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217B1 - 코인 반송 덕트 - Google Patents

코인 반송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217B1
KR940004217B1 KR1019900018401A KR900018401A KR940004217B1 KR 940004217 B1 KR940004217 B1 KR 940004217B1 KR 1019900018401 A KR1019900018401 A KR 1019900018401A KR 900018401 A KR900018401 A KR 900018401A KR 940004217 B1 KR940004217 B1 KR 94000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tapered
duct
rear plate
tapered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36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히로시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히로시 아베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인 반송 덕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인 반송 덕트 만곡부의 부분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상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상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동일 양식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 알려진 코일 송출 장치의 출구 슈우트에 연결된 코인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코인 에스컬레이터의 만곡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2 : 코인 이송원판
3 : 중심 원형 받침대 4 : 코인 이송핀
5 : 출구 슈우트 6 : 코인 에스컬레이터
6c : 만곡부 7 : 앞측판
8 : 뒤측판 9 : 스페이서
10 : 코인 통로 12 : 테이퍼 로울러
13 : 하향 테이퍼면 14 : 중심구멍
15 : 중심축 16 : 부착구멍
17 : 스파이럴 스프링 18 : 스프링 받침판
20 : 안내홈 구멍 21 : 미끄럼 슈우
22 : 인장 스프링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자동 지불기,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주화, 메달등(본 명세서에서는 코인이라 총칭함)을 호퍼내에서 한개씩 송출하는 코인 송출장치의 출구 슈우트에 연결되는 코인 에스컬레이터 기타 동일한 코인 반송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일본국 특허 공보 소와 62-45588호 공보에 개시된 형식의 코인 송출 장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코인 A를 흐트러진 상태로 수용하는 호퍼(1)내에 코인 이송원판(2)을 수평에 대해 경사진 평면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코인 이송원판(2)위에 중심 원형 받침대(3)와 원판 외주부분에 원주 방향으로 사이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원판 표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코인 이송핀(4)에 의해 복수개의 코인 포켓을 형성하여, 코인 이송원판(2)의 회전에 의해 각 포켓이 호퍼 하부에서 코인을 주워올려 상방으로 보내어 상방 출구인 출구슈우트(5)를 거쳐 코인 이송핀(4)의 압출력에 의해 코인을 1개씩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형의 코인 송출장치는, 예를들면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에서는 교환기등의 내부 아래 부분에 설치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 슈우트(5)에 코인 에스컬레이터(6)를 연결하여 코인을 출구 슈우트(5)에서 코인 에스컬레이터(6)의 하단으로 밀어넣어 상승시키고, 상방 위치에 있는 코인 지불출구(도시않음)에 코인을 투출하도록 하고 있다.
코인 에스컬레이터(6)는 코인 반송 덕트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앞뒤측판(7,8)과 이송할 코인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측판(7,8)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9)에 의해 형성된 코인 통로(10)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인 에스컬레이터(6)는 수평에 대해 경사진 평면내에서 코인을 송출하는 코인 송출장치의 출구 슈우트(5)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예를들면 게임기에서는 2m이상의 높이에 달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그 내부 칫수를 적게 하기 위해 코인 에스컬레이터(6)는 수평에 대해 경사진 하단부(6a)와 만곡부(6c)를 거쳐 6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스컬레이터(6)의 방향을 변환하기 위해 만곡부(6c)를 설치할 경우, 예를 들면 제6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6c)의 곡율반경을 크게할 경우에는, 직선부분(6a,6b)에 있어서와 같이 앞뒤측판(7,8)간의 간격을 