에 투입되면, 지엽류 분리 기구로 지폐가 1 장씩 분리되어 다음의 처리계에 반송 (搬送)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지엽류 분리 기구로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75994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지엽류 분리 기구에서는, 사이즈가 상이한 지엽류가 투입되었을 때, 그 지엽류가 복수의 픽업 롤러 모두에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제어 가능하지만, 픽업 롤러 중 어느 1 개가 다음의 지엽류에 맞닿는 사이즈가 상이한 지엽류가 투입된 경우에는, 픽업 롤러에 맞닿은 2 장의 지엽류가 동시에 조출되고, 분리 조출 직후에 이상 (異常) 사이즈의 지엽류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해 지엽류가 잼이나 분리 불량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퇴적 (堆積) 된 지엽류를 조출하는 픽업 롤러와, 지엽류를 반송하는 조출 롤러와, 조출 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로 되돌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분리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로서,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3 개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반송 방향에 복수열 설치하고,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3 개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복수열 설치하고,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도록 했기 때문에,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가 투입되어도, 분리 조출 직후에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검출하여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릴 수 있어 지엽류의 잼이나 분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퇴적된 지엽류를 조출하는 픽업 롤러와, 지엽류를 반송하는 조출 롤러와, 조출 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로 되돌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분리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로서,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3 개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반송 방향에 복수열 설치하고,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의 양방이 픽업 롤러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투입되어도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그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림으로써, 지엽류의 잼이나 분리 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1(a) 는 평면도, 1(b) 는 그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1(c) 는 그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픽업 롤러이며, 지엽류 투입구 (9) 에 설치되고, 외주의 일부에 지엽류 (10) 에 대해 그 조출, 반송을 위해 충분한 마찰력을 갖는 고마찰 부재 (1a) 를 갖고 있다. 이 픽업 롤러 (1) 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에 2 개) 배치되어 있다.
2 는 조출 롤러이며, 픽업 롤러 (1) 와 동일하게 외주의 일부에 지엽류 (10) 에 대해 그 조출, 반송을 위해 충분한 마찰력을 갖는 고마찰 부재 (2a) 를 갖고 있고, 또, 원주 방향 전체 영역에 걸친 링형상의 홈 (2b) 이 좌우 각각 2 개씩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조출 롤러 (2) 는 2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픽업 롤러 (1) 에 대응하여 픽업 롤러 (1) 의 조출 방향 A 에 배치되어 있다.
3 은 조출 롤러 (2) 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분리 롤러이며, 원주 방향 전체 영역에 걸친 링형상의 홈 (3b) 을 1 개 갖고 있다. 이 분리 롤러 (3) 는 조출 롤러 (2) 와 같은 간격이 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조출 롤러 (2) 와 서로의 링형상의 홈 (2b, 3b) 은 소정량 맞물려 있어 1 장의 지엽류 (10) 가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를 구성하고 있다. 분리 롤러 (3) 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어 지엽류 (10) 를 조출 방향 A 와 반대측으로 밀어 되돌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5 는 전체 둘레가 고마찰 부재로 이루어지는 롤러이며, 지엽류 (10) 의 크기에 따라 반송 방향의 위치가 적절하게 배치된다. 롤러 (1∼5) 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구동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의해 지엽류 (10) 의 조출과 복귀가 가능하다.
6 은 지엽류 투입구 (9) 의 조출 방향의 가이드이며, 도 1(a) 의 평면도에서는 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7 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한 쌍으로 하여 대향 배치시킨 센서이며,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는 게이트와 롤러 (4) 사이에 일렬로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중앙, 좌측의 3 개) 배치되어 지엽류 검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8 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한 쌍으로 하여 대향 배치시킨 센서이며, 롤러 (4) 와 롤러 (5) 사이에 일렬로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 중앙, 좌측의 3 개) 배치하여 지엽류 검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센서 (8) 는 롤러 (4) 와 롤러 (5) 사이에 있으면 수나 배치는 임의적이어도 되는데,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센서 (7) 와 센서 (8) 가 반송 방향에 있어서, 동일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 (7, 8) 로서 3 개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우측, 중앙, 좌측의 적어도 3 개 갖고 있으면 그 이상이어도 됨은 물론이다.
