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421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421B1
KR100863421B1 KR1020060058785A KR20060058785A KR100863421B1 KR 100863421 B1 KR100863421 B1 KR 100863421B1 KR 1020060058785 A KR1020060058785 A KR 1020060058785A KR 20060058785 A KR20060058785 A KR 20060058785A KR 100863421 B1 KR100863421 B1 KR 10086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word line
film
pattern
hard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904A (ko
Inventor
홍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5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4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 G03F7/70433Layout for increasing efficiency or for compensating imaging errors, e.g. layout of exposure fields for reducing focus errors; Use of mask features for increasing efficiency or for compensating imaging err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광막 패터닝시에 불필요한 워드라인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마스크를 형성하여 스페이스를 줄이고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인접한 워드라인 사이에 제 2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칩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소자 동작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게이트막, 워드라인 형성, 포토 레지스트 패턴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a word line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 1은 종래의 워드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2 : 터널 산화막
103 : 제 1 도전막 104 : 유전체막
105 : 제 2 도전막 106 : 하드마스크
107 : 포토 레지스트 108 : 제 1 절연막
109 : 제 2 절연막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메 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종래의 사진(photo) 장비로 제작될 경우, 한번에 패턴(pattern)을 형성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두 번의 마스크(mask) 공정을 통한 형성 방법 또는 한번의 마스크 공정과 스페이스(space) 형성 및 식각 공정을 사용하여 패터닝(patterning)을 하게 된다. 이때, 한번의 마스크 공정과 스페이스 형성 및 식각을 통한 패턴형성 방식을 이중노광기술(double expose technique; 이하 DET로 칭함)이라고 한다. 하지만, N개 스트링의 게이트 마스크를 형성하였다면, 최종 형성되는 스트링은 스페이스 DET 공정을 통해 2N+1개의 패턴이 형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워드라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32개의 워드라인을 형성할 시에 더미 라인을 마스크 작업을 통하여 제거한 경우이다. 그러면 소스 선택 라인(SSL)과 제 1 워드라인(WL0)간의 스페이스(A)가 증가하여 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32개의 워드라인을 형성할 시에 더미 라인(B)을 그대로 두는 경우의 도면이다. 그러면 필요한 32개의 워드라인 외에 불필요한 1개의 워드라인이 더미라인으로 존재하게 되어 칩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워드라인을 형성하게 되면 필요한 개수의 워드라인 외에 한 개의 워드라인이 더 형성되므로, 이는 더미 워드라인(dummy word line)이 되어서 셀(cell)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칩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하게 형성된 워드라인을 마스크작업을 추가하여 제거할 경우에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인접한 워드라인 스페이스가 커지게 되어 그 사이의 저항을 받게 되므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광막 패터닝시에 불필요한 워드라인이 형성되는 부분까지 마스크를 형성하여 스페이스를 줄여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인접한 워드라인 사이에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제조 방법은, 제1 영역 및 제1 영역의 양 단에 제2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된다.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제2 또는 제3 영역과 제1 영역 간의 간격이 제1 영역 내의 패턴 간격보다 좁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 패턴을 포함한 전체구조의 표면을 따라 제1 절연막을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 패턴의 측벽에 형성된 제1 절연막의 사이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 패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다. 제1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 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1) 상부에 터널 산화막(102), 플로팅 게이트용 제 1 도전막(103), 유전체막(104), 컨트롤 게이트용 제 2 도전막(105), 하드 마스크막(106) 및 포토 레지스트(107)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포토 레지스트(107)를 패터닝 한다. 더미 라인이 형성되는 부분(C)까지 포토 레지스트(107)로 가리도록 하여 포토 레지스트 패턴(107)을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스를 줄이도록 한다. 이때, 워드라인 영역의 최외측 패턴과 선택 트랜지스터 영역의 패턴간의 간격이 워드라인 영역의 패턴간의 간격보다 좁아지도록 포토 레지스트 패턴(107)을 형성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터닝은 제 1 선택 트랜지스터 영역 또는 제 2 선택 트랜지스터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확장하여 패터닝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포토 레지스트(107)를 마스크로 하여 노출된 하드마스크막(106)을 제거하여 하드 마스크막 패턴을 형성한다. 결과물 표면을 따라 제 1 절연막(108)으로 질화막을 형성한다. 제 1 절연막(108)은 하드 마스크막 패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며, 하드 마스크막 패턴 사이가 넓은 지역은 제 1 절연막(108)에 의해 패턴 사이가 매립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막(106)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제 1 절연막(108)을 식각하여 워드라인 영역의 패턴들 사이에 개구부(D)를 형성한다. 이때, 제 1 절연막(108) 상부(E, F)는 모두 식각되어 하드 마스크막(106) 및 제 2 도전막(105)의 일부가 드러나도록 한다. 워드라인 영역의 패턴들 사이의 개구부(D)를 매립하도록 제 2 절연막(109)으로 산화막을 형성한 후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막은 매립특성이 좋은 HDP 산화막을 사용하며, CMP공정으로 평탄화 시킨다.