코인의 두께에 0.2 내지 0.5mm를 더한 정도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만곡부(6c)에서 코인이 물려 들어가는 문제가 일어나지 못하나 이 결과로 인해 D-1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방향 전환을 위해 큰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코인 반송 덕트 등에 있어서 이송 방향을 직각으로 바꿀 경우에는 만곡부의 점유 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 만곡부를 위한 공간을 적게 하기 위해, 만곡부(6c)의 곡율반경을 적게 할 경우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만곡부(6c)에 있어서 앞뒤측판(7,8)간의 간격을 d로 표시한 바와같이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결과로서 코인이 물려 들어가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 스프링(11)에 의해 만곡부(6c)의 코인을 측판(7)에 대해 밀어 부착시킬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 코인 A는 판 스프링(11)에 의해 충분하게 떠밀어 줄 수가 있으나, 코인 B는 코인 A 만큼 충분히 밀어 줄 수가 없고, 따라서, 스프링 압을 강하게 하면 코인 B도 충분히 떠밀어 주기 때문에 아래에서 코인을 밀어 올리는 부담이 커질 뿐만 아니라, 코인에 흠집이 나기 쉬운 문제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판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인 반송 덕트에 대한 만곡부의 곡율반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또한 코인이 물려들어가는 등의 문제점 없이 코인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코인 누름 수단을 제공할려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하면, 앞뒤측판과, 이들의 측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코인통로를 구비하는 코인 반송 덕트에 있어서, 코인 반송 덕트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에 대한 앞측판을 없애는 대신에 최소한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가 코인 통로의 양쪽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테이퍼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코인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가능한 하향 테이퍼면이 각 테이퍼 로울러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테이퍼 로울러를 스프링으로 부하시켜 하향 테이퍼면에 접촉되는 코인 외주 가장자리에 눌러 붙이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하는 구성에 의해 코인 반송덕트, 예를들면 코인 에스컬레이터의 만곡부는 후속의 코인에 의해 떠밀려 올라온 코인이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 사이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진입하고, 이들 테이퍼 로울러의 하향 테이퍼면에 의해서 뒤측판에 대하여 압박되면서 코인 에스컬레이터 만곡부에 있어서의 코인 통로안을 떠밀려서 위로 통과한다. 이와같이, 테이퍼 로울러는 그 하향 테이퍼면에 의해 코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고, 코인은 테이퍼 로울러와의 구름접촉에 의해 가볍게 밀어 올려지는 힘으로 만곡 코인 통로에 따라 원활하게 방향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코인 송출 장치의 정지에 의해 후속 코인에 의한 아래로부터의 밀어 올려지는 작용이 없어졌을 때에는, 테이퍼 로울러가 스프링력에 의해 코인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 상단부내의 코인의 무게를 지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한다.
제1 내지 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시한 코인 에스컬레이터(6)는 앞뒤측판(7,8)과, 스페이서(9)에 의해 형성된 코인 통로(10)를 구비하고, 수평에 대해서 경사진 하단부(6a)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단부(6b)와, 이들 부분 사이의 만곡부(6c)를 구비한다.
만곡부(6c)에는, 앞측판(7)을 없애는 대신에 3쌍의 테이퍼 로울러(12)를 코인 통로(10)의 양쪽에 설치하고 있다.
