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430B1 -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430B1
KR100862430B1 KR1020067001649A KR20067001649A KR100862430B1 KR 100862430 B1 KR100862430 B1 KR 100862430B1 KR 1020067001649 A KR1020067001649 A KR 1020067001649A KR 20067001649 A KR20067001649 A KR 20067001649A KR 100862430 B1 KR100862430 B1 KR 10086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nozzle
spray
diame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194A (ko
Inventor
게오르크 크래머
콘라트 마이어-히네크
Original Assignee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레바 엔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8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3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in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9/00Cleaning by flushing or washing, e.g. with chemical sol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54)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파이프(56)의 일단부에 제트 노즐이 사용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연마제를 포함하는 공기 흐름이 분사된다. 본 발명은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22)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CLEANING THE PIPES OF A HEAT EXCHANGER BY MEANS OF AN ABRASIVE, AND CORRESPONDING DEVICE}
본 발명은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를 세척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파이프는 이따금 침전물을 세척해야 한다. 다수의 화학 세척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열교환기 파이프가 다수 개이며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개구에 대한 세척은 기술적으로 지나치게 많은 노동을 수반한다. 따라서, 열교환기 파이프는 주로 기계로 세척된다. 브러시 세척과는 별도로, 종종 파이프의 단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트 노즐(jet nozzle)에 의해 연마제가 파이프를 통해 분사되는 것을 수반하는 분사가공(blasting)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한 방법은 DE 195 46 788 A1에 예로서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마제로 강(steel) 또는 강옥(corundum) 미립자가 사용된다. 파이프의 타단부로부터 나오는 미립자는 각각 수집 장치에 의해 수집되어 연마제 순환으로 복귀된다. 그러한 수집 장치는 DE 198 37 683 C2에 설명되어 있다. 통상적인 세척 방법의 경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체(carrier; 1)에 고정된 2 개의 제트 노즐(2)이, 예를 들면, 열교환기(4)의 유입구 측(3)을 향해 배치된다. 제트 노즐(2)의 끝점(end pointing)은 분사가공 방향(5)으로 보다 좁게 제조되어 원통형 연결부(6)를 형성하며, 원통형 연결부는 파이프(7)의 단부로 삽입된다. 제트 노즐(2)은 분사가공 방향(5)에 반대되는 제트 노즐의 끝점에, 공급 라인 또는 공급관(8)에 연결된 유입 개구(9)를 지닌다. 연결부(6)의 전방 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배출 개구(10)와, 유입 개구(9) 사이에는 스로틀링 지점(13)을 갖는 벤츄리 노즐(Venturi nozzle; 12)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열교환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과, 전술한 방법을 실시하도록 대안적으로 설계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각각 청구범위 제1항 및 제6항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배출 개구의 크기가 파이프의 내측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은,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세척하고자 하는 파이프에 대량의 연마제 흐름을 가할 수 있다. 통상적인 제트 노즐의 경우에는 동일한 넓이가 불가능하다. 통상적인 노즐에서는, 벤츄리 노즐 내의 비교적 작은 수축부에 의해 제트 노즐에 연결된 공급관 내의 연마제 흐름의 속도가 크게 증가된다. 그 결과 연마제 미립자가 높은 운동 에너지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들 미립자는 이미 파이프의 비교적 짧은 부분 내에서 감속되었다. 그 후, 미립자 농도가 낮은 연마제 흐름만이 파이프 세척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제트 노즐에 매우 큰 마찰을 수반하는 스로틀링 또는 수축부가 없기 때문에, 미립자 농도가 매우 높은 연마제 흐름이 획득된다. 대형 배출 개구를 허용하는 구성은 배출 개구를 둘러싸는 정지 영역(stop area)을 따라 제트 노즐이 파이프 단부의 단부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제공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종래 기술의 경우, 파이프의 단부로 수축된 연결부가 삽입되며, 연결부의 배출 개구는 파이프 단면적과 비교할 때 적어도 벽 두께에 대응하는 양만큼 축소된다.
