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03B1 -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03B1
KR950003203B1 KR1019910020098A KR910020098A KR950003203B1 KR 950003203 B1 KR950003203 B1 KR 950003203B1 KR 1019910020098 A KR1019910020098 A KR 1019910020098A KR 910020098 A KR910020098 A KR 910020098A KR 950003203 B1 KR950003203 B1 KR 95000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outlet
side plate
respect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01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히로시 아베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hut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출구 장치를 구비한 경화 송출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만곡 출구 슈트의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Ⅰ- Ⅰ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4도에같은 양태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하는 출구 슈트의 작용 설명도.
제7도는 종래 공지의 출구 장치의 확대도.
제8도는 제7도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하단 입구 4 : 만곡 출구 슈트 통로
5 : 상단 출구 8 : 통로 측판
9 : 외측 안내 퀘도 10 : 내측 안내 궤도
11 : 외측 단판 12 : 내측 단판
20 : 가요성 탈락 방지 측판 22 : 데이퍼 롤러
24 : 안내홈 구멍 25 : 인장 스프링
26 : 나선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등에 쓰이는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특히 출구 슈트를 거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출구 에스컬레이터로 경화를 위쪽으로 송출하는 출구 장치에 관하는 것이다.
종래 다수의 경화 또는 메달(본 명세서에선 경화라 총칭한다)을 저장하는 호퍼내의 한측에 수평에 대해서 경사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화 이송 원반을 구비하며, 상기 경화 이송 원반의 외주연부에 다수의 경화 이송편이 설치되며 경화 이송 원반이 회전됨으로써 호퍼내의 경화가 각 이송편으로써 1개씩 집어 올려져서 위쪽으로 보내지며 경화 이송 원반의 중앙 원형 대부의 위가장자리에 접해서 설치된 출구 나이프에 의해서 출구 슈트에 안내되게 구성된 경화 송출 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공소 62-45588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화 송출 장치에 있어서 출구 슈트 위쪽으로 연장하는 통상의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접속되며 예컨대 경화 이송편의 송출 작용에 의해서 경화를 출구 슈트를 거쳐서 출구 에스컬레이터내에 경화 상호간의 밀어내는 작용을 이용해서 밀어올려 윗쪽의 경화 수취부로 송출하게 구성한 출구 장치가 종래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출구 장치의 출구 슈트는 제7도에 도시하둣이 경화 송출 장치에 의해 경화(2)가 화살표(A)로 나타내는 듯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는 하단 입구(3)에 수평 방향으로 밀어넣어진 경화(2)를 원호형으로 만곡한 출구 슈트 통로(4)로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서 상단 출구(5)에 접속되어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에스컬레이터(6)의 직선형 에스컬레이터 통로(7)내에 경화(2)를 밀어올리게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는 제8도에 도시하듯이 통로측판(8)과 만곡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 및 내측판(11,12)와 더불어 나사(13,14)에 의해서 각각 일체로 통로측판(8)에 단단하게 죄어 고정된 외측 및 내측 탈락 방지 측판(15,16)에 의해서 처리 경화를 출구 슈트 통로(4)에서 탈락시킴이 없이 출구 에스컬레이터(6)를 통과시킬 수 있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 상술한 출구 장치에선 출구 슈트 및 출구 에스컬레이터의 통로내에서 만곡한 변형 경화가 후속 경화에 의해서 밀어질 때 이 변형 경화의 앞끝이 선행 경화의 후단의 상측에 겹쳐짐으로써 변형 경화의 후단의 하측에 후속 경화가 들어가는 현상이 생겼다. 또, 변형하고 있지 않은 정상 경화여도 상향의 밀어올리는 힘과 경화 중량 등의 밀어내리는 힘과의 작용에 의한 경화의 걸림 현상으로 이 정상 경화의 뒤끝이 뜨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막힘 현상에 생겨 경화가 송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도에 도시하듯이 경화가 거의 수평으로 밀어넣어지는 하단 입구(3)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상단 출구(5)를 갖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를 구비하는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에 있어서, 만곡 출구 슈트(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내 궤도(9)를 갖는 외측 단판(11)이 그 궤도면을 통로 측판(8)에 대해서 경사해서 고정되며 만곡 출구 슈트(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궤도(10)를 갖는 내측 단판(12)의 입구측 부분의 측부쪽을 가요성의 탈락 방지측판(20)에 의해 피복하고 내측 단판(12)의 출구측 부분에 적어도 1개의 하향 테이퍼면 부착 테이퍼 롤러(22)를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러한 테이프 롤러를 스프링으로 부가해서 하향 테이퍼 면에 접촉하는 경화 외주연에 밀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도에 도시하듯이 경화 송출 장치에 의해서 출구 슈트(1)의 하단 입구(3)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밀어넣어진 경화(2)는 거의 수직 방향으로 지향하는 상단 출구(5)를 향하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내에서 후속 경화로 밀어진다. 이에 따라 경화(2)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안에 궤도(9)의 궤도면에 밀어붙여지며, 제3도에 도시하듯이 통로측판(8)과 외측 안내 궤도(9)와, 내측 안내 궤도(10)와 이 내측 안내 궤도에서 경화 통로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요성 탈락 방지측판(20)에 의해서 형성된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내를 외측 안내 궤도(9)를 따라서 밀어진다. 이때 경화(2)가 만곡 변형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6도에 도시하듯이 변경 경화(2a)의 전단부가 선행 경화상에 오르며 이것으로 가요성 탈락 방지측판(20)이 걷어올림 변형되어서 출구 슈트가 개방되며 이 개방구에서 변형 코인은 후속 경화로 만곡 출구 슈트 통로밖으로 완전히 밀어내어짐으로써 배출된다.