테이퍼 로울러(1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향 테이퍼면(13)을 갖는 팽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 구멍(14)에 중심축(15)을 관통하여, 이 중심축(15)의 주위에 테이퍼 로울러(12)을 회전자유롭게 한다. 뒤측판(8)에 뚫은 부착구멍(16)에 중심축(15)을 관통시키며, 원추형의 스파이럴 스프링(17)을, 그 대직경단부(17a)를 뒤측판(8)의 이면에 접촉시켜 중심축(15)의 축자유단에 부착시킨 스프링 받침판(18)과 뒤측판(8)사이에, 삽입시킨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써, 코인 에스컬레이터(6)의 만곡부(6c)에 후속한 코인에 의해 떠밀려 올라온 코인 A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12) 사이로 스프링(17)의 스프링력에 대항해 진입하고, 이들의 테이퍼 로울러(12)의 하향 테이퍼면(13)에 의해서 뒤측판(8)에 대해 압박되면서 코인 에스컬레이터 만곡부(6c)에 있어서의 코인 통로(10) 안을 떠밀려 위로 통과한다. 이와같이, 테이퍼 로울러(12)는 그것의 하향 테이퍼면(13)에 의해 코인이 부상(浮上)을 방지하고, 코인은 테이퍼 로울러와의 구름 접촉에 의해 가볍게 밀어 올리는 힘으로 만곡 코인 통로에 따라 원활히 방향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코인 송출 장치의 정지에 의해 후속 코인의 아래로부터 밀어 올리는 작용이 없어진 때에는, 테이퍼 로울러(12)가 스프링력에 의해 코인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 상단부(6b)내의 코인의 무게를 지지시킬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술한 예와 같은 하향 테이퍼면(13)을 갖는 테이퍼 로울러(12)를 써서, 그 중심구멍(14)을 관통한 중심축(15)을 뒤측판(8)에 뚫은 안내홈 구멍(20)으로 관통하고, 중심축(15)의 축단에 미끄럼 슈우(21)를 부착시켜 테이퍼 로울러(12)가 코인 통로(10)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며,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12)의 미끄럼 슈우(21)를 인장 스프링(22)에 의해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이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코인이 좌우의 테이퍼 로울러(12) 사이로 밀어넣으므로써 코인을 하향 테이퍼면(13)의 작용에 의해 뒤측판(8)에 대해 눌러붙여 코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인 반송 덕트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설치된 만곡부의 곡율반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코인을 만곡부에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송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고, 이송 덕트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앞뒤측판(7,8)과, 이들의 측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9)에 의해 형성된 코인 통로(10)를 구비하는 코인 반송 덕트에 있어서, 코인 반송 덕트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6c)의 앞측판을 없애는 대신에 최소한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12)가 코인 통로(10)의 양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테이퍼 로울러(12) 사이를 통과하는 코인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할 수 있는 하향 테이퍼면(13)이 각 테이퍼 로울러(12)에 형성되어 있으며, 테이퍼 로울러(12)를 스프링(17)으로 부하시켜 하향 테이퍼면(13)에 접촉되는 코인 외주 가장자리에 눌러붙이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반송 덕트.
  2. 앞뒤측판(7,8)과, 이들의 측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9)에 의해 형성된 코인 통로(10)를 구비하는 코인 반송 덕트에 있어서, 코인 반송 덕트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6c)의 앞측판을 없애는 대신에 최소한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12)가 코인 통로(10)의 양쪽에서 뒤측판(8)에 수직으로 관통한 중심축(15)의 주위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퍼 로울러(12) 사이를 통과하는 코인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하향 테이퍼면(13)이 각 테이퍼 로울러(12)에 형성되어 있으며, 뒤측판(8)에 관통한 중심축(15)의 자유단과 뒤측판(8)의 이면 사이에 스파이럴 스프링(17)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반송 덕트.
  3. 앞 뒤측판(7,8)과 이들의 측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9)에 의해 형성된 코인 통로(10)를 구비하는 코인 반송 덕트에 있어서, 코인 반송 덕트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만곡부(6c)의 앞측판을 없애는 대신에 최소한 좌우 한쌍의 테이퍼 로울러(12)가 코인 통로(10)의 양쪽에서 뒤측판(8)에 수직으로 관통한 중심축(15)의 주위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퍼 로울러(12) 사이를 통과하는 코인의 외주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하향 테이퍼면(13)이 각 테이퍼 로울러(12)에 형성되어 있으며, 뒤측판(8)에 관통되는 중심축(15)을 뒤측판98)에 코인 통로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안내홈 구멍(20)에 관통시키고 뒤측판(8)에서 돌출하는 좌우 한쌍의 중심축(15)의 축단부를 인장 스프링(22)으로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반송 덕트.