세척 방법을 실시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은 다수의 파이프가 동시에 세척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열교환기의 파이프와 동일한 배열로 지지체에 유지되는 다수의 제트 노즐을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방법 및 장치의 경우 제트 노즐은 파이프 단부에 폭이 좁은 연결부를 갖는 제트 노즐을 삽입함으로써 위치 고정되는 반면, 본 발명은 세척을 위해 분사가공 방향으로 돌출되어 파이프 단부에 삽입되는 고정 볼트를 제공한다. 파이프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지지체에 고정 볼트가 배열되는 경우 아무런 문제가 없을 수 있다.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은 유입 개구와 배출 개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유동 채널이 통과하는 제트 노즐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동 채널은 실질적으로 배출 개구의 크기와 거의 대응하며 동일하게 유지되는 단면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트 노즐의 배출 개구는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면에 대해 가압되어 상기 방법이 실시되는 동안 세척되는 정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정지 영역은 방사상 외부로 배열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칼라(collar)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에 따라 정지 영역과 칼라는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의 수용부(receptacle)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한편으로는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의 보다 우수한 밀봉을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열 교환기에 장치를 추가로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다수의 제트 노즐을 수반하는 지지체가 회전 축으로써 고정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와 제트 노즐 사이의 밀봉을 확대하기 위해, 바람직한 구성에서 수용부와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 또한, 이로 인해 파이프 단부의 단부면 영역에서 허용 오차와 요철을 보정한다. 기계적 보호부로서, 파이프의 단부면 영역을 둘러싸는 칼라가 가압된 연마제 흐름에 의해 확대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칼라는, 예를 들면, 금속과 같은 고형 재료로 제조된 보강 슬리브(stiffening sleeve)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하게, 탄성 중합체 영역은 파이프의 일부 형태이며 물론 제트 노즐에 연결된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열교환기에 위치된 종래의 파이프 세척 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의 세부 확대도,
도 4는 도 3으로부터 취한 세부도, 및
도 5는 도 2의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1: 지지체 22: 제트 노즐
23: (중공-입방형) 지지체 하우징 24: 보어
25: 제트 노즐 하우징 26: (하우징(25)의) 중앙부
27: (하우징(25)의) 전방부 28: (하우징(25)의) 후방부
29,30: 방사상 견부 32: 정지 플랜지
33: 덮개부 34: 탄성 중합체 밀봉부
35: 홈 36: 종편
37: 유동 채널 38: 중심 종축선
39: 배출 개구 40: 유입 개구
42: 직경 43: 직경
44: 외측 나사산 45: 내측 나사산
46: 공급관 47: (공급관(46)의 전방의) 단부면
48: 방사상 견부 49: 돌기
50: 직경 52: (유입개구 인접 유동채널의) 영역
53: (열교환기(54)의) 유입 측면 54: 열교환기
56: 파이프 57: 유지판
58: 돌출부 59: (파이프의) 단부면
60: 정지 영역 또는 접촉 영역 61: 방사상 외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
62: 칼라 63: 방사상 내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
64: 오목부 65: 원통형 벽부
66: 용접부 67: 보강 슬리브
68: 플랜지 69: 경사 영역
70: 방사상 홈 71: 방사상 홈
72: 돌출부 73: 고정 볼트
74: 나사부 75: 나사가공된 보어
76: 전방 단부 77: 거리 센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지체(carrier; 21)를 갖는 제트 헤드(jet head)를 포함하며, 지지체 내에는 2 개의 제트 또는 분사가공 노즐(jet or blasting nozzle; 22), 즉 제1 분사가공 노즐 및 제2 분사가공 노즐이 장착된다. 물론, 1 개의 제트 노즐 또는 2 개 이상의 제트 노즐을 갖는 제트 헤드도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지지체(21)는 중공-입방형(hollow cuboidal) 지지체 하우징(23)이다. 지지체 하우징(23)에는 2 개의 보어(bore; 24), 즉 제 1 보어 및 제 2 보어가 통과하고, 2 개의 보어는 서로 평행하며(즉, 병렬식이며), 각각 제트 노즐(22)을 수용한다. 실질적으로 제트 노즐(22)은 파이프의 일부분의 형태인 제트 노즐 하우징(25)으로서 형성된다. 제트 노즐 하우징(25)(노즐체)은 세 개의 상이한 종방향 부분을 가지며, 종방향 부분 중 중앙부(26)는 다른 두 부분들, 즉, 전방부(27) 및 후방부(28)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중앙부(26)와 이 중앙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전방부(27) 사이의 전이부(transition)와, 그리고 중앙부(26)와 이 중앙부에 비해 직경이 작은 후방부(28) 사이의 전이부에는 각각 방사상 견부(shoulder; 29) 및 방사상 견부(30)가 형성된다. 정지 플랜지(32)는 각각 보어(24)의 벽부(wall)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다. 중앙부(26)를 향하는 이러한 정지 플랜지(32)의 측면은 제트 노즐 하우징(25)의 축방향 고정의 관점에서 방사상 견부(29)와 상호작용, 예컨대 밀봉식으로 맞물린다. 제트 노즐 하우징(25)은 방사상 견부(30)에 의해 덮개부(33)에 대해 지지되며, 덮개부(33)는 후방 측면에서 지지체 하우징(23)을 폐쇄한다. 제트 노즐(22)의 후방부(28)와 덮개부(33) 사이에는 오링 밀봉부(31)가 배열된다. 보어(24) 영역에는 정지 플랜지(32)로부터 연장되고 전방부(27)를 둘러싸는 탄성 중합체 밀봉부(elastomer seal; 34)가 삽입되어 전방부(27)의 원주를 둘러싼다. 제트 노즐 하우징(25)의 전방 단부면에는 횡단면이 꼭 들어맞는 홈(35)이 제조되며, 홈(35) 내에는 실질적으로 파이프의 일부분의 형태인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종편(end piece) 또는 제1 부분(36)이 홈의 일단부와 형상결합(positively fitted)된다.
