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027B1 - 디스크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027B1
KR100868027B1 KR1020070038735A KR20070038735A KR100868027B1 KR 100868027 B1 KR100868027 B1 KR 100868027B1 KR 1020070038735 A KR1020070038735 A KR 1020070038735A KR 20070038735 A KR20070038735 A KR 20070038735A KR 100868027 B1 KR100868027 B1 KR 100868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locking means
guide
disk
outle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530A (ko
Inventor
마사요시 우메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6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in combination with coin-cou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통로 수단의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작은 힘으로 가이드 수단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디스크 분류 장치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좌우에 출구 통로를 배치하고, 해당 좌우 출구 통로로 진퇴 가능한 가로막기 수단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가로막기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좌우의 출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막기 수단을 가이드 통로의 출구로부터 적어도 디스크 직경분 이상 이격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이다.
디스크 분류 장치, 가이드 통로,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 제1 출구 통로, 제2 출구 통로

Description

디스크 분류 장치{DISC SORTING DEVICE}
도 1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를 장착한 코인 호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서 유지 플레이트를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좌측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정면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좌측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후면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우측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작용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D : 디스크 132 : 가이드 통로
172 : 제1 출구 통로 174 : 제2 출구 통로
186 : 제1 가로막기 수단 188 : 제2 가로막기 수단
190 : 출구 191 : 제1 유동로(遊動路)
192 : 제2 유동로 176 : 탄출 장치
206L, 206R : 제3 지축(支軸) 208L, 208R : 레버
242 : 제1 지축 204 : 이동체
본 발명은 테두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일렬로 정렬한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가이드 통로의 좌우로 분류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인 호퍼로부터 송출된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가이드 통로의 좌우로 분류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디스크"는 통화인 코인, 게임기의 메달이나 토큰 등의 대용 화폐, 및 그들과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디스크 형상은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원판에 근사한 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로서 본 출원인의 출원에 따른 일본 특개평 08-293051호 공보(대응 미국 특허 5,810,655호 공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래 장치는, 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 호퍼의 회전 디스크로부터 송출된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안내하는 통로 수단과, 이 통로 수단의 연장 상으로 그 통로 수단의 축선의 좌우에 그 축선과 평행하게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 홈과, 이 가이드 홈에 안내되면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롤러와, 이 가이드 롤 러를 상기 좌우의 가이드 홈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를 왼쪽의 가이드 홈에 위치시킨 경우 디스크는 우측으로 불출되고, 가이드 롤러를 오른쪽의 가이드 홈에 위치시킨 경우 디스크는 좌측으로 불출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08-293051호 공보 도 13, 제8페이지)
이러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롤러의 위치를 전환하는 경우 가이드 롤러는 디스크와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 롤러가 디스크와 접촉해 있는 경우, 가이드 롤러는 디스크의 아크형 둘레면을 급각도로 타고넘어가야 하므로 커다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가이드 롤러를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얻기 위하여, 예를 들어 대용량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장치가 대형화함과 동시에 고가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환 시에 가이드 롤러와 디스크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통로 수단의 길이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없음과 동시에 직경이 다른 디스크로 변경할 때마다 통로 수단의 길이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변경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 디스크 분류 장치가 게임기에 사용되는 경우, 디스크는 연속적으로 소정 수 불출되어 불출 수가 100만 개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 단부에 대한 지축이 거듭되는 타격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가 함몰, 측방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롤러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여 디스크의 불출을 적정하게 행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통로 수단의 길이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작은 힘으로 가이드 수단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디스크 분류 장치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일측에 제1 출구 통로를, 타측에 제2 출구 통로를 배치하고, 해당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각각 진퇴 가능한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상기 제2 출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로부터 적어도 디스크 직경분 이상 이격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좌우에 출구 통로를 배치하고, 해당 좌우 출구 통로로 진퇴 가능한 가로막기 수단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가로막기 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좌우의 출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연속하여 좌측 방향으로 뻗는 좌측 유동로(遊動路) 및 우측 방향으로 뻗는 우측 유동로를 배치하고, 상기 좌우의 유동로의 단부로 각각 진퇴하는 가로막기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막기 수단의 하류에 디스크의 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유동로에 있어서 유동(遊動)하고, 상기 가로막기 수단으로 진행을 저지받은 디스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통로로부터 송출된 디스크를 다른 쪽의 유동로로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은 디스크 탄출 장치를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제3 지축에 회전이 자유로운 레버에 부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이 상기 제1 출구 통로, 제2 출구 통로를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1 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 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위치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일측에 제1 출구 통로를, 타측에 제2 출구 통로를 배치하고, 해당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각각 진퇴 가능한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상기 제2 출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로부터 적어도 디스크 직경분 이상 이격시켜 배치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제3 지축에 대해 회전이 자유로운 레버에 부착되고, 상기 레버는 제1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이 상기 가이드 통로를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위치 조정 가능하며, 상기 레버는 제1 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체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체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이다.