KR1019900018401A 1990-08-02 1990-11-14 코인 반송 덕트 KR940004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3988A JPH0666073B2 (ja) 1990-08-02 1990-08-02 コイン搬送ダクト
JP203988 1990-08-02
JP90-203988 1990-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6A KR920005036A (ko) 1992-03-28
KR940004217B1 true KR940004217B1 (ko) 1994-05-17

Family

ID=164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401A KR940004217B1 (ko) 1990-08-02 1990-11-14 코인 반송 덕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69886B1 (ko)
JP (1) JPH0666073B2 (ko)
KR (1) KR940004217B1 (ko)
AU (1) AU640248B2 (ko)
DE (1) DE69109956T2 (ko)
ES (1) ES2075357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63B1 (ko) * 2002-01-17 2009-05-14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전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306B2 (ja) * 1990-11-15 1994-06-08 旭精工株式会社 硬貨送出装置の出口装置
EP0594902B1 (en) * 1992-10-27 1997-06-0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feeding device with an escalator
JP2502699Y2 (ja) * 1992-12-04 1996-06-26 旭精工株式会社 エスカレ―タ付コイン送出装置
US5425439A (en) * 1994-03-02 1995-06-20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escalator
US5558197A (en) * 1994-07-29 1996-09-24 Wms Gaming, Inc.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NL1008874C2 (nl) 1998-04-14 1999-10-15 Suzo International Nl B V Muntopvoerinrichting.
JP2006343811A (ja) * 2005-06-07 2006-12-21 Juki Corp コイン投出装置
JP5066679B2 (ja) * 2006-06-12 2012-11-07 旭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の振分装置
TWI402772B (zh) * 2009-11-18 2013-07-21 Int Currency Tech Cash dispenser with push-up coin channels
ES2758041T3 (es) 2013-03-28 2020-05-04 Scan Coin Ab Un módulo de conteo y clasificación de monedas
EP2784756B1 (en) 2013-03-28 2020-03-18 Scan Coin Ab Rim geometry of a coin sorting device
JP6405546B2 (ja) * 2016-07-19 2018-10-17 旭精工株式会社 硬貨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52094A (fr) * 1930-08-08 1932-01-15 Limited Booking Bureaus Dispositif d'introduction de pièces de monnaie dans des appareils distributeurs.
AU532378B2 (en) * 1979-08-21 1983-09-29 Eastern Elevators Pty Limited Coin conveyer
US4592377A (en) * 1984-07-02 1986-06-03 Igt Coin escalator
JPS63314868A (ja) * 1987-10-03 1988-12-22 Nec Corp Mos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923430A (en) * 1987-10-14 1990-05-08 Kabushiki Kaisha Sigma Coin payout apparatus in gam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63B1 (ko) * 2002-01-17 2009-05-14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전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5357T3 (es) 1995-10-01
DE69109956D1 (de) 1995-06-29
JPH0666073B2 (ja) 1994-08-24
JPH04174096A (ja) 1992-06-22
EP0469886B1 (en) 1995-05-24
KR920005036A (ko) 1992-03-28
AU8137791A (en) 1992-02-20
EP0469886A3 (en) 1992-12-23
EP0469886A2 (en) 1992-02-05
DE69109956T2 (de) 1995-12-21
AU640248B2 (en) 199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217B1 (ko) 코인 반송 덕트
EP0311320B1 (en) Outlet device for coin payout hoppers
US4181920A (en) Magnetic ticket encoding transport
EP0890929B1 (en) Apparatus for ejecting circular plate bodies
US5170874A (en) Coin conveyor for successively transporting coins
KR20110055336A (ko)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US5092445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veying a paper money and a magnetic card
US5181881A (en) Outlet device for coin payout hoppers
DE2633108A1 (de) Muenzen-sortiervorrichtung
GB2163735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articles of different widths
KR19980018077A (ko) 디스크 몸체를 푸싱하는 장치
US3026002A (en) Vending machine for cylindrical objects having jam preventing means
US5425439A (en) Coin escalator
US5160014A (en) Conveyor structure for the sidewall of a bottle combiner
KR950003204B1 (ko) 경화 반송 덕트
JPH0525022Y2 (ko)
WO1998008198A1 (en) Coin dispensing mechanism
US5465956A (en) Endless belt bank note conveying device with ball supports for the bank notes
US20190318565A1 (en) Coin lift
JPS6040074B2 (ja) 硬貨処理機における硬貨移送装置
JP2682822B2 (ja) 循環式紙幣処理方法
JPH0435973Y2 (ko)
JPH0445090Y2 (ko)
JP4269095B2 (ja) 円板体の案内装置
JPH0562039A (ja) 乗車券類の分離・積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