유동 채널(37)이 전방부(27)를 관통한다. 유동 채널의 중심 종축선(38)은 동시에 제트 노즐 하우징(25)의 중심 종축선을 형성한다. 유동 채널(37)은 배출 개구(39)에 의해 전방측부 또는 제 2 단부에 경계가 정해지고, 유입 개구(40)에 의해 다른 단부 또는 제 1 단부에 경계가 정해진다.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단면적 또는 제 2 직경(42)을 갖는다. 단면적 또는 직경(42)은 중앙부(26)의 내측 나사산에 외측 나사산(44)으로 나사결합된 공급 라인 또는 공급관(46)의 단면적 또는 직경(43)과 대응한다. 공급관(46)은, 전방의 단부면(47)과 함께, 중앙부(26) 및 전방부(27) 사이의 전이 영역에 구비된 방사상 견부(48)를 지닌다. 방사상 견부(48)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횡단면이 웨지 형상인 돌기(49)가 돌출되고, 돌기는 환형으로 유입 개구(40)를 둘러싸며, 탄성 중합체인 공급관(46) 재료로 함입된다. 이로 인해 공급관(46)과 하우징의 중앙부(26) 사이의 밀봉이 개선된다. 유입 개구(40)의 제 1 직경(50)은 공급관(46)의 직경(43)보다 다소 더 크다. 이 경우, 직경차는 예를 들면, 공급관이 가압된 연마제 흐름을 받게 될 때, 직경(43)의 확대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연마제 흐름이 유동 채널로 돌출되며 간섭하는 하우징 에지와 충돌하지 않음이 보장된다. 유동 채널(37)은 유입 개구(40) 및 배출 개구의 중간 위치에서, 제3 직경(78)을 가지며, 제3 직경(78)은 제1 직경(50)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유입 개구(40)에 인접한 유동 채널(37)의 영역 또는 제 2 부분(52)은 다소 원뿔형으로 거의 중앙부까지 폭이 좁아지며(즉, 테이퍼(taper) 형상을 이루며), 영역(52)은 직경(42)을 갖는 원통형 채널 영역과 인접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척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열 교환기(54)의 외측면 또는 유입 측면(53)에 지지체(21)가 배치된다. 열 교환기가 원자력발전소인 경우, 일반적으로 지지체(21)는 (도시되지 않은)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유지되며, 지지체(21)는 체결 장치(55)(도 5)에 의해 매니퓰레이터에 고정된다. 열 교환기(54)의 열 교환기 파이프(56)는 규칙적인 배치(예컨대, 도 2에서는 격자 형상 배치)로 배열되며, 그 단부가 유지판(holding plate; 57)을 통과한다. 유지판(57)으로부터 열 교환기 파이프의 돌출부(overhang; 58)가 돌출된다. 제트 노즐(22)은 열 교환기 파이프(56a)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두 개의 열 교환기 파이프(56b)의 단부면(59) 상에 배치될 수 있을 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체(21)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종편(36)은 정지 영역 또는 접촉면(60)을 가지며, 이 접촉 영역은 파이프의 단부면(59)과 상호작용하며(예컨대, 밀봉식으로 맞물리며) 배출 개구(39)를 둘러싼다. 이러한 정지 영역(60)은 중앙 종축선(38)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정지 영역(60)은 칼라(62)로 둘러싸이며, 칼라는 분사가공 방향(5) 또는 분사가공 방향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된다. 칼라(62)는 횡단면이 웨지 형상인 방식으로 형성되며, 방사상 내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63)과 방사상 외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61)을 갖는다. 방사상 내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63)은, 제트 노즐(22)이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안내 경사로서 작용한다. 세척하는 동안, 열 교환기 파이프의 단부는 정지 영역 또는 접촉 영역(60)과 칼라(62)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부(receptacle) 또는 오목부(recess) (64) 내에 놓인다. 그로 인해, 칼라(62)는 원통형 에지부(65)와 함께 열 교환기 파이프(56b)의 외주에 압박을 가한다. 방사상 내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63)은 용접부(66)에 적당히 압박을 가하는데, 이 용접부(66)에 의해 열 교환기 파이프(56)가 유지판(57) 상에 고정된다. 분사 가공 노즐과 열 교환기 파이프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밀봉 형성 수단은 정지 영역 또는 접촉 영역(60) 및 칼라(62)를 포함한다. 그 결과, 칼라(62)는 열 교환기 파이프(56b)의 용접부(66) 및 외주와 상호작용하는(예컨대,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밀봉 립(sealing lip)으로서 작용한다. 칼라는 가압되는 경우 방사상으로 확장될 수 없도록, 보강 슬리브(67)에 의해 전체 원주가 둘러싸인다. 보강 슬리브(67)는 플랜지(68)와 함께 놓이며, 종편(36)의 방사상 홈(71)에서 지지체(21)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된다. 플랜지(68)를 향하는 보강 슬리브(67)의 단부면은 기울어져서 칼라(62)의 방사상 외측으로 지향된 경사 영역(61)과 일치하여 경사 영역(69)을 형성한다. 경사 영역(61,69) 형태의 종편의 경사는 인접한 열 교환기 파이프(56a)의 용접부(66a)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세척하고자 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56b)에 대해 밀봉 접합(sealing abutment)을 방지한다. 제트 노즐 하우징(25)의 전방부(27)와 보강 슬리브(67) 사이에서, 종편(36)에 추가의 방사상 홈(70)이 구비되며, 방사상 홈은 축선 방향으로 탄성을 증가시킨다. 유지판(57)에 지지체(21)를 위치 고정하기 위해, 돌출부(72)와 함께 제트 노즐(22)이 돌출되는 지지체(21)의 전방 측면에 위치 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핀 형상의 고정 볼트(73)가 구비되며, 고정 볼트(73)는 지지체(21)로부터 중앙 종축선(38) 방향으로 돌출된다. 고정 볼트(73)는 지지체(21)의 나사 가공된 보어(75)에서 나사부(74)와 나사결합된다. 나사부(74)로부터 벗어난 전방 단부 또는 팁(76)은 원뿔형으로 폭이 좁아진다. 폭이 좁아진 영역과 인접한 종축부는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다. 세척 작업을 하는 동안, 고정 볼트(76)는 세척하고자 하는 2개의 열 교환기 파이프(56b) 사이에 배열된 열 교환기 파이프(56a)로 돌출된다. 종편(36)과 열 교환기 파이프의 형상 결합 상호작용(예컨대, 밀봉식 맞물림)에 의해, 회전축으로서의 고정 볼트(73)를 중심으로 지지체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체(21)의 전방 측면에는 기계 거리센서(77)가 배치된다. 이는 (도시되지 않은) 매니퓰레이터에 의해 유지판(57)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로 지지체(21)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Claims (56)

