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208B1 -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 - Google Patents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208B1
KR100871208B1 KR1020050102065A KR20050102065A KR100871208B1 KR 100871208 B1 KR100871208 B1 KR 100871208B1 KR 1020050102065 A KR1020050102065 A KR 1020050102065A KR 20050102065 A KR20050102065 A KR 20050102065A KR 100871208 B1 KR100871208 B1 KR 10087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molded article
portions
plate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283A (ko
Inventor
가즈또 우에노
사또루 마지마
다까시 하라오까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53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s
    • B21D26/059Layer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B21D26/045Clos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및 제2 외면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에 면하는 측면부를 갖는 예비 성형체이다.
액압 성형품, 외면재, 중공부, 격벽, 보강재, 예비 성형체

Description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PREFORM FOR HYDROFORMING, HYDROFORMING METHOD, AND HYDROFORMED PRODUCT}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선Ⅲ-Ⅲ에 관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이 적용되는 자동차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6은 도5에 도시되는 예비 성형체의 배면도.
도7은 도5의 선Ⅶ-Ⅶ에 관한 단면도.
도8은 도5의 선Ⅷ-Ⅷ에 관한 단면도.
도9는 상부판, 하부판, 하방 중간판 및 상방 중간판의 접합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하부판에 대한 하방 중간판의 접합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9에 이어지는 하방 중간판에 대한 상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1은 도10에 이어지는 상방 중간판에 대한 상부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 장치의 상부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14는 도12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 장치의 하부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클램핑을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도15에 관한 다른 쪽 단부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17은 도16에 이어지는 성형 초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8은 도17에 이어지는 클램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9는 도18에 이어지는 성형 중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0은 도19에 이어지는 성형 후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1은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2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액압 성형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3은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2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2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7은 도26에 도시되는 예비 성형체의 보강재를 구성하는 하방 중간판 및 상방 중간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8은 상부판, 하부판, Y하방 중간판 및 상방 중간판의 접합 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 하방 중간판에 대한 상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9는 도28에 이어지는 하부판에 대한 하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0은 도29에 이어지는 상방 중간판에 대한 상부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3은 도32에 도시되는 예비 성형체의 배면도.
도3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5는 도34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의 정면도.
도36은 도35의 선XXXⅥ-XXXⅥ에 관한 단면도.
도37은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판
12 : 돔 형상부
15, 25 : 중간부
20 : 하부판
22 : 개구부
30 : 상방 중간판
31, 41 : 전단부
35, 45 : 측면부
40 : 하방 중간판
50 : 예비 성형체
54, 55, 56 : 접합부
60 : 액압 성형품
65 : 격벽
os : 포갬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20960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82142호 공보
본 발명은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이드 부재 등의 자동차의 차체 구조 부재는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공 구조를 갖고, 또한 강도를 보충하기 위한 보강 리브가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차체 구조 부재에 적용되는 액압 성형품은 2매의 외면재 및 보강재를 갖는 예비 성형체의 내부에 액압을 공급하여 팽창 변형시켜 얻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32096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2004-82142호 공보 참조).
그러나, 보강재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 리브는 액압 성형품의 중공 단면을 국소적(점적)으로 지지하고 있을 뿐이고, 예를 들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향상에 관한 기여는 적다.
또한, 단면 X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는 외면재의 포갬면으로부터 경사져 연장되는 측벽부만을 지지한다. 그로 인해, 외면재의 포갬면에 수직인 방향(종방향)에 관한 강성 향상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압 성형품의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얻기 위한 액압 성형 방법 및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서술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및 제2 외면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재를 갖는 예비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 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는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에 면하는 측면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및 제2 외면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에 면하는 측면부를 갖고 있는 예비 성형체를 액압 성형품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면을 갖는 성형 금형의 내측에 배치하고, b) 상기 보강재의 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경유하여 성형 매체를 유통시켜 액압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예비 성형체를 팽창 변형시키고, c)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 및 상기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액압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는 제1 및 제2 외면재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갖는 예비 성형체에 액압 성형을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액압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액압 성 형품은 중공부의 외면, 상기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 및 간극을 갖는다.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는다. 상기 격벽은 상기 보강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에 관한 상기 외면의 정상부에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간극은 상기 격벽의 측면부와 상기 외면의 측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특질은 이후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예시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선Ⅲ-Ⅲ에 관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이 적용되는 자동차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액압 성형품(60)은 중공 형상 구조를 형성하는 외면(61, 62) 및 격벽(65)을 갖고, 경량화 및 고강성화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 부품, 예를 들어 서스펜션 부품의 사이드 부재나 크로스 부재에 적용된다. 그러나, 액압 성형품(60)은 필러 부품, 축 부품, 혹은 보디 사이드 부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면(61, 62)은 외면재의 포갬면(os)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61A, 62A)와, 측벽부(61A, 62A)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61B, 62B)를 갖는다. 격벽(65)의 일단부인 상단부(66) 및 타단부인 하단부(67)는 정상부(61B, 62B)에 각각 접합되어 있고, 격벽(65)은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고 있다.