한편, 정상 경화(2)는 탈락 방지판(20)에 피복된 출구 슈트 통로(4)내를 통과하며 외측 안내 궤도(9)와 데이퍼 롤러(22) 사이의 스프링의 반발력을 저항해서 진입하고 그 외주연이 외측 안내 궤도의 경사면과 스프링 부하된 데이퍼 롤러의 하향 테이퍼면에 의해서 통로측판(8)에 대해서 밀어붙여지면 출구 에스컬레이터내로 밀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만곡 슈트내에 설치된 가요성 탈락 방지 측판과 경사면 및 하향 테이퍼면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서 변형 경화의 배제 및 정상 경화의 떠오름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출구 슈트내의 경화 막힘을 완전히 방지하고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출구 슈트(1)는 경화 송출 장치를 경화(2)가 화살표(A)로 도시하듯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하단 입구(3)를 가지며, 이 하단 입구(3)에 수평 방향으로 밀어넣어진 경화(2)를 출구 슈트 통로(4)에 의해서 거의 수직 방향으로 전향시켜서 화살표(B)로 도시하듯이 상단 출구(5)에서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서 상단 출구(5)에 접속된 위쪽으로 연장하는 출구 에스컬레이터(6)내에 경화(2)를 밀어올리듯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만곡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내 궤도(9)를 갖는 외측 단판(11)이 나사(13)에 의해서 통로 측판(8)에 고착되며, 곡률 중심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궤도(10)를 갖는 부채꼴의 내측 끝판(12)은 그 입구측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요성 우레탄 고무제 탈락 방지 측판(20)과 더불어 나사(14)에 의해서 통로측판(8)에 고착되어 있다.
외측 안내 궤도(9)는 경사로 절단되어서 통로 측판(8)에 대해서 약 70°의 예각θ로 경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
가요성 탈락 방지 측판(20)은 60°~70°의 경로를 갖는 우레탄 고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0.5~2.0mm의 것을 적합하게 쓸수 있다.
내측 끝판(12)의 위끝의 내측 직선 궤도(10)의 부분, 즉 출구측 부분에 테이퍼 롤러(22)를 배치하고 있다.
테이퍼 롤러(22)는 제4도에 도시하둣이 하향 테이퍼면(22a)를 갖는 팽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 구멍(21)에 중심축(23)을 관통시키고 이 중심축(23)의 주위로 테이퍼 롤러(22)가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중심축(23)을 통로측판(8)에 낸 안내 홈구멍(24)에 관통시키고 중심축(23)의 축단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슈(17)를 부착해서 테이퍼 롤러(22)가 출구 슈트 통로(4)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슈(17)는 인장 스프링(25)의 반발력으로 외측단판(11)을 향해서 항시 끌어 당겨져 있다.
따라서 이 반발력을 저항해서 밀어넣어진 경화는 제4도에 도시하듯이 경화의 외주연이 외측 안내궤도내(9)의 경사면과 스프링 부하된 테이퍼 롤러의 하향 테이퍼면에 의해서 통로측판(8)에 대해서 밀어붙여지므로 경화의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테이퍼 롤러(22)가 안내 홈구멍(24)을 따라서 출구 슈트 통로(4)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통로 경화의 직경에 다소의 불균일이 있어도 테이퍼 롤러(22)가 안내 홈(24)를 따라서 출구 슈트(4)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특히 대경 경화가 통과한 경우에도 막힘이 생기지 않는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의 예에선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의 하향 테이퍼 면(22a)을 갖는 테이퍼 롤러(22)를 쓰며 통로 측판(8)에 낸 부착 구멍(18)에 중심축(23)을 관통시키고 원추형의 나선 스프링(26)은 그 대경단(26a)을 통로측판(8)의 뒷면에 대어서 중심축(23)의 자유단에 부착한 스프링 지지판(19)과 통로측판(8)사이에 끼운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앞서 말하듯이 반발력을 저항해서 밀어넣어진 경화는 경화의 외주연이 외측 안내 궤도내(9)의 경사면과 스프링 부하된 테이퍼 롤러의 하향 테이퍼면에 의해서 통로측판(8)에 대해서 밀어붙여지므로 경화의 떠오름이 방지된다.