  1. 열 교환기(54)의 파이프(56)의 일단부에 대항해서 제트 노즐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연마제를 함유하는 공기 흐름이 분사되는 열 교환기(54)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56)의 내측 횡단면 영역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의 배출 개구(39)를 갖는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22)이 사용되며,
    상기 제트 노즐(22)은 상기 배출 개구(39)를 둘러싸는 접촉 영역(60)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단부의 단부면(59)에 대항해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파이프(56)가 동시에 세척되며, 상기 열 교환기의 파이프들과 동일한 배열로 지지체(21) 상에 유지되는 상기 다수의 제트 노즐(22)은 대응하는 파이프(56b)들에 대항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1)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구속되며, 상기 지지체로부터 분사가공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볼트(73)가 상기 파이프의 단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5. 제 1 항에 따른 열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을 실시하는 분사가공 장치로서,
    배출 개구(39)를 가진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22)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가 접촉 영역(6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접촉 영역이 상기 배출 개구의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파이프(56)의 단부면(59)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노즐(22)은 유입 개구(40) 및 배출 개구(39)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유동 채널(37)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유동 채널(37)은 상기 배출 개구(39)의 크기와 대응하며 동일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60)은 축방향으로 돌출된 칼라(62)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칼라 및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64)와 배출 개구(39)를 포함하는 상기 제트 노즐(22)의 영역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의 영역은 종편(36)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종편은 파이프의 일 부분의 형태이며 상기 제트 노즐(22)과 형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의 영역의 종방향 부분은 오목부(64)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중합체의 영역의 종방향 부분은 고형 재료로 제조된 보강 슬리브(67)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트 노즐(22)은 세척하고자 하는 상기 열교환기(54)의 파이프들과 동일한 배열로 상기 지지체(21)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단부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볼트(73)가 상기 지지체(21)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3. 제 3 항에 따른 열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분사가공 장치로서,
    배출 개구(39)를 가진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22)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가 접촉 영역(6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접촉 영역이 상기 배출 개구의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파이프(56)의 단부면(59)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4. 제 4 항에 따른 열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분사가공 장치로서,
    배출 개구(39)를 가진 비-스로틀형 제트 노즐(22)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개구가 접촉 영역(60)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접촉 영역이 상기 배출 개구의 평면내에서 연장되어 파이프(56)의 단부면(59)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노즐(22)은 유입 개구(40) 및 배출 개구(39)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유동 채널(37)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유동 채널(37)은 상기 배출 개구(39)의 크기와 대응하며 동일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트 노즐(22)은 유입 개구(40) 및 배출 개구(39)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유동 채널(37)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유동 채널(37)은 상기 배출 개구(39)의 크기와 대응하며 동일하게 유지되는 횡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60)은 축방향으로 돌출된 칼라(62)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칼라 및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60)은 축방향으로 돌출된 칼라(62)에 의해 방사상 외측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칼라 및 상기 접촉 영역은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가공 장치.