격벽(65)은 일단부가 서로 접합된 제1 및 제2 부위(65A, 65B)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부위(65A, 65B)의 타단부는 격벽(65)의 상단부(66) 및 하단부(67)를 각각 구성하고 있다. 격벽(65)의 측면부(68)와 외면(61, 62)의 측벽부(61A, 62A) 사이에는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65)은 외면(61, 62)의 정상부(61B, 62B)에 상단부(66) 및 하단부(67)가 접합되어 있고, 액압 성형품(60)의 중공 단면의 넓은 범위를 선형으로 지지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격벽(65)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는 정상부(61B, 62B)이므로, 외면재의 포갬면(os)에 수직인 방향(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향상되고 있다.
도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6은 도5에 도시되는 예비 성형체의 배면도, 도7은 도5의 선Ⅶ-Ⅶ에 관한 단면도, 도8은 도5의 선Ⅷ-Ⅷ에 관한 단면도이다.
예비 성형체(50)는 외면재 및 보강재를 갖는다. 외면재는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의 외면(61, 62)을 형성하게 되는 부재이다. 보강재는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65)을 형성하게 되는 부재이다.
외면재를 구성하는 판재는 상부판(제1 외면재)(10) 및 하부판(제2 외면재)(20)로 이루어지고, 포개어진 모서리부는 구석 두께 용접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52)를 갖는다. 접합부(52)의 형성 방식은 밀폐성이 확보되고, 또한 액압 성형성 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아크 용접, 혹은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는 대략 동일한 직사각 형상을 갖는 상방 중간판(제1 보강재)(30) 및 하방 중간판(제2 보강재)(40)으로 이루어져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내측에 포개어 배치된다.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액압 성형품(60)의 격벽(65)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부위(65A, 65B)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상부판(10) 및 하부판(20)으로서의 외면재 및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으로서의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냉간 압연 강판이나 열간 압연 연강판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압 성형품(60)의 외면(61)을 형성하게 되는 상부판(10)은 중간부(15)와, 중간부(15)의 양측에 위치하는 단부(11, 16)를 갖는다. 중간부(15)의 외주 부위(15A) 및 중앙 부위(15B)는 외면(61)에 있어서의 측벽부(61A) 및 정상부(61B)를 형성하게 된다. 한쪽 단부(11)는 돔 형상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액압 성형품(60)의 외면(62)을 형성하게 되는 하부판(20)은 상부판(10)보다 약간 큰 사이즈를 갖고, 또한 상부판(10)과 유사형이고, 상부판(10)의 중간부(15)와 마주 대하는 중간부(25)와, 상부판(10)의 단부(11, 16)와 마주 대하는 단부(21, 26)를 갖는다. 중간부(25)의 외주 부위(25A) 및 중앙 부위(25B)는 외면(62)에 있어서의 측벽부(62A) 및 정상부(62B)를 형성하게 된다. 단부(21)는 돔 형상부(12)와 위치 맞춤된 개구부(22)를 갖는다.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단부 (11, 21)에 면하는 일단부인 전단부(31, 41),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단부(16, 26)에 면하는 타단부인 후단부(36, 46) 및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중간부(15, 25)의 외주 부위(15A, 25A)에 면하는 측면부(35, 45)를 갖는다.
상방 중간판(30)의 전단부(31)는 접합부(56)를 거쳐서 상부판(10)의 중앙 부위(15B)에 연결되어 있다. 하방 중간판(40)의 전단부(41)는 접합부(54)를 거쳐서 하부판(20)의 중앙 부위(25B)에 연결되어 있다. 상방 중간판(30)의 후단부(36)는 접합부(55)를 거쳐서 하방 중간판(40)의 후단부(46)에 연결되어 있다.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측면부(35, 45)는 접합되어 있지 않고, 액압 성형 시에 있어서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중간부(15, 25)의 외주 부위(15A, 25A)와 공동하여 성형 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간극을 형성한다.
접합부(54, 55, 56)는 관통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관통 용접은 표면에 위치하는 제1 판재와,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가 상호 융접하여 양호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관통 용접은 레이저 용접이나 전자 빔 용접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합부(54, 55, 56)의 형성 방식은 접합 강도가 확보되고, 또한 액압 성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의 외면(61, 62)에 있어서의 정상부(61B, 62B)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중앙 부위(15B, 25B)에 각각 접합되는 전단부(31, 41)와, 측벽부(61A, 62A)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외주 부위(15A, 25A)에 면하는 측면부(35, 45)를 갖는다.