도 1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를 장착한 코인 호퍼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서 유지 플레이트를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정면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후면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분류하는 경우의 작용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좌우라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해석하는 경우, 상하 좌우라는 문언은 그들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에 있어서, 코인 호퍼(100)는 프레임(102)과, 프레임(102)에 고정되며 디스크(D)를 저장하는 통형의 보류 보울(104)과, 보류 보울(104)의 바닥부에서 회전하는 디스크(D) 송출용 회전 디스크(도시 생략)를 갖는다.
코인 호퍼(100)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 6-150102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에스컬레이터(106)가 프레임(102)에 고정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106)는 세로로 긴 사각형의 베이스(108)와,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한 쌍의 가늘고 긴 판형의 가이드 플레이트(112 및 114)와, 그들 가이드 플레이트에 댄 지지판(120)을 갖는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2 및 114)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지지판(120)의 중앙에는 세로 방향으로 돌조(122)가 형성되고, 해당 돌조(122)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판(120)의 돌조(122)와 베이스(108)의 간격은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두껍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D)가 두 장 포개지지 않는 간격이다.
지지판(120) 및 가이드 플레이트(112, 114)를 관통하는 스크류(124)를 베이스(108)에 박아넣음으로써 그들을 일체화시키고 있다.
이들 베이스(108), 가이드 플레이트(112, 114), 지지판(120)으로 둘러싸인 단면 사각형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이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이다.
분류 장치(130)가 상기 에스컬레이터(106)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류 장치(130)는 가이드 통로(132), 가로막기 수단(134), 제1 출구(136), 제2 출구(138) 및 디스크 검지 수단(140)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가이드 통로(132)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를 크랭크형으로 형성한 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44)가 대략 수직 상태로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표면측(도 5에서 좌측)에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 좌측에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는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가늘고 긴 플레이트이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의 바로 위에 아크형의 제1 통로 가이드(152) 및 외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제1 경사 가이드(154)를 갖는 제1 안내편(156), 및 제1 안내편(156)에 대하여 대칭으로 제2 통로 가이드(158) 및 제2 경사 가이드(16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2 안내편(164)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디스크(D)가 소직경의 디스크로 변경된 경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가 도 3에 있어서 장공(長孔; 150)의 범위에서 좌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되고,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의 간격을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큰 간격으로 변경한다.
장공(150)을 단차진 구멍으로 하고,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와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안내편(164)은 제1 안내편(156)과 소정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장공(160)의 범위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의 내측 가장자리에 대하여 제2 안 내편(164)의 제2 통로 가이드(158)가 원활하게 연속되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사각형의 유지 플레이트(166) 및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크류(167)를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박아넣고 그들을 일체화시켰다.
유지 플레이트(166)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를 관통하는 스크류(173)를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박아넣고 그들을 일체화시켰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44),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 및 유지 플레이트(166)에 의해 단면이 사각형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통로(132)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 통로(132)는 폭이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두께가 디스크(D)의 두께보다 약간 두껍다.
따라서, 코인 호퍼(100)로부터 하나씩 송출된 디스크(D)는 가이드 통로(132)에 있어서도 일렬로 정렬되어 상방을 향하여 진행한다.
유지 플레이트(166)의 중앙부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은 가이드 통로(132)의 투시공(175)이다.
분류 장치(130)가 에스컬레이터(106)의 선단에 고정된 경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는 에스컬레이터(106)의 가이드 플레이트(112, 114)의 연장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이드 통로(132)는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의 연장상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D)는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에서 가이드 통 로(132)로 일렬로 밀려올라간다.
분류 장치(130)는, 상세하게는, 가로막기 수단(134), 제1 출구 통로(172), 제2 출구 통로(174), 탄출 수단(176), 디스크 검지 수단(140)을 포함하고 있다.
분류 장치(130)는 디스크(D)를 가이드 통로(132)의 제1 방향(도 3에서 좌측 방향) 또는 제2 방향(도 3에서 우측 방향)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불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통로(132)를 진행해 오는 디스크(D)를 제1 출구 통로(172) 또는 제2 출구 통로(174)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적어도 갖는다.
또한, 디스크(D)를 탄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 출구 통로(172)를 설명한다.
제1 출구 통로(172)는, 가이드 통로(132)로부터 송출된 디스크(D)를 가이드 통로(132)의 제1 방향, 바꾸어 말하면 도 3에서 좌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출구 통로(172)는 제1 안내편(156)과 제3 안내편(18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제3 안내편(180)은 가이드 통로(132)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고정되어 있다.
제3 안내편(180)은 하향 삼각형을 하고 있으며, 제1 통로 가이드(152)에 대향하여 만곡하는 아크형의 제3 통로 가이드(182) 및 제2 통로 가이드(158)에 대향하여 만곡하는 아크형의 제4 통로 가이드(184)를 갖는다.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3 통로 가이드(182)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다음, 제2 출구 통로(174)를 설명한다.
제2 출구 통로(174)는 가이드 통로(132)로부터 송출된 디스크(D)를 가이드 통로의 제2 방향, 도 3에서 우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출구 통로(174)는 제2 안내편(164)과 제3 안내편(18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출구 통로(174)는 제2 통로 가이드(158)와 제4 통로 가이드(184)에 의해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큰 간격의 통로 폭으로 형성된다.