상술의 실시예는 각각 1개의 테이퍼 롤러를 쓰고 있는데 이것은 복수개의 롤러를 이용하면 안된다는 취지가 아니라 필요한 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외측 안내 궤도 대신에 상술의 테이퍼 롤러를 써서 좌우 1쌍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화 송출 장치에서 경화를 출구 슈트를 거쳐서 출구 에스컬레이터에 밀어 올리도록 구성된 경화 출구 장치에서의 막힘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경화가 거의 수평으로 밀어넣어지는 하단 입구(3)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상단 출구(5)를 갖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를 구비한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에 있어서, 만곡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내 궤도(9)를 갖는 외측단판(11)이 그 궤도면을 통로측판(8)에 대해서 경사로 하여 고정되고 만곡 출구 슈트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 궤도(10)를 갖는 내측 단판(12)의 입구측 부분의 측부쪽을 가요성의 탈락 방지 측판(20)으로 피복하고, 내측 단판(12)의 출구측 부분에 적어도 1개의 하향 테이퍼면 부착 테이퍼롤러(2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러한 테이퍼 롤러(22)를 스프링으로 부하해서 하향 테이퍼면에 접촉하는 경화 외주연에 밀어내리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송출 장치 출구 장치.
  2. 경화가 거의 수평으로 밀어넣어지는 하단 입구(3)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상단 출구(5)를 갖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를 구비한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에 있어서, 만복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내 궤도(9)를 갖는 외측단판(11)이 그 궤도면을 통로측판(8)에 대해서 경사로 하여 고정되고 만곡 출구 슈트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궤도(10)를 갖는 내측안내 궤도(10)를 갖는 내측 단판(12)의 입구측 부분의 측부쪽을 가요성이 탈락 방지 측판(20)으로 피복하고, 내측 단판(12)의 출구측 부분에 적어도 1개의 하향 테이퍼면 부착 테이퍼 롤러(2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러한 테이퍼 롤러에 테이퍼 롤러의 외측 안내궤도(9) 사이를 통과하는 경화의 외주연에 접촉할 수 있는 하향 테이퍼면(22a)을 각 테이퍼 롤러에 설치하고, 이러한 테이퍼 롤러의 중심축(23)을 통로측판(8)의 경화 통로의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안내홈 구멍(24)에 관통시키고 통로측판(8)에서 돌출하는 중심축(23)의 축단을 인장 스프링(25)으로 외측 단판(11)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3. 경화가 거의 수평으로 밀어넣어지는 하단 입구(3)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상단 출구(5)를 갖는 만곡 출구 슈트 통로(4)를 구비한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에 있어서, 만곡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안내궤도(9)를 갖는 외측 단판(11)이 그 궤도면을 통로측판(8)에 대해서 경사로 하여 고정되고 만곡 출구 슈트 통로(4)의 곡률 중심에 대해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안내궤도(10)를 갖는 내측 단판(12)의 입구측 부분의 측부쪽을 가요성의 탈락 방지 측판(20)으로 피복하고, 내측 단판(12)의 출구측 부분에 적어도 1개의 하향 테이퍼면 부착 테이퍼 롤러(2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러한 테이퍼 롤러에 데이퍼 롤러와 외측 안내궤도(9) 사이를 통과하는 경화의 외주연에 접촉할 수 있는 하향 테이퍼면(22a)을 각 테이퍼 롤러에 설치하고 통로측판(8)에 관통한 중심축(23)의 자유단과 통로측판(8)의 뒷면 사이에 나선 스프링(26)을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KR1019910020098A 1990-11-15 1991-11-13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KR950003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07192 1990-11-15
JP2307192A JPH0644306B2 (ja) 1990-11-15 1990-11-15 硬貨送出装置の出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01A KR920010501A (ko) 1992-06-26
KR950003203B1 true KR950003203B1 (ko) 1995-04-04

Family

ID=1796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098A KR950003203B1 (ko) 1990-11-15 1991-11-13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81881A (ko)
JP (1) JPH0644306B2 (ko)
KR (1) KR950003203B1 (ko)
AU (1) AU630830B2 (ko)
ES (1) ES2036945B1 (ko)
GB (1) GB2251114B (ko)
HK (1) HK29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027B1 (ko) * 2006-06-12 2008-11-10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분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4902B1 (en) * 1992-10-27 1997-06-0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feeding device with an escalator
US5437408A (en) * 1993-11-02 1995-08-01 Chesnut; John M. Animal coin bank
US5688166A (en) * 1996-07-10 1997-11-18 Chen; Chih-Nan Apparatus for counting coins
DE19739459C2 (de) * 1997-09-03 2000-04-13 Zimmermann Gmbh & Co Kg F Geldwechselvorrichtung
JP2002032824A (ja) * 2000-07-17 2002-01-31 Asahi Seiko Kk ホッパーのエスカレータに装着するコインセンサ
NL1020759C2 (nl) * 2001-06-15 2003-06-30 Asahi Seiko Co Ltd Geleidings-inrichting voor munten of andere schijfvormige voorwerpen.