그로 인해, 예비 성형체(50)에 액압 성형이 적용되는 경우,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측면부(35, 45)와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외주 부위(15A, 25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경유하여 성형 매체를 유통시켜 액압을 부여하여 예비 성형체(50)를 팽창 변형시킴으로써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에 의해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65)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65)은 성형 매체가 예비 성형체(50) 내에서 흐르는 방향, 즉 액압 성형품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격벽(65)은 상부판(10) 및 하부판(20)에 관한 외면(61, 62)의 정상부(61B, 62B)에 상단부(66) 및 하단부(67)가 접합되어 있고, 액압 성형품(60)의 중공 단면의 넓은 범위를 선형으로 지지하므로, 예를 들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격벽(65)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는 정상부(61B, 62B)이므로,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포갬면(os)에 수직인 방향(종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예비 성형체의 외면재(하부판 및 상부판) 및 보강재의 접합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9는 하부판에 대한 하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0은 도9에 이어지는 하방 중간판에 대한 상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1은 도10에 이어지는 상방 중간판에 대한 상부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소정 위치에 배치된 하부판(20)의 중간부(25)의 중앙 부위(25B)에 하방 중간판(40)을 적재한다. 그리고, 하방 중간판(40)의 전단부(41)를 관통 용접에 의해 하부판(20)의 중앙 부위(25B)에 접합하여 접합부(54)를 형성한다(도9 참조).
그 후, 하방 중간판(40)에 대해 상방 중간판(30)을 정합하도록 적재하여 상방 중간판(30)의 후단부(36)를 관통 용접에 의해 하방 중간판(40)의 후단부(46)에 접합하여 접합부(55)를 형성한다(도10 참조).
그리고, 상부판(10)이 적재되어 상부판(10)의 모서리부와 하부판(20)의 모서리부가 포개어진다. 그리고, 상부판(10)의 중간부(15)의 중앙 부위(15B)를 관통 용접에 의해 상방 중간판(30)의 전단부(31)에 접합하여 접합부(56)를 형성한다(도11 참조).
최후에,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포개어진 모서리부가 접합되어 예비 성형체(50)를 얻을 수 있다(도7 참조).
도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 장치의 상부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14는 도12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 장치의 하부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액압 성형 장치는 성형 금형[상부형(70) 및 하부형(80)] 및 액압 공급 기구(90)를 갖는다. 상부형(70) 및 하부형(80)은 근접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예비 성형체(50)가 내측에 배치되어 클램핑된다.
상부형(70) 및 하부형(80)은 캐비티면(71, 81)과, 압박부(75, 85)를 갖는다. 캐비티면(71, 81)은 액압 성형품(6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고,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의 외면(61, 62)에 있어서의 측벽부(61A, 62A) 및 정상부(61B, 62B)에 대응하는 측벽 및 정상면(표면 혹은 바닥면)을 갖는다. 압박부(75, 85)는 클램 핑에 의해 예비 성형체(50)의 외주를 파지하는 부위이다.
상부형(70)의 압박부(75)는 캐비티면(71)으로부터 연장되는 오목부(76)와, 오목부(76)의 선단부(76A)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원호 형상 홈(77, 78)을 갖는다. 선단부(76A)는 예비 성형체(50)의 돔 형상부(12)를 종방향에 2분할하여 얻게 되는 부위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원호 형상 홈(77, 78)의 중심은 선단부(76A)의 중앙이다. 하부형(80)의 압박부(85)는 노즐부(91)가 배치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86)를 갖는다.
또한, 액압 성형 장치는 상부형(70)의 압박부(75)와 하부형(80)의 압박부(85) 사이에 배치되는 대형 스페이서 및 소형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더 갖고 있고, 상부형(70) 및 하부형(80)은 2단계에 클램핑 가능하게 구성된다.
대형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부판(10) 및 하부판(20)과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합계의 두께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소형의 스페이서의 두께는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합계의 두께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액압 공급 기구(90)는, 예를 들어 증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압력 발생 장치나, 성형 매체원이 연결되어 있고, 액압 회로(99)에 연결되는 유로(98)와 노즐부(91)를 갖는다. 유로(98)는 하부형(80)의 내부를 연장하여 노즐부(91)에 도달하고 있다. 성형 매체는, 예를 들어 물이다.
노즐부(91)는 예비 성형체(50)의 돔 형상부(12)의 내면에 대응하는 돔 형상부(92)와, 돔 형상부(9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환형상 볼록부(94, 95)를 갖는다. 환형상 볼록부(94, 95)는 상부형(70)의 압박부(75)의 원호 형상 홈(77, 78)과 위치 맞춤되어 있다. 환형상 볼록부(94, 95)의 사이즈는 원호 형상 홈(77, 78)의 사이즈보다 작고,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원호 형상 홈(77, 78) 및 환형상 볼록부(94, 95)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돔 형상부(92)는 하부판(20)의 개구부(22)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유로(98)와 연통하고 있는 주입구(93)를 갖는다. 노즐부(91)를 개구부(22)에 삽입하여 예비 성형체(50)의 돔 형상부(12)에 배치하는 경우, 액압 회로(99)로부터 공급되는 성형 매체는 노즐부(91) 및 개구부(22)를 경유하여 예비 성형체(50)의 내부로 도입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 방법을 설명한다. 도15는 클램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6은 도15에 관한 다른 쪽 단부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17은 도16에 이어지는 성형 초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8은 도17에 이어지는 클램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19는 도18에 이어지는 성형 중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0은 도19에 이어지는 성형 후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예비 성형체(50)가 하부형(80)에 배치된다. 이 때, 액압 성형품(60)의 외면(62)을 형성하게 되는 하부판(20)을 캐비티면(81)에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여 하부판(20)의 개구부(22)를 액압 공급 기구(90)의 노즐부(91)의 돔 형상부(92)에 위치 결정한다.