다른 직경의 디스크(D)를 사용하는 경우, 제3 안내편(180)을 교환하고,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3 통로 가이드(182)의 간격, 및 제2 통로 가이드(158)와 제4 통로 가이드(184)의 간격을 디스크(D)의 직경에 적합한 간격으로 한다.
따라서, 제3 안내편(180)은 종류가 달라도 동일한 나사공 등에 스크류를 박아넣음으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장공에 의해 하나의 제3 안내편(180)의 부착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출구 통로(172) 및 제2 출구 통로(174)는 제1 안내편(156), 제2 안내편(164) 및 제3 안내편(180)의 반 베이스 플레이트(144) 측에 댄 가이드 플레이트(196)에 의해 전면 측이 구획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96)의 중앙의 Y형 구멍(197)은 제1 출구 통로(172) 및 제2 출구 통로(174)에서의 디스크(D)의 투시창이다.
또한 제1 출구 통로(172)의 가이드 플레이트(196)의 하류부는 제1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198)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제2 출구 통로(174)의 가이드 플레이트(196)의 하류부는 제2 보조 가이드 플레이트(199)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다음, 가로막기 수단(134)을 설명한다.
가로막기 수단(134)은 디스크(D)의 제1 출구 통로(172) 및 제2 출구 통로(174)에 있어서 디스크(D)의 진행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가로막기 수단(134)은 제1 출구 통로(172)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제1 가로막기 수단(186)과, 제2 출구 통로(174)에 제1 가로막기 수단(186)과 역 위상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을 설명한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은 가이드 통로 출구(190)로부터 디스크(D)의 직경에 해당하는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제1 출구 통로(172)에 선택적으로 진퇴 가능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은 제1 출구 통로(172)로 진출한 가로막기 위치(OP1) 및 제1 출구 통로(172)로부터 퇴출한 비 가로막기 위치(UP1)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D)는 제1 가로막기 수단(186)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출구 통로(172)에 있어서 진행을 저지받거나 진행 가능해진다.
다음,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설명한다.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가이드 통로 출구(190)로부터 디스크(D)의 직경에 해당하는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제2 출구 통로(174)에 선택적으로 진퇴 가능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제2 출구 통로(174)로 진출한 가로막기 위치(OP2) 및 제2 출구 통로(174)로부터 퇴출한 비 가로막기 위치(UP2)에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D)는 제2 가로막기 수단(188)에 의해 제2 출구 통로(174)에 있어서 진행을 저지받거나 진행 가능해진다.
상기 소정 거리는 가로막기 위치(OP1 또는 OP2)에 위치하는 제1 가로막기 수단(186)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188)에 의해 이동을 저지받은 디스크(D)와 대면하는 제1 통로 가이드(152) 또는 제2 통로 가이드(158) 사이에 적어도 디스크(D)의 직경 이상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디스크(D)가 불출된 후 다음 디스크(D)가 가이드 통로(132)를 소정 위치로 진행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제1 출구 통로(172) 또는 제2 출구 통로(174)에 위치하는 디스크(D)는 이 범위를 이동 가능하므로, 이 범위를 제1 유동로(191), 제2 유동로(192)라고 한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과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동일 구조이지만 가이드 통로(132)의 연장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동일 숫자의 부호(R)를 L로 변경하여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은 제1 가로막기편(194R) 및 제1 위치 조정 수단(196R)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제1 가로막기편(194R)을 설명한다.
제1 가로막기편(194R)은 제1 출구 통로(172)를 이동하는 디스크(D)와 접촉하고, 해당 디스크(D)의 이동을 소정 위치에서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가로막기편(194R)은 가이드 통로 출구(192)로부터 디스크(D)의 직경에 해당하는 거리 이상으로서, 제1 출구 통로(172)에 있어서 이동을 저지받은 디스크(D)와 제2 통로 가이드(158)간 거리가 디스크(D)의 직경을 초과하는 위치로 진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통로(132) 안을 계속 밀려나오는 디스크(D)가 제2 통로 가이드(158)와 제1 가로막기편(194R)에 이동을 저지받은 디스크(D) 사이를 지나 제2 출구 통로(174)로 진행할 수 있는 위치로 제1 가로막기편(194R)은 선택적으로 진퇴된다.
또한, 제1 가로막기편(194R)은 제1 출구 통로(172)에 위치한 경우,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3 통로 가이드(182)에 의해 가이드되는 디스크(D)에 의해 셀프락 위치(200R)로 유지된다.
셀프락 위치(200R)란 제1 가로막기편(194R)에 진행을 저지받은 디스크(D1)가 후속하는 디스크(D)에 의해 밀린 경우, 디스크(D)의 진행을 저지하는 위치로 유지되는 힘을 받는 위치를 말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크(D)가 제1 통로 가이드(152)에 의해 안내된 경우, 해당 디스크(D)의 외주면에 의해 제1 가로막기편(194R), 따라서 레버(208R)가 도 3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로막기편(194R)은 지축(198R)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202R)인데, 봉체(棒體)로 할 수 있다.
다음, 가로막기 수단(134)의 선택 위치 수단(203)을 설명한다.