또, 지엽류 검출 장치로서 2 열로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열이어도 된다.
도 2 내지 도 9 는 실시예 1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 는 지엽류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지엽류가 게이트를 통과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센서 (8)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정상적인 지엽류를 우측 선행으로 조출한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 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엽류 (10) 를 지엽류 투입구 (9) 에 투입하면,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픽업 롤러 (1), 조출 롤러 (2) 및 롤러 (4, 5) 를 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지엽류 (10) 는 픽업 롤러 (1) 에 의해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는 게이트에 반송되고, 그 게이트에 의해 1 장으로 분리되며, 그 1 장이 롤러 (4, 5) 에 의해 반송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음의 처리계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정상적인 지엽류와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가 혼재되어 투입된 경우를 살펴 보면, 정상적인 지엽류는 상기 동작에 의해 다음의 처리계로 반송되지만,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지엽류 (12) 아래에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 (11) 가 존재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때, 지엽류 (11) 는 좌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고, 지엽류 (12) 는 우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픽업 롤러 (1) 를 회전시키면 지엽류 (11, 12) 모두가 픽업 롤러 (1) 에 의해 고마찰 부재 (1a) 의 길이만큼 조출되려고 하지만, 지엽류 (12) 는 좌측에 지엽류 (11) 가 있기 때문에, 지엽류 (11) 에 차단되어 좌측의 픽업 롤러 (1) 의 피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에 의해 구성되는 게이트를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3 과 같이 지엽류 (12) 의 우측이 선행 상태가 되고, 선행된 지엽류 (12) 의 우측 선단은 롤러 (4) 에 물려 들어간다.
그러면, 지엽류 (12) 는 롤러 (4) 에 의해 반송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다. 이 때 롤러 (4) 에 의해 반송되는 지엽류 (12) 에 의해 지엽류 (11) 가 끌려 나와, 도 4 와 같이 지엽류 (11) 도 우측 선행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반송되면, 도 5 와 같이 지엽류 (11) 에 의해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되고, 다음으로 지엽류 (11) 에 의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다. 여기에서, 지엽류 (12) 는 좌측이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는 게이트에 남아 있기 때문에, 저항이 커져 반송되는 양이 작아진다.
한편, 지엽류 (11) 는 롤러 (4) 에 의해 반송되어 도 7 과 같이 센서 (8) 의 중앙을 차광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차광 순서는 우측, 중앙, 좌측이었던 것이, 센서 (8) 에서는 중앙이 먼저 차광된 상태가 되어 차광 순서가 변화하게 된다.
정상적인 지엽류 (12) 만이 조출되는 경우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와 센서 (8) 의 차광 순서는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센서 (7) 와 센서 (8) 의 차광 순서가 변화된 경우에는,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 (11) 가 혼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롤러 (1∼5) 를 구동하고 있는 모터를 정지시키고, 조출 방향 A 와 반대 방향으로 롤러 (1∼5) 를 회전시켜 지엽류 투입구 (9) 에 지엽류 (11, 12) 를 되돌리고, 장치 사용자에게 지엽류의 재세팅을 촉진한다.
또한, 이상 여부의 판단은 도시하지 않은 예를 들어 CPU 로 실시하고, CPU 는 모터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에 의하면, 적어도 3 개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 류 검출 장치를 복수열 설치하고,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도록 했기 때문에,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의 양방이 픽업 롤러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투입되어도, 분리 조출 직후에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의 존재를 검출하여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지엽류의 잼이나 분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실시예 1 은 1 열째의 센서 (7) 의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센서 (8) 의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데, 실시예 2 에서는 1 열째 또는 2 열째의 좌우의 센서가 차광되고, 중앙의 센서가 차광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도 10 은 지엽류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지엽류가 게이트를 통과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중앙이 찢어진 지엽류를 조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및 도 16 은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상적인 지엽류 (12) 와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 (11) 를 혼재하여 투입한 경우, 정상적인 지엽류 (12) 는 다음의 처리계로 반송되지만,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지엽류 (12) 아래에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 (11) 가 존재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때, 지엽류 (11) 는 좌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고, 지엽류 (12) 는 우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픽업 롤러 (1) 를 회전시키면 지엽류 (11, 12) 모두가 픽업 롤러 (1) 에 의해 고마찰 부재 (1a) 의 길이만큼 조출되려고 하지만, 지엽류 (12) 는 좌측에 지엽류 (11) 가 있기 때문에, 지엽류 (11) 에 차단되어 좌측의 픽업 롤러 (1) 의 피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에 의해 구성되는 게이트를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 11 과 같이 지엽류 (12) 의 우측이 선행 상태가 되고, 선행된 지엽류 (12) 의 우측 선단은 롤러 (4) 에 물려 들어간다.