그 후, 대기 위치에 퇴피되어 있던 상부형(70)이 강하하여 하부형(80)에 근 접함으로써 상부형(70) 및 하부형(80)이 클램핑된다(도15 및 도16 참조). 이 때, 액압 성형품(60)의 외면(61)을 형성하게 되는 상부판(10)을 캐비티면(71)에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여 상부판(10)의 돔 형상부(12)를 상부형(70)의 압박부(75)에 위치하는 오목부(76)의 선단부(76A)에 끼워 맞춘다.
돔 형상부(12)의 근방 부위는 상부형(70)의 압박부(75)에 있어서의 원호 형상 홈(77, 78)과, 하부형(80)의 오목부(86)에 배치되는 노즐부(91)에 있어서의 환형상 볼록부(94, 95)에 의해 파지된다. 이에 의해, 돔 형상부(12)의 근방 부위에는 굴곡된 부위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입되는 성형 매체에 대한 밀봉성이 향상된다. 또한, 압박부(75, 85)에는 대형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액압 공급 기구(90)는 액압 회로(99)로부터 공급되는 성형 매체를 노즐부(91) 및 개구부(22)를 경유하여 예비 성형체(50)의 내부로 도입한다.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측면부(35, 45)는 접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외주 부위(15A, 25A)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성형 매체는 간극을 경유하여 예비 성형체(50)의 내부에 유통함으로써 액압이 부여된다.
예비 성형체(50)는 팽창 변형되어 예비 성형체(50)의 모서리부가 캐비티면(71, 81)을 향해 이동하여 재료 유입이 일어난다. 또한,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팽창 변형에 수반하여 접합부(54, 56)가 배치되는 전단부(31, 41)가 서서히 이격된다.
예비 성형체(50)의 접합부(54, 56)가 캐비티면(71, 81)의 내부 성형 공간으 로 이동하면(도17 참조), 상부형(70) 및 하부형(80)의 압박부(75, 85) 사이에 배치되는 대형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가 소형 스페이서로 변환된다. 상부형(70)은 소형 스페이서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강하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예비 성형체(50)의 모서리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된다(도18 참조).
성형 매체의 공급이 계속되는 데 수반하여 상부판(10) 및 하부판(20)에 접합되어 있는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더 변형된다(도19 참조). 또한,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전단부(31, 41)는 접합부(54, 56)의 존재에 의해 L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그 굴곡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진다.
예비 성형체(50)의 내부가 최종 액압에 도달하면, 성형 매체의 공급이 정지되어 소정 시간 보유 지지됨으로써 예비 성형체(50)의 팽창이 완료된다(도20 참조). 이에 의해,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은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의 외면(61, 62)을 형성하고,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중간부(15, 25)의 외주 부위(15A, 25A) 및 중앙 부위(15B, 25B)는 외면(61, 52)에 있어서의 포갬면(os)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61A, 62A) 및 측벽부(61A, 62A)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61B, 62B)를 형성한다.
한편,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은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65)(65A, 65B)을 형성하고,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전단부(31, 41)는 격벽(65)의 상단부(66) 및 하단부(67)를 형성한다. 격벽(65)은 상부판(10) 및 하부판(20)에 관한 외면의 정상부(61B, 62B)에 상단부(66) 및 하단부(67)가 접합되어 있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 단면의 넓은 범위를 선적으로 지지하므로, 예를 들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다. 또한, 격벽(65)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는 정상부(61B, 62B)이므로, 상부판(10) 및 하부판(20)의 포갬면(os)에 수직인 방향(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압 및 성형 매체의 배출 후, 상부형(70)을 상승시키고 벽개하여 액압 성형품(60)을 취출하고, 절단 등의 트리밍이 액압 성형품(60)에 대해 실시된다. 또한, 성형 금형[상부형(70) 및 하부형(80)]에 가동식 펀치를 배치하여 성형 매체를 배출할 때에 액압 성형품(60)의 적당한 부위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매체의 배출을 스피드 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는 액압 성형품의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얻기 위한 액압 성형 방법 및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면재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성형 매체를 주입함으로써 액압을 부여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예비 성형체 및 액압 성형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부판(20)의 개구부(22) 및 액압 공급 기구(90)의 노즐부(91)를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비 성형체(50)의 접합부(54, 56)를 캐비티면(71, 81)의 내부 성형 공간에 최초부터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페이서의 교환을 불필요로 하여 클램핑을 1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21에 도시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보강재를 구성하는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페어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65)이 병렬하여 복수 형성된다.