선택 위치 수단(203)은 선택적으로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을 제1 출구 통로(172)로 진퇴시키고,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제2 출구 통로(174)로 제1 가로막기 수단(186)에 대하여 역위상으로 진퇴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기능을 만족시키면,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및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각각 개별적인 이동 장치에 의해 진퇴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위치 수단(203)은, 하나로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및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진퇴시키므로, 선택 위치 수단(203)을 소형화 및 저비용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위치 수단(203)은 이동체(204), 선택 위치 유지 수단(244) 및 구동 수단(262)을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이동체(204)를 설명한다.
이동체(204)는 제1 가로막기편(194R), 제2 가로막기편(194L)을 선택적으로 가로막기 위치(OP1 또는 OP2)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체(204)는 원판형의 플레이트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이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체(204)는 베이스 플레이트(144)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하는 제1 지축(242)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동체(204)의 상단부에 고정된 제2 지축(243)이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아크형 장공(245)을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선단에 원형의 가이드 스토퍼(247)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204)는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안내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44)와 평행하게 요동한다.
제1 가로막기편(194R)은 이동체(204)에 고정된 제3 지축(206R)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레버(208R)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가로막기편(194R)은 탄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이동체(204)에 고정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제1 가로막기편(194R)은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개구된 관통공(215R)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표면측의 제1 출구 통로(172)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 제1 가로막기편(194R)의 위치 조정 수단(205R)을 설명한다.
위치 조정 수단(205R)은 제1 가로막기편(194R)의 제1 출구 통로(172)에서의 진출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로막기편(194R)이 사용되는 디스크(D)의 직경에 적합한 최적 위치로 진출할 수 있도록 이동체(204)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조정 수단(205R)은 브래킷(212R), 고정 플레이 트(214R) 및 스크류(222R, 224R)를 포함하고 있다.
제3 지축(206R)이 고정된 T형 브래킷(212R)이 이동체(204)의 베이스 플레이트(144) 측에 대어지고, 이동체(204)의 반 베이스 플레이트(204) 측에 댄 고정 플레이트(214R)의 관통공(216R, 218R) 및 이동체(204)의 장공(226R, 228R)을 관통하는 스크류(222R, 224R)를 T형 브래킷(212R)의 나사공(232R, 234R)에 박아넣음으로써 이동체(204)에 고정되어 있다.
제3 지축(206R)은 장공(238R)으로 돌출되며, 이 장공(238R)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다.
스크류(222R, 224R)를 풂으로써 브래킷(212R) 및 고정 플레이트(214R)가 이동체(204)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해지기 때문에, 디스크(D)의 직경에 적합한 위치가 되도록 제1 가로막기편(194R)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 선택 위치 유지 수단(244)을 설명한다.
선택 위치 유지 수단(244)은 이동체(204)를 선택 위치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선택 위치 유지 수단(244)은 제1 가로막기편(194R)을 제1 출구 통로(172)에 있어서 디스크(D)의 진행을 저지하는 가로막기 위치(OP1)로 유지하고, 제2 가로막기편(194L)을 제2 출구 통로(174)로부터 벗어난 디스크(D)의 비 가로막기 위치(UP2)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위치(247)에 이동체(204)를 유지하거나, 제1 가로막기편(194R)을 제1 출구 통로(172)에 있어서 디스크(D)의 진행을 저지하지 않는 비 가로막기 위치(UP1)로 유지하고, 제2 가로막기편(194L)을 제2 출구 통 로(174)에 있어서 디스크(D)의 가로막기 위치(OP2)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위치 유지 수단(244)은 스토퍼(252)와 장공(254)을 포함하고 있다.
스토퍼(252)는 둥근 막대형이며,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아크형 장공(254)은 제1 지축(242)을 중심으로 이동체(204)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스토퍼(252)는 아크형 장공(25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장공(254)의 일단부(256)가 스토퍼(252)에 의해 정지된 경우, 제1 가로막기편(194R)이 가로막기 위치(OP1)로 유지된다.
장공(254)의 타단부(258)가 스토퍼(252)에 의해 정지된 경우, 제2 가로막기편(194L)이 가로막기 위치(OP2)로 유지된다.
다음, 제1 가로막기편(194R)과 제2 가로막기편(194L)의 구동 수단(262)을 설명한다.
구동 수단(262)은 제1 가로막기편(194R)과 제2 가로막기편(194L)을 각각 가로막기 위치(OP1 또는 OP2)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구동 수단(262)은 액추에이터(264) 및 탄성 바이어스 수단(266)을 포함하고 있다.
액추에이터(264)는 솔레노이드(268)인 것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268)의 플런저(272)는 링크(274)를 통하여 이동체(204)의 제1 지 축(242)의 측방에 핀(27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272)는 내장한 스프링(273)에 의해 리테이너(275)를 통하여 돌출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64)는 베이스 플레이트(144)를 후방으로 절곡한 브래킷(277)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 바이어스 수단(266)은 예를 들어 스프링(267)이며, 제1 지축(242)에 대하여 핀(276)과 대칭으로 형성된 걸음 구멍(278)과 베이스 플레이트(144)에 고정된 후크(282) 사이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체(204)는 스프링(267)에 의해 당겨져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아크형 장공(254)의 단부(256)가 스토퍼(252)에 의해 정지되어 제1 가로막기편(194R)이 가로막기 위치(OP1)로 유지된다.
