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494Y1 -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494Y1
KR940008494Y1 KR92006621U KR920006621U KR940008494Y1 KR 940008494 Y1 KR940008494 Y1 KR 940008494Y1 KR 92006621 U KR92006621 U KR 92006621U KR 920006621 U KR920006621 U KR 920006621U KR 940008494 Y1 KR940008494 Y1 KR 940008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late
guide
vending machin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184U (ko
Inventor
김정연
Original Assignee
김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연 filed Critical 김정연
Priority to KR92006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494Y1/ko
Publication of KR930024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6Coi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제1도는 본 고안 동전 수납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전 수납장치의 내부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전 수납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전 수납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동전 수납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동전 수납장치의 동전 안내수단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동전 진입 초기 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동전 진입후 진행에 따른 로커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플레이트부
3 : 회전판 4 : 돌부
5 : 동전안내부 6 : 걸림턱
7 : 단속대 8 : 판스프링
9 : 투입구 10 : 로커(Locker)
11 : 스크리퍼(Scraper) 12, 12' : 안내판
13 : 돌기 14 : 돌출부
15 : 수납구 16 : 고정부
17 : 안내홈 18 : 판스프링
20 : 샤프트 21 : 핸들
22, 22' : 홈 23, 23' : 누름판
24, 24', 24" : 탄성판 26 : 걸림홈
29 : 턱 32 : 스토퍼
본 고안은 자판기의 동전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 압지력에 의해 동전을 이동시켜 동전 수납시 불량물체 색출로 자판기의 비정상적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는 동전을 수납하고 이를 통해 본체 내부기기를 연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동전수납장치가 구성된다.
이 장치는 규정된 동전만을 수납하고 동전과 유사한 물체는 통제하여 수납을 거부함을 목적으로 하며 통제방법에 있어서 기계적인 단속과 전자제어적인 방법이 있다.
기계식은 동전의 투입에서 부터 이동과 색출과정을 기계적인 작동으로 수행하게 되며 전자식은 동전의 두께, 크기, 무게등을 판독하여 동전수납을 단속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동전수납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기계식 수납장치를 갖는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동전만이 수납가능하고 동전크기가 변경될 경우 수납장치의 구조를 동전 크기에 맞춰 전체적인 치수를 변경하여야 한다.
안정된 동전수납을 위해서 각 부품의 마모도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계식의 경우 각 부품과의 연속적인 연결작동으로 동전을 수납하는 관계로 각 부위가 마모되고 특히 마도의 정도는 정상적인 동전 수납을 가름하는 조건이 된다.
바람직스러운것은 마도율을 낮추고 반복적인 작동에도 각 부품의 위치 변형이나 특성저하를 낮추는 것이며 원활한 작동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전수납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하여 기계적인 작동으로 동전을 수납하는 종래의 기계식 동전수납장치는 주요부분이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프레임에 안내되어 핸들축의 회전으로 동전을 이동시키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에 의해 이동된 동전의 외주연에서 작용되는 가압력으로 구속력을 해제하여 동전을 수납구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단속부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은 동전 투입구측으로 부터 공급된 동전을 수납구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핸들축과 연동되는 회전체이고 단속부의 통제하에 위치한다.
이 단속부는 회전판의 회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개 로커를 탄성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동전의 수납여부를 가름한다.
동전수납장치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사항은 규정된 동전만을 수납하고 그밖의 물체들은 거부할 수 있는 선별기능이다.