도 2(d)를 참조하면, 워드라인 영역에 잔류하는 제 1 절연막(108)을 제거하면 하드 마스크(106)와 제 2 절연막(109)은 워드라인 형성용 마스크 패턴이 된다. 워드라인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제 2 도전막(105)을 식각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워드라인 마스크 패턴(106, 109)을 이용한 식각공정으로 제 2 도전막, 유전체막, 제 1 도전막 및 터널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짝수개의 워드라인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포토 레지스트 패터닝시에 제 1 또는 제 2 선택 트랜지스터 영역 패턴을 확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워드라인과 선택 트랜지스터 영역 패턴간의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칩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소자 동작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Claims (10)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양 단에 제2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상기 제2 또는 제3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영역 내의 패턴 간격보다 좁은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포함한 전체구조의 표면을 따라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제1 절연막의 사이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워드라인이 형성될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제1 선택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며, 상기 제3 영역은 제2 선택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 중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패턴 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 중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패턴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절연막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은 HDP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제1 도전막, 유전체막 및 제2 도전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잔류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 및 상기 제2 절연막에 따라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제2 도전막, 유전체막, 제1 도전막 및 터널 산화막을 패터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KR1020060058785A 2006-06-28 2006-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KR10086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85A KR100863421B1 (ko) 2006-06-28 2006-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85A KR100863421B1 (ko) 2006-06-28 2006-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04A KR20080000904A (ko) 2008-01-03
KR100863421B1 true KR100863421B1 (ko) 2008-10-14

Family

ID=3921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785A KR100863421B1 (ko) 2006-06-28 2006-06-28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48A (ko) * 1996-09-14 1998-06-25 김광호 반도체소자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9990000089A (ko) * 1997-06-02 1999-01-15 문정환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11143A (ko) * 1999-07-26 2001-02-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20046040A (ko) * 2000-12-12 2002-06-20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248A (ko) * 1996-09-14 1998-06-25 김광호 반도체소자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9990000089A (ko) * 1997-06-02 1999-01-15 문정환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10011143A (ko) * 1999-07-26 2001-02-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20046040A (ko) * 2000-12-12 2002-06-20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04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729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099948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US712577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istor having recessed channel
JP200630302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9010326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KR20110001189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JP2005175420A (ja) Nandフラッシュ素子の製造方法
JP2015109469A (ja) 半導体素子
JP5158737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電極形成方法
JP2009071276A (ja) 半導体素子のコンタクトプラグ形成方法
KR10072614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8011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패턴 형성방법
KR10086342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형성 방법
KR10062496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38165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JP201116593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272703A (ja) 不揮発性メモリの構造および製造プロセス
KR20060124022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723769B1 (ko)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61256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06641B1 (ko) 랜딩플러그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111221A (ko)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KR10087029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6504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6696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상호 연결된 미세 하드마스크패턴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