솔레노이드(268)가 여자(勵磁)된 경우, 플런저(272)가 도 4에 있어서 끌려내려가기 때문에 이동체(204)는 스프링(267)의 힘에 저항하여 도 4의 위치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체(204)는 제2 단부(258)가 스토퍼(252)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회동되어 제2 가로막기편(194L)이 가로막기 위치(OP2)로 이동하고, 제1 가로막기편(194R)이 비 가로막기 위치(UP1)로 이동된다.
한편, 솔레노이드(268)는 게임기 등의 제어 장치에 의해 그 불출 방향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적당한 타이밍에서 소·여자(消·勵磁)된다.
다음, 탄출 수단(176)을 설명한다.
탄출 수단(176)은 제1 출구 통로(172) 또는 제2 출구 통로(174)의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통과한 디스크(D)를 탄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탄출 수단(176)은 제1 출구 통로(172)에 배치된 제1 탄출 수단(272R), 제2 출구 통로(174)에 배치된 제2 탄출 수단(272L)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출 수단(272R) 및 제2 탄출 수단(272L)은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과 각각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탄출 수단(176)과 가로막기 수단(134)을 일체화시킨 경우,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에 적합하다.
제1 탄출 수단(272R) 및 제2 탄출 수단(272L)은 동일 구성이므로, 제1 탄출 수단(272R)을 설명하고 제2 탄출 수단(272L)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탄출 수단(272R)은 제1 가로막기편(194R), 제1 레버(208R) 및 제1 탄성 바이어스 수단(274R)을 포함하고 있다.
탄성 바이어스 수단(274R)은 제1 가로막기편(194R)을 제1 안내편(156)에 근접시키도록 탄성 바이어스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에 있어서 제1 레버(208R)가 제3 지축(206R)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탄성 바이어스 수단(274R)은 예를 들어 스프링(276R)으로서, 레버(208R)의 이면으로 돌출하는 핀(278R)과 고정 플레이트(214R)의 걸음 구멍(282R) 사이에 걸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버(208R)는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제1 레버(208R)는 고정 플레이트(214R)의 일부를 절곡한 스토퍼(284R)에 정지되어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로막기편(194R)이 가로막기 위치(OP1)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가로막기편(194R)이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3 통로 가이드(182)에 의해 안내되는 디스크(D)에 의해 밀린 경우 제1 가로막기편(194R)이 제1 안내편(156)에 근접하도록 힘을 받는 셀프락 위치(200R)에 배치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D)가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1 가로막기편(194R)에 접촉한 경우, 제1 가로막기편(194R)이 제3 통로 가이드(18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로막기편(194R)을 가로막기 위치(OP1)로 유지하는 힘이 작용하여 제1 가로막기편(194R)을 셀프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스프링(276R)은 다른 탄성체,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바이어스 수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탄성체란 신장량과 그 탄발력이 대략 비례 관계의 성질을 갖는 것의 총칭이다.
더욱이, 탄출 수단(176)은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디스크 검지 수단(140)을 설명한다.
디스크 검지 수단(140)은 제1 출구(136) 또는 제2 출구(138)로부터 불출되는 디스크(D)를 각각 검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44)의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의 상방에 제1 센서(284)의 제1 부착부(286R)가 가이드 통로(132)의 연장로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의 상방에 제2 센서(288)의 제2 부착부(286L)가 가이드 통로(132)의 연장로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센서(284)는 제1 가로막기 수단(186)에 의해 탄출된 디스크(D)를 검지하고, 간접적으로 제1 출구(136)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의 하류의 제1 출구 통로(172)에 대향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센서(284)는 문 형태의 소정 수의 스페이서(290)를 통하여 제1 부착부(286R)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센서(288)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센서(284) 및 제2 센서(288)는 디스크(D)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나 마모를 회피하기 위하여 광전식, 전자식 등의 비접촉식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센서(284) 및 제2 센서(288)는 도 1,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문 형태의 몸체(292)에 디스크 통로 중 어느 하나에 투광부(도시 생략)를 배치하고, 다른 하나에 수광부(도시 생략)를 배치한 투과식 광전 센서이다.
이들 제1 센서(284) 및 제2 센서(288)의 출력은 불출된 디스크(D)의 카운트 에 사용된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제l 출구 통로(172) 또는 제2 출구 통로(174)의 소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역위상으로 진퇴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체(204)의 제1 지축(242)을 지점(支點)으로 하는 피벗 운동에 의해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이 역위상으로 선택적으로 제1 출구 통로(172) 또는 제2 출구 통로(174)에 배치된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이 롤러(202R, 202L)가 아닌 경우,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내마모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 세라믹, 글래스 비즈가 들어간 수지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 및 이동체(204)는 액추에이터(264)에 의해 이동되므로, 그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지 등의 경량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솔레노이드(268)는 예를 들어 게임기 제어 장치에 의해 여자 및 소자(消磁)되어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및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역위상으로 가로막기 위치(OP1, OP2) 또는 비 가로막기 위치(UP1, UP2)로 이동시킨다.