그러면, 지엽류 (12) 는 롤러 (4) 에 의해 반송되고,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다. 이 때 지엽류 (11) 는 픽업 롤러 (1) 와 조출 롤러 (2) 의 고마찰 부재 (1a, 2a) 로 반송되고, 지엽류 (12) 는 좌측이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는 게이트에 남아 있기 때문에, 저항이 커져 반송되는 양이 적어진다. 그러면, 지엽류 (11) 에 의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다.
지엽류 (11, 12) 의 검출은 최초로 차광된 우측 센서 (7) 의 차광으로부터 일정 시간 후에 판단되는데, 이 상태의 경우,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차광 순서는 우측, 좌측이 되고,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정상적인 지엽류 (12) 가 조출되는 경우에는, 도 8 과 같이 센서 (7) 의 차광 순서는 우측 선행으로 조출되면, 우측, 중앙, 좌측이 되고, 좌측 선행으로 조출되면, 좌측, 중앙, 우측이 된다.
따라서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 (11) 가 혼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롤러 (1∼5) 를 구동하고 있는 모터를 정지시키고, 조출 방향 A 와 반대 방향으로 롤러 (1∼5) 를 회전시켜 지엽류 투입구 (9) 에 지엽류 (11, 12) 를 되돌리고, 장치 사용자에게 지엽류의 재세팅을 촉진한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중앙이 찢어진 지엽류 (13) 를 조출한 경우에도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도 15 와 유사한 센서 출력이 되어 이상한 지엽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7) 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에 있어서는 정상이어도, 센서 (8) 에 있어서 동일한 센서 출력이 검출된 경우도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 에 의하면, 좌우의 센서가 차광되고, 중앙의 센서가 차광되지 않은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실시예 1 보다 더욱 이상에 대한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도 17 및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 은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 는 센서 (7) 또는 센서 (8) 의 중앙이 차광되지 않은 경우이지만, 실시예 3 은 중앙의 센서 (7) 가 좌우의 센서 (7) 보다 먼저 차광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예이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가 흐트러진 상태로 세팅된 위치에서 조출된 경우, 센서 (7) 의 중앙이 먼저 차광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정상적인 지엽류 (12) 가 조출되는 경우에는, 센서 (7) 의 차광 순서는 지엽류 (12) 가 우측 선행으로 조출되면 우측, 중앙, 좌측이 되고, 좌측 선행으로 조출되면, 좌측, 중앙, 우측이 되기 때문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7) 의 중앙이 먼저 차광되는 경우에는 이상한 지엽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8) 에 있어서 동일한 센서 출력이 검출된 경우도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3 에 의하면, 중앙의 센서가 좌우의 센서보다 먼저 차광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단하므로, 실시예 2 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19 및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9 는 실시예 4 의 평면도, 도 20 은 실시예 4 와 비교하기 위해 픽업 롤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예 4 의 구성은, 픽업 롤러 (1) 의 위치가 상이할 뿐, 다른 것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1 과 같이, 픽업 롤러 (1) 는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는 게이트에 대해서, 게이트 폭의 센터와 픽업 롤러 (1) 의 폭방향의 센터를 좌우 각각 동일 라인에 맞춘다. 즉 좌측은 도 1(a) 에 나타내는 분리 롤러 (3) 의 센터 (GL) 와 픽업 롤러 (1) 의 센터 (PL), 우측은 도 1(a) 에 나타내는 분리 롤러 (3) 의 센터 (GR) 와 픽업 롤러 (1) 의 센터 (PR) 를 동일 라인으로 하는 배치가 일반적이다.