이 선별기능이 불비하거나 부족할 경우 규정된 동전은 물론 최소한 기준에 준하는 다른 성질의 물체를 수납할 수 있어 정상적인 자판기용 동전수납장치로서는 부적합한 구조로 지적된다.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선별기능을 갖추어 규정된 동전만을 수납토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회전판과 이를 단속하는 단속부를 두어 선택적인 동전의 수납을 이루고자 동전의 외형 크기에 의해 동전수납여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동전을 이동시키는 과정중 단속부에 도달되면 동전의 외주연이 로커를 밀어내고 동전을 수납구측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위의 경우 동전이 아닌 그와 유사한 크기로 모조된 다른 물체를 투입하여 작동시키면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동전을 수납하게 되어 자판기의 본체를 작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동전과 동일한 크기의 종이류를 투입하여 작동시키거나 직경이 작은 동전의 테두리에 테이핑처리를 하여 작동시키면 동전의 수납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이는 동전과 유사한 적당한 두께와 크기만 주어지면 어떠한 물체라도 수납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동전을 선택수납하여 자판기를 가동시키고자 한 설치목적에 어긋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다른물체에 의해 자판기가 가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동전을 모조한 물체 투입으로 수납장치가 훼손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여 수명 단축과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최소한 적은 동전의 외주에 테이핑을 하거나 그밖에 동전을 모조한 종이재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물체를 통과 과정에서 색출하기 위한 동전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전을 안내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스크리퍼가 형성된 로커를 설치한 한편, 동전표면에 대한 스크리핑(Scraping)기능을 하는 누름판을 설치한 것과 함께 동전의 이동을 차단하고 진로를 안내하는 안내판을 탄성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금속류를 제외한 재질의 모조 물체의 수납을 거부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공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동전수납장치는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주요 부분이 투입구(9)와 수납구(15)가 형성되고 세부구성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1)과, 핸들(21)의 회전으로 연동되는 회전판(3)과, 판(23)(23')과 안내판(12')을 포함하고 단속대(7)가 설치되어 프레임(1)에 체결되는 프레이트부(2)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일단에 종방향의 기울기를 갖는 투입구(9)가 형성되고 동전이 자연낙하되는 부위인 수납구(15)가 위치상 하부에 형성된다.
그 내측상에는 스프링안내홈(28)을 형성하여 판스프링(18)을 안내 고정하고 이 일단에 연접되도록 로커(10)를 설치고정하되 돌출부(14)를 축으로 고정되며 로커(10)는 내면을 곡면으로 형성함과 함께 동전이 진입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초입부에 스크리퍼(11)를 형성하고 그 말단부는 턱(29)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수납구(15)측 주변에 1조의 고정부(16)를 형성하여 안내판(12)을 스프링(1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3)은 프레임(1)의 안내홈(17)을 중심으로 프레임(1)의 상단면상에 안착되는 회전체로서 상면에 돌부(4)가 형성되고 중심상에 핸들(21)측 샤프트(20)가 끼워질 수 있는 홈(22)이 형성된 한편 걸림턱(6)으로 이루어지는 동전안내부(6)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2)는 단속대(7)가 설치되고 하부를 지향하는 돌기(13)가 형성된 안내판(12')을 탄성판(24")으로 고정한 한편, 상대편 지역에 홈(25)(25')을 형성하여 탄성판(24)(24')으로 지지되는 각각 1조의 누름판(23)(23')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프레임(1)상에 다수의 볼트로서 고정된다.
한편, 스토퍼(32)가 형성된 단속대(7)는 역회전방지부(8)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26)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측 안내홈(17)과 회전판(3)의 홈(22) 및 역회전방지부(8)의 홈(22')을 관통하여 작동부(31)를 일체로 통합하는 수단은 핸들(21)에 형성된 샤프트(20)로서 고정볼트(30)를 체결하여 조립체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33은 프레이트부(2)에 형성된 돌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동전수납장치는 물체 지름 사이즈에 의해 동전 수납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그것이 실제 통용되는 화폐로서의 동전인가 아니면 이 화폐와 지름이 같고 물성이 같은 모조물체인가 까지를 가려줄수는 없다.
다만 수납과정중 동전의 외주연에 강한 가압력을 작용시켜 그 본질 유무를 판별하고 동시에 동전표면에 대한 탄성압박력을 작용시켜 투입된 동전의 강성을 기계적으로 진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실제 동전보다 강성이 약한 유연성이 있는 재질의 모조동전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는 본 고안 수납장치의 내면부 구성도이고 제3도는 그 평면도이며 제4도는 정면도로서 자판기의 캐비넷에 부착시 프레임(1)의 전면부와 핸들(21)은 외부에 위치하고 그 외의 구성부품들은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1)에 형성된 투입구(9)를 통해 동전을 투입하고 이 동전을 수납구(15)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진행되는 각 단계별 동전 이동 과정과 불량물체 색출동작은 다음과 같다.
동전을 투입구(9)에 투입하면 동전은 투입구의 경사면을 따라 최초 회전판(3)의 동전안내부(5)에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끼워진다.