다음, 실시예의 작용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맨 앞의 디스크를 D1이라고 하고, 맨 앞의 디스크(D1)를 미는 다음 디스크를 D2라고 하여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D)를 가이드 통로(132)에 대하여 우측으로 불출하는 케이스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로막기 수단(186)이 제1 출구 통로(172)의 가로막기 위치(OP1)에 위치하고,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이 제2 출구 통로(174)의 비 가로막기 위치(UP2)에 위치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솔레노이드(268)가 소자되고, 이동체(204)가 스프링(267)에 의해 당겨져 제1 지축(242)을 지점으로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아크형 장공(254)의 단부(256)가 스토퍼(252)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 코인 호퍼(100)의 회전 디스크(도시 생략)가 회전되어 보류 보울(104) 내의 디스크(D)가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로 하나씩 송출된다.
디스크(D)는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에 있어서 둘레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일렬로 나란히 정렬되고,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밀려올라가 가이드 통로(132)에 도달한다.
가이드 통로(13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디스크(D)의 둘레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일렬로 정렬되고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밀려올라간다.
그리고, 맨 앞의 디스크(D1)가 가이드 통로(132)의 출구(190)로부터 송출되어 제1 통로 가이드(152)와 제3 통로 가이드(182)에 의해 제1 출구 통로(172)로, 또는 제2 통로 가이드(158)와 제4 통로 가이드(184)에 의해 제2 출구 통로(174)로 안내된다.
맨 앞의 디스크(D1)가 제1 출구 통로(172)로 진행한 경우, 다음 디스크(D2) 에 의해 밀리고 제1 가로막기편(194R)으로 진행을 저지받는다.
이 때, 맨 앞의 디스크(D1)의 가장자리와 제2 통로 가이드(158)의 간격은 디스크(D)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음 디스크(D2)는 디스크(D1)의 가장자리와 제2 통로 가이드(158)에 안내되어 제2 출구 통로(174)로 안내된다.
이 때, 제2 출구 통로(174)로 안내되는 디스크(D2)와의 마찰 접촉에 의해 제1 가로막기편(194R)에 정지되어 있는 디스크(D1)는 진행을 저지받으면서 그 자리에서 회전하므로, 디스크(D2)는 원활하게 제2 출구 통로(174)로 안내된다.
그 다음의 디스크(D2)도 마찬가지로 제2 출구 통로(174)로 안내되므로, 디스크(D2)는 제2 가로막기편(194L)을 도 3에 있어서 상방으로 밀어올린다(도 9(A) 참조).
이에 따라, 레버(208L)는 제3 지축(206L)을 지점으로 스프링(276L)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반하여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디스크(D2)의 직경부가 제2 통로 가이드(158)와 제2 가로막기편(194L) 사이를 통과한 직후, 스프링(276R)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의해 탄출된다(도 9(B) 참조).
디스크(D)는 탄출된 직후, 제2 센서(288)의 투광부에서 수광부로의 광축을 가로지른다.
이에 따라 제2 센서(288)는 디스크(D)의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도 9(C) 참조).
탄출된 디스크(D)는 제2 출구(138)로부터 불출된다.
이 때, 제1 가로막기편(194R)과 제2 통로 가이드(158) 사이는 디스크(D)의 직경의 두 배를 초과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D1)가 자중으로 낙하하고, 제1 가로막기편(194R)과 디스크(D1)의 둘레면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D1)는 제1 유동로(191)에 있어서 유동한다.
다음, 이 상태에서 디스크(D)의 불출구를 제1 출구(136)로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솔레노이드(268)가 여자되고, 스프링(267)의 탄성 바이어스력에 반하여 플런저(272)가 도 4에 있어서 하방으로 끌려내려간다.
이에 따라, 이동체(204)가 도 4에 있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아크형 장공(254)의 단부(258)가 스토퍼(252)에 저지받아 정지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로막기편(194R)은 비 가로막기 위치(UP1)로 이동되고, 제2 가로막기편(194L)은 가로막기 위치(OP2)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이드 통로(132)를 진행해 오는 디스크(D2)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가로막기편(194L)으로 진행을 저지받고 있는 디스크(D1)에 의해 제1 출구 통로(172)로 안내되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가로막기편(194R)에 의해 탄출된다.