도23 및 도24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 및 제3 변형예와 같이 원 형상이나 슬릿 형상의 개구부(38)를 액압 성형품(60)의 격벽(65)에 형성함으로써, 액압 성형품(60)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보강재를 구성하는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에 개구부(38)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구부(38)는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접합부(54, 55, 56)의 강도에 대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비접합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38)는 팽창 변형의 변형 시, 성형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부(91)의 주입구(93)를 향해 면하도록 위치 맞춤됨으로써 성형 매체의 유통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는 도25에 도시되는 제4 변형예와 같이 굴곡된 굴곡 형상을 갖는 단일의 판재(30A)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판재(30A)의 전단부(31A)는 접합부(56)를 거쳐서 상부판(10)의 중앙 부위(15B)에 연결되고, 판재(30A)의 전단부(41A)는 접합부(54)를 거쳐서 하부판(20)의 중앙 부위(25B)에 연결된다. 판재(30A)의 굴곡부는 상방 중간판(30) 및 하방 중간판(40)의 접합부(55)에 대응한다.
도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7은 도26에 도시되는 예비 성형체의 보강재를 구성하는 하방 중간판 및 상방 중간판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후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하여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상방 중간판 및 하방 중간판의 형상을 변경하여 오용접을 저감시키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상방 중간판(130) 및 하방 중간판(140)은 마주 대하는 면의 일단부인 전단부(131, 141) 및 타단부인 후단부(135, 145)에 배치되는 돌기부(132, 136, 142, 146)를 갖는다. 돌기부(132, 136, 142, 146)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배면 부위(133, 137, 143, 147)는 굴곡 형상을 갖는 오목부로 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32, 136, 142, 146)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방 중간판(140)은 돌기부(142, 146)의 배면 부위(143, 147)가 하부판(120)과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어, 그 전단부(141)가 접합부(154)를 거쳐서 하부판(120)의 중앙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상방 중간판(130)은 돌기부(132, 136)가 하방 중간판(140)의 돌기부(142, 146)와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어, 그 후단부(135)가 접합부(155)를 거쳐서 하방 중간판(140)의 후단부(145)에 연결되어 있다.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2, 136)와 하방 중간판(140)의 돌기부(142, 146)는 일체가 되어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간극 (s2)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판(110)은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2, 136)의 배면 부위(133, 137)와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어 상부판(110)의 중앙 부위는 접합부(156)를 거쳐서 상방 중간판(130)의 전단부(131)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상부판(110), 하부판(120), Y상방 중간판(130) 및 하방 중간판(140)의 접합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28은 하방 중간판에 대한 상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9는 도28에 이어지는 하부판에 대한 하방 중간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0은 도29에 이어지는 상방 중간판에 대한 상부판의 접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하방 중간판(140)에 대해 상방 중간판(130)을 적재 및 위치 맞춤하여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2, 136)를 하방 중간판(140)의 돌기부(142, 146)에 접촉시켜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간극(s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6)의 배면 부위(137)로부터 관통 용접함으로써,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6)를 하방 중간판(140)의 돌기부(146)에 연결하여 접합부(155)를 형성한다(도28 참조).
그 후, 소정 위치에 배치된 하부판(102)의 중앙 부위에 대해 돌기부(142, 146)의 배면 부위(143, 147)가 마주 대하도록 하방 중간판(140)을 배치한다. 그리고, 하부판(120)으로부터 관통 용접함으로써 하방 중간판(140)의 돌기부(142)의 배면 부위(143)의 근방 또한 간극(s2)에 면하는 부위를 하부판(120)의 중앙 부위에 연 결하여 접합부(154)를 형성한다(도29 참조).
접합부(154)는 외면재[하부판(120)] 및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상방 중간판(130) 및 하방 중간판(140)]가 3매 이상 포개어진 상태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제1 판재[하부판(120)]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하방 중간판(140)]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용접 시에 제2 판재[하방 중간판(140)]와,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3 판재[상방 중간판(130)]와의 사이에 접합면과 위치 맞춤된 간극(s2)이 배치되어 있다. 간극(s2)은 용접열의 전달을 방해하여 제2 판재[하방 중간판(140)]와 제3 판재[상방 중간판(130)]와의 오용접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 불량에 의한 접합부(154)의 파단을 억제하고, 또한 용접 제품 비율을 향상시킨다.
접합부(154)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부판(110)이 적재되어 상부판(110)의 모서리부와 하부판(120)의 모서리부가 포개어진다. 그리고, 상부판(110)으로부터 관통 용접함으로써 상부판(110)의 중앙 부위를 상방 중간판(130)의 돌기부(132)의 배면 부위(133)의 근방 또한 간극(s2)에 면하는 부위에 연결하여 접합부(156)를 형성한다(도30 참조).
접합부(156)는 외면재[상부판(110) 및 하부판(120)] 및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상방 중간판(130) 및 하방 중간판(140)]가 3매 이상 포개어진 상태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제1 판재[상부판(110)]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상방 중간판(130)]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용접 시에 제2 판재[상방 중간판(130)]와,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제3 판재[하방 중간판(140)]와의 사이에 접합면과 위치 맞춤된 간극(s2)이 배치되어 있다. 간극(s2)은 용접열의 전달을 방해하여 제2 판재[상방 중간판(130)]와 제3 판재[하방 중간판(140)]와의 오용접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 불량에 의한 접합부(154)의 파단을 억제하고, 또한 용접 제품 비율을 향상시킨다.