이것에 대해, 실시예 4 에서의 픽업 롤러 (1) 의 배치는, 좌측은 도 19 에 나타내는 분리 롤러 (3) 의 센터 (GL) 에 대해서 픽업 롤러 (1) 의 센터 (PL) 를 외측의 위치에 어긋나도록 배치해 놓고, 우측은 도 19 에 나타내는 분리 롤러 (3) 의 센터 (GR) 에 대해서 픽업 롤러 (1) 의 센터 (PR) 를 외측의 위치에 어긋나도록 배치한 것이다.
실시예 1,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지엽류 (12) 와 작은 사이즈의 지엽류 (11) 가 혼재되어 투입된 경우, 지엽류 (11) 는 좌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고, 지엽류 (12) 는 우측의 픽업 롤러 (1) 에 맞닿은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픽업 롤러 (1) 를 회전시켰을 때, 지엽류 (12) 의 우측을 선행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 19 는 픽업 롤러 (1) 를 분리 롤러 (3) 의 센터에 대해서 픽업 롤러 (1) 의 센터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어긋나도록 배치한 예이고, 도 20 은 픽업 롤러 (1) 를 분리 롤러 (3) 의 센터에 대해서 픽업 롤러 (1) 의 센터를 내측의 위치에 어긋나도록 배치한 예이다.
지엽류 (11) 와 지엽류 (12) 가 모두 조출 롤러 (2) 와 분리 롤러 (3) 로 구성되어 있는 게이트에 들어가려고 하면, 지엽류 (12) 의 좌측은 지엽류 (11) 에 의해 픽업 롤러 (1) 의 피드력이 차단되어 있고, 게이트는 지엽류 1 장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엽류 (12) 는 좌측의 게이트를 통과할 수 없다. 한편, 지엽류 (12) 의 우측은 피드력 (F) 에 의해 조출되어 우측의 게이트를 통과한다. 즉, 지엽류 (12) 에는 점 G 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엽류 (12) 는 우측 선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점 G 를 지지점으로 한 회전력을 크게 하는 것이 좋다. 픽업 롤러 (1) 의 피드력 (F) 이 동일하다고 하면,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1>L2 이므로, 도 19 에 나타내는 픽업 롤러 (1) 의 배치가, 실시예 1∼3 에 나타낸 지엽류의 이상의 검출에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4 에 의하면,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의 양방에 픽업 롤러가 맞닿아 있는 양태에서 투입된 경우, 분리 롤러의 센터에 대해서 픽업 롤러의 센터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픽업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이상 지엽류 혼재의 경우, 이상 지엽류의 검출 확률이 커지기 때문에, 지엽류의 잼이나 분리 불량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지엽류가 게이트를 통과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센서 (8)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정상적인 지엽류를 우측 선행으로 조출한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지엽류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지엽류가 게이트를 통과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센서 (7) 의 우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센서 (7) 의 좌측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중앙이 찢어진 지엽류를 조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 은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센서 (7) 의 중앙이 차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정상적인 지엽류와 이상 사이즈의 지엽류를 혼재시킨 경우의 센서 출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실시예 4 의 평면도.