  19. 연마제를 함유하는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열교환기(54)의 파이프(4)로 전달하기 위한 분사가공 노즐(22)로서, 상기 열교환기 파이프(56)는 내경을 가지고, 상기 분사가공 노즐(22)은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제공하는 공급 라인(46)으로 연결가능하고, 상기 공급 라인은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이 관류할 수 있는 도관을 가지는, 분사가공 노즐(22)로서,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로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채널(37)을 구비하는 노즐체(25)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체(25)의 제1 단부는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관류하는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에 형성된 유입 개구(40)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체의 제2 단부는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이 관류하여 상기 노즐체에서 유출되는 내부에 형성된 배출 개구(39)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37)은 상기 유입 개구(40)의 제1 직경(5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제2 직경(4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직경(42)은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직경(50)이 상기 제2 직경(4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분사가공 노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제1 직경(50)은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과 동일한,
    분사가공 노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제1 직경(50)은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 보다 작은,
    분사가공 노즐.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직경은 상기 배출 개구(39)와 인접한 상기 노즐체(25)의 영역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분사가공 노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39)와 인접한 상기 노즐체(25)의 영역 내에서, 상기 채널(37)의 직경은 상기 공급 라인의 도관(46)의 내경(43)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분사가공 노즐.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50)은 상기 제2 직경(42) 보다 큰,
    분사가공 노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50)은 비어 있는 경우에 측정된 상기 공급 라인 도관(46)의 내경(43) 보다 큰,
    분사가공 노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4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채널(37)은 제3 직경(78)을 가지며,
    상기 제3 직경(78)은 상기 제1 직경(50) 보다 작은,
    분사가공 노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직경은 상기 유입 개구(40)와 상기 중간 위치 사이에 테이퍼 형상부를 갖는,
    분사가공 노즐.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직경(78)은 상기 제2 직경(42)과 동일한,
    분사가공 노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직경은 상기 중간 위치와 상기 배출 개구(39)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분사가공 노즐.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유입 개구(40)와 상기 배출 개구(39)의 중간에 위치하는,
    분사가공 노즐.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은 상기 노즐체(25)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측정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채널(37)은 상기 길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를 따라 수축이 없는,
    분사가공 노즐.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이 수축이 없는 상기 길이의 일 부분 또는 전체는 상기 유입 개구(4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중간 위치와 상기 배출 개구(39) 사이에 형성되는,
    분사가공 노즐.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유입 개구(40)와 상기 배출 개구(39)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는,
    분사가공 노즐.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은 상기 유입 개구(40)와 인접한 제1 부분(36), 및 상기 배출 개구(39)와 인접한 제2 부분(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36)은 내부에 경사가 적은 테이퍼 형상부가 형성되며, 상기 채널(37)의 제2 부분(52)은 수축되지 않는,
    분사가공 노즐.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37)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유입 개구(4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중간 위치와 상기 유입 개구(40)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채널(37)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중간 위치와 상기 배출 개구(39) 사이로 연장되는,
    분사가공 노즐.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공 노즐(32)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분사가공 노즐(32)과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밀봉 형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사가공 노즐.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형성 수단은 상기 분사가공 노즐(22)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일부분과 맞닿는 상기 노즐체(25) 상에 형성된 접촉면(60)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면(60)이 상기 배출 개구(39)를 둘러싸는,
    분사가공 노즐.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체(25)는 종축선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면(60)은 상기 노즐체(25)의 종축선(38)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가공 노즐(22)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촉면(60)과 맞닿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일부분은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면(59)인,
    분사가공 노즐.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형성 수단은 칼라(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칼라(62)는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로부터 종축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촉면(60)의 외부 엣지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칼라(62)의 내부 둘레의 일부분은 상기 분사가공 노즐(22)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의 외부 둘레와 맞닿는,
    분사가공 노즐.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60) 및 상기 칼라(62)는 탄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분사가공 노즐.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62)에 대해 둘러싸면서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 상에 장착되는 보강 슬리브(67)를 더 포함하는,
    분사가공 노즐.