접합부(156)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포개어진 모서리부가, 예를 들어 구석 두께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접합부(152)를 형성하여 예비 성형체(150)를 얻을 수 있다(도26 참조).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150)는 오용접이 억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용접 접합부의 품질이 향상되어 있고, 용접 접합부에 있어서의 파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접 제품 비율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예비 성형체의 제조 비용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방 중간판(130) 및 하방 중간판(140)의 한쪽, 예를 들어 도31에 도시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상방 중간판(130)을 대략 평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제1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4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2 및 도3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배면도, 도3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액압 성형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5는 도34에 도시되는 액압 성형품의 정면도, 도36은 도35의 선XXXⅥ-XXXⅥ에 관한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상방 중간판 및 하방 중간판의 형상을 변경하여 외면재의 포갬면에 평행한 방향(횡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상방 중간판(230) 및 하방 중간판(240)은 측면부(235, 245)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확장부(239, 249)를 갖는다. 확장부(239, 249)의 사이즈는 액압 성형 시에 있어서,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중간부의 외주 부위(215A, 225A)와, 확장부(239, 249)가 접촉하고, 확장부(239, 249)가 굴곡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비 성형체(250)에 액압 성형이 적용되면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은 액압 성형품(60)의 중공부의 외면(261, 262)을 형성하여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중간부(215, 225)의 외주 부위(215A, 225A) 및 중앙 부위(215B, 225B)는 외면(261, 262)에 있어서의 포갬면(os)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261A, 262A) 및 측벽부(261A, 262A)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261B, 262B)를 형성한다.
한편, 상방 중간판(230) 및 하방 중간판(240)은 액압 성형품(260)의 중공부를 대략 구획하는 격벽(265)(265A, 265B)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격벽(265)(265A, 265B)은 측면부(268)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확장 부위(269)를 갖는다. 확장 부위(269)는 굴곡하여 액압 성형품(260)의 측벽부(261A, 262A)와 접촉하고 있다. 즉, 격벽(265)(265A, 265B)의 확장 부위(269)는 액압 성형품(260)의 측벽부(261A, 262A)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확장 부위(269)는 포갬면(os)에 평행한 방향( 횡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는 외면재의 포갬면에 평행한 방향(횡방향)에 관한 강성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확장부(239, 249)의 사이즈는 액압 성형 시에 있어서,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중간부의 외주 부위(215A, 225A)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하여 격벽(265)(265A, 265B)의 확장 부위(269)가 액압 성형품(260)의 측벽부(261A, 262A)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어떠한 원인으로 부하가 부여되어 액압 성형품(260)의 중공부가 변형될 때, 확장 부위(269)가 측벽부(261A, 262A)와 접촉함으로써 과잉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제1 실시 형태 및 그 제1 내지 제4 변형예나, 제2 실시 형태 및 그 제1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7은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는 예비 성형체의 형상 및 액압 성형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다르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예비 성형체(350)는 액압 성형품의 외면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과, 액압 성형품의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상방 중간판(330)과 하방 중간판(340)과, 성형 매체를 도입함으로써 액압을 부여하기 위한 비접합부(351)를 갖는다.
상방 중간판(330) 및 하방 중간판(340)은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비접합부(351)는 상부판(310)의 단부면과 하부판(320)의 단부면과 의 접촉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대략 원뿔 형상으로 예비 성형되어 있다. 비접합부(351)는 원형상의 개구부가 배치되는 외측단부면과, 예비 성형체(350)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는 내측 선단부(352)를 갖는다. 즉, 예비 성형체(350)는 외면재(310, 320)의 한쪽 단부면과 다른 쪽 단부면의 접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비접합부(351)는 단부면 전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판(310)은 상부형(370)의 캐비티면(371)에 마주 대하여 배치된다. 하부판(320)은 하부형(380)의 캐비티면(381)에 마주 대하여 배치된다. 캐비티면(371, 381)은 성형품의 외면부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액압 공급 기구(390)는 액압 회로(399)에 연결되는 유로(398)와, 축압박 펀치(391)와, 축압박 실린더(397)를 갖는다. 축압박 펀치(391)는 상부형(370) 및 하부형(380)의 측면에 배치되어 축압박 실린더(397)에 연결되어 있다. 축압박 펀치(391)는 노즐부(392)를 갖는다.
노즐부(392)는 유로(398)와 연통하고 있는 주입구(393)를 갖고, 또한 비접합부(351)의 형상과 대응하는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축압박 실린더(397)는 축압박 펀치(391)를 성형 금형[상부형(370) 및 하부형(380)]측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축압박 실린더(397)의 구동원은, 예를 들어 유압 혹은 공압이다.
예비 성형체(350)의 비접합부(351)는 그 개구부에 노즐부(392)가 삽입되면 직경 확장되는 동시에, 상부형(370) 및 하부형(380)에 의해 상기 직경 확장이 규제 된다. 그 결과, 비접합부(351)는 노즐부(392)에 밀착하여 기밀성이 확보된다.