탄출된 디스크(D)는 제1 센서(284)에 의해 검지되어 제1 출구(136)로부터 불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로막기편(194R)과 제2 통로 가이드(158) 사이는 디스크(D)의 직경의 두 배를 초과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D1)는 제1 출구 통로(172)의 제1 유동로(191R)에 있어서 유동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로막기편(194L)에 의해 디스크(D)가 탄출된 직후, 디스크(D1)는 제1 가로막기편(194R)에 눌려지지 않으므로 제1 유동로(191R)에 있어서 유동하고, 자중으로 낙하하여 제1 가로막기편(194R)과 디스크(D)의 둘레면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낙하 가능한 범위에서의 디스크(D2)의 위치 변화라면 전혀 다음 디스크(D)의 불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직경이 다른 디스크(D)를 사용한 경우라도 상기 유동 가능 범위 내에 다음 디스크(D2)가 위치해 있는 경우, 코인 호퍼(100)에서 가이드 통로(132)까지의 에스컬레이터 가이드 통로(126)의 길이를 바꾸지 않아도 디스크(D)의 불출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D1)는 유동 가능하므로,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및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이 가로막기 위치(OP1, OP2)에서 비 가로막기 위치(UP1, UP2) 또는 그 반대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1 가로막기 수단(186) 및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은 디스크(D1)에 의한 커다란 이동 저항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가로막기 수단(134)을 포함하는 이동체(204)는 작은 출력의 액추에이터(264)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264)를 작은 출력의 소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소직경의 디스크(D)로 변경하는 경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를 횡방향 슬라이드시켜 제1 가이드 플레이트(146)와의 거리를 디스크(D)의 직경보다 약간 넓 게 되도록 변경한다.
이에 맞추어 제2 가이드 플레이트(148)의 내방과 제2 통로 가이드(158)가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제2 안내편(164)의 위치를 장공(160)의 범위에서 조정한다.
이어서, 디스크(D)의 직경에 맞는 제3 안내편(180)으로 교환한다.
마지막으로 스크류(222R, 226R, 222L, 226L)를 풀어 브래킷(212L, 212R)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가로막기편(194R), 제2 가로막기편(194L)의 위치 조정을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통로에 의해 일렬로 유도된 디스크는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행한다.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행한 디스크는 선택적으로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출해 있는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에 의해 이동을 저지받는다.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은 가이드 통로에 대하여 디스크 직경분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지받은 디스크의 끝과 가이드 통로 사이에는 디스크 직경 이상의 간격이 있다.
따라서, 저지받은 디스크의 다음 디스크는 해당 저지받은 디스크에 의해 가이드되어, 디스크가 진행을 저지받고 있는 출구 통로와 반대 측의 출구 통로로 안내된다.
상기 다음 디스크가 반대 측의 출구 통로로 진행한 후, 가로막기 수단에 의 해 정지되어 있던 디스크는 그 위치를 유지하거나 중력에 의해 가이드 통로 측으로 되돌아오는 유동을 한다. 다음 디스크가 가이드 통로를 진행해 온 경우, 상기 저지받은 디스크를 가압 이동시키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출구 통로의 가로막기 수단에 의해 진행을 저지받기 때문에, 다음 디스크가 정지해 있는 디스크에 의해 안내되어 다른 쪽의 출구 통로로 진행되어 불출된다.
따라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으로 저지받는 디스크가 이동 가능한 거리에 상당하는 만큼 가이드 통로의 길이를 변경하여도 디스크의 이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통로의 길이 변경을 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디스크는 유동로에 있어서 가로막기 수단에 진행을 저지받을 때까지 이동하고, 계속하여 가이드 통로를 진행해 온 디스크는 그 진행을 저지받은 디스크에 의해 다른 유동로로 안내되어 불출된다.
따라서, 청구항 1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에 의해 저지받는 디스크가 이동 가능한 거리(유동 거리)에 해당하는 만큼 가이드 통로의 길이를 변경하여도 디스크의 이동(유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통로의 길이 변경을 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3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디스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은 디스크 탄출 기능을 갖는다.
디스크를 탄출함으로써 디스크를 구분하여 불출할 수 있다.
구분하여 불출함으로써 디스크의 검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과 탄출 장치를 별개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를 소형이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이 회전이 자유로운 레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막기 수단의 원활한 탄출에 이바지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가이드 홈을 두드리는 것과 같은 타격에 의한 "함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을 부착한 레버는 제1 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체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통로와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은 디스크 직경 이상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퇴시키는 경우,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에 이동을 저지받은 디스크는 가이드 통로 측으로 퇴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을 부착한 레버는 이동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와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이 압접될 일이 없으므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의 이동 저항은 작다.
더욱이, 이동체의 회전 저항은 작다.
결과적으로, 작은 힘으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이동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이동체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된다.
전자 액추에이터는 소형이며, 구동용 배선을 하면 되므로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위치 조정 가능하므로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위치로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의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에서의 진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크기에 따라 최적의 불출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디스크(D)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132)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19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일측에 제1 출구 통로(172)를, 타측에 제2 출구 통로(174)를 배치하고, 해당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각각 진퇴 가능한 제1 가로막기 수단(186), 제2 가로막기 수단(188)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상기 제2 출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190)로부터 적어도 디스크 직경분 이상 이격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2. 디스크를 일렬로 나란히 유도하는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일측에 제1 출구 통로를, 타측에 제2 출구 통로를 배치하고, 해당 제1 출구 통로 또는 제2 출구 통로로 각각 진퇴 가능한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가로막기 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상기 제2 출구 통로로 진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1 출구 통로 또는 상기 제2 출 구 통로로 유도하도록 한 디스크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의 출구에 연속하여 상기 일측 방향으로 뻗는 제1 유동로(191) 및 타측 방향으로 뻗는 제2 유동로(192)를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동로의 단부로 각각 진퇴하는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의 하류에 디스크의 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유동로, 제2 유동로에서 유동하고,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또는 제2 가로막기 수단으로 진행을 저지받는 디스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통로로부터 송출된 디스크를 다른 쪽의 유동로로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은 디스크 탄출 장치(176)를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및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제3 지축(206L, 206R)에 대해 회전이 자유로운 레버(208L, 208R)에 부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이 상기 제1 출구 통로, 제2 출구 통로를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1 지축(2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체(204)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전자 액추에이터(268)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로막기 수단, 제2 가로막기 수단은 위치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분류 장치.