  42. 내경을 갖는 복수의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연마제를 함유하는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전달하기 위한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로서,
    지지체(21), 및
    상기 지지체(21)에 의해 유지되는 복수의 분사가공 노즐(2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사가공 노즐(22) 각각은,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로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채널(37)을 구비하는 노즐체(25)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체(25)의 제1 단부는 공급 라인(46)으로부터 관류하는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에 형성된 유입 개구(40)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는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이 관류하여 상기 노즐체(25)에서 유출되는 내부에 형성된 배출 개구(39)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37)은 상기 유입 개구(40)의 제1 직경(5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제2 직경(4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직경(42)은 상기 열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직경(50)이 상기 제2 직경(4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분사가공 노즐(22)이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격자 형상과 부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체(21) 내에 배치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가공 노즐(22)은 제1 분사가공 노즐 및 제2 분사가공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가공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가공 노즐이 상기 지지체(21) 내에 병렬식으로 배치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1)가 전방부, 후방부, 및 상기 지지체(21) 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어(2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어(24)는 상기 지지체(21)의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보어(24)는 상기 제1 분사가공 노즐(22)을 관통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보어(24)는 상기 제2 분사가공 노즐(22)을 관통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노즐체(25)의 제1 단부는 상기 지지체(21)의 상기 전방부로부터 돌출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56)와 상기 제1 및 제2 분사가공 노즐(22)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대해 상기 지지체(21)를 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지지체(21)의 전방부에서 돌출하여 직립하는 핀(73)을 포함하며, 상기 핀(73)은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 내로의 상기 핀(73)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주어진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 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핀(73)은 상기 제1 분사가공 노즐(22)과 상기 제2 분사가공 노즐(22) 사이에 배치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핀(73)은 팁을 구비하며, 상기 핀(73)의 팁은 상기 제1 및 제2 분사가공 노즐(22)의 가장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넘어서 종방향으로 돌출되는,
    분사가공 노즐 헤드 조립체.
  50. 공급 라인(46)으로부터 전달되는 연마제를 함유하는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사용하여 열 교환기 파이프(56)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이,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로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채널(37)을 구비하는 노즐체(25)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체(25)의 제1 단부가 상기 공급 라인(46)으로부터 관류하는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에 형성된 유입 개구(40)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가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이 관류하여 상기 노즐체(25)에서 유출되는 내부에 형성된 배출 개구(39)를 구비하고,
    상기 채널(37)이 상기 유입 개구(40)의 제1 직경(50) 및 상기 배출 개구(39)의 제2 직경(4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직경(42)이 상기 열교환기 파이프(56)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직경(50)이 상기 제2 직경(4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 라인(46)의 단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상기 노즐체(25)의 제1 단부를 연결시키는 단계와,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에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공급 라인(46)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통해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 안으로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의 유동을 추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은 제1 분사가공 노즐 및 제2 분사가공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는 각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상기 노즐체(25)의 제1 단부를 대응하는 공급 라인(46)의 단부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각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를 세척하려는 대응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공급 라인(46)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분사가공 노즐(22) 각각을 통해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 각각의 안으로 상기 압축된 공기 혼합물의 유동을 동시에 추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는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의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 사이에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은 상기 노즐체(25)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개구(39)를 둘러싸는 접촉면(60)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면(60)은 평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노즐체(25)의 종축선(38)과 수직이고,
    상기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는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면(59)에 상기 노즐체(25)의 접촉면(60)을 맞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은 칼라(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칼라(62)는 상기 노즐체(25)의 제2 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접촉면(60)의 외부 에지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는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의 단부의 외부 둘레에 대항해서 상기 칼라(62)의 내부 둘레의 일부분을 맞닿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결합하기 전에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유지하는 지지체(21)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21)는 전방부, 후방부, 및 상기 지지체(21)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어(24)를 구비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어(24)는 상기 지지체(21)의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어(24)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가공 노즐(22)을 관통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부는 상기 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핀(73)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세척하려는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와 인접한 상기 열 교환기 파이프(56) 중 하나의 파이프 안으로 상기 핀(73)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파이프 세척 방법.