도 20 은 픽업 롤러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픽업 롤러 2 : 조출 롤러
3 : 분리 롤러 7, 8 : 센서
9 : 지엽류 투입구 10∼13 : 지엽류
PR : 픽업 롤러 우측의 센터
PL : 픽업 롤러 좌측의 센터
GR : 분리 롤러 우측의 센터
GL : 분리 롤러 좌측의 센터

Claims (4)

  1. 퇴적된 지엽류를 조출하는 픽업 롤러와, 지엽류를 반송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조출 롤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지엽류를 지엽류 투입구로 되돌리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분리 롤러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로서,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3 개 이상의 센서를 일렬로 배치한 지엽류 검출 장치를 상기 반송 방향에 복수열 설치하고, 1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와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차광 상태의 순서가 다른 경우,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열째 또는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중, 좌우의 센서가 차광되고, 중앙의 센서가 차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열째 또는 2 열째의 지엽류 검출 장치의 센서 중, 중앙의 센서가 좌우의 센서보다 먼저 차광된 경우,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투입구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를 좌우 한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 롤러를 좌우 한쌍으로 구성하고, 좌우 각각의 상기 분리 롤러의 센터에 대해서, 좌우 각각의 상기 픽업 롤러의 센터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KR1020070074596A 2006-11-30 2007-07-25 지엽류 분리 기구 KR10087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2826 2006-11-30
JP2006322826A JP4706625B2 (ja) 2006-11-30 2006-11-30 紙葉類分離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97A KR20080049597A (ko) 2008-06-04
KR100877126B1 true KR100877126B1 (ko) 2009-01-07

Family

ID=3948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596A KR100877126B1 (ko) 2006-11-30 2007-07-25 지엽류 분리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06625B2 (ko)
KR (1) KR100877126B1 (ko)
CN (1) CN101190759B (ko)
TW (1) TWI335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4149B1 (it) * 2008-09-12 2012-05-25 Panotec Srl Apparecchiatura per il caricamento di un materiale relativamente rigido, ad esempio cartone, e relativo procedimento di caricamento
JP5268667B2 (ja) 2009-01-16 2013-08-21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205292B2 (ja) 2009-01-16 2013-06-0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463735B2 (ja) * 2009-05-28 2014-04-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CN102910468B (zh) 2012-11-06 2015-04-1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处理系统及其检测薄片类介质实时位置的方法
CN103935791B (zh) * 2014-05-04 2017-06-06 南京华设科技股份有限公司 分页纸质图文材料远程智能操控模块
JP6926719B2 (ja) 2017-06-26 2021-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6912755B2 (ja) 2017-07-31 2021-08-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489A (ja) * 1990-11-29 1992-07-20 Toshiba Corp 紙幣処理装置
KR19980035412U (ko) * 1996-12-12 1998-09-15 구자홍 지폐 분리 장치
JPH1166384A (ja) 1997-08-14 1999-03-09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券売装置
KR20050116658A (ko) * 2004-06-08 2005-12-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8539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883B2 (ja) * 1988-04-06 199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扱装置
JPH06183601A (ja) * 1992-12-17 1994-07-05 Fuji Xerox Co Ltd 用紙異常搬送検知装置
JPH08324834A (ja) * 1995-05-29 1996-12-10 Toshiba Corp 給紙装置及び光学的文字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9489A (ja) * 1990-11-29 1992-07-20 Toshiba Corp 紙幣処理装置
KR19980035412U (ko) * 1996-12-12 1998-09-15 구자홍 지폐 분리 장치
JPH1166384A (ja) 1997-08-14 1999-03-09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及び券売装置
KR20050116658A (ko) * 2004-06-08 2005-12-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78539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97A (ko) 2008-06-04
TW200823140A (en) 2008-06-01
TWI335898B (en) 2011-01-11
CN101190759A (zh) 2008-06-04
JP2008137734A (ja) 2008-06-19
CN101190759B (zh) 2011-01-26
JP4706625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126B1 (ko) 지엽류 분리 기구
JP6360307B2 (ja) シート給送装置、原稿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
RU248400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процессом пошту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от стопки
US8828165B2 (en) Spacing interval control method and sheet lamin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432860B2 (ja) 紙葉類のスキュー制御搬送装置
JPH0585642A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6612308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S6248272B2 (ko)
JP6198929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035562B1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이매검출시스템
US8480077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WO2019163004A1 (ja)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JP7054150B2 (ja) 紙幣繰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2927883A1 (en) Mechanism for preventing coin from being mistakenly inserted in banknote processing machine
JPS62161656A (ja) 記録紙搬送装置に於ける紙検出機構
EP1510977B1 (en) A note skew detector
JP5286794B2 (ja) 紙幣処理装置
JPS58157656A (ja) 単票の斜行插入検出機構
JP2009120393A (ja) 媒体搬送装置
JP2009242055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7157123A (ja) 紙葉類分離装置
JPS61276088A (ja) 紙幣入金機の異常投入検知装置
JPH11199089A (ja) 紙葉類供給装置
JPH0522156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6206647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