KR1020070038735A 2006-06-12 2007-04-20 디스크 분류 장치 KR100868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2551A JP5066679B2 (ja) 2006-06-12 2006-06-12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JP-P-2006-00162551 2006-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530A KR20070118530A (ko) 2007-12-17
KR100868027B1 true KR100868027B1 (ko) 2008-11-10

Family

ID=3893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735A KR100868027B1 (ko) 2006-06-12 2007-04-20 디스크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66679B2 (ko)
KR (1) KR100868027B1 (ko)
CN (1) CN101089899B (ko)
TW (1) TWI3951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3B1 (ko) * 2009-11-18 2011-10-05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4474B2 (ja) * 2009-03-26 2013-10-16 Mina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イン投出装置
JP6103330B1 (ja) * 2016-05-23 2017-03-29 株式会社大都製作所 メダル補給装置
CN108115038A (zh) * 2017-12-30 2018-06-05 何淳浩 管子冲孔机的锁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096A (ja) * 1990-08-02 1992-06-22 Asahi Seiko Kk コイン搬送ダクト
JPH0573749A (ja) * 1991-09-13 1993-03-26 Nippon Kinsen Kikai Kk メダル投出機
KR940003712Y1 (ko) * 1987-09-05 1994-06-07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KR950003203B1 (ko) * 1990-11-15 1995-04-04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5465U (ko) * 1989-05-09 1990-12-10
JP2781495B2 (ja) * 1992-06-19 1998-07-30 アルゼ株式会社 コイン払出し装置
JPH08293051A (ja) * 1995-02-23 1996-11-05 Asahi Seiko Kk 硬貨搬送装置
TW360855B (en) * 1995-09-29 1999-06-11 zhi-cheng Ruan Coin device and the coin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JP3939427B2 (ja) * 1998-03-19 2007-07-04 Juki株式会社 コイン投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ゲーム機
JP4119546B2 (ja) * 1998-11-04 2008-07-16 株式会社サミーシステムズ コイン等の払い出し装置
JP4141075B2 (ja) * 2000-02-08 2008-08-27 株式会社ソフィア コイン貸機
JP2002032824A (ja) * 2000-07-17 2002-01-31 Asahi Seiko Kk ホッパーのエスカレータに装着するコインセンサ
TW544639B (en) * 2001-01-24 2003-08-01 Asahi Seiko Co Ltd Coin hopper
JP4224617B2 (ja) * 2002-12-16 2009-02-18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3994132B2 (ja) * 2002-01-17 2007-10-17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2006508572A (ja) * 2002-11-28 2006-03-09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周波数発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12Y1 (ko) * 1987-09-05 1994-06-07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JPH04174096A (ja) * 1990-08-02 1992-06-22 Asahi Seiko Kk コイン搬送ダクト
KR950003203B1 (ko) * 1990-11-15 1995-04-04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JPH0573749A (ja) * 1991-09-13 1993-03-26 Nippon Kinsen Kikai Kk メダル投出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63B1 (ko) * 2009-11-18 2011-10-05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530A (ko) 2007-12-17
JP5066679B2 (ja) 2012-11-07
CN101089899B (zh) 2010-09-15
TW200802190A (en) 2008-01-01
TWI395157B (zh) 2013-05-01
CN101089899A (zh) 2007-12-19
JP2007334434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1803B2 (ja) 遊技機等のコイン選別装置
US7497314B2 (en) Denomination distinguishing system in coin processing apparatus
JP2635211B2 (ja) 硬貨を計数しかつ選別する方法
KR100868027B1 (ko) 디스크 분류 장치
JP2015022597A5 (ko)
KR20110055336A (ko)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JP6041772B2 (ja) 硬貨出金装置の硬貨搬送案内装置
JP2007334434A5 (ko)
US6866574B2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ensing discs
JP4711738B2 (ja) 不正防止装置を有するディスクホッパ
EP1603084B1 (en) Disc dispensing apparatus
US6821198B2 (en) Disc guiding device for directing discs discharged from a disc passageway
JP5044836B2 (ja) ディスク案内装置
JP4630972B2 (ja) ディスクのスピン付与送出装置
JP2008033723A5 (ko)
EP1548656A1 (en) A low force coin dispensing apparatus
JP4224617B2 (ja)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2008276616A (ja) コインホッパにおける誤検知防止装置
JP6002905B2 (ja) 硬貨出金装置
JP4333830B2 (ja) ディスクの選別装置
JP4072749B2 (ja) ディスクの案内装置
JPH09311963A (ja) 硬貨投出装置
JP2015049782A5 (ko)
JP5585020B2 (ja) コインホッパ
JP2005074098A (ja) ディスク案内装置のディスク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