KR1020067001649A 2004-03-24 2005-03-18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2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4822A DE102004014822A1 (de) 2004-03-24 2004-03-24 Verfahren zum Reinigen der Rohre eines Wärmetauschers mit Hilfe eines Strahlmittels und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DE102004014822.8 2004-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194A KR20060083194A (ko) 2006-07-20
KR100862430B1 true KR100862430B1 (ko) 2008-10-08

Family

ID=3496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649A KR100862430B1 (ko) 2004-03-24 2005-03-18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789966B2 (ko)
EP (1) EP1735579B1 (ko)
JP (1) JP4874950B2 (ko)
KR (1) KR100862430B1 (ko)
CN (2) CN101706231B (ko)
AR (2) AR048328A1 (ko)
AT (1) ATE534879T1 (ko)
CA (1) CA2473145C (ko)
DE (1) DE102004014822A1 (ko)
ES (1) ES2376770T3 (ko)
RU (1) RU2358219C2 (ko)
UA (1) UA91187C2 (ko)
WO (1) WO2005093360A1 (ko)
ZA (1) ZA2005100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203A (ko) * 2016-02-23 2017-08-31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87B1 (ko) * 2007-07-20 2009-06-04 권기용 유압장치용 오일쿨러
DE102008005668B3 (de) * 2007-11-06 2009-04-02 Areva Np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der Innenoberfläche der Wärmetauscherrohre eines Wärmetauschers
US8613641B2 (en) * 2008-10-22 2013-12-24 Pratt & Whitney Canada Corp. Channel inlet edge deburring for gas diffuser cases
CN102374822A (zh) * 2010-08-23 2012-03-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氨氧化反应系统中冷却器的在线清焦方法
RU169323U1 (ru) * 2016-04-28 2017-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убГ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рубок теплообменников от отложений
US9739548B1 (en) 2017-02-15 2017-08-22 Equate Petrochemical Company Hydro-blasting anti-withdrawal device support
CN109696079B (zh) * 2017-10-20 2020-09-0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对置式固体颗粒喷射分布器在线清焦装置
KR102094363B1 (ko) * 2018-07-06 2020-03-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방법
CN109163583B (zh) * 2018-09-11 2020-03-24 山东理工大学 一种带有拨叉式冲刷装置的换热器
CN109675875B (zh) * 2018-12-21 2023-12-29 郑州赛为机电设备有限公司 高压水清洗机器人装置
DE102019209347A1 (de) * 2019-06-27 2020-12-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r Oberflächen von Rohrinnenseiten
US20210310756A1 (en) * 2020-04-07 2021-10-07 Tubemaster, Inc. Device for Cleaning Inner Surface of Heat Exchanger Tubes
US11382243B1 (en) * 2020-12-29 2022-07-05 Dynascan Technology Corp. Display apparatuses
CN114800288B (zh) * 2022-04-25 2023-09-15 中国航发成都发动机有限公司 一种高压压气机整体叶盘的喷丸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7572A1 (en) * 1988-07-15 1990-03-07 Brown T. Hagewood A process for cleaning tube type heat exchangers
US5499639A (en) * 1995-05-01 1996-03-19 Williams, Jr.; Robert V.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exchanger tubes
WO2002059538A1 (en) * 2001-01-26 2002-08-01 Timo Vanhatalo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 tubes of a tubular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8004A (en) * 1927-04-11 1930-02-18 Harry W Thomas Sprayer nozzle
SU24067A1 (ru) 1929-01-08 1931-11-30 Г.П. Кащенко Прибор дл продувки жаровых труб паровоза
US2120585A (en) 1937-01-16 1938-06-14 Bakelite Corp Moldable compositions
GB1025489A (en) * 1964-03-23 1966-04-14 Vacu Blast Ltd Abrasive blasting apparatus for the cleaning of tubes
DE2259334A1 (de) * 1972-12-04 1974-06-06 Siemens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waehrend des betriebes mit wasser benetzten teilen von kernkraftwerksanlagen
US4051724A (en) * 1976-03-02 1977-10-04 Atlantic Richfield Company Flow responsive counting apparatus
US4124065A (en) * 1976-11-04 1978-11-07 Water Services Of America, Inc. Apparatus for cleaning heat exchanger tubes
CA1214004A (en) * 1983-03-11 1986-11-18 Lacress Nominees Pty. Ltd. Method of cleaning pipes, tubes etc.