이 동전안내부(5)의 폭은 규정된 동전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핸들(21)을 정회전시키면 회전판(3)이 회전하면서 동전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전이 이동하여 로커(10)의 선단 스크리퍼(11)에 도달되면 로커(10)의 내탄성력과 강한 선접촉 현상이 발생된다.
로커(10)는 돌출부(14)를 힌지점으로 주어진 범위내에서 회전하고 판스프링(18)에 의해 내측을 지향하는 탄성압박력을 지속적으로 갖게 된다.
따라서 동전의 외주연과 스크리퍼(11)가 맞닿으면 탄성력으로 외주연에 대한 물성의 파악이 가능하다.
즉, 정상적인 동전일 경우 외주연이 스크리퍼(11)를 밀어내어 회전판(3)이 계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외주연이 정상적인 동전이 아닌 동전에 테이핑을 하였다거나 또는 동전과 유사한 모조 물체일 경우 강한 가압력의 작용에 의해 외주연이 무마되어 로커(10)를 밀어내지 못하게 됨으로서 회전판(3)의 걸럼턱(6)이 로커(10)의 스크리퍼(11)선단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제8도는 정상적인 동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동전의 외주연이 로커(10)의 선단 스크리퍼(11)에서 작용되는 판스프링(18)에 의한 가압력을 극복하고 로커의 내면부를 따라 계속적으로 이동되는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로커(10)에 의한 동전의 검색 절차와 병행하여 누름판(23)(23')의 탄성 가압력으로 동전 표면에 대한 스크리핑 작용을 나타내어 특히 동전의 물성에 준하지 않는 타류의 재질 플라스틱, 종이 등에 대해서는 변형을 유발시켜 회전판(3) 회전시 걸림턱(6)이 로커(10)의 스크리퍼(11)에 걸려 회전을 멈추도록 하고 있다.
상기 누름판(23)(23')에 의한 탄성 압박력은 재질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류의 물체일 경우 로커의 단속으로 그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나 이와 동시에 누름판(23)(23')이 물체 표면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그 물체의 변형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규정된 크기에 한해서 선별적으로 동전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며 정상적인 동전일 경우 위 두검색 과정을 무난히 지나칠 수 있으나 유사한 크기의 종이류, 목재류, 규정된 크기보다 적은 물체의 외주연에 테이핑처리를 한 모조된 동전등은 통과가 어렵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두가지 검색작용은 최소한 규정된 동전크기에 준하는 동전이 투입될 경우 이를 선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것이며 규정된 동전크기보다 적은 동전이 투입될 경우 회전판(3)의 제동/제어 동작은 회전판(3)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걸림턱(6')이 로커(10)의 말단부측턱(29)에 걸리게 되어 회전판(3)을 중지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는 규정된 동전의 지름과 비교할때 그보다 지름이 작은 동전이 투입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즉 규정된 동전을 W, 그지름을 R이라하고 지름이 적은 동전을 W', 그지름을 R'라 할때, W'는 투입구(9)를 무난히 통과하여 회전판(3)의 동전안내부(5)에 수용되어 로커(10)의 스크리퍼(11)에 걸리지 않고 지나쳐 회전판이 회전될 수 있으나 로커(10)의 내면부를 외측으로 밀어내지 못하게 됨으로서 회전판(3)의 제2걸림턱(6')이 로커(10)의 턱(29)에 걸리게 되어 회전이 중지된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동전은 수납을 거부할 수 있다.
제6도는 동전을 수납구(15)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으로 구성요소는 안내판(12)과 이와 연결되는 플레이트부(2)에 구성되는 안내판(12')이다.
이들은 각기 스프링(19)과 탄성판(24")에 의해 회전판(3) 상면에 밀착되고 회전판(3)이 회전되면 돌부(4)의 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탄성력에 의해 항성 회전판(3)에 밀착된다.
이중 안내판(12')의 돌기(13)는 동전의 오버 진행을 억제하는 역활을 수행하고 안내판(12)에 형성된 "A"부는 회전판(4)의 돌부(4)와 맞닿을 경우 안내판(12')을 들어올려 회전판(3)의 회전 진행멈춤을 방지한다.