노즐부(392)의 주입구(393)는 예비 성형체(350)의 내부에 연통하고 있는 내측 선단부(352)와 위치 맞춤된다. 그로 인해, 액압 회로(399)로부터 공급되는 성형 매체가 유로(398) 및 주입구(393)로 도입되면, 성형 매체는 비접합부(351) 및 내측 선단부(352)를 통과하여 예비 성형체(350)의 내부에 주입된다.
따라서, 액압 공급 기구(390)는 예비 성형체(350)의 내부에 액압을 부여하여 팽창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면재(310, 320)의 한쪽 단부면과 다른 쪽 단부면의 접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성형 매체를 도입함으로써, 예비 성형체(350)에 액압을 부여하여 예비 성형체(350)를 팽창 변형시킴으로써 액압 성형품의 외면부 및 액압 성형품의 중공 단면을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으로 하는 액압 성형품의 구성에 따라서 제1 및 제2 외면재를 구성하는 판재의 형상,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의 형상, 돌출부의 배치 위치, 예비 성형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의 배치 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04년 10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4-316599호를 기초로 하고 있고, 그 개시 내용은 참조되어 전체적으로 조립되어 있 다.
본 발명은 액압 성형품의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얻기 위한 액압 성형 방법 및 비틀어 구부림에 대한 강성 및 종방향에 관한 강성이 우수한 액압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2)

  1.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및 제2 외면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액압 성형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선형으로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에 면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보강재의 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예비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개구부를 갖는 예비 성형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원 형상인 예비 성형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슬릿 형상인 예비 성형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비접합부에 배치되는 예비 성형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 중 하나는 성형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 중 하나의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보강재의 위치, 및 상기 보강재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재의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 중 하나의 개구부에 상기 노즐부를 삽입하여 성형 매체를 도입해서 상기 예비 성형체를 팽창 변형 시, 변형된 상기 보강재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노즐부의 주입구에 마주 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예비 성형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포개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재는 일단부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되는 상기 보강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구성하고 있는 예비 성형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재 및 상기 제2 보강재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확장부를 갖는 예비 성형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사이즈는 액압 성형 시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가 접촉하여 상기 확장부가 굴곡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예비 성형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와 상기 보강재를 구성하는 판재가 3매 이상 포개어진 상태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제1 판재를 상기 제1 판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접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용접 시에 상기 제2 판재와, 상기 제2 판재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3 판재와의 사이에 접합면과 위치 맞춤된 간극이 배치되어 있는 예비 성형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재 및 상기 제3 판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마주 대하는 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상기 돌기부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예비 성형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배면 부위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예비 성형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굴곡 형상을 갖는 예비 성형체.
  14. a)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고,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및 제2 외면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액압 성형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을 형성하게 되는 보강재를 갖고,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선형으로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와, 상기 측벽부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에 면하는 측면부를 갖고 있는 예비 성형체를,
    액압 성형품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캐비티면을 갖는 성형 금형의 내측에 배치하고,
    b) 상기 보강재의 측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경유하여 성형 매체를 유통시켜 액압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예비 성형체를 팽창 변형시키고,
    c) 액압 성형품의 중공부의 외면 및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액압 성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팽창 변형의 변형 시, 성형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부의 주입구에 마주 대하도록 위치 맞춤된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부를 경유하여 성형 매체를 유통시키는 액압 성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포개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보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재는 일단부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상기 정상부를 형성하게 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되는 상기 보강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보강재 및 상기 제2 보강재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 어 있는 확장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외주 부위를 접촉시켜 상기 확장부를 굴곡시키는 액압 성형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한쪽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성형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부를 삽입하는 액압 성형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면재의 단부면과 제2 외면재의 단부면과의 접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성형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노즐부를 삽입하는 액압 성형 방법.
  19. 포개어 접합된 모서리부를 갖는 제1 및 제2 외면재와,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재를 갖는 예비 성형체에 액압 성형을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액압 성형품이며,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의 포갬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정상부를 갖는 중공부의 외면과,
    상기 보강재로 형성되어 상기 액압 성형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에 관한 상기 외면의 정상부에 접합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를 구획하고 또한 상기 정상부를 선형으로 지지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의 측면부와 상기 외면의 측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갖는 액압 성형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압 성형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원 형상인 액압 성형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슬릿 형상인 액압 성형품.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비접합부에 배치되는 액압 성형품.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일단부가 서로 접합된 제1 및 제2 부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부위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외면재에 관한 상기 외면의 정상부에 각각 접합되는 상기 격벽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각각 구성하고 있는 액압 성형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위는 측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확장 부위를 갖는 액압 성형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부위는 상기 중공부의 외면의 측벽부와 접촉하 여 굴곡되어 있는 액압 성형품.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위의 일단부는 용접함으로써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압 성형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위의 일단부는 마주 대하는 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접합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액압 성형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배면 부위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액압 성형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굴곡 형상을 갖는 액압 성형품.
  31. 제19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차체 구조 부재에 적용되는 액압 성형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차체 구조 부재는 서스펜션 부품인 액압 성형품.