JPH0650239B2 (ja) * 1986-01-14 1994-06-29 栗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熱交換器などの管内洗浄装置
IT8648373A0 (it) 1986-08-08 1986-08-08 Santoro Gennaro Scambiatore termico
JPH07122553B2 (ja) * 1986-10-15 1995-1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交換器伝熱管の管内清掃装置
DE8712772U1 (ko) * 1987-09-22 1989-01-1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US5248095A (en) * 1991-07-31 1993-09-28 Aqua-Dyne Incorporated Rotating nozzle
US5423917A (en) * 1993-02-12 1995-06-13 Garcia, Jr.; Ralph Method for cleaning heat exchanger tubes by creating shock wave and mixing the liquid with injected air
CA2100734C (en) * 1993-07-16 1998-05-26 Normand Verret Heat exchanger for dusty environment
US5685487A (en) * 1995-08-17 1997-11-11 J. Edward Stachowiak Compact high pressure forward jetting spinning nozzle for cleaning
DE19546788A1 (de) * 1995-12-14 1997-06-19 Siemens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ehlererkennung bei einer Wirbelstrom-Integritätsprüfung und zur Erhaltung der Wärmeübertragungskapazität von Wärmetauscherrohren
CN2299295Y (zh) * 1996-03-22 1998-12-02 王占生 热水锅炉除垢喷水管
DE19837683C2 (de) * 1998-08-19 2003-02-20 Framatome Anp Gmbh Auffangvorrichtung und Auffanggefäß zum Auffangen von Ablagerungen aus Wärmetauschrohren
DE50107785D1 (de) * 2000-01-28 2005-12-01 Siemens Ag Reinigungsanordnung von Heizrohren sowi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Heizrohren
US20040035445A1 (en) * 2002-08-23 2004-02-26 Saxon Edward G. Automated tube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7572A1 (en) * 1988-07-15 1990-03-07 Brown T. Hagewood A process for cleaning tube type heat exchangers
US5499639A (en) * 1995-05-01 1996-03-19 Williams, Jr.; Robert V.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exchanger tubes
WO2002059538A1 (en) * 2001-01-26 2002-08-01 Timo Vanhatalo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 tubes of a tubular heat exchan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203A (ko) * 2016-02-23 2017-08-31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KR101853536B1 (ko) 2016-02-23 2018-06-20 제네럴 일렉트릭 테크놀러지 게엠베하 배열회수보일러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9966B2 (en) 2010-09-07
CA2473145C (en) 2008-04-29
RU2358219C2 (ru) 2009-06-10
CA2473145A1 (en) 2005-09-24
CN1806157A (zh) 2006-07-19
EP1735579B1 (de) 2011-11-23
ES2376770T3 (es) 2012-03-16
AR048328A1 (es) 2006-04-19
CN101706231A (zh) 2010-05-12
JP4874950B2 (ja) 2012-02-15
AR071306A2 (es) 2010-06-09
CN1806157B (zh) 2010-06-16
ZA200510070B (en) 2006-10-25
CN101706231B (zh) 2012-12-05
RU2006105190A (ru) 2006-08-27
UA91187C2 (ru) 2010-07-12
JP2007530899A (ja) 2007-11-01
DE102004014822A1 (de) 2005-10-20
EP1735579A1 (de) 2006-12-27
KR20060083194A (ko) 2006-07-20
ATE534879T1 (de) 2011-12-15
US20060191558A1 (en) 2006-08-31
WO2005093360A1 (de)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430B1 (ko) 연마제에 의해 열교환기의 파이프를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62078B2 (en) Vacuum spray apparatus and uses thereof
KR100244571B1 (ko) 분류가공장치, 분류가공시스템 및 분류가공방법
US7321104B2 (en) Cooling duct of a laser processing machine
JP2007146502A (ja) 管路内面の洗浄装置
TWI269667B (en) Nozzle device and nozzle member
CN1516880A (zh) 消除位于一空心体内的一表面上的放射性污染的方法和装置
KR101936714B1 (ko) 배관 세척 시스템
KR20080027904A (ko) 동심구조를 이루는 두 개의 방출영역들을 가진 제트노즐을포함한 아크용접 또는 절단용 토치를 위한 오염물제거장치및 방법
CN110191782B (zh) 用于将颗粒状的喷射材料引入到空腔中的喷射探头
CA1200823A (en) Cutting head for drift advancing machines
JPH0871520A (ja) 管内洗浄装置
JP5118434B2 (ja) 洗浄装置
CN107073393A (zh) 废气处理装置及废气处理装置的保养方法
CN209793495U (zh) 一种水雾喷砂装置的蘑菇头组件
KR100999594B1 (ko) 엘보관 자동용접장치용 플럭스공급장치
CA2605884C (en) Method for cleaning the tubes of a heat exchanger using an abrasive and a device suitable for the method
TWI770715B (zh) 迴旋噴槍之改良結構
JPH0310213Y2 (ko)
KR102273509B1 (ko) 백필터 탈진용 이젝터
JPH0350597B2 (ko)
JP7174130B1 (ja) 高圧洗浄ノズル
JPH0763690B2 (ja) 配管洗浄装置
KR200164678Y1 (ko) 세정용 비이드 분사장치의 공급관구조
RU221487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ы от загрязнений "торнад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