한편, 역회전 방지부(8)는 걸림홈(26)이 형성되어 단속대(7)의 스토퍼(32)가 맞물리도록 하여 회전판(3)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단속대(7)는 스토퍼(32)의 자중에 의해 항상 역회전방지부(8)의 걸림홈(26)에 얹혀진 상태로 위치한다.
역회전방지부(8)의 걸림홈(26)은 단속대(7)의 스토퍼(32)에 대하여 일방향 진행성을 갖도록 한다.
즉, 걸림홈(26)의 형상이 방향성을 갖고 있어 핸들(21)을 시계방향(정회전시)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나 그 반대이면 회전이 구속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동전수납장치는 투입구(9)측에서 동전을 투입하고 회전판(3)에 수용하여 이를 수납구(15)측으로 이동시켜 1회의 동작 사이클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작동부(31)를 통해 연쇄적으로 자판기의 기기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만약, 부실한 동전을 투입하면 그 회전 주기가 완성되지 못함으로서 자판기를 가동시킬 수 없게 된다. 부실 동전의 색출수단은 로커(10)와 누름판(23)(23')이고 동전 내수단은 탄성 지지체인 안내판(12)(12')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규정된 동전만을 수납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이류 등의 유연성 재질로 된 모조주화의 수납을 거부하기 위해 이를 색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금속류의 모조동전을 제의하고 가압력으로 물체를 변형시켜 모조물체에 의한 자판기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일단을 스크리퍼 (11)로 형성하고 말단을 턱(29)으로 형성하여 프레임(1)상에 탄설되는 로커(10)와, 동전안내부(5)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걸림턱(6)이 형성된 한편 제2걸림턱(6')을 갖고 상면 일정지점이 돌부(4)로 이루어진 회전판(3)과, 안내판(12')을 포함하고 단속대(7)와 누름판(23)(23')이 설치된 프레이트부(2)와, 핸들(21)의 샤프트(20)에 고정되는 역회전방지부(8)는 방향성을 갖는 걸림홈(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의 동전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크리퍼(11)는 투입구를 통과한 물체의 외주연에 대하여 탄성압박력이 작용되고 돌출부(14)를 중심으로 위치가 변화되면 내측 곡면부를 통해 동전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의 동전수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23)(23')은 플레이트부(2)에 탄성판(24)(24')으로 탄설되어 동전 표면에 대한 가압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의 동전수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에 고정된 안내판(12)과 플레이트부(2)에 고정된 안내판(12')은 탄성체에 의해 탄설되어 상기 안내판(12')의 돌기(13)가 회전판(3)의 표면에 밀착되고 그 상하 이동은 회전판(3)의 회전으로 구현되어 동전을 수납구(15)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의 동전 수납장치.
KR92006621U 1992-04-21 1992-04-21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KR940008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621U KR940008494Y1 (ko) 1992-04-21 1992-04-21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621U KR940008494Y1 (ko) 1992-04-21 1992-04-21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84U KR930024184U (ko) 1993-11-27
KR940008494Y1 true KR940008494Y1 (ko) 1994-12-21

Family

ID=1933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621U KR940008494Y1 (ko) 1992-04-21 1992-04-21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4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84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3969A (en) Coin sorter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coin thickness as a discriminating parameter
EP1918888B1 (en) Coin feeding apparatus
KR940003022B1 (ko) 경화선별장치
JP5441256B2 (ja)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H07220138A (ja) コンテナ構体中のコンテナ内安全貨幣カセット
EP2131333A1 (en) Coin throwing device and coin processing machine
EA009270B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KR940022347A (ko) 지폐처리장치
AU640248B2 (en) Coin conveyor for successively transporting coins
KR940008494Y1 (ko) 자판기용 동전 수납장치
US5647469A (en) Coin sorting device
KR950003203B1 (ko) 경화 송출 장치의 출구장치
US6708889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2783524B2 (ja) 硬貨繰出装置
JPH0525022Y2 (ko)
JP3857860B2 (ja) 硬貨集積投出装置
EP0927407A1 (en) Coin dispensing mechanism
JP7193154B2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EP0822910B1 (en) Device for supporting moving paper
JP7207744B2 (ja) コイン送出装置およびコイン処理装置
KR940003712Y1 (ko) 주화 송출 장치의 출구 장치
AU733543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2558983Y2 (ja) 紙幣取扱装置
JPH0670052U (ja) 硬貨繰出装置
CA2459864C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