NL1019509C2 (nl) * 2001-12-06 2003-06-10 Suzo Internat Nl B 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schijfvormige voorwerpen zoals munten.
NL1019510C2 (nl) * 2001-12-06 2003-06-10 Suzo Internat Nl B 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schijfvormige voorwerpen zoals munten.
EP3506219B1 (de) * 2017-12-28 2020-09-23 Prem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einzelung und zwangsförderung von scheibenförmigen gegenstände, insbesondere von münz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0661A (en) * 1967-02-08 1969-08-12 Lektro Vend Corp Check operated switches
DE2154782C3 (de) * 1971-11-04 1974-10-31 National Rejectors Inc. Gmbh, 2150 Buxtehude Anordnung zum Führen von Münzen in einer Münzprüfvorrichtung
US4518001A (en) * 1982-04-26 1985-05-21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Coin handling apparatus
DE3529497A1 (de) * 1985-08-17 1987-02-26 Boehringer Mannheim Gmbh N(pfeil hoch)6(pfeil hoch)-disubstituierte pur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JPS63314868A (ja) * 1987-10-03 1988-12-22 Nec Corp Mos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923430A (en) * 1987-10-14 1990-05-08 Kabushiki Kaisha Sigma Coin payout apparatus in gaming device
JPH0714551B2 (ja) * 1989-08-03 1995-02-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鋳造法
KR940000592Y1 (en) * 1989-10-03 1994-02-02 Asahi Seiko Co Ltd Coin dispensing apparatus
JPH0666073B2 (ja) * 1990-08-02 1994-08-24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搬送ダク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027B1 (ko) * 2006-06-12 2008-11-10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0830B2 (en) 1992-11-05
AU8773191A (en) 1992-05-21
HK29695A (en) 1995-03-10
US5181881A (en) 1993-01-26
KR920010501A (ko) 1992-06-26
ES2036945B1 (es) 1994-01-16
GB9124187D0 (en) 1992-01-08
GB2251114A (en) 1992-06-24
ES2036945A1 (es) 1993-06-01
JPH0644306B2 (ja) 1994-06-08
JPH04180192A (ja) 1992-06-26
GB2251114B (en) 199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203B1 (ko)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US4564036A (en) Coin sorting system with controllable stop
DE2754792C2 (de) Münzenprüf- und -zählmaschine
EP0296875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flat items e.g. coins or tokens
KR970005402B1 (ko) 경화송출장치
US6059651A (en) Apparatus for lifting circular plate bodies
KR940004217B1 (ko) 코인 반송 덕트
US6176363B1 (en) Coin elevating device
US5282769A (en) Coin sorting device with an escalator
AU759413B2 (en) A coin dispensing apparatus
KR940002007Y1 (ko) 동전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AU691624B2 (en)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US4271953A (en) Automatic feeding hopper employing an anti-jamming mechanism
KR950003204B1 (ko) 경화 반송 덕트
KR960001446B1 (ko) 에스컬레이터 부착 코인 송출 장치
KR940003712Y1 (ko)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US5066261A (en) Coin hopper assembly
JPS6040074B2 (ja) 硬貨処理機における硬貨移送装置
JPH0327663Y2 (ko)
JP7134432B2 (ja) 硬貨処理装置
KR100390756B1 (ko)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슈트 장치
AU657170B2 (en) Coin sorting device with an escalator
JPS5892083A (ja) 硬貨選別機における被選別硬貨供給装置
KR940008494Y1 (ko)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JP3941237B2 (ja) パチンコ玉整列装置、パチンコ玉賞球排出装置、およびパチンコ遊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