KR1020050102065A 2004-10-29 2005-10-28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 KR100871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6599A JP2006122983A (ja) 2004-10-29 2004-10-29 液圧成形用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JP-P-2004-00316599 200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283A KR20060052283A (ko) 2006-05-19
KR100871208B1 true KR100871208B1 (ko) 2008-12-01

Family

ID=3550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065A KR100871208B1 (ko) 2004-10-29 2005-10-28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03168A1 (ko)
EP (1) EP1652596A3 (ko)
JP (1) JP2006122983A (ko)
KR (1) KR100871208B1 (ko)
CN (1) CN17655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9049A1 (en) * 2004-06-22 2005-12-22 Mackenzie Steven K Internally reinforced hydroformed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90246505A1 (en) * 2008-03-26 2009-10-01 Intertec Systems, Llc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with cantilevered skin por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10060686B4 (de) * 2010-11-19 2015-02-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HG) Verfahren und Komponentensatz zur Herstellung eines rohrförmigen Bauteils, insbesondere einer gebauten Nockenwelle
FR2990181B1 (fr) * 2012-05-03 2014-04-25 Renault Sa Longeron d'une structure de soubass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longeron
CA2907413C (en) 2013-04-04 2017-06-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tomobile structura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3551444B (zh) * 2013-11-14 2016-05-11 深圳智慧能源技术有限公司 制造中空结构的方法
DE102015203309B4 (de) * 2015-02-24 2019-04-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Karosseriestruktur
CN107878564A (zh) * 2016-09-30 2018-04-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及其制造方法
CN108188245A (zh) * 2018-03-02 2018-06-22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飞机进气道唇口超塑成形模具的成形方法
EP3636364A1 (en) 2018-10-09 2020-04-15 Outokumpu Oyj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ash frame of a battery compartment for battery electric vehicles
CN111376729B (zh) * 2018-12-30 2021-08-31 江苏太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电池续航能力的车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8541A1 (en) 1995-02-24 1996-08-28 Japan Aircraft Mfg. Co., Ltd Metal sandwich structural body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3320960A (ja) * 2002-05-01 2003-11-11 Nissan Motor Co Ltd 予備成形品及び中空成形品の液圧成形方法並びに自動車の車体構造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262A (en) * 1980-06-12 1982-11-3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expanded sandwich structures
US4588651A (en) * 1983-02-16 1986-05-13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ccordion expansion process
US4603089A (en) * 1983-11-21 1986-07-2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Laser welding of sandwich structures
JP3478317B2 (ja) * 1996-08-21 2003-12-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ボデーの構造
JP2000050774A (ja) * 1998-08-06 2000-02-22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2012167A (ja) * 2000-04-26 2002-01-15 Neoex Lab Inc 中空構造物の補強構造とその補強具
DE10103131C2 (de) * 2001-01-24 2002-11-21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körpern aus zumindest zwei aufeinanderliegenden Platinen
US6709047B2 (en) * 2002-07-19 2004-03-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hsa Bulkhead locking construction
US6834912B2 (en) * 2002-10-18 2004-12-28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controlled deformation of body side structure
JP4587782B2 (ja) * 2004-11-08 2010-11-24 株式会社アステア 隔壁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8541A1 (en) 1995-02-24 1996-08-28 Japan Aircraft Mfg. Co., Ltd Metal sandwich structural body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3320960A (ja) * 2002-05-01 2003-11-11 Nissan Motor Co Ltd 予備成形品及び中空成形品の液圧成形方法並びに自動車の車体構造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03168A1 (en) 2006-05-18
CN1765534A (zh) 2006-05-03
EP1652596A2 (en) 2006-05-03
JP2006122983A (ja) 2006-05-18
EP1652596A3 (en) 2006-06-07
KR20060052283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208B1 (ko) 액압 성형용 예비 성형체, 액압 성형 방법 및 액압 성형품
US7406849B2 (en) Preform, hydroforming method, and hydroformed product
US20120153679A1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20060096099A1 (en) Automotive crush t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863482B1 (ko) 프레스 성형품 및 이것을 구비한 자동차용 구조 부재, 및 그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7240298B2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の製造方法および電動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
JP3832381B2 (ja) 予備成形品及び中空成形品の液圧成形方法並びに自動車の車体構造部材
EP1814771A2 (en) Automotive crush t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861489B2 (en) Preform, hydroforming method, and hydroformed product
JP4873401B2 (ja) 板ハイドロフォーム製品、並びに板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板ハイドロフォーム成形装置
JP4052297B2 (ja) 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4042538B2 (ja) 液圧成形における予備成形体および中空成形体の液圧成形方法
KR100338562B1 (ko) 차량용 범퍼빔 제조 방법
JP4706213B2 (ja) 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4670334B2 (ja) 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4639726B2 (ja) 液圧成形用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4661141B2 (ja) 液圧成形用予備成形体および液圧成形方法
KR100283366B1 (ko) 테일러드용접블랭크와하이드로포밍성형법을이용한빔및그제조방법
JP4271929B2 (ja) 車両用メン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0353A (ja) 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品
JP2007007717A (ja) 予備成形体、液圧成形方法および液圧成形部材
KR20150145315A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를 이용한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83458A (ja) エネルギ吸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3

Effective date: 2008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